KR100747081B1 -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081B1
KR100747081B1 KR1020060015672A KR20060015672A KR100747081B1 KR 100747081 B1 KR100747081 B1 KR 100747081B1 KR 1020060015672 A KR1020060015672 A KR 1020060015672A KR 20060015672 A KR20060015672 A KR 20060015672A KR 100747081 B1 KR100747081 B1 KR 100747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res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mula
hyperlipidem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명종
양혜정
백남인
김성훈
정인식
김대근
박미현
권병목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15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6Sacks for corpses; Corpse wrapp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은 고지혈증 및 염증 억제 활성을 가지며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므로 고지혈증 및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11891213-pat00001
고지혈증, 염증, 매향엽자나무, 벤조페논계 화합물

Description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Novel benzophenone compoun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도 1a는 매향엽자나무로부터 분리된 본 발명의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 1에 대한 수소-핵자기공명(NMR)스펙트럼 분석 결과이다.
도 1b는 매향엽자나무로부터 분리된 본 발명의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 1에 대한 탄소-핵자기공명(NMR)스펙트럼 및 DEPT(Distortionless Enhancement by Polarization Transfer) 분석 결과이다.
도 2a는 매향엽자나무로부터 분리된 본 발명의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 1에 대한 gHSQC 분석 결과이다.
도 2b는 매향엽자나무로부터 분리된 본 발명의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 1에 대한 gHMBC 분석 결과이다.
도 3a는 매향엽자나무로부터 분리된 본 발명의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 2에 대한 수소-핵자기공명(NMR)스펙트럼 분석 결과이다.
도 3b는 매향엽자나무로부터 분리된 본 발명의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 2에 대한 탄소-핵자기공명(NMR)스펙트럼 및 DEPT(Distortionless Enhancement by Polarization Transfer)분석 결과이다.
본 발명은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매향엽자나무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및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지혈증(Hyperlipidemia)이란 혈액 내에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질(Low Density Lipoprotein; 이하 ‘LDL’이라 함) 등의 지방질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하며, 고콜레스테롤혈증(hypercholesterolemia) 또는 고중성지방혈증(hypertriglyceridemia)이라고도 한다. 고지혈증은 총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 혹은 두 가지가 모두 상승되어 있거나 HDL 콜레스테롤 농도가 저하된 상태를 포함하며, 특히 저밀도지단백질(LDL) 및 총 콜레스테롤의 증가에 의한 고지혈증은 심혈관 질환 발생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고지혈증은 대개 그 자체가 증상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혈액 내에 지방 성분이 많으면 혈관 벽에 달라붙어 동맥경화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관상동맥 심장질환이나 뇌혈관 질환, 말초혈관 폐쇄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고지혈증의 치료방법으로는 콜레스테롤이나 포화지방산이 많이 들어있는 식 품의 섭취를 억제하고 열량섭취를 줄이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및 약물요법 등이 권장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고지혈증 치료제로는 간장에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의 생합성을 촉매하는 효소인 3-히드록시-3-메틸 글루타릴 Co-A 환원효소(HMG-CoA) 저해제로 개발된 일본의 산쿄, 미국의 머크사의 제품으로 컴펙틴(compactin)의 생물학적 변형 유도체인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과 심바스타틴(simvastatin)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간장에서 분비되어 음식물을 소화시키고 대장에서 재흡수되는 담즙산에 결합하는 음이온 교환체가 콜레스테롤 재흡수 저해제로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네오마이신(Neomycin), 프로부콜(Probucol)과 같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약제 및 피브린산 유도체, 니코틴산 및 어유(fish oil)와 같은 중성지방 함량을 낮추는 약제들이 개발되어 치료제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고지혈증의 예방과 치료에 ACAT(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활성 저해제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었고 따라서 고지혈증 치료제 개발의 일환으로 ACAT 저해제의 개발이 주목되고 있다. ACAT는 콜레스테롤의 아실화에 관여하여 소장에서 콜레스테롤의 흡수, 간장에서 VLDL(very low density lipoprotein)의 합성, 지방세포와 혈관내벽에 저장형 콜레스테롤의 축적에 관여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연구되어진 ACAT 저해제들은 화학 합성품이 주로 연구대상이었으며, 워너람베르트, 화이자, 야마노우치 등에서 우레아계, 아미드계, 페놀계의 합성화합물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들 약제는 화학 합성 약제로 간독성, 위장장해 및 발암성 등의 많은 부작용들이 있다. 따라서, 보다 사용에 제한 사항이 없고 작용기작이 확실하며 부작용이 적은 천연유래의 새로운 고지혈증 치료제의 개 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염증 반응은 조직이나 세포가 손상되거나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등의 외부감염원에 감염된 경우 국소 혈관과 체액 중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에 의한 효소 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서 홍반, 부종, 발열, 통증 등 외적 증상을 동반한다. 이러한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매개인자 중 한 가지는 인체의 대식세포(macrophage)에서 산화질소 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해 L-아르기닌(L-arginine)으로부터 생성되는 산화질소이다(Kerwin, J. F. et al., J. Med . Chem., 38, pp4343-4362, 1995).
