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404B1 -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 - Google Patents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404B1
KR100746404B1 KR1020060015939A KR20060015939A KR100746404B1 KR 100746404 B1 KR100746404 B1 KR 100746404B1 KR 1020060015939 A KR1020060015939 A KR 1020060015939A KR 20060015939 A KR20060015939 A KR 20060015939A KR 100746404 B1 KR100746404 B1 KR 100746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oking menu
memory card
cooking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룡
곽동후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5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압력보온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취사메뉴정보를 갱신하거나 또는 취사정보 또는 운전정보가 판독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은 소정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신규취사메뉴정보를 판독하거나, 취사정보 또는 운전정보를 상기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카드 처리부와, 상기 카드 처리부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면, 상기 카드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신규취사메뉴정보를 판독하여 현재취사메뉴정보를 갱신하거나, 저장된 취사정보 또는 운전정보를 상기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도록 하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ELECTRIC PRESSURE HEAT INSULATING RICE COOKER USING MEMORY CARD}
도 1은 종래의 전기압력보온밥솥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인단말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메모리 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의 정보서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의 신규취사메뉴 전송 순서도이다.
도 7은 개인 단말기가 메모리 카드를 판독 및 기록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취사메뉴 처리 순서도이다.
도 9a 내지 9g는 도 8에서의 신규취사메뉴 처리의 실시예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전기압력보온밥솥 210: 제2카드처리부
220: 제2저장부 230: 제2표시부
240: 제2입력부 250: 히터 출력부
260: 센서부 270: 제2제어부
본 발명은 전기압력보온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취사메뉴정보를 갱신하거나 또는 취사정보 또는 운전정보가 판독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압력보온밥솥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종히터(21;22;23)가 장착된 내솥부(10)와, 상기 각종히터(21;22;23)의 작동을 조절하는 히터출력부(20)와, 상기 내솥부(10)의 내부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30)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40)와, 사용자의 지시 또는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50)와, 상기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상태 및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60)와, 상기 입력부(50)의 지시 또는 명령과 상기 저장부(4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히터출력부(20) 및 센서부(30)를 제어하고, 상술한 과정 및 상태를 상기 표시부(60)에 표시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종래의 전기압력보온밥솥은 상기 입력부(50)를 통하여 사용자가 지시 또는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저장부(40)에 저장된 정보의 내용에 따라 상기 센서부(30)와 상기 히터출력부(2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상기 히터출력부(20)가 상기 각종 히터(21;22;23)를 조절함으로써 취사 또는 보온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기압력보온밥솥은 취사메뉴정보가 고정 되어 있어 신제품이나 다른 제품 등에서 추가되는 메뉴 중 사용자가 꼭 필요로 하는 메뉴가 있어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전기압력보온밥솥은 사용자가 수행한 취사에 관련된 정보 또는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운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또는 수리자 또는 제조자가 판독하여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제품이나 다른 제품 등에서 추가되는 메뉴를 기존의 전기압력보온밥솥에 제공할 수 있는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 취사메뉴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제한적인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압력보온밥솥에 저장된 정보인 취사정보 또는 운전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은 소정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신규취사메뉴정보를 판독하거나, 취사정보 또는 운전정보를수신하여 상기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카드 처리부와, 상기 카드 처리부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면, 상기 카드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신규취사메뉴정보를 판독하여 현재취사메뉴정보를 갱신하거나, 저장된 취사정보 또는 운전정보를 상기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도록 하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마이컴은 판독된 신규취사메뉴정보의 