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754B1 -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754B1
KR100746754B1 KR1020060022417A KR20060022417A KR100746754B1 KR 100746754 B1 KR100746754 B1 KR 100746754B1 KR 1020060022417 A KR1020060022417 A KR 1020060022417A KR 20060022417 A KR20060022417 A KR 20060022417A KR 100746754 B1 KR100746754 B1 KR 100746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waste
sludge
driv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주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주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주기공
Priority to KR1020060022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되는 강판에 부착된 이물질이 분리될 수 있도록 강판에 세척수가 접촉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세척장치와, 세척장치에서 배출되는 폐세척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한 세척수를 세척장치에 다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원심분리기를 구비하고, 원심분리기는 메인 하우징 내에 수평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며 내부 공간내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폐세척수로부터 분리된 슬러지와 세척수를 각각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구와, 세척수 배출구가 형성된 회전 용기와, 회전용기의 내부공간 내에 회전용기에 대해 상대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되 몸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나선형 블레이드가 형성되어 있고, 메인 하우징 외부에서 메인 하우징 내로 연장된 폐세척수 주입관으로부터 폐세척수를 유입받아 회전용기 내로 분출할 수 있도록 폐세척수 주입관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분출로가 몸통부에 형성된 스크류와, 회전용기를 회전구동시키되, 스크류를 회전용기에 대해 상대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구동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에 의하면, 원심분리과정에서의 분리된 슬러지에 의한 과부하를 억제시킬 수 있고, 회전용기와 스크류와의 차속제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폐세척수로부터 슬러지의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cleaning water refin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원심분리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부분 절단 단면도이고,
도 3은 스크류와 회전용기의 차동 회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발췌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의 제어 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세척장치 120a, 120b: 원심분리기
123: 메인 하우징 125: 회전용기
127: 스크류 129: 폐세척수 주입관
131: 메인모터 132: 제어모터
134: 제1구동하우징 138: 제2구동하우징
141: 제1유성기어 142: 제2유성기어
143: 제3유성기어 144: 제4유성기어
본 발명은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강판의 제조공정에서 강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공급되는 세척수에 혼입된 슬러지를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된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 강판은 압연기를 이용하여 일정 두께로 압연하고, 압연시 롤러 및 강판의 윤활을 목적으로 압연유를 공급하면서 제조된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압연강판에는 압연유와 미세한 철분 등이 부착되어 있어 압연 강판에 도금 또는 그 밖의 후처리를 위한 후처리공정에 투입될 경우 후처리공정 시설을 오염시킬 수 있고 제품에 손상될 수 있어 압연과정 이후 강판 세척과정을 수행한다.
통상적인 세척방법은 세척수 예를 들면 알칼리수가 담긴 세척조내에 세척수에 잠길수 있는 위치상에 롤러를 설치하여 압연강판이 통과되도록 하거나,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압연강판에 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런데 세척과정의 경과에 따라 세척조내의 세척수에 유입되는 철분 및 오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척력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따라서, 철분을 제거하여 지속적인 세척력을 유지할 수 있는 세척설비가 요구된다.
