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819B1 -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 및 이의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 및 이의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819B1
KR100746819B1 KR1020060018133A KR20060018133A KR100746819B1 KR 100746819 B1 KR100746819 B1 KR 100746819B1 KR 1020060018133 A KR1020060018133 A KR 1020060018133A KR 20060018133 A KR20060018133 A KR 20060018133A KR 100746819 B1 KR100746819 B1 KR 100746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hydrophilic
fiber
sheath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진
김동욱
이승섭
신동호
Original Assignee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8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819B1/ko
Priority to CNA2006101608698A priority patent/CN10102491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85Connections not covered by E04B1/21 and E04B1/2403, e.g. connections between structural parts of different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위생용품에서 요구되는 내구친수성, 특히 거의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열압착 엠보싱 결합 복합장섬유 부직포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는 친수형 복합장섬유로 이루어진 웹을 적층하여 결합한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친수형 복합장섬유는 친수성 중합체가 소수성 중합체를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둘러싼 형태로 시스 앤드 코아형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친수형 복합장섬유가 방사형 웹(web)에 엠보싱형으로 결합ㆍ고정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는 친수성 중합체가 소수성 중합체를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둘러싼 형태로 되어 우수한 내구친수성을 보유하면서 위생재 등에 사용되기 위한 강도, 부드러운 촉감과 같은 제반 물성을 모두 만족시키며, 본 발명의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건조공정 추가로 인한 불편한 작업성이 없으며 촉감이 나빠지는 현상이 개선되고 유기용제 특유의 냄새를 없애고, 친수형 복합장섬유 부직포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내구친수성, 시스, 코아, 폴리올레핀, 부직포, 위생용품.

Description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Radial nonweaven fiber having improved hydrophile propert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익스트루더(extruder)
3 : 스핀 빔(spin beam)
4 : 분배판
5 : 노즐 (nozzle)
6 ,7 : 중합체
본 발명은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회용 위생용품에서 요구되는 내구친수성, 특히 거의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열압착 엠보싱 결합 복합장섬유 부직포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를 이용한 부직포는 만족할 만한 강도와 부드러운 촉감과 함께 소수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한편, 기저귀 및 성인용 요실금품의 탑 시이트(top sheet), 코아랩(corewrap), 수분집합분산층은 수분과 접촉하여 수분을 코아 펄프(core pulp)층으로 옮기는 흡수능력이 반드시 요구된다. 따라서, 강도와 부드러운 촉감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부직포를 앞에서 언급한 위생용품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직포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통상의 경우에는 친수 유제로 해결하지만 연속해서 수분을 흡수할 경우 친수성이 상실되어 위생용품의 흡수성을 가지는 부분에서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반복적으로 수분과 접촉하여도 친수성을 유지하는 성질, 즉 내구친수성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폴리올레핀계 섬유에 내구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특허문헌에 공지되어있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평8-311771호 공보에는 수용성 중합체를 물과 유기용매에 녹여 친수제(hydrophilizing agent)를 제조하고 섬유를 이 용액에 담근 후 건조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성이 떨어지며 유기 용매에 의한 환경 오염이 유발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다른 예로서, 미국특허 제5,456,982호는 펄프 층에 사용되는 단섬유(short cut fiber)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유화제(emulsifier), 계면활성제(surfactant), 세제(detergent) 등을 시스 앤드 코아 복합섬유의 시스 부분에 용융 브랜드(blend)하여 제품의 영구 친수성을 부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들이 