산화질소는 고농도에서 종양세포와 병원균에 대해서 방어기능을 하며, 혈관내피세포에서 생성된 저농도의 산화질소는 혈압 조절작용을, 신경세포에서 생성되는 산화질소는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 학습, 기억 등에 관련된 다양한 생리 반응을 수행한다. 내피세포의 산화질소 합성효소에 의해 생성된 산화질소는 혈관계에 작용하여 혈관확장, 혈소판 부착이나 응집을 억제시키며, 신경외피세포의 산화질소 합성효소에 의해 생성된 산화질소는 신경계에 작용하여 기억능력에 중요한 장기 기억능력을 상승시키거나 신경전달물질로서 우울증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소화기관의 운동성에도 관여한다. 반면에, 특정 사이토카인이나 병원균의 세포막 성분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에 의해 유도된 산화질소 합성효소 발현에 의해 생성되는 산화질소는 염증발현이나 숙주방어기전 등에 작용한다.
그러나, 필요 이상의 과다한 산화질소의 생성은 관절염, 패혈증 등의 염증질환과 조직이식거부반응, 자가면역질환 당뇨병 등의 면역질환 및 신경세포의 사멸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염증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또는 비마약성 진통제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은 장기간 사용시 두통, 어지러움, 이상감각, 신경질적인 증상을 유발시키며 정신병도 발생하는 등 많은 부작용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는 개선된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활성 억제제의 개발은 이러한 질병치료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은 인체의 다양한 염증질환의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은 천연유래의 새로운 고지혈증 또는 염증 치료제를 연구하던 중 매향엽자나무(L. fruticosa Hemsl.)로부터 지금까지 전혀 보고된 바 없는 신규한 2종의 페놀류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상기 화합물이 고지혈증 및 염증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11891213-pat00002
상기식에서, R은 하이드록시기 또는 산소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벤조페논계 화합물은 각각 화학식 2로 표시되는 2-메톡시-3,4-메틸렌디옥시벤조페논(2-Methoxy-3,4-methylenedioxybenzophenone)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알파-벤질 2-메톡시-3,4-메틸렌디옥시벤젠(α-Benzyl 2-methoxy-3,4-methylenedioxybenzen)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11891213-pat00003
[화학식 3]
Figure 112006011891213-pat00004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페논계 화합물의 염,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순수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과다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등의 유발 없이 사람 및 하등 동물의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염을 의미한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당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S.M. Berge et al., J. Parmaceutical Sciences, 66:1, 1977). 상기 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최종적으로 분리 및 정제하는 동안에 동일반응계에서 제조하거나 별도로 무기 염기 또는 유기 염기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및 알루미늄염 등과 같은 알카리 금속 또는 알카리 토금속 계통 양이온 및 무독성 4급 암모니아 및 아민 양이온일 수 있다. 상기 아민 양이온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암모늄, 테트라메틸암모늄, 테트라에틸암모늄, 메틸암모늄, 디메틸암모늄, 트리메틸암모늄, 트리에틸암모늄, 디에틸암모늄 및 에틸암모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의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형태로 된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J. M. Keith, Trahedron Letters, 45(13), 2739-2742, 2004).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은 천연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당 업계에 공지된 벤조페논계 화합물의 화학적 합성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Wang, P. et al.,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69(8), 2693-2702, 2004; Yang, B., Zhongguo Yaowu Huaxue Zazhi, 13(1), 46-47, 2003).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벤조페논계 화합물은 천연 식물로부터 분리 정제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물질을 추출하고 분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식물 또는 식물의 일부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줄기, 뿌리 또는 잎은 목적하는 추출물을 획득하기 위하여 적절히 건조하여 침연(macerated)하거나 단지 건조시켜 적절한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목적하는 추출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벤조페논계 화합물은, 매향엽자나무의 뿌리로부터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상기 매향엽자나무(Lindera fruticosa Hemsley)는 녹나무과(Lauraceae)의 식물로, 이디오피아와 네팔 및 중국의 곤명(Kunming)지방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향엽자나무는 식물 분류상, L. neesians Benth.로도 불려지고 있다. 네팔 등지에서는 "kutung-G, siltimur-M"등으로 불리우며, 중국에서는 녹협감강이라고 알려져 있다. 매향엽자나무의 열매는 탕약으로 다려서 위장장애 등의 치료에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이디오피아에서는 이 식물이 민간요법으로 많이 사용되 며, 젖소의 젖 생산이 중단되었을 때에, 이 식물을 사료와 함께 먹이면, 젖소의 젖이 재생산된다고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벤조페논계 화합물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분리 및 정제될 수 있다:
(a) 매향엽자나무(Lindera fruticosa Hemsley)를 탄소수 1개 내지 5개의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얻은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물 및 n-부탄올로 분획화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는 단계.
