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391B1 - 부직포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 Google Patents

부직포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0391B1
KR102110391B1 KR1020180093352A KR20180093352A KR102110391B1 KR 102110391 B1 KR102110391 B1 KR 102110391B1 KR 1020180093352 A KR1020180093352 A KR 1020180093352A KR 20180093352 A KR20180093352 A KR 20180093352A KR 102110391 B1 KR102110391 B1 KR 102110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philic
layer
nonwoven fabric
laminate
hydrophilic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864A (ko
Inventor
김주희
서영석
김대희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3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3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8Hydrophi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Abstract

부직포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이 개시된다. 개시된 부직포 적층체는 친수성 부직포층 및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상에 배치된 비친수성 부직포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직포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Laminated Non-woven fabric and article including the same}
부직포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친수성 부직포층 및 비친수성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이 개시된다.
종래의 폴리프로필렌계 스펀본드 부직포는 강한 소수성을 갖기 때문에 친수성을 요구하는 산업용 부직포 및 위생용품으로서의 용도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코팅방식으로 부직포에 도포하기도 하지만, 기존의 코팅 타입의 친수성 표면처리 부직포는 건조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딱딱하고 촉감이 좋지 않아 피부에 닿는 면에 사용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었고, 액체가 흡수된 이후 피부로 다시 흘러나오는 재젖음성이 커서 감촉이 좋지 않았다.
또한, 계면활성제를 코팅방식으로 부직포에 도포하게 되면 부직포층 전체에 도포되게 되므로 부직포층 전체가 친수성을 갖게 되어 친수 성능에 맞는 레이어 설계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3-0061403호는 "폴리올레핀 및 R1(OCH2CH2)xOH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한 개 이상을 포함하는 용융 블렌드를 포함하는 습윤성 폴리올레핀 섬유 또는 필라멘트"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폴리올레핀에 상기 용융 블렌드를 첨가할 경우에는 재젖음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6-188804호는 친수성부와 소수성부를 가지는 성형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소수성 열가소성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폴리에틸렌글리콜로 구성되는 친수성 블록과 폴리메틸렌으로 구성되는 소수성 블록을 가지는 공중합체 0.01 질량부 이상을 가열 용융 혼합한 조성물을 성형해서 이루어지는 친수성 성형체의 친수성이 불필요한 부분을 친수성을 잃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성부와 소수성부를 가지는 성형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친수성부와 소수성부를 가지는 성형체의 경우에는 친수성이 불필요한 부분을 친수성을 잃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해야 하므로 후가공 공정이 포함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하게 되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친수성 부직포층 및 비친수성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친수성 부직포층; 및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상에 배치된 비친수성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를 제공한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은 이의 총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90~99중량부 및 친수제 1~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은 이의 총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70~95중량부 및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5~3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틸렌 삼원중합체 또는 이들을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에서 에틸렌 단위 성분의 함량은 5~30몰%이고, 상기 프로필렌-에틸렌-부틸렌 삼원중합체에서 에틸렌 단위 성분의 함량이 부틸렌 단위 성분의 함량 보다 크되 에틸렌 단위 성분 및 부틸렌 단위 성분의 총 함량은 5~30몰%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 대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의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1:9 내지 5:5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 및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은 각각 스펀본드 부직포층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 및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 사이에 배치된 추가 부직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은 마찰계수가 0.1~0.5이고,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은 마찰계수가 0.4 이상 0.8 미만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기계방향 강연도 및 가로방향 강연도가 각각 20~70mm이고, 핸들 오 미터의 측정값이 3~8g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액체의 흡수 속도가 1~30초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재젖음성이 1~3g일 수 있다.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에는 두께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은 엠보싱부 및 비엠보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상기 물품은 기저귀, 흡수용품, 배변용품, 여성 위생용 패드류, 수유용 패드류, 성인용 요실금 흡수 집합체의 코어 랩(Core wrap), 지지층(Support layer), 탑시트(Top sheet), 농업용 자재, 생활용 자재 또는 하우스랩 제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는 액체의 재젖음성이 낮고 촉감이 양호한 잇점을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친수성 부직포층"이란 물을 투과시키되 흡수하지는 않는 부직포층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비친수성 부직포층"이란 물 또는 염화나트륨 수용액과 같은 액체를 투과시키지도 흡수하지도 않는 부직포층을 의미한다. 다만, 상기 비친수성 부칙포층에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비친수성 부칙포층은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을 통해 물 또는 염화나트륨 수용액과 같은 액체를 투과시키되 이를 흡수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는 친수성 부직포층 및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상에 배치된 비친수성 부직포층을 포함한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은 이의 총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90~99중량부 및 친수제 1~10중량부(예를 들어, 3~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 중 상기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함량 및 상기 친수제의 함량이 각각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의 마찰계수 및 재젖음성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이 140~180℃이고,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되는 용융지수(MFR: 측정 온도 230℃, 하중 2.16 kg)가 20~100g/10분일 수 있다.