종래에는 세척과정을 거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과 정을 거친 폐세척수을 먼저 침전조로 공급하고, 침전조에서 비중에 따라 층분리된 철분, 세척원수와 압연유를 분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침전에 의한 분리방식은 미세한 크기의 철분의 침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폐세척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될 경우 폐세척수의 유동성에 의해 침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욱 증가하고, 처리시설이 대형화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폐세척수로부터 이물질의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면서 처리 시설을 소규모화 할 수 있는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세척수로부터 슬러지의 분리 효율을 높이면서도 분리과정에서 슬러지에 의한 과부하를 억제시킬 수 있는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은 이송되는 강판에 부착된 이물질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강판에 세척수가 접촉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세척장치에서 배출되는 폐세척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한 세척수를 상기 세척장치에 다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로부터 배출된 상기 폐세척수를 공급받아 원심분리에 의해 상기 폐세척수로부터 슬러지와 세척수를 각각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세척수 를 상기 세척장치에 다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원심분리기;를 구비하고, 상기 원심분리기는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 내에 수평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며 내부 공간내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폐세척수로부터 분리된 슬러지와 세척수를 각각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구와, 세척수 배출구가 형성된 회전 용기와; 상기 회전용기의 내부공간 내에 상기 회전용기에 대해 상대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되 몸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나선형 블레이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메인 하우징 내로 연장된 폐세척수 주입관으로부터 상기 폐세척수를 유입받아 상기 회전용기 내로 분출할 수 있도록 상기 폐세척수 주입관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분출로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된 스크류와; 상기 회전용기를 회전구동시키되, 상기 스크류를 상기 회전용기에 대해 상대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구동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부는 메인 모터와; 상기 메인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제1구동풀리 및 제2구동풀리와; 상기 회전용기와 접합되되 외주면에 상기 제1구동풀리와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제1 종동풀리가 설치되어 있고 내주면을 따라 폐궤도상의 회전가이드기어가 형성된 제1 구동 하우징과; 상기 제2구동풀리와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외주면에 제2종동풀리가 설치되어 있고 내주면을 따라 폐궤도상의 제2회전가이드 기어가 형성된 제2 구동 하우징과; 상기 스크류의 몸통부로부터 상기 제1 구동 하우징 내로 연장된 결합부분 상에 상호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회전가이드기어의 궤도를 따라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제1 및 제2 유성기어와; 상기 제2구동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구동 하 우징 내까지 연장된 제1 중계부재와; 상기 제1중계부재의 일단에 상기 제1 및 제2 유성기어 사이에 치합되게 설치된 제1중계기어와; 상기 제2구동하우징 내의 상기 제1중계부재의 타단에 상호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2회전가이드기어의 궤도를 따라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제3 및 제4 유성기어와; 제어모터와; 상기 제어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설치되되 일단에 상기 제3 및 제4 유성기어 사이에 치합되게 설치된 제2중계기어;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값이 설정된 상한값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면서, 상기 전류값이 상기 상한값 미만이 되도록 상기 제어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100)은 세척장치(110), 제1 및 제2 원심분리기(120a)(120b), 제1 및 제2 세척수 공급조(150a)(150b), 제1 및 제2 침전여과조(160a)(160b)를 구비한다.
세척장치(110)는 제1세척기(111a), 제2세척기(116) 및 제3세척기(111b)를 구비한다.
제1세척기(111a)는 세척조(112a)와, 세척조(112a)내에 세척대상 압연강판 (101)이 세척수(113a)에 침수된 후 이송될 수 있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114a)를 구비한다.
제2세척기(116)는 제1세척기(111a)와 인접되게 설치된 저수조(117)와, 저수조(117) 상부에 압연강판(101)이 이송될 수 있게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브러쉬 롤러(118)를 구비한다.
제2세척기(116)에는 이송되는 압연강판(101)에 제1세척수 공급조(150a)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노즐을 통해 분사할 수 있는 분사기(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제3세척기(111b)는 제1세척기(111a)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3세척기(111b)는 세척조(112b)와, 세척조(112b)내에 제2세척기(116)를 통과한 압연강판(101)이 세척수(113b)에 침전된 후 이송될 수 있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114b)를 구비한다.
세척장치(110)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제3세척기(111b)가 생략되거나 더 추가될 수 도 있고, 세척수를 압연강판(101)에 접촉되어 공급할 수 있는 다른 방식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세척수 공급조(150a)는 제1세척장치(111a)의 세척조(112a)와 제2세척장치의 저수조(117)의 하부에 마련된 배출구와 각각 연결되어 폐세척수를 합류시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관로(102a)를 통해 폐세척수를 상부에서 유입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세척수 공급조(150a)는 제1 원심분리기(120a)(120b) 또는 제2 원심 분리기(120b)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 처리된 세척수를 송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관로(103a)를 통해 상부에서 유입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세척수 공급조(150a)는 저수된 세척수를 제1세척장치(111a)의 세척조(112a)로 제1펌프(P)(181)에 의해 순환 공급할 수 있도록 관로(104a)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제2세척수 공급조(150b)는 제3세척장치(111b)의 세척조(112b)의 하부에 마련된 배출구와 연결되어 폐세척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관로(102b)를 통해 폐세척수를 상부에서 유입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세척수 공급조(150b)는 제1 원심분리기(120a)(120b) 또는 제2 원심분리기(120b)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 처리된 세척수를 송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 관로(103b)를 통해 상부에서 유입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세척수 공급조(150b)는 저수된 세척수를 제3세척장치(111b)의 세척조(112b)로 제2펌프(P)(182)에 의해 순환 공급할 수 있도록 관로(104b)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제1침전여과조(160a)는 복수개의 침전여과실(161a)(162a)을 갖는 구조가 적용되었다.