적어도 일부의 신규취사메뉴를 현재취사메뉴정보에 추가하거나, 적어도 일부의 신규취사메뉴와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취사메뉴의 적어도 일부를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규취사메뉴정보는 교체되는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취사메뉴에 대한 식별기호를 포함하고, 이에 상기 마이컴은 상기 신규취사메뉴와, 상기 식별기호에 대응하는 취사메뉴를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별기호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신규취사메뉴정보와 현재취사메뉴정보의 특정 취사메뉴를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취사정보는 총 취반회수, 메뉴별 취반회수, 메뉴별 취반시간, 보온시간, 보온중 커버의 개방 회수 및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운전정보는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온도 및 수명, 부품 수명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이컴은 갱신되지 않은 현재취사메뉴정보 또는 갱신된 현재취사메뉴정보를 상기 카드처리부로 하여금 상기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서버(300)와 접속하고, 메모리 카드(400)를 통하여 전기압력보온밥솥(200)에 접속하는 개인단말기(1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개인단말기(100)는 개인용 컴퓨터(PC), 포터블 컴퓨터, 개인휴대단말기(PDA),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전화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이 개인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취사메뉴정보와,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의 처리를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정보서버(300)로부터 전송받아 설치함으로써, 그에 따른 취사메뉴정보와,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네트워크는 개인단말기(100)가 컴퓨터 기반 장치인 경우, 일반적인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서버와, 인터넷 등을 포괄적으로 의미하고, 전화 기반 장치인 경우, 기지국과, 통신사 서버 및 기타 유선망 등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전기압력보온밥솥(200)은 메모리 카드(400)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카드 처리수단을 구비하고, 이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정보서버(300)는 일반적인 WEB 서버이거나 WAP 서버일 수도 있으며, 개인단말기(100)의 형태에 따른 적합한 서버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메모리 카드(400)는 취사메뉴정보와,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의 기록 및 판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저장수단으로서, 이동성 저장매체를 의미하며, 예를 들면, SD(Secure Digital)카드, MMC(Multimedia Card), MS(Memory Stick), SM(Smart Media), XD Picture 카드, CF(Compact Flash) 카드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개인단말기(100), 전기압력보온밥솥(200) 및 메뉴정보서버(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각각 개시된다.
도 3은 도 2의 개인단말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단말기(100)는 그 장치의 형태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서버(300)에 접속하기 위한 제1통신부(110)와, 정보서버(300)에 접속한 후, 취사메뉴처리와,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의 처리를 위한 전용 프로그램과, 정보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신규취사메뉴를 포함하는 신규취사메뉴정보와, 메모리 카드(400)로부터 판독한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120)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제1입력부(130)와, 수신된 신규취사메뉴 리스트 및 신규취사메뉴정보,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제1표시부(140)와, 메모리 카드(400)를 매개로 하여 전기압력보온밥솥(200)과의 데이터 이동을 위한 제1카드 처리부(150) 및,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정보서버(300)로부터의 신규취사메뉴정보의 수신 및 적어도 일부 신규취사메뉴를 메모리 카드(400)에 저장하고, 메모리 카드(400)로부터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 취사메뉴정보 를 판독하는하는 제1제어부(160)로 이루어진다.
이 개인단말기(100)는 전화통화 및 사무 처리 등의 고유 기능과 함께 전기밥솥(200) 과의 통신을 위하여 제1통신부(110)와정보서버(300)와의 통신을 위하여 제1통신부(110)와, 전기압력보온밥솥(200)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제1카드처리부(150)를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제1저장부(120)는 통상 플래쉬 메모리, 하드디스크저장장치, 플로피디스크저장장치, 광디스크저장장치, 광메모리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제1저장부(120)에 저장된 전용 프로그램은 정보서버(300)로부터의 신규취사메뉴정보의 다운로드 기능과, 메모리 카드(400)로의 기록 기능, 메모리 카드(400)로부터의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 취사메뉴정보의 판독 및 표시, 정보서버(300)로의 전송 기능을기능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특히 메모리 카드(400)로의 기록 기능은 별도의 조작없이 전체 신규취사메뉴정보가 전송되거나, 신규취사메뉴가 저장될 위치(교체될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취사메뉴의 일련번호)를 특정하여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 전용프로그램 수행화면에서 선택 및 메모리카드의 저장도 가능하고 일반 프로그램(운영체제(OS), 다른 메모리 카드 판독용 타프로그램) 수반 화면에서 선택 및 메모리 카드(400)로의 저장도 가능하다.