상기 (a) 단계에서 매향엽자나무는 그대로 또는 그 건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추출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매향엽자나무 그대로 또는 그 건체를 분쇄기로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건조방법으로는 양건, 음건, 열풍건조, 동결건조 및 자연건조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매향엽자나무의 추출에 사용되는 유기용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개 내지 5개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 드, 헥산, 시클로헥산 및 석유에테르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매향엽자나무의 뿌리를 80% 메탄올로 추출하였다.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분획화하는 단계로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및 물을 이용하여 분배 추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수득한 매향엽자나무의 추출물을 감압농축하고 상기 농축액을 에틸아세테이트와 물로 분배 추출함으로써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물 분획을 수득한다. 상기에서 수득한 물 분획을 n-부탄올로 다시 분배 추출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물 분획, 부탄올 분획을 수득한다.
상기 (c) 단계에서는 (b) 단계에서 수득한 분획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및 정제한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로는 실리카겔(silica gel)이나 활성 알루미나(alumina)등의 각종 합성수지를 충진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 및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등을 단독으로 혹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카겔을 이용한 반복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와 옥타데실(octadecyl)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유효성분의 추출 및 분리정제 방법은 반드시 상기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페논계 화합물은 고지혈증 및 염증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hACAT1(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효소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상기 효소의 활성을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험예 1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고지혈증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LPS의 자극에 의한 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상기 세포에서 LPS 자극에 의한 산화질소의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험예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염증질환의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험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모두 세포독성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험예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조페논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고지혈증(Hyperlipidemia)”이란 혈액 내에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저밀도지질단백질(LDL) 등의 지방질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를 말한다. 고지혈증은 대개 그 자체가 증상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혈액 내에 지방 성분이 많으면 혈관 벽에 달라붙어 동맥경화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관상동맥 심장질환 이나 뇌혈관 질환, 말초혈관 폐쇄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염증 질환"은 산화질소가 과다하게 생성되어 유발되는 모든 염증 질환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감염성 비염, 알레르기성 비염, 만성 비염, 급성 부비동명 및 만성 비동염 등과 같은 비염; 부비동염 금성화농성 중이염 및 만성화농성 중이염 등과 같은 중이염; 세균성 폐렴, 기관지 폐렴, 대염성 폐렴, 레지오렐라 폐렴 및 바이러스성 폐렴 등과 같은 폐렴; 급성 또는 만성 위염 감염성 소장결장염, 크론씨 병(Crohn's disease), 특발성 궤양성 대장염, 위막성 대장염 등과 같은 장염; 및 화농성 관절염, 결핵성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및 류마티스 관절염 등과 같은 관절염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와 혼합하거나 희석제로 희석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 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용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주사용 제형으로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다. 주사용 제형은 적합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성분을 식염수 또는 완충액에 용해시켜 주사용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분말, 과립, 정제, 환약 및 캡슐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형화된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고지혈증 및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화합물의 양을 말하며, 질환 및 이의 중증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0.01 ㎍/kg/day~ 100 mg/kg/day, 바람직하게는 0.1 ㎍/kg/day~ 10 mg/kg/day의 유효용량으로 하루에 수차례 반복 투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매향엽자나무 뿌리로부터 벤조페논계 화합물의 추출 및 분리
매향엽자나무(Lindera fruticosa Hemsley)(2002년 2월 에티오피아(Ethiopia) 대학의 수의학박사 Fikru Nigussie가 제공함)건조 분말 1 kg에 80% 메탄올(20 ℓx 3)을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3번 추출한 다음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수득된 여과액을 45 ℃에서 감압농축하고, 상기 농축액을 물(2 ℓ)과 에틸 아세테이트(EtOAc, 2 ℓx 3)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후, 물층을 다시 n-부탄올(n-BuOH, 2 ℓx 3)로 분배 추출하였다. 각 층을 감압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14 g), n-부탄올 분획(133 g) 및 물 분획(300 g)을 얻었다.