제1침전여과실(161a)은 제1세척수공급조(150a) 및 제2세척수 공급조(150b)의 배출구와 공통 연결된 공통관로(105)로부터 분기된 제1분기관로(105a)를 통해 폐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1침전여과실(161a)은 저수된 폐세척수의 체류시간 동안에 비중이 무거운 철분등의 슬러지가 침전에 의해 여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적절한 크기로 형성하면 된다.
제2침전여과실(162a)은 제1침전여과실(161a)에서 오버플로우된 세척수를 저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침전여과실(162a)의 저수된 폐세척수를 제3펌프(P)(183)의 구동에 의해 제1원심분리기(120a)의 폐세척수 주입관(129)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관로(160a)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제2침전여과조(160b)도 제1침전여과조(160a)와 동일한 구조의 침전여과실(161b)(162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2침전여과조(160b)의 제1침전여과실(161b)은 제1세척수공급조(150a) 및 제2세척수 공급조(150b)의 배출구와 공통연결된 공통관로(105)로부터 분기된 제2분기관로(105b)를 통해 폐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침전여과조(160b)의 제2침전여과실(162b)은 제1침전여과실(162a)에서 오버플로우된 세척수를 저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하부의 배출구와 연결된 관로(106b)를 통해 제2원심분리기(120b)의 폐세척수 주입관(129)으로 폐세척수를 제4펌프(P)(184)의 구동에 의해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침전여과조(160a)(160b)는 철분을 침전에 의해 1차 분리할 수 있도록 적용된 것으로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경우 원심분리기(120a)(120b)의 폐세척수 주입관(129)은 침전여과조(160a)(160b)로 이어지는 관로(105a)(105b)를 통해 연결되면 된다.
제1원심분리기(120a)는 제1침전여과조(160a)의 제2침전여과실(162a)로부터 배출된 처리대상 폐세척수를 유입받아 원심분리에 의해 세척수로부터 철분을 포함한 고형의 슬러지를 각각 분리하고, 분리된 액상의 세척수는 세척수 공급조(160a)(160b)에 다시 공급하고, 슬러지는 배출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즉, 제1원심분리기(120a)의 폐세척수 주입구(129)는 제1침전여과조(160a)의 제2침전여과실(162a)의 배출구와 연결된 관로(106a)와 연결되어 있고, 제1배출구(124a)는 폐기처리용 관로(107)와 연결되어 있고, 제2배출구(124b)는 제1 및 제2 세척수 공급조(150a)(150b)로 이어지는 분기 관로(103a)(103b)와 연결된 관로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제2원심분리기(120b)는 제2침전여과조(160b)의 제2침전여과실(162b)과 연결된 관로(106b)를 통해 처리대상 폐세척수를 유입받아 원심분리에 의해 세척수로부터 철분을 포함한 고형의 슬러지를 상호 분리하고, 분리된 세척수는 세척수 공급조(160a)(160b)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슬러지는 별도로 배출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즉, 제2원심분리기(120b)의 제1배출구(124a)는 세척수 공급조(150a)(150b)로 이어지는 관로(103a)(103b)로 분기될 수 있게 연결되어 있고, 제2배출구(124b)는 폐기처리용 관로(107)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제1밸브(155)는 쓰리웨이 밸브가 적용되었다.