또한, 이 전용 프로그램은 정보서버(300)와의 자동 접속 기능과, 취사메뉴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1제어부(160)가 제1입력부(130)로부터의 접속 명령에 따라 전용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고, 이 전용 프로그램은 정보서버(300)와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자동 업데이트 기능에 대해서는, 제1저장부(120)는 소정의 환경설정 정보를 저장하며, 이 환경설정 정보 는 이 전용 프로그램 및 취사메뉴정보 등의 자동 업데이트 설정정보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이 자동 업데이트 설정정보가 확정되어, 이 자동 업데이트 설정정보에 따라 자동 업데이트 기능이 수행된다. 이 자동 업데이트 설정정보는 전용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업데이트, 취사메뉴정보의 업데이트에 대한 사항을 포함한다. 이러한 자동 업데이트 수행을 위해, 제1저장부(120)는 전용 프로그램 및 취사메뉴정보의 업데이트 정보를 저장하고, 제1제어부(160)는 자동 업데이트 설정정보에 따라 이들 업데이트 정보를 정보서버(300)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는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각각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1카드처리부(150)는 메모리 카드(400)에 저장된 운전정보 및 취사정보, 취사메뉴정보를 판독하여 제1제어부(160)로 전송하고, 제1제어부(160)로부터 신규취사메뉴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 카드(400)에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판독 및 기록 장치이다. 이 제1카드처리부(150)는 메모리 카드(400)가 소정의 슬롯을 통하여 삽입되면, 이러한 삽입상태를 제1제어부(160)에 알리고, 제1제어부(160)에 의한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메모리 카드(400)에 저장된 운전정보 및 취사정보, 취사메뉴정보의 판독을 수행한다. 또한, 제1카드처리부(150)는 제1제어부(160)에 의한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제1저장부(120)에 저장된 신규취사메뉴정보를 메모리 카드(400)에 기록한다.
또한, 제1제어부(160)은 제1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판독 및 저장 명령에 따라 제1카드처리부(150)는 메모리 카드(400)에 기록된 취사메뉴정보를 판독하여 제1제어부(160)로 전송하고, 제1제어부(160)는 취사메뉴정보를 제1저장부(120) 에 저장하고, 이 취사메뉴정보를 제1표시부(140)를 통하여 표시한다. 이 취사메뉴정보는 전기압력보온밥솥(200)에 의해 기록된 것으로, 메모리 카드(400)에 이전에 기록된 신규취사메뉴정보에 의해 갱신되기 이전의 전기압력보온밥솥(200)에 저장된 취사메뉴정보 또는 이미 갱신된 취사메뉴정보를 의미한다. 이 취사메뉴정보의 판독 및 저장을 통하여, 사용자는 전기압력보온밥솥(200)의 이전에 갱신되거나 직전에 갱신된 취사메뉴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카드처리부(150)는 삽입된 메모리 카드(400)의 토출을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고, 슬롯으로의 먼지 등의 인입이 방지되도록 방지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의 개략 구성도이다.
전기압력보온밥솥(200)은 메모리 카드(400)의 판독 및 기록을 수행하는 제2카드처리부(210)와, 현재 취사에 사용되고 있는 현재취사메뉴정보와, 수신되는추가로 기록되는 신규취사메뉴정보와,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의 처리하기 위한 처리 프로그램(처리 기준 정보)을운전정보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220)와, 현재취사메뉴정보와, 갱신된 현재취사메뉴정보 등을 표시하는 제2표시부(230)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획득하는 제2입력부(240)와, 소정의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취사메뉴에 따른 조리를 수행하는 히터출력부(250)와, 내솥 등의 온도 또는 압력 등을 감지하는 센서부(260)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메모리 카드(400)로부터 신규취사메뉴정보를 판독하여, 소정의 처리기준에 따라 처리하여 현재취사메뉴정보를 갱신하고,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 취사메뉴정보를 메모리 카드(400)에 기록하는 제2제어부 (27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카드 처리부(210)는 도 3의 제1카드 처리부(150)와 동일한 판독 및 기록 장치이다. 