대부분 저분자량의 물질이기 때문에 방사성을 떨어뜨리고 원하는 수준의 강도 및 신도를 가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19669호에서는 저융점 중합체 성분과 고융점 중합체 성분이 복합된 섬유로 저융점 중합체 성분에 내구 친수성 부여 성분을 함유시켜 제조하는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제조된 섬유를 제2차의 부직포 제조단계를 거쳐야 한다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강도와 부드러운 촉감을 가져 위생용품 재질로 우수한 특성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를 사용함에 있어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내구 친수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이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예의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구적인 친수성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제반 문제점이 없을 뿐만 아니라 건조공정 추가로 인한 불편한 작업성과 촉감이 나빠지는 현상을 개선하고 유기용제 특유의 냄새를 없애고, 폴리올레핀계 부직포가 갖는 강도, 부드러운 촉감을 모두 만족시키면서 기저귀로서 요구되는 친수성을 오래 유지시킬 수 있는 내구 친수성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섬유의 일부에만 친수성을 부여하여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친수형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는;
친수형 복합장섬유로 이루어진 웹을 적층하여 결합한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친수형 복합장섬유는 친수성 중합체가 소수성 중합체를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둘러싼 형태로 시스 앤드 코아형(sheath and core form)(일명 해도형; sea in island)의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친수형 복합장섬유가 방사형 웹(web)에 엠보싱형으로 결합ㆍ고정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소수성 및 친수성 중합체가 폴리올레핀 계 중합체, 폴리아미드계 중합체 및 이들의 브랜드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소수성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중합체는 친수성 발현 마스터배치가 중합체 중량대비 0.5중량 내지 10중량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스핀 빔과 방사 노즐 사이에 분배판을 게재시켜 코아(core)부에 소수성 중합체, 시스(sheath)부에 친수성 중합체를 노즐 홀 쪽으로 유도하여 시스 앤드 코아(sheath and core)형 장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방사된 복합장섬유를 다공질의 연속 벨트 상에 적층시켜 복합장섬유의 웹(web)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장섬유 웹을 부분적으로 열압착에 의한 엠보싱형으로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코아부의 소수성 중합체와 시스부의 친수성 중합체는 그 중량비가 80:20 내지 20:80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는 친수성 중합체가 소수성 중합체를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둘러싼 형태로 되어 우수한 내 구친수성을 보유하면서 위생재 등에 사용되기 위한 강도, 부드러운 촉감과 같은 제반 물성을 모두 만족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그 방법에 있어서, 에멀젼 등의 친수제 처리 후가공 공정으로 제조되어 섬유표면에 물리적으로만 결합된 친수성부직포 제조방법이 아닌 스핀 빔과 방사 노즐 사이에 분배판을 게재시켜 코아부와 시스부에 각각 소수성 중합체와 친수성 중합체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건조공정 추가로 인한 불편한 작업성이 없으며 촉감이 나빠지는 현상이 개선되고 유기용제 특유의 냄새를 없애고, 친수형 복합장섬유 부직포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고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로 구성된 웹을 엠보싱 결합시킨 친수형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로서, 본 발명의 친수형 복합장섬유는 두 종류이상의 성분 중합체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두 성분으로 구성된 친수형 복합장섬유 부직포에 대해서 설명한다.
두 성분의 중합체를 크게 분류하면, 소수성 중합체 및 친수성 중합체로 대별할 수 있으며, 복합 장섬유 부직포 제조에 사용되는 이종의 중합체는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폴리아미드계 및 이들의 브랜드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들이 유연하면서도 우수한 강도를 갖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상기한 특성을 보다 잘 나타내기 위해서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 9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 함유하는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필렌 중합체로서 상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를 단독 또는 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수형 복합장섬유 제조에 사용되는 친수성 중합체로는 상기의 동일 중합체에 친수성 발현 마스터배치 칩(Ciba Speciality Chemicals Inc.의 IRGASURFTM HL 560)을 함유시켜 선택되어 진다. 