제1밸브(155)는 제1세척수 공급조(150a)와 제2세척수 공급조(150b)의 배출구와 연통되게 설치된 공통관로(105)로부터 제2침전여과조(160b)로 분기된 관로(105b) 상에 설치되어 제1세척수 공급조(150a) 및 제2세척수 공급조(150b)로부터 배출되는 폐세척수를 제1침전여과조(150a) 및 제2침전여과조(150b)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밸브(165)는 쓰리웨이 밸브가 적용되어 제2원심분리기(120b)의 세척수 배출구(127)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제1세척수 공급조(150b) 및 제2세척수 공급조(150b)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2원심분리기(120b)의 제2배출구(124b)로부터 제1세척수 공급조(150b) 및 제2세척수 공급조(150b)로 분기된 관로(103a)(103b)의 분기점에 설치되어 있다.
제1밸브(155) 및 제2밸브(165)는 후술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밸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원심분리기(120a)(120b)는 동일 구조로 형성된 것이 적용되었고, 구동원인 메인 모터(131)와 제어모터(132)의 선택적 구동에 의해 메인 하우징(123) 내에 설치된 회전용기 및 스크류를 상호 상대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원심분리기(120a)(120b)의 일 예가 도시된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원심분리기(120a)(120b)는 데칸터 타입으로서 메인 하우징(123), 회전용기(125), 스크류(127), 구동부(130)를 구비한다.
메인 하우징(123)은 내부에 회전용기(125)가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으며 회전용기(125)로부터 분리 배출되는 고형의 슬러지와 액상의 세척수를 각각 분리 수거하여 상호 다른 배출경로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23a는 메인 하우징(123) 내에 설치된 회전용기(125)의 슬러지 배 출구(125a)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를 유입받아 제1배출구(124a)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회전용기(125)와 구획되게 형성된 슬러지 배출실이고, 참조부호 123b는 메인 하우징(123) 내에 설치된 회전용기(125)의 세척수 배출구(125b)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유입 받아 제2배출구(124b)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회전용기(125)와 구획되게 형성된 세척수 배출실이다.
회전용기(125)는 메인 하우징(123) 내에 수평방향이 회전중심이 되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내부 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127)는 회전용기(125) 내에 회전용기(125)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이 회전중심이 되어 회전용기(125)에 대해 상대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스크류(127)는 몸통부(127a)와 나선형 블레이드(127b)로 되어 있다.
몸통부(127a)는 메인 하우징(123) 외측에서 회전용기(125) 내측으로 연장된 폐세척수 주입관(129)을 통해 주입된 폐세척수를 회전용기(125) 중앙부분에서 회전용기(125) 내로 분출할 수 있도록 분출로가 형성되어 있다. 즉, 몸통부(127a)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형태로 일정길이 연장된 유입가이드 홈(128a)과, 유입가이드홈(128a)의 종단에서 외주면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배출구(128b)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유입가이드홈(128a)에는 폐체척수 주입관(129)이 일정길이 진입되게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130)는 회전용기(125)와 스크류(127)를 상대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동부(130)는 메인모터(M1)(131)에 의해 회전용기(125)를 구동시킬 수 있도 록 되어 있고, 스크류(123)는 메인모터(131)와 제어모터(M2)(132)의 선택적 구동에 의해 회전속도의 증감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부(130)는 메인모터(131), 제어모터(132), 제1구동하우징(134), 제2구동하우징(138), 제1 내지 제4유성기어(141 내지 144), 제1 및 제2 중계부재(135)(145) 및 제1 및 제2 중계기어(136)(146)를 구비한다.
메인 모터(131)의 구동축에는 제1구동풀리(132a) 및 제2구동풀리(132b)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1구동 하우징(134)은 회전용기(125)와 접합되되 외주면에 제1구동풀리(132a)와 동력전달부재인 벨트(133)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게 제1 종동풀리(137)가 형성되어 있다.