제2카드처리부(210)는 메모리 카드(400)가 소정의 슬롯을 통하여 삽입되면, 이 삽입 상태를 제2제어부(270)에 알리고, 제2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저장된 신규취사메뉴정보를 판독하여 제2제어부(270)로 전송하고,전송하는 기능과, 제2제어부(270)로부터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 카드(400)에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2카드처리부(210)는 갱신되기 이전의 취사메뉴정보(예를 들면, 갱신되기 이전의 현재취사메뉴정보) 또는 갱신된 취사메뉴정보(예를 들면, 신규취사메뉴정보에 의해 갱신된 현재취사메뉴정보)를 제2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 카드(400)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제2저장부(220)는 현재취사메뉴를 포함하는 현재취사메뉴정보를 저장하되, 이 현재취사메뉴는 소정의 일련번호(또는 식별기호)를 지니고 있어서, 제2입력부(240)의 메뉴선택버튼의 입력에 따라 일련번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일련번호는 각 현재취사메뉴가 저장된 순서에 대응할 수도 있고, 이와 별도의 지정번호일 수도 있다. 또한, 제2저장부(220)는 신규취사메뉴정보가 식별기호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이 신규취사메뉴정보를 추가하거나 교체하는 점에 대한 처리기준을 저장한다. 이 처리기준은 예를 들면, 신규취사메뉴정보를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최하단에 추가하는 처리 또는 특정 취사메뉴정보를 삭제하고, 그 자리에 신규취사메뉴정보를 교체하는 처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2저장부(220)는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를 저장한다. 이 취사정보는 전기압력보온밥솥(200)의 총 취반횟수, 메뉴별 취반횟수, 메뉴별 취반시간, 보온시간, 보온중 커버(20)의 오픈 횟수 및 시간 등을 포함하고, 운전정보는 전기압력보온밥솥(200) 내부의 온도, 전기압력보온밥솥(200)의 수명, 패킹 수명, 전지수명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취사정보는 제2입력부(24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조작을 제2제어부(270)에 의해 또는 히터출력부(250)에 의해 또는 센서부(260)에 의해 감지하여 저장된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취사정보는 밥솥의 취사과정에서 생성된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들이다. 또한, 운전정보는 센서부(260)에 의해 감지된 정보이거나, 밥솥의 사용에 따른 노후화 또는 소모량 등으로, 제2제어부(270)에서 의해 예측된계산된 정보들이다.
이 제2저장부(220)는 MICOM 내부의 기억장치(RAM 또는 FLASH 메모리) 또는 MICOM 외부의 RAM 또는 FLASH 메모리 등이 될 있으며, 제2표시부(230)는 현재취사메뉴정보 또는 갱신된 현재취사메뉴정보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써, 통상 액정표시장치, TFT 표시장치, 플라즈마표시장치, 자체발광표시장치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제2표시부(23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제2입력부(240)와 관련되어 제2입력부(240)의 기능을 문자 또는 도형으로 표시하는 전기압력보온밥솥(200)의 외부면도 포함한다.
또한, 히터출력부(250)는 전기압력보온밥솥(200)의 내부에 장착되어 각종히터의 작동을조절하고, 히터의 상태를 진단하여 진단정보를 생성한다. 특히, 히터출력부(250)는 취반시에 자체적으로 상태를 진단하여 진단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고, 제2제어부(270)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진단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조절한 다. 센서부(260)는상기 전기밥솥(200)의 내부의 상태, 커버(2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한다. 또한,감지하거나 취사 또는 보온시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통상 온도센서와,중량센서, 접점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2제어부(270)는 제2카드처리부(210)로부터 메모리 카드(400)의 삽입 상태를 보고받고, 제2카드처리부(210)를 제어하여 메모리 카드(400)에 저장된 신규취사메뉴정보를 판독하여 수신하고, 제2저장부(220)에 일시 저장한다. 이어서, 제2제어부(270)는 제2저장부(220)에 저장된 처리 기준에 따라 수신된 신규취사메뉴정보의 일부 신규취사메뉴를 현재취사메뉴정보에 추가시키거나, 수신된 신규취사메뉴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와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의 취사메뉴를 교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2제어부(270)는 갱신된 현재취사메뉴정보를 제2표시부(230)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취사명령을 제2입력부(240)를 통하여 획득하여, 그 취사명령에 따른 취사메뉴를 판독하여 해당 취사공정에 따라 히터출력부(250)를 제어한다.