본 발명에서 친수형 복합장섬유의 소수성 중합체와 친수성 중합체의 구성비율은 섬유의 전체 중량 기준 80:20 내지 20:80이며, 바람직하기는 70:30 내지 30:70이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60:40 내지 40:60의 비율을 갖는 것이다. 소수성 중합체와 친수성 중합체의 구성비율이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면 내구친수성이 불량해지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에 친수성을 가지는 마스터배치 칩을 브랜드 함으로써 복합장섬유에 실질적으로 영구적인 친수성을 부여한다. 친수형 중합체는 장섬유의 다른 성분 중합체 보다 마스터배치칩의 함량이 중합체 함량의 2.0중량%에서 10중량%이며, 마스터배치의 함량이 섬유내 함량 대비 1.0중량%에서 5중량%까지 함유된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시스부분 중합체 성분 대비 2.0%중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원하는 친수성을 발현하지 못하며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사성이 불량하게 되고, 경제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원하는 물성을 발현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친수형 복합장섬유 부직포에 있어서 소수성 중합체 성분과 친수성 중합체의 성분으로는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특히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으로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기존의 설비에서는 섬유 형태가 다른 복합섬유를 생산하기 위해서 구금 노즐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섬유형태에 따라 분배판 4를 달리함으로써 용이하게 섬유의 형태를 그 단면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스 앤드 코아형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친수형 복합장섬유는 소수성 중합체와 친수성 중합체의 이성분 중합체를 용융하여 제조하는데, 상기 이성분 중합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익스트루더 1과 2에서 각각 용융된 중합체를 혼련시켜 제조된다. 용융된 이성분 중합체는 각각의 익스트루더 1 및 2에 스핀 빔 3으로 이송되고, 섬유형태가 시스 앤드 코아형이 제조가능한 분배판에서, 소수성 중합체 6과 친수성 중합체 7이 하부의 노즐 5로 각각 인도되며, 노즐 5의 홀을 통해 방사된다. 노즐 홀을 통과한 이성분 중합체는 필라멘트로 형성되어, 전형적으로 공기 흐름에 의해 급냉되어, 고 화된 다음 연신된다. 연신된 필라멘트는 다공질의 연속 벨트 상에 집적되어 웹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친수형 복합장섬유의 구조형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수성 중합체를 중심부로 하여 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친수성 중합체가 둘러싸서 된 시스 앤드 코아형(또는 해도형)으로 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합장섬유의 섬도는 5.0데니아(denier) 이하, 바람직하게는 3.0데니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데니아 이하이다. 그 이유는 이와 같은 섬도에서는 매우 유연하고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는 친수성 부직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친수형 복합장섬유로 형성된 웹은 임의의 적합한 엠보싱 형태의 결합방법에 의하여 결합시킨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결합방법은 결합 로울러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닙을 통해 웹의 일정 부위에 결합점을 형성케 하고, 이 결합점에 의하여 물리적 일체성과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게 된다. 친수형 복합장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는 약 5gsm 내지 50gsm, 바람직하게는 10gsm 내지 약 25gsm의 기초 중량을 갖는다. 친수형 복합 장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는 한 개의 부직포층 또는 한 개 이상의 추가 부직포 층으로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다음의 본 발명의 실시예 중 복합장섬유 부직포의 각종 특성의 측정 및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1) 방사성 : 30분동안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가 1회 이상 사절이 발생하는 생성물을 방사상태 불량으로 하였으며, 그 반대의 경우를 양호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2) 단위면적당 무게(중량:g/㎡) : ASTM D 3776-1985의 방법에 준해 측정하였다. 또한, 방사성이 불량한 샘플의 경우 중량 및 다른 물성측정을 하지 않고 N/A로 표시하였다.
(3) 인장강도 : 인스트론(Instron)사의 인장 강신도 측정 설비를 사용하여 ASTM D1682-64법에 의하여 시료폭 5cm, 시료장 7.5cm 의 시료편를 인장 속도 300 mm/min의 조건으로 측정한다.
(4) 인장신도 : 상기 (3)의 방법으로 측정한 최대 인장강력시의 신도를 측정한다.
(5) 흡수도: 리스터(Lister) 시험기를 이용하여 Edana 150.4-99법에 준하여 측정하였고, 측정된 흡수도를 아래와 같이 구분하였다.
(6) 내구흡수도: Edana 150.4-99법에 준하여 측정하고 동일시료에 3회에 걸쳐 부여된 용액의 각 회에서 흡수되어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초)를 측정하고, 3회째 측정된 데이터로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내구흡수도를 평가하였다.