제1구동하우징(134) 내주면에는 제1회전가이드기어(134b)가 폐궤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구동하우징(134)에 형성된 제1중계부재(135) 진입용 홀(134a)에는 상호 지지된 상태에서 회동될 수 있게 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구동하우징(138)은 제1구동하우징(134)으로부터 회전방향 전방에 위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제2구동풀리(132b)와 동력전달부재인 벨트(133)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제2종동풀리(13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구동하우징(138) 내주면에는 제2회전가이드기어(138b)가 폐궤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2구동하우징(138)에 형성된 제2중계부재(145) 진입용 홀(138a)에는 상호 지지된 상태에서 회동될 수 있게 베어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및 제2 유성기어(141)(142)는 스쿠류(127)의 몸통부(127a)로부터 제1 구동 하우징(134) 내로 연장되어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디스크 형태의 결합부분(127c)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유성기어(141)(142)는 제1구동하우징(137)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회전가이드기어(138b)와 치합되어 회전운동 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제1중계기어(136)는 제1 및 제2유성기어(141)(142) 사이에서 제1 및 제2 유성기어(141)(142)와 치합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1중계부재(135)는 T자형태로 형성되어 제2구동하우징(138) 내에 설치된 디스크부분(135a)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구동 하우징(134)내로 삽입되어 종단에 제1중계기어(136)가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제3 및 제4유성기어(143)(144)는 제1중계부재(135)의 디스크부분(135a)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3 및 제4유성기어(143)(144)는 제2구동 하우징(138)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회전가이드기어(138b)와 치합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2중계기어(146)는 제3 및 제4유성기어(143)(144) 사이에서 제3 및 제4 유성기어와 치합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중계부재(145)는 제2구동 하우징(138)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제2구동하우징(138)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고, 일단에는 제2중계기어(146)가 일체로 접합되어 있고, 맞은 편에는 제3종동풀리(147)가 형성되어 있다.
제어모터(132)는 구동축에 제3구동풀리(148)가 형성되어 벨트(133)를 통해 제3종동풀리(147)를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제2중계부재의 타단이 제어모터(132)에 축결합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어모터(132)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회전용기(125)는 메인모터(131)로부터 제1구동풀리(132a)와 제1종동풀리(137)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스크류(127)는 제2구동풀리(132b)로부터 제2구동하우징(138), 제3 및 제4 유성기어(143)(144), 제1중계부재(135), 제1중계기어(136), 제1 및 제2유성기어(141)(142)로 이어지는 동력전달경로를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된다.
한편, 회전용기(127) 내에 적재된 슬러지의 양이 많아 부하가 증가하면 스크류(127)의 회전속도가 저감될 수 있고, 이 경우 스크류(127)의 회전속도를 높이기 위해 제어모터(132)를 구동하면, 스크류(127)는 제2구동풀리(138)를 통해 인가되는 회전력에 부가하여, 제어모터(132)로부터 제2중계부재(145), 제2중계기어(146), 제3 및 제4 유성기어(143)(144)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동력을 더 전달받음으로써 회전력이 증강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모터(131)로 공급되는 구동전류를 검출하여, 설정된 전류값을 초과하면 부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모터(132)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축된다.
이러한 원심분리기(120a)(120b)는 회전용기(125)가 회전하되, 회전용기(125)에 대해 스크류(127)가 상대회전함으로써 원심분리력에 의해 폐세척수 중 비중이 무거운 철분을 포함한 슬러지는 회전용기(125)의 벽체쪽으로 모이게 되고, 스크류 (127)의 전진방향을 따라 회전용기(125)의 내부공간부 중 폐세척수 주입관(12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송되어 슬러지 배출구(125a)를 통해 배출되고, 세척수는 회전용기(125)의 중심부분에 모여 폐세척수 주입관(129) 방향에 형성된 세척수 배출구(125b)를 통해 배출된다.
도면에서 회전용기(125)내에서의 폐세척수의 흐름 경로를 실선화살표로, 세척수의 흐름경로를 일점쇄선 화살표로, 슬러지의 흐름경로를 이점쇄선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이하에서는 각 요소의 제어계통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71)는 각 관로 상에 설치된 펌프(P)(181 내지 184), 밸브(155)(165), 메인모터(131) 및 제어모터(132)의 구동을 제어한다.
전류검출부(172)는 메인모터(131)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제어부(171)에 출력한다.