또한, 제2제어부(270)는 메모리 카드(4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2저장부(220)에 저장된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를 판독하여, 제2카드처리부(210)로 하여금 메모리 카드(400)에 기록하도록 한다. 특히, 제2제어부(270)는 이러한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의 생성 및 관리를 위해, 상술된 각각의 정보를 제2입력부(240), 히터출력부(250), 센서부(260) 등으로부터 수신하여수신하거나 제2제어부(270)에서 계산된 값을 제2저장부(220)에 지속적으로 저장 관리한다.
또한, 제2입력부(240)는 소정의 메뉴선택버튼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연속적 으로 메뉴선택버튼을 누름에 따라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취사메뉴가 순차적으로 제2표시부(230)에 구분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취사메뉴의 일련번호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제2입력부(240)는 평소엔 취사 보온관련 기능을 수행하다가, 메모리 카드(400)가 삽입된 때, 또는 제2입력부(240)의 입력버튼 조작에 의해 정보의 판독 및 기록을 위한 서비스 모드로 진입하게 하는 기능(판독 및 기록 개시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도 2의 정보서버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서버(300)는 개인단말기(100)에서 정보서버(300)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후 신규취사메뉴정보 및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용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이 전용 프로그램의 설치가 요구되는 개인단말기(100)로 전용 프로그램이 전송되도록 하는 전용 프로그램 모듈(310)과, 신규취사메뉴를 저장하고, 적어도 신규취사메뉴를 포함하는 신규취사메뉴정보, 신규취사메뉴 리스트 등을 저장하고, 개인단말기(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전송되도록 하는 신규취사메뉴처리 모듈(320)과, 개인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를 관리하는 취사 및 운전정보 처리 모듈(330)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단말기(100)와의 접속을 수행하고, 개인단말기(100)로부터의 요청 및 신규취사메뉴 리스트, 신규취사메뉴 정보 또는 모델 리스트, 취사 및 운전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340)을 적어도 포함한다. 여기서, 정보서버(300)는 일반적인 서버의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고, 전용 프로그램의 처리, 신규취사 메뉴와, 취사 및 운전정보의 처리를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특히, 신규취사메뉴 처리 모듈(320)은 신규취사메뉴를 저장하고, 전기압력보온밥솥(200)의 모델에 따른 신규취사메뉴를 저장하거나, 모델에 국한되지 않고 공통적인 신규취사메뉴를 저장하거나, 사용자가 무작위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신규취사메뉴 등을 저장한다. 또한, 신규취사메뉴 처리 모듈(320)은 전기압력보온밥솥(200)의 모델정보 또는 모델 리스트를 저장하고, 이 모델정보 또는 모델 리스트는 상술된 신규취사메뉴에 대응한다.
또한, 취사 및 운전정보 처리모듈(330)은 개인 단말기(100)로부터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소유한 전기압력보온밥솥(200)의 부품 교체 시기, 밥솥 사용 패턴(예를 들면, 선호 메뉴, 취사빈도, 보온시간, 커버 개폐 빈도 및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제조자나 판매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개인 단말기(100)의 환경설정에 따라 자동 업데이트 기능이 설정된 경우, 정보서버(300)는 개인 단말기(100)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고, 전용 프로그램 모듈(310)은 전용 프로그램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 필요성을 판단하고, 이 판단에 따라 업데이트에 관련된 데이터를 개인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신규취사메뉴 처리모듈(320)은 취사메뉴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업데이트 필요성을 판단하고, 이 판단에 따라 업데이트에 관련된 데이터를 개인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도 6은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의 신규취사메뉴 전송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순서도는 기본적으로 개인단말기(100)와 정보서버(300) 간의 통신을 개시하는 것이다.
자세하게는, 단계(S51)에서, 개인단말기(100)의 제1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접속 명령에 따라 제1통신부(110)를 제어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서버(300)의 통신모듈(340)에 접속한다. 여기서, 제1제어부(160)는 일반적인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예를 들면,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을 통하여 정보서버(300)에 접속한다. 이에, 정보서버(300)는 일반적인 초기화면정보 등을 개인단말기(100)에 송신할 수도 있다.
