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9327B1 -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9327B1 KR101929327B1 KR1020120105057A KR20120105057A KR101929327B1 KR 101929327 B1 KR101929327 B1 KR 101929327B1 KR 1020120105057 A KR1020120105057 A KR 1020120105057A KR 20120105057 A KR20120105057 A KR 20120105057A KR 101929327 B1 KR101929327 B1 KR 1019293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nwoven fabric
- long
- crystalline polypropylene
- fiber
- l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ethylene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장섬유로 이루어진 웹을 적층하여 결합한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 과 폴리프로필렌(PP)에 의해, 시스 측이 코어 측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둘러싼 형태인 시스 앤드 코어형의 형태로 구성되고, 여기서, 코어 측은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의해 형성되고, 시스 측에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PP에 의해 구성되며, 이 시스 측은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 50 내지 90 중량%를 구성하며, PP는 10 내지 50 중량%이고, 또한 친수형 PP 칩을 함께 투여하고, 상기 복합 장섬유가 방사형 웹(web)에 엠보싱형으로 결합ㆍ고정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친수형 폴리프로필렌 칩을 포함하는 중합체가 특정한 구성의 중합체를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둘러싼 형태로 되어, 우수한 내구친수성을 보유하면서 위생재 등에 사용되기 위한 강도, 부드러운 촉감과 같은 제반 물성을 모두 만족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친수형 폴리프로필렌 칩을 포함하는 중합체가 특정한 구성의 중합체를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둘러싼 형태로 되어, 우수한 내구친수성을 보유하면서 위생재 등에 사용되기 위한 강도, 부드러운 촉감과 같은 제반 물성을 모두 만족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를 심초형으로 하고 이때 초성분과 심성분을 다른 구성 성분으로 그 비율을 조절함에 의해 부직포의 흡수성을 우수하게 하면서도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하게 되는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부직포는 그 적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특성이 요구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신축성 또는 소프트한 터치 감촉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으며, 흡수성 또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부직포는 일반적으로 위생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렇게 위생재로 사용되는 부직포의 경우는 통상적으로 우수한 흡수성과 더불어 신축성 및 부드러운 터치 감인 소프트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가 제안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0015364호는 "초성분으로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심성분으로서 고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심초형 필라멘트 복합섬유를 심사로 하고,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섬유를 초사로 하여 복합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를 개시하고, 이를 통해 제조되는 직물은 통상의 심초형 복합가공사로 제조된 직물에 비하여 형태안정성이 유지되면서도 촉감 및 드레이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고 기술하고 있다. 또한, 신축성 이외에 보온성, 흡수성, 건조성 및 건강기능성 등의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0121474호는 신축성을 부여한 폴리아미드계 섬유로 구성된 표면 및 기능성 물질을 첨가한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로 구성된 이면의 이중표면구조를 이루며,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섬유가 상기 폴리아미드계 섬유상에 파일을 형성하고 있는 다기능성 원단에 관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들에 의한 것의 가공사 또는 원단들은 부직포에 대한 것이 아니며 더욱이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을 함께 만족하고 있지는 않다.