각 분획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14 g)에 대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Kieselgel 60)를 수행하였다. 이때 용리액으로는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였으며, 클로로포름과 메탄올의 비율은 10:1→7:1로 하여 점차 극성을 높여갔으며, 150 mℓ씩 분취하였다. 각 분취액을 TLC(thin layer chromatography)상에서 확인한 후, 유사한 부분들을 함께 모으고 농축하여 12개의 분획물(UNE-1 내지 UNE-12)을 얻었다. 이때 용리액으로는 n-핵산-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였으며, n-핵산과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 비율은 5:1 또는 3:1로 하였다.
<1-1> 화합물 1의 분리· 정제
UNE-2(1.0 g)를 대상으로 하고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매(MeOH:H20=5:4)를 용리액으로 사용하여 옥타데실(octadecyl)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ichroprep RP-18, 40~63㎛, Merck, Germany)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9개의 분획(UNE-2-1 내지 UNE-2-9)을 얻었고 이 중 화합물 1(UNE-2-6)을 320 mg 수득하였다.
<1-2> 화합물 2의 분리· 정제
UNE-3(1.3 g)을 대상으로 하고 메탄올과 물의 혼합용매(MeOH:H20=1:1)를 용리액으로 사용하여 옥타데실(octadecyl)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Lichroprep RP-18, 40~63㎛, Merck, Germany)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11개의 분획(UNE-3-1 내지 UNE-3-11)을 얻었고 이 중 UNE-3-7(36 mg)을 대상으로 다시 n-핵산과 에틸 아세테이트의 혼합 용매(n-헥산:EtOAc = 3:1)를 용리액으로 이용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2(UNE-3-7-2)를 15 mg 수득하였다.
< 실시예 2>
매향엽자나무 뿌리로부터 분리· 정제된 벤조페논계 화합물의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 정제된 2개의 벤조페논계 화합물의 구조를 동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IR 스펙트럼, NMR 분석, 질량분석 및 광 회전(optical rotation) 분석을 수행하였다. IR 스펙트럼은 퍼킨 엘머(Perkin-Elmer, UK) 스펙트럼 원 FT-IR 스펙트로미터로 수행하였고, 1H NMR(400 MHZ)과 13C(100 MHZ) 스펙트럼은 버라이언(Varian, USA) 유니티 이노바 AS 400 FT-NMR 스펙트로미터로 수행하였다. 질량분석을 위해 JMS 700(JEOL, Japan)을 사용하여 LREIMS(Low-resolution electron impact mass spectroscopy) 및 HREIMS(High-resolution electron impact mass spectroscopy)를 측정하였다. 광 회전은 JASCO P1010 디지털 편광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단, 상기 광회전은 화합물 2에 대해서만 측정하였다. 상기 분석 방법들에 사용되는 용매로는 CDCl3, CD3OD, 피리딘-d 5(pyridine-d 5)를 사용하였고 모든 시약의 등급은 독일 머크사(Merck사)의 특급시약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하기 <2-1> 및 <2-2>에 나타낸 바와 같다.
<2-1> 화합물 1의 분석 결과
화합물 1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무색의 오일(Colorless oil)
- IR(CaF2 window in CHCl3) max 2937, 2841, 1731, 1658, 1470, 1281, 1071 cm-1
- 1H-NMR(400 MHz, CDCl3) δ7.76(2H, br. dd, J=8.0, 1.6 Hz, H-2',6'), 7.51(1H, dddd, J=8.0, 8.0, 1.6, 1.6Hz, H-4'), 7.41(2H, br. dd, J=8.0, 8.0 Hz, H-3',5'), 6.93(1H, d, J=8.0 Hz, H-6), 6.57(1H, d, J=8.0 Hz, H-5), 5.59(2H, br. s, H-dioxymethelene), 3.81(3H, s, H-OMe)
- 13C-NMR(100 MHz, CDCl3) δ195.0(C-7), 148.9(C-4), 141.8(C-2), 138.3(C-1'), 136.8(C-3), 132.6(C-4'), 129.5(C-2',6'), 128.0(C-3',5'), 126.1(C-1), 124.3(C-6), 102.7(C-5), 101.5(C-dioxymethylene), 60.0(C-OMe)
- EIMS m/z 256 [M]+ (40), 240 (32), 180 (9), 150 (100), 92 (100), 57 (35)
- HREIMS m/z 256.0734 [M] + (calcd for C15H12O4 256.0736)