단계(S52)에서, 개인단말기(100)의 제1제어부(160)는 취사메뉴정보의 처리를 위한 전용 프로그램이프로그램의 설치를 요청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가 제1입력부(130)를 통하여 전용 프로그램의 설치를 요청하면, 단계(S53)로 진행한다. 만약 사용자가 요청하지 않으면, 이후의 단계들이 진행되지 않아, 사용자가 신규취사메뉴의 추가 또는 교체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된다.
단계(S53)에서, 개인단말기(100)의 제1제어부(160)는 전용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제1통신부(110)를 통하여 정보서버(300)에 요청하고, 이에 정보서버(300)의 전용 프로그램 모듈(310)은 이 요청에 따라 기저장된 전용 프로그램을 통신모듈(340)을 통하여 전송한다. 제1제어부(160)는 이 전용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제1저장부(120)에 설치한다.
단계(S54)에서, 제1제어부(160)는 제1입력부(13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단계(S55)에서, 제1제어부(160)는 제1입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의 정보서 버(300)로의 접속 명령에 따라 정보서버(300)에 제1통신부(110)를 통하여 접속한다. 상술된 단계(S54 및 S55)는 하나의 단계로 수행될 수 있으며, 즉 사용자의 전용 프로그램의 실행명령에 따라 정보서버(300)와의 접속까지 수행될 수 있다.
단계(S56)에서, 제1제어부(160)는 제1저장부(120)에 저장된 환경설정 정보 중에서 자동 업데이트 설정정보를 판독하여, 현재의 설정이 자동 업데이트 기능의 선택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자동 업데이트 선택이 아니면, 즉 수동 업데이트 선택이면, 단계(S57)로 진행하고, 만약 자동 업데이트 선택이면 단계(S62)로 진행한다. 또한, 여기서 전용프로그램이 기본적으로 자동업데이트 모드로 프로그램 될 수도 있다.
단계(S57)에서, 제1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제1입력부(130)를 통하여 전기압력보온밥솥(200)의 모델정보(예를 들면, 모델 번호 등)를 입력받아 전송할 수 있거나 전송하였으면 단계(S5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58)로 진행한다. 즉, 사용자가 모델정보에 의존하는 신규취사메뉴의 처리를 원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S57)에서, 제1제어부(160)는 전용 프로그램의 환경 설정 시에, 사용자로부터 제1입력부(130)를 통하여 전기압력보온밥솥(200)의 모델정보를 이미 입력받아 저장하는 경우, 사용자로부터의 모델정보의 전송 요청에 따라 추가적인 사용자의 모델정보의 입력없이, 기 저장된 모델정보를 전송하고, 단계(S59)로 진행할 수도 있다.
단계(S58)에서, 제1제어부(160)는 정보서버(300)에 신규취사메뉴 리스트를 요청하게 되면, 신규취사메뉴 처리 모듈(320)이 이에 응답하여 기저장된 신규취사 메뉴 리스트를 개인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단계(S59)에서, 제1제어부(160)는 정보서버(300)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모델정보를 전송하여, 정보서버(300)의 신규취사메뉴 처리모듈(320)은 수신된 모델정보에 대응하는 신규취사메뉴 리스트를 통신모듈(340)을 통하여 개인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단계(S60)에서, 제1제어부(160)는 수신된 신규취사메뉴 리스트를 제1표시부(140)를 통하여 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가 제1입력부(130)를 통하여 리스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을 선택하면, 제1제어부(160)는 이 선택된 항목을 정보서버(300)에 요청한다.
단계(S61)에서, 신규취사메뉴 처리 모듈(320)은 수신된 요청 항목에 따라 신규취사메뉴를 포함하는 신규취사메뉴정보를 통신모듈(340)을 통하여 개인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이에 제1제어부(160)는 수신된 신규취사메뉴정보를 제1저장부(120)에 저장한다.
단계(S62)에서, 정보서버(300)에 저장된 전용 프로그램의 업데이트 정보와, 취사메뉴정보의 업데이트 정보를 개인단말기(100)로 전송하고, 개인단말기(100)는 이들 업데이트 정보를 판독하여, 전용 프로그램과 취사메뉴정보에 대한 업데이트 필요성을 각각 판단한다. 만약 전용 프로그램 또는 취사메뉴정보에 대한 업데이트가 필요하면 단계(S6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고 전용 프로그램과 취사메뉴정보가 모두 최신 데이터인 경우, 다른 동작의 수행없이 종료된다.