한편, 부직포에 우수한 흡수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부직포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통상의 경우에는 친수 유제로 해결하지만 연속해서 수분을 흡수할 경우 친수성이 상실되어 위생용품의 흡수성을 가지는 부분에서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단점이 있고, 따라서, 반복적으로 수분과 접촉하여도 친수성을 유지하는 성질, 즉 내구친수성이 요구되고 있어, 종래 폴리올레핀계 섬유에 내구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평8-311771호 공보에는 수용성 중합체를 물과 유기용매에 녹여 친수제(hydrophilizing agent)를 제조하고 섬유를 이 용액에 담근 후 건조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방법은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성이 떨어지며 유기 용매에 의한 환경 오염이 유발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19669호에서는 저융점 중합체 성분과 고융점 중합체 성분이 복합된 섬유로 저융점 중합체 성분에 내구 친수성 부여 성분을 함유시켜 제조하는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제조된 섬유를 제2차의 부직포 제조단계를 거쳐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꾸준히 되고 있으나,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하면서 생산이 용이한 부직포에 대해서는 아직 만족할 만한 제안이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하면서 생산이 용이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예의 연구하여, 특정한 성분으로 구성되는 심초형 장섬유로부터 부직포를 제작하므로 종래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종래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여 생산 공정이 단순하며 양호한 생산성을 가질 뿐 아니라,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모두 우수한 부직포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우수한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을 갖는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장섬유로 이루어진 웹을 적층하여 결합한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 과 폴리프로필렌(PP)에 의해, 시스 측이 코어 측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둘러싼 형태인 시스 앤드 코어형(sheath and core form)의 형태로 구성되고, 여기서, 코어 측은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의해 형성되고, 시스 측에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PP에 의해 구성되며, 이 시스 측은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이 50 내지 90 중량%를 구성하며, PP는 10 내지 50 중량%이고, 또한 친수형 PP 칩을 함께 투여하고,
상기 복합 장섬유가 방사형 웹(web)에 엠보싱형으로 결합ㆍ고정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시차주사형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 -1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10℃/분으로 승온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 융해흡열 곡선의 가장 고온 측에서 관측되는 피크의 피크 탑으로서 정의되는 융점(Tm-D)이 80 내지 130℃,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220,000이며 입체 규칙성 지수가 50 내지 90몰%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PP 칩은 친수성 발현 마스터배치가 중량 대비 2.0% 내지 15%로 부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스핀 빔과 방사 노즐 사이에 분배판을 게재시켜 코어(core) 측은 저결정 폴리프로필렌만으로 되고, 시스(sheath) 측은 저결정 폴리프로필렌이 50% 이상 90% 이하 PP가 10% 이상 50% 이하로 된 중합체로 되며, 상기 PP는 친수형 PP 칩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노즐 홀 쪽으로 유도하여 시스 앤드 코어(sheath and core)형 장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방사된 장섬유를 다공질의 연속 벨트 상에 적층시켜 복합장섬유의 웹(web)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장섬유 웹을 부분적으로 열압착에 의한 엠보싱형으로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친수형 PP 칩은 친수성을 발현하는 마스터배치 칩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코어 측의 중합체와 시스 측의 중합체는 그 중량비가 80:20 내지 20:80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친수형 폴리프로필렌 칩을 포함하는 중합체가 특정한 구성의 중합체를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둘러싼 형태로 되어, 우수한 내구친수성을 보유하면서 위생재 등에 사용되기 위한 강도, 부드러운 촉감과 같은 제반 물성을 모두 만족시키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섬유 방사형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건조공정 추가로 인한 불편한 작업성이 없으며 촉감이 나빠지는 현상이 개선되고 유기용제 특유의 냄새를 없애고, 친수형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할 수 있는 이성분 방적 시스템의 개략적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상기한 구성의 심초형 필라멘트 웹을 엠보싱 결합시켜 제조한 장섬유 방사형 부직포로서, 본 발명의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두 종류 이상의 성분 중합체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두 성분으로 구성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에 대해서 설명한다.
두 성분의 중합체를 크게 분류하면, 코어 측을 형성하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시스 측을 형성하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 및 PP로 대별할 수 있으며, 장섬유 부직포 제조에 사용되는 상기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시차주사형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 -1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10℃/분으로 승온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 융해흡열 곡선의 가장 고온 측에서 관측되는 피크의 피크 탑으로서 정의되는 융점(Tm-D)이 0 내지 120℃이고,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220,000이며 입체 규칙성 지수가 50 내지 90몰%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코어 측에는 상기한 특성을 갖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만을 사용하고 시스 측에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PP를 일정비율로 사용하므로 부식포의 신축성과 함께 소프트한 특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시스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의 투여시 친수형 폴리프로필렌 칩을 함께 투입한다. 이렇게 하므로 부직포를 구성하는 웹에 친수성을 부여하여 부직포가 우수한 흡수성을 갖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상기한 특성을 보다 잘 나타내기 위해서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 9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 함유하는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코어 부와 시스 부의 구성비율은 섬유의 전체 중량 기준 80:20 내지 20:80이며, 바람직하기는 70:30 내지 30:70이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60:40 내지 40:60의 비율을 갖는 것이다. 코어 부와 시스 부의 구성비율이 상기의 범위를 벗어나면 흡수성과 신축성의 양자의 특성이 불량 해지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에 친수성을 가지는 마스터배치 칩을 브랜드 함으로써 장섬유 스펀본드의 흡수성을 영구적으로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친수성 중합체는 장섬유의 성분 대비 2.0 내지 15.0의 중량% 로 부가되어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친수성 중합체가 2.0 중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원하는 흡수성을 발현하지 못하며 15 중량 % 과하는 경우에는 방사성이 불량하게 되고, 경제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신축성이나 소프트 특성과 같은 기타 부직포의 원하는 물성을 발현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형성할 수 있는 이성분 방적 시스템의 개략적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사의 단면도이다.