분석 결과, 화합물 1은 무색의 정유 성분으로써, IR 스펙트럼에서는 수산기 (3350 cm-1)와 방향족 환(1608, 1518 cm-1)이 결합된 케톤(1720 cm-1)의 흡수가 관측되었고, 1H NMR 스펙트럼에서, 2개의 벤젠환을 구성하는 δH 7.76(br. dd, J=8.0, 1.6 Hz), 7.51(1H, ddd, J=8.0, 8.0, 1.6 Hz), δH 7.41(br. dd, J=8.0, 8.0 Hz)과 δH 6.93(1H, d, J=8.0 Hz), δH 6.57(d, J=8.0 Hz)이 관측되었고, 디옥시메틸렌의 δH 5.59(br. s)와 메톡시 수소인 δH 3.81(s)이 관측되었다. 13C NMR 스펙트럼에서는, 케톤 카보닐 탄소 1개와 12개의 이중결합의 메틴 및 4급 탄소가 관측되었고, 1개의 디옥시메틸렌 탄소와 산소가 치환된 메톡시 탄소가 관측되었다. 1H 및 13C NMR 스펙트럼으로부터, 1,2,3,4-4 치환벤젠과 1-치환벤젠 환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도 1a 및 도 1b 참조). 이 두 벤젠환이 케톤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각 메톡시와 메틸렌디옥시의 결합 순서를 결정하기 위하여, 2D기법을 이용하였다. gHMBC 스펙트럼으로부터, δH 3.81의 메톡시 시그널이 δC 141.8(C2)와 크로스 피크를 나타내어, 메톡시 그룹의 위치를 확인하였고, δH 5.59의 디옥시메틸렌 수소 시그널이 각각 δC 136.4(C3), 151.4(C4)와 크로스 피크를 나타내어 결합 위치를 확인하였다(도 2b 참조). 마지막으로 수소 2개를 가진 1,2,3,4-4 치환벤젠환의 결정하기 위하여, 각 수소 본드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δH 6.93(d, J=8.0 Hz)이 δC 125.7(C1), 136.4(C3)과 J 3 상관관계를 보여주었고, δH 6.57(d, J=8.0 Hz)은 메톡시가 붙어있는 δC 141.8(C2)과 151.4(C4)에 각각 J 3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C2에 메톡시 치환기를 가지고, C3 및 C4에 메틸렌디옥시의 치환기를 가지는 2-메톡시-3,4-메틸렌디옥시벤조페논(2-Methoxy-3,4-methylenedioxybenzophenone)으로 구조 동정하였으며, 이는 천연에서 처음으로 얻어진 물질로써, 본 발명자들은 이 화합물을 린더론 A(linderone A)라 명명하였다.
<2-2> 화합물 2의 분석 결과
화합물 2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미세한 노란색의 무정형 분말(fine yellow amorphouspowder)
- [α]26 D -13.1 (c 0.26, CHCl3)
- IR (CaF2 window in CHCl3) max 3427, 2924, 2854, 1728, 1574, 1468, 1258, 1065 cm-1
- 1H-NMR(400 MHz, pyridine-d5) δ7.34(2H, dd, J=8.4, 2.0 Hz, H-2',6'), 7.30(2H, dd, J=8.4, 8.4 Hz, H-3',5'), 7.23(1H, tt, J=8.4, 2.0 Hz, H-4'), 6.73(1H, d, J=8.0 Hz, H-6), 6.49(1H, d, J=8.0 Hz, H-5), 5.91(3H, br. s, H-dioxymethelene and H-7), 3.81(3H, s, H-OMe)
- 13C-NMR(100 MHz, pyridine-d5) δ148.9(C-4), 140.9(C-2), 143.6(C-1'), 136.5(C-3), 128.6(C-1), 128.0(C-2',6'), 127.0(C-4'), 126.2(C-3',5'), 120.7(C-6), 102.5(C-5), 101.0(C-dioxymethylene), 72.5(C-7), 59.5(C-OMe)
- EIMS m/z [rel int.(%)]: 258 [M]+ (40), 239 (78), 200 (13), 178 (97), 164 (32), 152 (13), 148 (64), 105 (100), 96 (38), 72 (80), 59 (100); m/z 258.0887 [M]+ (calcd for C15H14O4 258.0892)
분석 결과 화합물 2는 미세한 노란색의 무정형 분말로서, IR 스펙트럼에서는 수산기(3350 cm-1)와 방향족 환(1608, 1518 cm-1)의 흡수가 관측되었다. 1H NMR 스펙트럼에서, 이중결합의 영역에서, 화합물 1과 유사한 피크가 관측되었고, 단 δH 5.91(br. s)의 메틸렌디옥시 시그널의 적분값으로부터 수소 3개가 중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메톡시 수소인 δH 3.81(s)이 관측되었다(도 3a 참조). 13C NMR 스펙트럼에서는, 화합물 1과 달리 케톤 카보닐 탄소가 관측되지 않았고, δC 72.5에서 산소가 치환된 메틴 탄소가 관측되었다. 또한, 12개의 이중결합의 메틴 및 4급 탄소가 관측되었고, 1개의 메틸렌디옥시 탄소와 산소가 치환된 메톡시 탄소가 관측되었다(도 3b 참조). gHSQC 스펙트럼에서, δH 5.91(br. s)이 δC 101.0(C-메틸렌디옥식), 72.5(C-7) 2개의 탄소와 각각 교차 피크를 보여주어, δH 5.91에 메틸렌디옥시 및 메틴옥시 등 세 개의 수소가 겹쳐 있음을 확인하였다. gHMBC 스펙트럼으로부터, δH 5.91(br. s)이 δC 143.6(C1'), 128.6(C1)와 교차 피크를 보여주어, 화합물 1의 케톤 작용기가 알코올로 환원된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을 종합하여, 화합물 2는 알파-벤질 2-메톡시-3,4-메틸렌디옥시벤젠(α-Benzyl 2-methoxy-3,4-methylenedioxybenzene)으로 이 물질 또한 역시, 천연에서 처음 분리된 물질로서, 본 발명자들은 이 화합물을 린더롤 A(linderol A)라 명명하였다.