3초 미만: 우수, 3 내지 4초: 양호, 4초 이상: 불량
실시예 1
코어와 시스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비율을 50:50으로 하고, 코아를 구성하는 중합체를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사용하였으며, 시스 부분은 마스터배치 칩이 블렌딩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사용하여 친수형 복합장섬유 방사형부직포를 기초 중량 15g/㎡로 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시스 내 마스터배치의 함량은 2.0중량%, 섬유 내 마스터배치의 함량은 1.0중량%로 하였다. 폴리프로필렌 칩은 익스트루더로 이송되기 전에 마스터배치 칩이 일정함유량씩 포함될 수 있는 믹싱 시스템으로 혼합한 후, 익스트루더에서 용융시키고, 균일한 혼련을 시키고, 스핀 펌프에서 일정한 양으로 스핀 빔에 공급하고, 스핀 빔 하부 분배판을 통하여 복합장섬유의 외피를 형성하도록 노즐 홀로 공급 방사하였다. 코아 부분을 형성하는 폴리프로필렌은 익스트루더에서 용융시키고, 스핀 펌프와 스핀 빔 및 분배판으로 유도되어 노즐 홀을 통하여 복합장섬유의 코아 부분이 되도록 방사한다. 친수형 복합장섬유로 방사된 필라멘트는 대략 20∼16℃의 온도를 갖는 공기 흐름에 의해 냉각 및 고화 시키고, 상부의 공기 흐름과 웹이 집적되는 다공질 벨트의 흡입 공기에 의해서 연신 및 이동되고, 부직포 웹이 적층하여 부직포를 형성한다. 이때 얻어지는 복합장섬유의 섬도는 약 2 데니아의 굵기를 갖는다. 형성된 웹은 열 엠보싱롤에 의해 열융착 결합됨으로서 형태안정성과 역학적 특성을 갖는 복합 장섬유 부직포 시트가 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친수형 복합장섬유 부직포의 제조과정 중 방사성과 부직포의 중량, 강도, 신도, 흡수도 및 내구흡수도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시스 내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5.0중량%, 섬유 내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2.5중량%로 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시스 내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10.0중량%, 섬유 내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5.0중량%로 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코어와 시스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비율을 70:30으로 하고, 시스 내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8.3중량%, 섬유 내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2.5중량%로 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코어와 시스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비율을 30:70으로 하고, 시스 내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3.6중량%, 섬유 내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2.5중량%로 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시스 내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1.0중량%, 섬유 내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0.5중 량%로 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시스 내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15.0중량%, 섬유 내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7.5중량%로 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표 1]
구분 중합체비율(%) 시스 내 마스터배치 함량(%) 섬유내 마스터배치 함량(%) 방사성 중량 강도 (kg/5cm) 신도 (%) 내구 흡수도 (s) 흡수도 (s)
코아 시스 (중량%) g/m2 MD CD MD CD
실시예1 50 50 2.0 1.0 양호 15 3.4 1.8 55 72 양호 양호
실시예2 50 50 5.0 2.5 양호 15 3.3 1.7 57 76 우수 우수
실시예3 50 50 10 5.0 양호 15 3.3 1.7 58 75 우수 우수
실시예4 70 30 8.3 2.5 양호 15 3.1 1.6 57 78 우수 우수
실시예5 30 70 3.6 2.5 양호 15 3.2 1.7 55 70 우수 우수
비교예1 50 50 1.0 0.5 양호 15 3.2 1.7 54 71 불량 불량
비교예2 50 50 15 7.5 불량 N/A N/A N/A N/A N/A N/A N/A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5에 의하여 제조된 복합장섬유 부직포는 본 발명에서 벗어나는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들과는 달리 위생재 등에 사용되기 위한 물성을 모두 만족시키면서 우수한 내구친수성을 보유하는 특성을 지님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 직포는 친수성 중합체가 소수성 중합체를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둘러싼 형태로 되어 우수한 내구친수성을 보유하면서 위생재 등에 사용되기 위한 강도, 부드러운 촉감과 같은 제반 물성을 모두 만족시키며, 본 발명의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건조공정 추가로 인한 불편한 작업성이 없으며 촉감이 나빠지는 현상이 개선되고 유기용제 특유의 냄새를 없애고, 친수형 복합장섬유 부직포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스핀 빔과 방사 노즐 사이에 분배판을 게재시켜 코아(core)부에 소수성 중합체, 시스(sheath)부에 친수성 발현 마스터배치를 중합체 중량대비 0.5중량 내지 10중량을 포함하는 친수성 중합체를 노즐 홀 쪽으로 유도하여 시스 앤드 코아(sheath and core)형 장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방사된 복합장섬유를 다공질의 연속 벨트상에 적층시켜 복합장섬유의 웹(web)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장섬유 웹을 부분적으로 열압착에 의한 엠보싱형으로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의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부의 소수성 중합체와 시스부의 친수성 중합체는 그 중량비가 80:20 내지 20:80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20060018133A 2006-02-24 2006-02-24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 및 이의제조 방법 KR100746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133A KR100746819B1 (ko) 2006-02-24 2006-02-24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 및 이의제조 방법