기존의 설비에서는 섬유 형태가 다른 복합섬유를 생산하기 위해서 구금 노즐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섬유형태에 따라 분배판을 달리함으로써 용이하게 섬유의 형태를 시스 앤드 코어의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코어 부를 형성하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시스 부를 형성하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PP는 각각 별개의 익스트루더(1, 2)에서 각각 용융된 중합체를 혼련시켜 제조된다. 용융된 이성분 중합체는 각각의 익스트루더에 스핀 빔으로 이송되고, 섬유형태가 시스 앤드 코어형이 제조가능한 분배판(5)에서, 코어에서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시스에서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PP가 노즐(6, 7)로 각각 인도되며, 노즐의 홀을 통해 방사된다. 노즐 홀을 통과한 이성분 중합체는 필라멘트로 형성되어, 전형적으로 공기 흐름에 의해 급냉되어, 고화된 다음 연신된다. 연신된 필라멘트는 다공질의 연속 벨트 상에 집적되어 웹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구조형태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수성인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중심부로 하여 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친수성인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PP 중합체가 둘러싸서 된 시스 앤드 코어형(또는 해도형)으로 되어 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섬유의 섬도는 5.0데니아(denier) 이하, 바람직하게는 3.0데니아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데니아 이하로 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이와 같은 섬도에서는 매우 소프트하고 신축성이 우수하며 또한 우수한 흡수성의 부직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장섬유로 형성된 웹은 임의의 적합한 엠보싱 형태의 결합방법에 의하여 결합시킨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결합방법은 결합 로울러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닙을 통해 웹의 일정 부위에 결합점을 형성케 하고, 이 결합점에 의하여 물리적 일체성과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는 약 5gsm 내지 50gsm, 바람직하게는 8gsm 내지 약 25gsm의 기초 중량을 갖는다. 또한, 장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는 한 개의 부직포층 또는 한 개 이상의 추가 부직포 층으로 결합되어 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다음의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각종 특성의 측정 및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1) 흡수도: 리스터(Lister) 시험기를 이용하여 Edana 150.4-99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2) 신축성: 인스트롱(INSTRON) 시험기를 이용하여 Edana 20.2-89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3) 소프트성: 켄틸레버(Cantilever) 시험기를 이용하여 WSP 90.1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4) 방사성 : 30분동안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가 1회 이상 사절이 발생하는 생성물을 방사상태 불량으로 하였으며, 그 반대의 경우를 양호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실시예 1
코어와 시스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비율을 60:40으로 하고, 부직포의 구조형태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중심부로 하여 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저결정성 폴리프로펠렌과 PP 중합체가 둘러싸서 된 시스 앤드 코어형(또는 해도형)으로 하여 중량 15g/㎡로 제조하였다. 이때, 시스 내 친수성을 가지는 마스터배치의 함량은 2.0중량%로 하였으며, 폴리프로필렌 칩은 익스트루더로 이송되기 전에 마스터배치 칩이 일정함유량씩 포함될 수 있는 믹싱 시스템으로 혼합한 후, 익스트루더에서 용융시키고, 균일한 혼련을 시키고, 스핀 펌프에서 일정한 양으로 스핀 빔에 공급하고, 스핀 빔 하부 분배판을 통하여 복합장섬유의 외피를 형성하도록 노즐 홀로 공급 방사하였다. 코아 부분을 형성하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익스트루더에서 용융시키고, 스핀 펌프와 스핀 빔 및 분배판으로 유도되어 노즐 홀을 통하여 복합장섬유의 코아 부분이 되도록 방사한다. 친수형 복합장섬유로 방사된 필라멘트는 대략 약 18±2℃의 온도를 갖는 공기 흐름에 의해 냉각 및 고화시키고, 상부의 공기 흐름과 웹이 집적되는 다공질 벨트의 흡입 공기에 의해서 연신 및 이동되고, 부직포 웹이 적층하여 부직포를 형성하였다. 이때 얻어지는 복합장섬유의 섬도는 약 2 데니아의 굵기를 갖는다. 