< 실시예 3>
벤조페논계 화합물의 고지혈증 억제 활성 분석
본 발명에서 분리 및 정제하여 수득한 화합물 1(린더론 A)의 고지혈증 억제 활성을 분석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 및 정제된 매향엽자나무 뿌리 유래의 벤조페논계 화합물들이 고지혈증 질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 화합물의 hACAT1(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효소 저해 활성 을 측정하였다.
<3-1> 인간 ACAT 재조합 단백질의 제조
인간의 ACAT 재조합 단백질은 사람의 간 cDNA 라이브러리로부터 hACAT1과 hACAT2 cDNA를 클로닝하고 이를 바큘로바이러스(baculovirus)에서 발현시킴으로써 수득하였다. 곤충세포인 Sf9 세포(Gibco-BRL, Grand Islands, NY)를 이용하여 재조합 바이러스를 얻었고, 이렇게 얻은 재조합 바이러스를 또 다른 곤충세포인 Hi5 세포(Gibco-BRL, Grand Islands, NY)에 주입하여 단백질을 얻었다. 즉, Sf9 세포에서 얻은 재조합 바이러스를 MOI(multiplicity of infection)0.25 또는 10으로 건강하게 배양된 Hi5 세포 (500ml, 1.5×106cell/ml)에 처리하였고, 27℃에서 96시간 동안 배양 플라스크(2L spinner flask)를 80rpm으로 교반하면서 바이러스의 증식과 단백질의 대량생산을 유도하였다. 배양 후 원심분리 (1,000×g)를 통해 Hi5 세포주를 회수하였고, 저장 완충액(hypotonic buffer) (40mM 인산/0.1 M 수크로스/50 mM KCl/30 mM EDTA, pH 7.2)을 처리하여 급속 동결과 해동의 방법으로 세포막을 부수어 단백질을 노출시켰고, 1 시간 동안 초원심분리 (100,000×g)하여 얻은 마이크로좀(microsome)을 분취한 후 -80℃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3-2> ACAT 효소 활성 저해도 측정
본 발명에서 분리된 화합물 1 및 화합물 2의 ACAT 효소 활성 저해도를 측정 하였다. ACAT 활성의 측정은 [1-14C] 올레오일-CoA를 기질로 하여 공지된 방법을 일부 수정하여 수행하였다(Brecher, P. and Chan, C. T., Biochem Biophys Acta 1617, 458 - 471, 1980). 즉, 본 발명에서 분리된 화합물 10㎕ , 마이크로조말 효소 4.0㎕, 분석 완충액 20.0㎕(assay buffer, 0.5M KH2PO4, 10mM DTT, pH 7.4), 40mg/mℓ 농도의 BSA(지방산이 제거된 것, Sigma A6003)15.0㎕, 20mg/mℓ 농도의 콜레스테롤 2.0㎕ 및 증류수 41.0㎕를 가하여 37℃ 에서 15분간 예비반응을 시켰다. 상기 반응액에 [1-14C] 올레오일-CoA 8㎕(0.05 μCi, 최종농도 10 μM)를 첨가하여 다시 37℃ 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이소프로판올과 헵탄의 혼합 용매(이소프로판올:헵탄=4:1, v/v) 1mℓ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헵탄 0.6mℓ와 5배로 희석한 분석 완충액 0.4mℓ를 첨가한 후 원심분리 하였다. 상기에서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 100㎕에 칵테일(Lipoluma, Lumac Co.) 4mℓ를 첨가한 후 액체섬광계수기(liquid scintillation counter, 1450 Microbeta, Trilux Wallac Oy, Finland)를 이용하여 생성된 [1-14C]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방사선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ACAT 억제의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도록 올레인산 아니라이드(oleic acid anilide)를 (W. H. Roark et al., J. Med . Chem , 36, 1662-1668, 1993; B. D. Roth et al., J. Med . Chem , 35, 1609-1617, 1992)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된 화합물에 의해 고지혈증의 억제활성이 50%가 되는 화합물의 농도를 IC50 값으로 나타냈다.