제어부(171)는 전류검출부(172)로부터 출력되는 메인모터(131)의 공급전류값이 설정된 상한값을 초과하면 부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여, 설정된 상한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제어모터(132)를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71)는 원심분리기(120a)(120b)가 모두 구동 중일 때는 제1 및 제2 원심분리기(120a)(120b)가 각각 대응되는 제1세척수 공급조(150a)와 제2세척수 공급조(150b)에서 배출되는 폐세척수를 독립적으로 처리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밸브(155)(165)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71)는 어느 하나의 원심분리기(120a)(120b)가 필요에 따라 동 작중지 중일 때 구동되는 나머지 하나의 원심분리기(120b)(120a)가 제1세척수 공급조(150a)와 제2세척수 공급조(150b)에서 배출되는 폐세척수를 모두 처리할 수 있도록 밸브(155)(165)를 제어한다.
한편, 제1세척수 공급조(150a)에 공급되는 세척수와 제3세척수 공급조(150b)에 공급되는 세척수는 상호 다르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하나의 원심분리기에 의해 폐세척수로부터 세척수를 분리 처리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의 원심분리기는 폐세척수 인입방향과 스크류(127)의 슬러리 배출방향이 동일하여 회전용기(125) 내에서 슬러지와 세척수와의 와류현상이 방지되고 분리액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분리효율이 좋은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분리된 슬리지는 회전용기(125)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스크류(127)에 의해 이송하는 토크가 높아 탈수 효율이 좋고, 회전용기(125)에 대한 스크류(127)의 가변차속 제어가 용이하여 스크류(127)의 과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에 의하면, 원심분리과정에서의 분리된 슬러지에 의한 과부하를 억제시킬 수 있고, 회전용기와 스크류와의 차속제어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폐세척수로부터 슬러지의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3)

  1. 이송되는 강판에 부착된 이물질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강판에 세척수가 접촉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세척장치에서 배출되는 폐세척수로부터 슬러지를 분리한 세척수를 상기 세척장치에 다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알칼리 세척액 정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로부터 배출된 상기 폐세척수를 공급받아 원심분리에 의해 상기 폐세척수로부터 슬러지와 세척수를 각각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세척수를 상기 세척장치에 다시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원심분리기;를 구비하고,
    상기 원심분리기는
    메인 하우징과;
    상기 메인 하우징 내에 수평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며 내부 공간내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폐세척수로부터 분리된 슬러지와 세척수를 각각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구와, 세척수 배출구가 형성된 회전 용기와;
    상기 회전용기의 내부공간 내에 상기 회전용기에 대해 상대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되 몸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나선형 블레이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하우징 외부에서 상기 메인 하우징 내로 연장된 폐세척수 주입관으로부터 상기 폐세척수를 유입받아 상기 회전용기 내로 분출할 수 있도록 상기 폐세척수 주입관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분출로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된 스크류와;
    상기 회전용기를 회전구동시키되, 상기 스크류를 상기 회전용기에 대해 상대 회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세척액 정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메인 모터와;
    상기 메인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제1구동풀리 및 제2구동풀리와;
    상기 회전용기와 접합되되 외주면에 상기 제1구동풀리와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제1 종동풀리가 설치되어 있고 내주면을 따라 폐궤도상의 제1회전가이드기어가 형성된 제1 구동 하우징과;
    상기 제2구동풀리와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회전될 수 있게 외주면에 제2종동풀리가 설치되어 있고 내주면을 따라 폐궤도상의 제2회전가이드 기어가 형성된 제2 구동 하우징과;
    상기 스크류의 몸통부로부터 상기 제1 구동 하우징 내로 연장된 결합부분 상에 상호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회전가이드기어의 궤도를 따라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제1 및 제2 유성기어와;
    상기 제2구동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구동 하우징 내까지 연장된 제1 중계부재와;
    상기 제1중계부재의 일단에 상기 제1 및 제2 유성기어 사이에 치합되게 설치된 제1중계기어와;
    상기 제2구동하우징 내의 상기 제1중계부재의 타단에 상호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2회전가이드기어의 궤도를 따라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된 제3 및 제4 유성기어와;
    제어모터와;
    상기 제어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게 설치되되 일단에 상기 제3 및 제4 유성기어 사이에 치합되게 설치된 제2중계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세척액 정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값이 설정된 상한값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면서, 상기 전류값이 상기 상한값 미만이 되도록 상기 제어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 세척액 정제 장치.