형성된 웹은 열 엠보싱롤에 의해 열융착 결합됨으로서 형태안정성과 역학적 특성을 갖는 복합 장섬유 부직포 시트가 제조되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과정 중 방사성과 부직포의 중량, 강도, 신도, 흡수도 및 내구흡수도를 측정하여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시스 내 친수성을 가지는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5.0중량%로 하며 그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시스 내 친수성을 가지는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15.0중량%로 하며 그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코어와 시스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비율을 80:20으로 하고, 시스 내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2.0중량% 로 하며 그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코어와 시스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비율을 80:20으로 하고, 시스 내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15.0중량%로 하며 그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코어와 시스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비율을 60:40으로 하고, 시스 내 친수성을 가지는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1.0중량%로 하며 그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코어와 시스를 구성하는 중합체의 비율을 60:40으로 하고, 시스 내 친수성을 가지는 마스터배치의 함량을 20.0중량%로 하며 그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구분 | Sheath/ Core | 친수 M/B | 방사성 | 중량 | 강도 | 강연도 | 친수 | 내구친수 | |||
(比) | % | g/㎡ | MD | CD | MD | CD | |||||
실시예1 | 60 | 40 | 2.0 | 양호 | 15 | 3.4 | 1.8 | 40 | 36 | 양호 | 양호 |
실시예2 | 60 | 40 | 5.0 | 양호 | 15 | 3.3 | 1.7 | 37 | 34 | 우수 | 우수 |
실시예3 | 60 | 40 | 15.0 | 양호 | 15 | 3.3 | 1.7 | 38 | 35 | 우수 | 우수 |
실시예4 | 80 | 20 | 2.0 | 양호 | 15 | 3.1 | 1.6 | 36 | 32 | 우수 | 우수 |
실시예5 | 80 | 20 | 15.0 | 양호 | 15 | 3.2 | 1.7 | 38 | 36 | 우수 | 우수 |
비교예1 | 60 | 40 | 1.0 | 양호 | 15 | 3.2 | 1.7 | 37 | 35 | 불량 | 불량 |
비교예2 | 60 | 40 | 20.0 | 불량 | N/A | N/A | N/A | N/A | N/A | N/A | N/A |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5에 의하여 제조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본 발명에서 벗어나는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들과는 달리 방사성이 양호하면서도 위생재 등에 사용되기 위한 물성을 모두 만족시키면서 우수한 내구친수성을 보유하는 특성을 지님을 알 수 있다.
1, 2 --- 익스트루더
5 --- 분배판
6, 7 --- 노즐
5 --- 분배판
6, 7 --- 노즐
Claims (5)
- 삭제
- 삭제
- 삭제
- 폴리프로필렌을 용융하여 시스측이 코어측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둘러싼 시스 앤드 코어형의 형태로 방사하고, 필라멘트를 형성시킨 후 공기로 냉각 및 연신시켜 필라멘트를 연속으로 구동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열압착하여 웹을 형성하게 되는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어측은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시스측은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PP가 50~90 : 10~50 의 중량%로 혼합 구성되어지되, 상기 혼합되어진 시스측 전체에 대해 친수성 PP칩이 2~15 중량% 함께 투여되고, 시스 앤드 코어형의 형태로 방사된 복합 장섬유는 방사형 웹에 엠보싱형으로 결합, 고정되어 형성되며,
상기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시차주사형 열량계(DSC)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 -10℃에서 5분간 유지한 후 10℃/분으로 승온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 융해흡열 곡선의 가장 고온 측에서 관측되는 피크의 피크 탑으로서 정의되는 융점(Tm-D)이 80 내지 130℃,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220,000이고 입체 규칙성 지수가 50 내지 90몰%이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칩은 익스트루더로 이송되기 전에 마스터배치 칩이 일정함유량씩 포함될 수 있는 믹싱 시스템으로 혼합한 후 익스트루더에서 용융시키고, 균일한 혼련을 시키며, 스핀 펌프에서 일정한 양으로 스핀 빔에 공급하고, 스핀 빔 하부 분배판을 통하여 복합 장섬유의 외피를 형성하도록 노즐 홀로 공급 방사하며, 코아 부분을 형성하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은 익스트루더에서 용융시키고, 스핀 펌프와 스핀 빔 및 분배판으로 유도되어 노즐 홀을 통하여 복합 장섬유의 코아 부분이 되도록 방사하되, 이때 복합 장섬유의 섬도는 5.0 데니어 이하이고 웹을 형성한 부직포는 5~50 gsm 의 중량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장섬유로 방사된 필라멘트는 18±2℃의 온도를 갖는 공기 흐름에 의해 냉각 및 고화시키고, 상부의 공기 흐름과 웹이 집적되는 다공질 벨트의 흡입 공기에 의해서 연신 및 이동되고, 부직포 웹이 적층하여 부직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5057A KR101929327B1 (ko) | 2012-09-21 | 2012-09-21 |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5057A KR101929327B1 (ko) | 2012-09-21 | 2012-09-21 |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9405A KR20140039405A (ko) | 2014-04-02 |
KR101929327B1 true KR101929327B1 (ko) | 2018-12-17 |
Family