실험 결과, 화합물 1의 IC50 값은 0.37 mM으로 나타났다. 이는 양성 대조군인 올레인산 아니라이드의 IC50 값인 0.3 μM에 비해서는 다소 높은 농도이지만, 천연에서 분리된 물질로써 유의적인 수치를 확인할 수 있어, 고지혈증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4>
벤조페논계 화합물의 염증 억제 활성 측정
본 발명에서 분리 및 정제하여 수득한 화합물 1(린더론 A) 및 화합물 2(린더롤 A)의 염증 억제 활성을 분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염증 억제 활성은 Raw 264.7 세포(마우스 대식세포)로부터 생성된 일산화질소의 양이 감소하는지를 측정함으로써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상기 Raw 264.7 세포(ATCC, TIB 71, Maryland, USA)를 10% 소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 및 페니실린(100㎍/㎖), 스트렙토마이신(100U/mℓ)이 포함된 RPMI 1640배지에서 37℃, 5%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에서 배양된 Raw 264.7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2×105 cell/mℓ 농도로 각각 분주한 후 다음날 본 발명의 화합물 1 및 화합물 2를 DMSO에 용해하여 여러 농도(100, 200, 300 μM)로 제조한 시료용액을 첨가하고, 30분 후 LPS(1 μg/mℓ)를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이 완료된 세포배 양 상등액 100㎕와 그리스(Griess) 시약 [1%(w/v) 설파닐아민, 5%(v/v) 포스포릭산 및 0.1%(w/v) 나프틸에틸렌디아민-염산] 100㎕를 혼합하여 96 웰 플레이트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Power Wave 340, 바이오텍, 미국)를 이용하여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로부터 IC50값을 계산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유도된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의 저해제로 알려진 L-N6-(1-이미노에틸)라이신 (L-N6-(1-Iminoethyl)lysine L-NIL)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1 및 화합물 2의 IC50 값이 각각, 86.7 및 275.6 μM로 나타났다. 양성대조군으로는 L-아르기닌(arginine)과의 기지경쟁에 의하여 iNOS 저해제로 알려진 L-N6-(1-이미노에틸)라이신 (L-N6-(1-Iminoethyl)lysine L-NIL)의 IC50값이 15 μM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자연계에서 분리된 물질로써, 항염 활성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실시예 5>
벤조페논계 화합물의 세포독성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1 및 화합물 2가 세포독성을 나타내는지를 조사하였다.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양된 Raw 264.7 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에 2×105 cell/mℓ 농도로 각각 분주한 후 다음날 본 발명의 화합물 1 및 화합물 2를 DMSO에 용해하여 여러 농도(100, 200, 300 μM)로 제조한 시료용액을 첨가하고, 30분 후 LPS(1 μg/mℓ)를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MTT 시약을 넣고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형성된 포르마젠(formazane)을 DMSO 100 μℓ를 첨가하여 녹였다. 30분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흡광도로부터 IC50값을 계산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시스플라틴(cisplatin)을 사용하였고, IC50값은 본 발명의 화합물 1, 화합물 2 및 시스플라틴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가 50%의 치사율이 되는 화합물의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 결과, 세포독성이 클수록 적은 값을 나타내는 IC50의 값을 측정함으로서 확인할 수 있었는데 화합물 1 및 화합물 2의 IC50 값이 각각, 312 μM 및 700 μM으로 나타났다. 이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시스플라틴의 IC50 값이 75 μM의 세포독성을 보이는 것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세포독성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화합물 2는 세포독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1 및 화합물 2는 고지혈증 및 염증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며 세포독성도 낮기 때문에 고지혈증 및 염증 질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제제예 1>
본 발명의 벤조페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벤조페논계 화합물(화합물 1 또는 2) 25mg을 부형제 직타용 락토오스 26mg과 아비셀(미결정 셀룰로오스) 3.5mg, 봉해 보조제인 나트륨 전분 글리코네이트 1.5mg, 그리고 결합제인 직타용 L-HPC(low-hydrosyprophylcellulose) 8mg과 함께 U형 혼합기에 넣고 20분간 혼합하였다. 혼합이 완료된 후 활탁제로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mg을 추가로 첨가하고 3분간 혼합하였다. 정량 시험과 항습도 시험을 거쳐 타정하고 필름 코팅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2> 시럽제의 제조
본 발명의 벤조페논계 화합물(화합물 1 또는 2)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 2%(w/v)로 함유하는 시럽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벤조페논계 화합물의 산부가염 2g, 사카린 0.8g 및 당 25.4g을 온수 80 g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냉각시킨 후, 여기에 글리세린 8.0g,향미료 0.04g, 에탄올 4.0g, 소르브산 0.4g 및 적량의 증류수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100㎖가 되도록 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벤조페논계 화합물(화합물 1 또는 2) 50mg, 유당 50mg, 전분 46.5mg, 탈크 1mg 및 적량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혼합하고 이를 경질 젤라틴 캡슐에 충진함으로써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주사액제의 제조
유효성분 10mg을 함유하는 주사액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벤조페논계 화합물의 염산염 1g, 염화나트륨 0.6g 및 아스코르브산 0.1g을 증류슈에 용해시켜서 100㎖를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병에 넣고 20℃에서 30분간 가열하여 멸균시켰다.