상기 친수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평균분자량이 300~5,000, 예를 들어, 500~3,000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에틸렌글리콜,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에톡시설페이트, 에톡실화 아민, 지방산 아미드,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롤 모노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모노 라우레이트,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 아민옥사이드, 술폭시드, 포스핀 옥사이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아미드, 지방산 알킬올아미드, 알킬알칸올아미드, 아세틸렌글리콜, 아세틸렌글리콜의 옥시에틸렌 부가물,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아세테이트, 트리메틸테트라데실암모늄클로라이드,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트리메틸옥타데실암모늄클로라이드, (도데실메틸벤질)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벤질도데실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메틸도데실디(히드로폴리옥시에틸렌)암모늄클로라이드, 벤질도데실디(히드로폴리옥시에틸렌)암모늄클로라이드, N-[2-(디에틸아미노)에틸]올레아미드염산염, 디알킬(환원 우지)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트리에탄올아민, 코코일사르코신나트륨, N-코코일메틸타우린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야자 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디에테르헥실술포숙신산나트륨, α-올레핀술폰산나트륨, 라우릴인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인산나트륨, 퍼플루오로알킬카르복실산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베타인, 스테아릴베타인, 라우릴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륨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지방산 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제는 상기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혼합된 후, 용융방사(melt spinning) 공정을 거침으로써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은 이의 총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70~95중량부 및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5~3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 중 상기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함량 및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각각 상기 범위이내이면, 강연도 및 핸들 오 미터의 값이 적당하여 롤로 감고 컷팅하는 등의 작업성이 우수한 부직포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이 140~180℃이고,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되는 용융지수(MFR: 측정 온도 230℃, 하중 2.16 kg)가 20~100g/10분일 수 있다.
상기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상기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와 동일한 것일 수도 있고, 상이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이 40~180℃이고,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되는 용융지수(MFR: 측정 온도 230℃, 하중 2.16 kg)가 10~100g/10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융점"은 1개 또는 1~3개의 여러 개의 피크일 수 있다.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은 두번째 피크를 사용한다. 첫번째 피크는 시료의 이물 제거를 위하여 100℃까지 온도를 올린 다음 상온(25℃)으로 내리는 과정에서 나타나고, 두번째 피크는 시료의 열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분당 10℃씩 300℃까지 승온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틸렌 삼원중합체 또는 이들을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에서 에틸렌 단위 성분의 함량은 5~30몰%일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에서 에틸렌 단위 성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은 우수한 벌키성 및 양호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부틸렌 삼원중합체에서 에틸렌 단위 성분의 함량이 부틸렌 단위 성분의 함량 보다 크되, 에틸렌 단위 성분 및 부틸렌 단위 성분의 총 함량은 5~30몰%일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부틸렌 삼원중합체에서 에틸렌 단위 성분 및 부틸렌 단위 성분의 총 함량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은 우수한 벌키성 및 양호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 대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의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1:9 내지 5:5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 대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의 비율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액체의 투과성이 우수하고, 재젖음성이 낮으며, 촉감이 양호한 잇점을 갖는 부직포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 및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은 각각 스펀본드 부직포층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친수성 스펀본드 부직포층/비친수성 스펀본드 부직포층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 및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 사이에 배치된 추가 부직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친수성 스펀본드 부직포층/추가 부직포층/비친수성 스펀본드 부직포층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가 부직포층은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은 KSM ISO 8295에 따라 측정된 마찰계수(tanθ)가 0.1~0.5이고,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은 마찰계수(tanθ)가 0.4 이상 0.8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의 마찰계수가 상기 범위이내이면 촉감이 양호한 부직포 적층체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의 마찰계수가 상기 범위이내이면 다른 층 또는 필름과의 부착력이 우수한 부직포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WSP(Worldwide Strategic Partners) 90.1(09)(Standard Test Method for Stiffness of Nonwoven Fabrics Using the Cantilever Test)에 따라 측정된 기계방향 강연도 및 가로방향 강연도가 각각 20~70mm이고, WSP 90.3(09)(Standard Test Method for Handle-O-Meter Stiffness of Nonwoven Fabrics)에 따라 측정된 핸들 오 미터의 측정값이 3~8g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WSP 70.3(08)(Standard Test Method for Nonwoven Coverstock Liquid Strike-Through Time Using Simulated Urine)에 따라 측정된 액체(구체적으로, 0.9중량% NaCl 수용액)의 흡수 속도가 1~30초, 예를 들어, 4~20초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WSP 70.8(09)(Standard Test Method for Wetback After Repeated Strike-Through Time)에 따라 측정된 액체(구체적으로, 0.9중량% NaCl 수용액)의 재젖음성이 1~3g일 수 있다.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에는 두께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을 투과한 액체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을 통해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은 엠보싱부 및 비엠보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10)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부직포 적층체(10)는 친수성 부직포층(11) 및 비친수성 부직포층(12)을 포함한다.