단계(S63)에서, 제1제어부(160)는 정보서버(300)로부터 전용 프로그램과 취 사메뉴정보를 수신하여, 각각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여기서, 취사메뉴정보의 업데이트 데이터는 신규취사메뉴 리스트와, 신규취사메뉴정보를 모두 포함하거나 적어도 신규취사메뉴정보를 포함한다.
상술된 순서도는 개인단말기(100)가 최초로 정보서버(300)에 전용 프로그램없이 접속하는 경우, 단계(S51) 내지 (S53)가 수행되지만, 이미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이후에는, 단계(S54) 이후의 단계들만이 실행되면 된다.
또한, 개인 단말기(100)는정보서버(300)에 접속하여, 전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정보서버(300)에 접속하여, 제1저장부(120)에 저장된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를 제1통신부(110)을 통하여 정보서버(300)로 전송한다.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정보서버(300)는 수신된 취사정보 및 운전정보를 취사 및 운전정보 처리 모듈(330)로 하여금 처리하여 저장한다.
도 7은 개인 단말기가 메모리 카드를 판독 및 기록하는 순서도이다.
단계(S71)에서,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400)를 개인 단말기(100)의 제1카드처리부(150)로 삽입하는 단계이며, 제1카드처리부(150)는 제1제어부(160)로 삽입 상태를 보고할 수 있다. 이때, 제1제어부(160)는 메모리 카드(400)의 삽입 상태에 의해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고, 사용자로부터의 제1입력부(130)를 통한 실행 명령에 따라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S72)에서, 제1제어부(160)는 제1입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가 취사정보 또는 운전정보의 보기 또는 저장하기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였는지를, 즉 전용 프로그램 상의 취사정보 또는 운전정보 보기버턴이 선택되었는지 또는 저장버턴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보기버튼 또는 저장하기버튼이 선택되면, 단계(S73)로 진행한다.
단계(S73)에서, 제1제어부(160)는 제1카드처리부(150)로 하여금 메모리 카드(400)에 기록된 취사정보 또는 운전정보를 판독하여, 그 명령에 따라 제1표시부(140)에 표시하거나 제1저장부(120)에 저장한다.
단계(S74)에서, 제1제어부(160)는 제1입력부(130)를 통하여 메모리 카드(400)에 전기압력보온밥솥(200)에 의해 기록된 취사메뉴정보에 대한 판독, 표시 및 저장하기 명령을 수신하였는지를, 즉 전용 프로그램 상의 취사메뉴정보에 대한 판독 및 저장하기 버튼을 동작시켰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취사메뉴정보의 판독, 표시 및 저장하기가 선택되면, 단계(S75)로 진행한다.
단계(S75)에서, 제1제어부(160)는 제1카드처리부(150)로 하여금 메모리 카드(400)로부터 취사메뉴정보를 판독하게 하고, 이 판독된 취사메뉴정보를 제1표시부(140)에 표시하고 제1저장부(120)에 저장한다.
단계(S76)에서, 제1제어부(160)는 제1입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가 제1저장부(120)에 저장된 신규취사메뉴정보를 메모리 카드(400)로의 저장에 대한 명령을 수신하였는지를, 즉 전용 프로그램 상의 신규취사메뉴정보의 저장하기 버튼을 동작시켰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수신하였으면, 단계(S7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종료된다.
단계(S77)에서, 제1제어부(160)는 제1저장부(120)에 저장된 신규취사메뉴정보를 제1표시부(140)를 통하여 표시하고, 전기압력보온밥솥(200)의 취사메뉴정보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신규취사메뉴정보에 대한 선택을 제1입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가 수행하도록 하고, 선택된 신규취사메뉴정보를 메모리 카드(400)에 저장한다. 여기서의 선택된 신규취사메뉴정보는 전기압력보온밥솥(200)의 현재취사메뉴정보에 추가되거나 교체될 정보이다.
이후에, 사용자가 제1카드처리부(150)를 조작하여 메모리 카드(400)를 토출시킨다.