이상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벤조페논계 화합물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분리 및 정제된 것으로서 고지혈증 및 염증 억제 활성을 가지며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므로 고지혈증 및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3로 표시되는 2-메톡시-3,4-메틸렌디옥시벤즈히드릴 알코올 또는 그의 염.
    [화학식 3]
    Figure 112007024116500-pat00012
  2. 삭제
  3. (a) 매향엽자나무(Lindera fruticosa Hemsley)를 탄소수 1개 내지 5개의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얻은 추출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물 및 n-부탄올로 분획화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2-메톡시-3,4-메틸렌디옥시벤즈히드릴 알코올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및 석유에테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옥타데실(octadecyl)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병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6.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벤조페논계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24116500-pat00013
    상기에서 R은 하이드록시기(-OH) 또는 산소(=O) 이다.
  7.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벤조페논계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24116500-pat00014
    상기에서 R은 하이드록시기(-OH) 또는 산소(=O) 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질환이 비염, 중이염, 폐렴, 장염 및 관절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20060015672A 2006-02-17 2006-02-17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0747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672A KR100747081B1 (ko) 2006-02-17 2006-02-17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672A KR100747081B1 (ko) 2006-02-17 2006-02-17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7081B1 true KR100747081B1 (ko) 2007-08-07

Family

ID=3860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672A KR100747081B1 (ko) 2006-02-17 2006-02-17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081B1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lvetica Chimica Acta Vol.88, pp.2771-2776(2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67474A1 (en) Novel phytochemicals from extracts of maple syrups and maple trees and uses thereof
RU2523905C2 (ru) Экстракт семян fraxinus excelsior и его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применение
KR20100129481A (ko) 2,5-비스-아릴-3,4-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리그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이엠피케이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04299B1 (ko) 신규한 퀴놀린계 화합물, 및 지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rcha et al. Cardioprotective effect of various extract of Rhododendron arborium Sm flower on Albino rats
KR100883992B1 (ko) 초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67372B1 (ko) 신규 리그난 화합물,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조성물
KR100747081B1 (ko) 신규한 벤조페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KR20070006621A (ko) 아실-코에이:콜레스테롤 아실 트랜스퍼라제 저해 활성을가지는 조성물
Ptitsyn et al. The 1, 4-naphthoquinone derivative from Pyrola rotundifolia activates AMPK phosphorylation in C2C12 myotubes
KR100963643B1 (ko) 손바닥선인장 열매의 종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화합물을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78373B1 (ko) 상표초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된 아세틸도파민계 화합물또는 바이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장순환계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KR100361090B1 (ko) 꾸지나무로부터 분리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신규한플레닐레이티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이를 주성분으로함유하는 꾸지나무 추출물, 이들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KR100765419B1 (ko) 삼백초 추출물에서 분리된 사우세르네올 b 화합물을함유하는 염증, 알러지 및 천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건강기능식품
KR100443268B1 (ko) Acat의 활성을 저해하는 순비기나무 열매로부터추출한 퓨란성 랍단 디테르펜 화합물 및 이의 조성물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84733B1 (ko) 물오리나무 줄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간독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36361B1 (ko) 참당귀로부터 분리된 신규 생리 활성 물질, 이의 추출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1740915B1 (ko) 오론 화합물 합성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WO2018207910A1 (ja) 抗炎症用組成物
KR100703859B1 (ko) 택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심장순환계 질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52109B1 (ko) 흰씀바귀로부터 추출된 세스퀴테르펜 락톤 화합물을 함유하는 심혈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658362B1 (ko) 벤질아미노에탄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07708B1 (ko) 삼백초 추출물에서 분리된 sce25­20 화합물을함유하는 염증, 알러지성 질환 또는 혈관질환의 예방용건강기능식품조성물
KR20130104103A (ko) 육두구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리그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