KR1020060022417A 2006-03-09 2006-03-09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 KR100746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417A KR100746754B1 (ko) 2006-03-09 2006-03-09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417A KR100746754B1 (ko) 2006-03-09 2006-03-09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754B1 true KR100746754B1 (ko) 2007-08-06

Family

ID=3860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417A KR100746754B1 (ko) 2006-03-09 2006-03-09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7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6704A (zh) * 2015-09-30 2016-01-13 浙江嘉丽再生资源有限责任公司 一种污泥浓缩分离器
KR20200009763A (ko) *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유리안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알카리수 생성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7062A (ja) 1985-02-28 1986-09-01 Takashi Takahashi 遠心分離機の差動増速装置
JPS6422366A (en) * 1987-07-17 1989-01-25 Nippon Gesuido Jigyodan Differential rotating speed mechanism for horizontal automatic centrifugal separator
KR20030061703A (ko) * 2003-02-28 2003-07-22 주식회사 무한기술 자동변속 제동장치가 부착된 데칸터형 원심분리기
KR200384169Y1 (ko) 2005-02-25 2005-05-11 주식회사 무한기술 배수 스크류가 장착된 디켄터 원심분리기
JP2005144279A (ja) 2003-11-13 2005-06-09 Niigata Uoshinton Kk 立型デカンタ式遠心分離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7062A (ja) 1985-02-28 1986-09-01 Takashi Takahashi 遠心分離機の差動増速装置
JPS6422366A (en) * 1987-07-17 1989-01-25 Nippon Gesuido Jigyodan Differential rotating speed mechanism for horizontal automatic centrifugal separator
KR20030061703A (ko) * 2003-02-28 2003-07-22 주식회사 무한기술 자동변속 제동장치가 부착된 데칸터형 원심분리기
JP2005144279A (ja) 2003-11-13 2005-06-09 Niigata Uoshinton Kk 立型デカンタ式遠心分離機
KR200384169Y1 (ko) 2005-02-25 2005-05-11 주식회사 무한기술 배수 스크류가 장착된 디켄터 원심분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36704A (zh) * 2015-09-30 2016-01-13 浙江嘉丽再生资源有限责任公司 一种污泥浓缩分离器
KR20200009763A (ko) *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유리안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알카리수 생성장치
KR102143223B1 (ko) * 2018-07-20 2020-08-11 주식회사 유리안 더치커피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알카리수 생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7613B2 (ja) 三相分離機を用いたモーター油の連続浄化
WO2008083923A1 (fr) Procede et installation de traitement d&#39;eau par floculation lestee et decantation
RU2573876C2 (ru)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я фаз продукта посредством центрифуги
CN103420556B (zh) 离心分离装置以及污泥脱水方法
JP4878252B2 (ja) ベルト型濃縮機
KR200439085Y1 (ko) 라인믹서 및 가변식 혼합주입수단을 갖는 원심형고액분리장치
KR100746754B1 (ko) 알칼리 세척액 정제 시스템
KR101431049B1 (ko) 침전지 매니폴드형 슬러지 수집 및 배출장치
CN112340804A (zh) 一种废水处理竖流式气浮机
KR100889193B1 (ko) 슬러지의 단계적 투입공정 및 세척 공정이 포함되는원심분리기의 제어방법
JP2886190B2 (ja) 油清浄装置
KR102049796B1 (ko) 자동차부품 세척폐수의 유수분리장치
CN115745278A (zh) 一种纺织印染废水处理装置及处理工艺
KR100882935B1 (ko) 냉간 압연유 정제장치
RU2079437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нефтесодержащих сточных вод
KR100566381B1 (ko) 알칼리 세척액 정제 장치
CN116789240B (zh) 一种超磁分离污水处理设备及处理方法
KR20000051926A (ko) 연속분리식 원심분리기
JP2002126579A (ja) 遠心分離脱水装置
KR100478008B1 (ko) 축폐수.분뇨 및 정화조 오니 고도 전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N220432434U (zh) 一种电泳涂装废水处理离心机
RU2283698C2 (ru) Шнековая центрифуга
KR100567638B1 (ko) 오수처리용 강제 침전장치
KR102229682B1 (ko) 슬러지 배출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
CN216336779U (zh) 一种新型同向流斜板沉淀除油一体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