친수성 부직포층(11)은 물 또는 염화나트륨 수용액과 같은 액체를 투과시키되 이를 흡수하지는 않는 성질을 갖는다.
비친수성 부직포층(12)은 물 또는 염화나트륨 수용액과 같은 액체를 투과시키지도 않고 이를 흡수하지도 않는 성질을 갖는다.
부직포 적층체(10)는 그 상태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고, 비친수성 부직포층(12)에 두께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공정을 거친 후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20)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부직포 적층체(20)는 친수성 부직포층(21) 및 비친수성 부직포층(22)을 포함한다.
친수성 부직포층(21)은 물 또는 염화나트륨 수용액과 같은 액체를 투과시키되 이를 흡수하지는 않는 성질을 갖는다.
비친수성 부직포층(22)은 복수개의 관통홀(h)을 제외한 부분이 물 또는 염화나트륨 수용액과 같은 액체를 투과시키지도 않고 이를 흡수하지도 않는 성질을 갖는다.
비친수성 부직포층(22)에는 두께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홀(h)이 형성되어 있다.
친수성 부직포층(21)을 투과한 액체는 비친수성 부직포층(22)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관통홀(h)을 통해 비친수성 부직포층(22)을 통과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한다.
상기 물품은 기저귀, 흡수용품, 배변용품, 여성 위생용 패드류, 수유용 패드류, 성인용 요실금 흡수 집합체의 코어 랩(Core wrap), 지지층(Support layer), 탑시트(Top sheet), 농업용 자재, 생활용 자재 또는 하우스랩 제품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
원료를 계량하는 도싱(Dosing)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료 혼합물을 익스트루더(Extruder)로 전달하여 원료 혼합물을 용융방사하여 필라멘트를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필라멘트를 벌집 모양의 챔버를 통하여 분사되는 냉각공기와 접촉시켜 고화시킨 후, 컨베이어벨트 상부에서 불어주는 공기와 컨베이어벨트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신하고, 컨베이어벨트 상에 적층하여 웹을 형성한 후, 열적 본딩을 하여 친수성 부직포층 및 비친수성 부직포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 대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의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1:2이었다. 이후,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 및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을 적층하여 부직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에서 사용된 각 층을 형성하는 원료 혼합물의 종류 및 함량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각각의 부직포의 단위 면적당 중량은 20g/m2이었다.
친수성 부직포층 비친수성 부직포층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1(중량부) 친수제*2 (중량부)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3 (중량부) 프로필렌 공중합체*4
(중량부)
실시예 1 99 3 80 20
실시예 2 90 10 80 20
실시예 3 94 6 80 20
실시예 4 94 6 70 30
실시예 5 94 6 95 5
비교예 1 100 0 80 20
비교예 2 85 15 80 20
비교예 3 94 6 100 0
비교예 4 94 6 65 35
*1: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이 140~180℃이고,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되는 용융지수(MFR: 측정 온도 230℃, 하중 2.16 kg)가 20~100g/10분이다.
*2: 친수제는 에틸렌글리콜이다.
*3: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이 140~180℃이고,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되는 용융지수(MFR: 측정 온도 230℃, 하중 2.16 kg)가 20~100g/10분이다.
*4: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단위 성분의 함량이 9몰%인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로서,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되는 융점이 40~180℃이고, ASTM D1238에 따라 측정되는 용융지수(MFR: 측정 온도 230℃, 하중 2.16 kg)가 10~100g/10분이다.