CNA2006101608698A CN101024911A (zh) 2006-02-24 2006-11-30 提高耐久亲水性的复合长纤维纺丝型无纺布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133A KR100746819B1 (ko) 2006-02-24 2006-02-24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 및 이의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819B1 true KR100746819B1 (ko) 2007-08-06

Family

ID=3860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133A KR100746819B1 (ko) 2006-02-24 2006-02-24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 및 이의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46819B1 (ko)
CN (1) CN10102491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750B1 (ko) * 2011-04-27 2013-03-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우수한 신축 회복성과 소프트한 촉감을 동시에 가지는 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39405A (ko) * 2012-09-21 2014-04-0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489594B1 (ko) * 2013-10-15 2015-02-0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볼륨감이 우수한 친수 장섬유 부직포
KR101975996B1 (ko) * 2017-11-21 2019-05-07 팸텍코스메틱주식회사 마스크팩용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96197B (zh) * 2016-03-22 2018-01-19 东华大学 一种c型核壳纳米纤维膜及其偏心轴静电纺丝制备方法
KR102294965B1 (ko) * 2019-10-14 2021-08-2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부직포용 세포무독성 친수성 개질 코팅제, 이를 포함하는 세포무독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5175A (en) 1996-06-14 1999-08-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urable hydrophilic coating for a porous hydrophobic polymer substrate
KR20050037376A (ko) * 2003-10-17 2005-04-21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마쉬넨파브릭 섬유 라미네이트 및 이 섬유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5175A (en) 1996-06-14 1999-08-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urable hydrophilic coating for a porous hydrophobic polymer substrate
KR20050037376A (ko) * 2003-10-17 2005-04-21 라이펜호이저 게엠베하 운트 코. 마쉬넨파브릭 섬유 라미네이트 및 이 섬유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750B1 (ko) * 2011-04-27 2013-03-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우수한 신축 회복성과 소프트한 촉감을 동시에 가지는 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39405A (ko) * 2012-09-21 2014-04-0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929327B1 (ko) * 2012-09-21 2018-12-1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1489594B1 (ko) * 2013-10-15 2015-02-0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볼륨감이 우수한 친수 장섬유 부직포
KR101975996B1 (ko) * 2017-11-21 2019-05-07 팸텍코스메틱주식회사 마스크팩용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24911A (zh)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1027B2 (ja) 繊維、不織布及びその用途
EP1264024B1 (en) Multicomponent apertured nonwoven
US6516472B2 (en) Nonwoven fabrics and fabric laminates from multiconstituent polyolefin fibers
KR100746819B1 (ko)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 및 이의제조 방법
KR101852243B1 (ko) 섬유, 부직포 및 그의 용도
KR20080099303A (ko) 부직포 적층체, 부직포 적층체를 이용한 투습성 부직포 적층 시트 및 그들을 이용한 위생 용품
WO2014086614A1 (en) Polypropylene fibers and fabrics
KR101483363B1 (ko) 소프트성 및 독특한 시각적 특징을 갖는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2011047098A (ja) 改善された特性を有する複合スパンボンド長繊維多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150728A1 (ja) 吸収体及び衛生用品
JP5127690B2 (ja) 繊維及び不織布
CA2298600A1 (en) Soft nonwoven fabric made by melt extrusion
KR101874707B1 (ko)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US20040043685A1 (en) Spunmelt hydrophilic nonwoven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KR100649073B1 (ko)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판본드 부직포 및 이의제조방법
KR102641112B1 (ko) 자가-크림프드(self-crimped) 다중 성분 섬유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29327B1 (ko)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040013756A (ko)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3495B1 (ko) 폴리올레핀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US20230149228A1 (en) Absorbent layers suitable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KR102110391B1 (ko) 부직포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101571995B1 (ko) 섬유, 부직포 및 그의 용도
JP2856949B2 (ja) 親水性繊維
KR20010019669A (ko) 내구 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섬유
KR20170074403A (ko) 전이 안정성이 우수한 친수성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