ID=5065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5057A KR101929327B1 (ko) | 2012-09-21 | 2012-09-21 |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932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3248B1 (ko) * | 2020-09-24 | 2022-09-15 | 주식회사 휴비스 | 복합섬유로 구성된 스펀본드 부직포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6819B1 (ko) * | 2006-02-24 | 2007-08-06 |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 및 이의제조 방법 |
WO2010018789A1 (ja) * | 2008-08-12 | 2010-02-18 | 出光興産株式会社 | ポリプロピレン弾性繊維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プロピレン系弾性繊維 |
JP2011179135A (ja) | 2010-03-01 | 2011-09-15 | Idemitsu Kosan Co Ltd | 弾性不織布及び繊維製品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161360B1 (en) * | 2007-06-26 | 2014-01-15 | Idemitsu Kosan Co., Ltd. | Elastic nonwoven fabric,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textile product comprising the elastic nonwoven fabric |
-
2012
- 2012-09-21 KR KR1020120105057A patent/KR10192932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6819B1 (ko) * | 2006-02-24 | 2007-08-06 |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 및 이의제조 방법 |
WO2010018789A1 (ja) * | 2008-08-12 | 2010-02-18 | 出光興産株式会社 | ポリプロピレン弾性繊維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プロピレン系弾性繊維 |
JP2011179135A (ja) | 2010-03-01 | 2011-09-15 | Idemitsu Kosan Co Ltd | 弾性不織布及び繊維製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9405A (ko) | 2014-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264024B1 (en) | Multicomponent apertured nonwoven | |
KR101349262B1 (ko) | 탄성력 및 결집력이 향상된 멜트블로운 섬유웹 및 그 제조방법 | |
US9694558B2 (en) | Multilayer nonwoven fabric for foam molding, method of producing multilayer nonwoven fabric for foam molding, urethane-foam molded complex using multilayer nonwoven fabric, vehicle seat, and chair | |
KR101212426B1 (ko) |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483363B1 (ko) | 소프트성 및 독특한 시각적 특징을 갖는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31960B1 (ko) | 폴리락트산의 복합방사를 통한 친환경성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 |
EP3555353B1 (en) | Hydraulically treated nonwoven fabric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JP2011017104A (ja) | 繊維構造体および繊維製品 | |
JP2002242069A (ja) | 混合繊維からなる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不織布からなる積層体 | |
CA2298600A1 (en) | Soft nonwoven fabric made by melt extrusion | |
KR20100129987A (ko) |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스펀본드 니들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
KR100746819B1 (ko) |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 및 이의제조 방법 | |
JP2010150674A (ja) | 繊維及び不織布 | |
KR101874742B1 (ko) | 투과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제조방법 | |
KR101837204B1 (ko) | 우수한 벌키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방사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29327B1 (ko) |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 |
KR102641112B1 (ko) | 자가-크림프드(self-crimped) 다중 성분 섬유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802130B1 (ko) | 폴리에스테르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 |
KR20120033771A (ko) | 심초형 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36283B1 (ko) | 멜트블로운 섬유웹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100018B1 (ko) | 섬유 세제 시트용 장섬유 복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
JP5619467B2 (ja) | 潜在凹凸型鞘芯複合繊維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不織布 | |
KR100579438B1 (ko) | 복합방사 다층구조 스판본드 부직포 | |
KR101805386B1 (ko) | 거친 표면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의 제조방법 | |
KR101788705B1 (ko) | 벌크성이 우수한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