평가예
상기 실시예 1~5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각각의 부직포 적층체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예 1: 액체의 흡수 속도(스트라이크 쓰루, Strike through)의 평가
상기 각 부직포 적층체를 10㎝ x 10㎝의 크기로 절단하여 측정 시료를 준비하였다. 이후, WSP 70.3(08)(Standard Test Method for Nonwoven Coverstock Liquid Strike-Through Time Using Simulated Urine)에 따라 상기 측정 시료의 흡수 속도(구체적으로, 친수성 부직포층의 흡수 속도)를 측정하였다. 동종의 측정 시료에 대하여 10회씩 흡수 속도를 측정한 후, 그 평균값을 최종 흡수 속도로 기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 시료를 흡수지 위에 올려 놓은 후, 상기 흡수지를 통해 0.9중량% NaCl 수용액 5ml를 모두 흡수하는 시간을 흡수 속도로 평가하였다.
평가예 2: 재젖음성(리?, Re-wet)의 평가
상기 평가예 1에 따라 액체의 흡수 속도를 평가한 측정 시료를 이용하여 WSP 70.8(09)(Standard Test Method for Wetback After Repeated Strike-Through Time)에 따라 상기 측정 시료의 재젖음성(구체적으로, 친수성 부직포층의 재젖음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가예 1에 따라 액체의 흡수 속도를 평가한 측정 시료를 새로운 흡수지 위에 올려 놓은 후, 0.9중량% NaCl 수용액 20ml를 상기 흡수지에 넣고, 상기 측정 시료에 5kg의 하중을 가한 후 상기 측정 시료로 역으로 재흡수되는 액체량을 측정하여 재젖음성으로 기록하였다.
평가예 3: 마찰계수(Coefficients of friction)의 평가
상기 각 부직포 적층체를 절단하여 측정 시료를 준비하였다. 이후, 상기 측정 시료의 마찰계수를 KSM ISO 8295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 시료의 크기는 마찰자용 측정 시료는 15cm x 30cm이었고, 플레이트용 측정 시료는 60cm x 100cm이었다. 동종의 측정 시료에 대하여 10회씩 마찰계수를 측정한 후, 그 평균값을 최종 마찰계수로 기록하였다. 마찰자가 놓여진 플레이트를 1초당 2.7°의 속도로 상승시켜 마찰자가 미끄러져 구동을 멈출 때까지의 각도를 구하였다. 상기 마찰계수는 탄젠트 각도(Tanθ)이었다.
평가예 4: 강연도(Stiffness)의 평가
상기 각 부직포 적층체의 기계방향 강연도 및 가로방향 강연도를 WSP 90.1(09)(Standard Test Method for Stiffness of Nonwoven Fabrics Using the Cantilever Test)에 따라 측정하였다.
평가예 5: 핸들 오 미터(Handle O Meter)의 측정값 평가
상기 각 부직포 적층체의 핸들 오 미터의 측정값을 WSP 90.3(09)(Standard Test Method for Handle-O-Meter Stiffness of Nonwoven Fabrics)에 따라 측정하였다. 핸들 오 미터의 측정값은 유연성의 지표이다.
마찰계수(tanθ) 흡수
속도
(sec)
재젖음성
(g)
강연도
(mm)
핸들 오 미터의 측정값(g)
친수성
부직포층
비친수성 부직포층 기계
방향
가로
방향
실시예 1 0.37 0.66 11 1.1 54 44 5.8
실시예 2 0.27 0.67 7 2.8 42 37 6.0
실시예 3 0.30 0.67 11 1.6 54 43 5.7
실시예 4 0.32 0.62 12 1.5 53 44 3.5
실시예 5 0.31 0.70 11 1.6 53 43 8.0
비교예 1 0.72 0.66 측정불가 측정
불가
82 75 5.7
비교예 2 0.25 0.65 6 4.0 40 35 5.8
비교예 3 0.31 0.85 12 1.5 77 71 9.1
비교예 4 0.32 0.60 11 1.5 19 15 2.0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5에서 제조된 부직포 적층체는 친수성층의 마찰계수(0.1~0.5), 비친수성층의 마찰계수(0.4 이상 0.8 미만), 흡수 속도(1~30초), 재젖음성(1~3g), 강연도(20~70mm) 및 핸들 오 미터(3~8g)의 측정값이 모두 적정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부직포 적층체는 친수성 부직포층이 친수제를 함유하지 않아 실제로는 친수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친수성 부직포 층의 마찰계수가 높고, 흡수 속도 및 재젖음성은 측정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2에서 제조된 부직포 적층체는 친수성 부직포층에서 친수제의 첨가량이 과다하여 흡수 속도는 빠르나 재젖음성은 열악한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3에서 제조된 부직포 적층체는 비친수성 부직포층에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첨가되지 않아 강연도 및 핸들 오 미터의 측정값이 모두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4에서 제조된 부직포 적층체는 비친수성 부직포층에서 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첨가량이 과다하여 강연도 및 핸들 오 미터의 값이 너무 낮아져 부직포 적층체를 롤로 감고 컷팅하기 어려운 작업상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본 발명은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20: 부직포 적층체 11, 21: 친수성 부직포층
12, 22: 비친수성 부직포층 h: 관통홀

Claims (17)

  1. 친수성 부직포층; 및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상에 배치된 비친수성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은 이의 총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2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70~95중량부 및 프로필렌계 공중합체 5~30중량부를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은 이의 총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제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90~99중량부 및 친수제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틸렌 삼원중합체 또는 이들을 조합을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에서 에틸렌 단위 성분의 함량은 5~30몰%이고, 상기 프로필렌-에틸렌-부틸렌 삼원중합체에서 에틸렌 단위 성분의 함량이 부틸렌 단위 성분의 함량 보다 크되 에틸렌 단위 성분 및 부틸렌 단위 성분의 총 함량은 5~30몰%인 부직포 적층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 대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의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1:9 내지 5:5인 부직포 적층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 및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은 각각 스펀본드 부직포층인 부직포 적층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 및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 사이에 배치된 추가 부직포층을 더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부직포층은 마찰계수가 0.1~0.5이고,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은 마찰계수가 0.4 이상 0.8 미만인 부직포 적층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기계방향 강연도 및 가로방향 강연도가 각각 20~70mm이고, 핸들 오 미터의 측정값이 3~8g인 부직포 적층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액체의 흡수 속도가 1~30초인 부직포 적층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적층체는 재젖음성이 1~3g인 부직포 적층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에는 두께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부직포 적층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친수성 부직포층은 엠보싱부 및 비엠보싱부를 포함하는 부직포 적층체.
  1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직포 적층체를 포함하는 물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기저귀, 흡수용품, 배변용품, 여성 위생용 패드류, 수유용 패드류, 성인용 요실금 흡수 집합체의 코어 랩(Core wrap), 지지층(Support layer), 탑시트(Top sheet), 농업용 자재, 생활용 자재 또는 하우스랩 제품인 물품.
KR1020180093352A 2018-08-09 2018-08-09 부직포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102110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352A KR102110391B1 (ko) 2018-08-09 2018-08-09 부직포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352A KR102110391B1 (ko) 2018-08-09 2018-08-09 부직포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864A KR20200017864A (ko) 2020-02-19
KR102110391B1 true KR102110391B1 (ko) 2020-05-13

Family

ID=6967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352A KR102110391B1 (ko) 2018-08-09 2018-08-09 부직포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039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728A1 (ja) * 2016-03-04 2017-09-08 三井化学株式会社 吸収体及び衛生用品
JP2017528612A (ja) * 2014-09-10 2017-09-2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不織布ウェブ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0350A1 (en) * 2008-11-03 2012-04-26 Upc Ltd. Top sheet for disposable diaper and sanitary pad with improved skin friendline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8612A (ja) * 2014-09-10 2017-09-28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不織布ウェブ
WO2017150728A1 (ja) * 2016-03-04 2017-09-08 三井化学株式会社 吸収体及び衛生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864A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887B1 (ko) 2성분 단일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통기성의 신장성 필름
EP2916792B1 (en) Article(s) with soft nonwoven web
EP2916789B1 (en) Article (s) with soft nonwoven web
KR100776878B1 (ko) 다층 부직포 및 그의 용도
EP2916788B1 (en) Article(s) with soft nonwoven web
KR100753313B1 (ko) 소량의 횡방향 신장에 의해 유발된 높은 통기성을 갖는 필름
EP3456301B1 (en) Fiber, nonwoven fabric and uses thereof
KR20030017538A (ko) 부직포 적층체 및 그의 용도
EP2916790B1 (en) Nonwoven webs exhibiting improved tactile and mechanical properties
KR100746819B1 (ko) 내구친수성이 향상된 복합장섬유 방사형 부직포 및 이의제조 방법
KR101629626B1 (ko) 부직포 적층체 및 위생 재료
KR102110391B1 (ko) 부직포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KR20180056892A (ko)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1577484B1 (ko) 구역을 갖는 탄성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64544B1 (ko) 입체 형상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US20230149228A1 (en) Absorbent layers suitable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CZ2012761A3 (cs) Netkaná textilie se zlepšeným omakem a mechanickými vlastnostm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