상술된 단계(S72 및 S73), (S74 및 S75), (S76 및 S77)은 각각 별도의 선택 버튼의 동작에 의해 동작되어, 그 순서가 도 7의 순서도와 상이하여도 무방하다. 즉, 각각의 단계들이 개별적으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다만, 단계(S74 및 S75)의 경우, 사용자가 전기압력보온밥솥(200)에 저장된 취사메뉴정보를 참고하여 신규취사메뉴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 7와 같이, 적어도 단계(S76 및 S77)의 이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S71)에서,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400)를 제1카드처리부(150)로 삽입하는 단계이며, 제1카드처리부(150)는 제1제어부(160)로 삽입 상태를 보고할 수 있다.
단계(S72)에서, 제1카드처리부(150)는 메모리 카드(400)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한다. 만약 메모리 카드(400)에 취사 정보 또는 운전정보가 저장되었으면, 단계(S7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74)로 진행한다.
단계(S73)에서, 제1제어부(160)는 제1카드처리부(150)로부터 취사정보 또는 운전정보를 판독하여 제1저장부(120)에 저장한다.
단계(S74)에서, 제1제어부(160)는 제1입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가 제1저 장부(120)에 저장된 신규취사메뉴정보에 대한 편집(전기밥솥(200)으로 전송할 메뉴정보의 처리 등)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입력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만약 있으면 단계(S7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76)로 진행한다.
단계(S75)에서, 제1제어부(160)는 제1저장부(120)에 저장된 신규취사메뉴정보를 제1표시부(140)를 통하여 표시하고, 전기밥솥(200)의 취사메뉴정보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취사메뉴정보에 대한 편집을 제1입력부(130)를 통하여 수신하여 편집을 수행하고, 편집된 신규취사메뉴정보를 제1저장부(120)에 저장한다.
단계(S77)에서, 사용자가 제1카드처리부(150)를 조작하여 메모리 카드(400)를 토출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취사메뉴 처리 순서도이다.
단계(S81)에서, 사용자가 제2카드처리부(210)로 메모리 카드(400)를 삽입한다.
제2카드처리부(210)는 메모리 카드(400)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한다.
단계(S82)에서, 제2제어부(270)는 제2입력부(240)를 통하여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400)에 저장된 수신된 정보가 신규취사메뉴정보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신규취사메뉴정보를 현재취사메뉴정보에 추가하거나 교체하는 명령을 선택하였는지 판단한다. 만약 신규취사메뉴정보의 추가하기 또는 교체하기가 선택되면 단계(S8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89)로 진행한다. 여기서, 추가하거나 교체하는 명령은 제2입력부(240)의 단일 버튼에 의해 생성되어 제2제어부(270)로 입력되는 것으로, 신규취사메뉴정보에 따라 현재취사메뉴정보를 갱신하고자 하는 명령을 모 두 지칭하는 것이다.
단계(S83)에서, 제2제어부(270)는 제2카드처리부(210)로부터 신규취사메뉴정보를 판독하고, 이 판독된 신규취사메뉴정보가 식별기호를 포함하는지를, 즉 개인 단말기(100)에 의해 식별기호가 신규취사메뉴정보에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식별기호는 제2저장부(220)에 저장된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취사메뉴들의 일련번호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 식별기호에 대응하는 일련번호를 지닌 취사메뉴를 삭제하고, 대신에 신규취사메뉴를 저장하는 교체명령을 의미한다. 이러한 식별기호는 사용자가 전기압력보온밥솥(200)의 제2입력부(240)의 메뉴선택을 누름에 따라 소정의 일련 순서로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취사메뉴가 표시되는 순서인 일련번호를 인식하여, 개인단말기(100)의 전용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신규취사메뉴가 저장되는 위치(예를 들면, '5'번 위치 등)를 특정할 때(추가하거나 교체할 때) 사용된다. 다만, 이러한 일련번호, 또는 위치 또는 식별번호는 정보서버(300)가 신규취사메뉴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단계(S84)에서, 제2제어부(270)는 제2저장부(220)에 저장된 처리기준에 따라 추가 처리를 수행할지를 판단한다. 여기서의 추가처리는 단순하게 신규메뉴정보를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최하단에 저장하는 처리를 의미한다. 만약 이러한 추가 처리에 대한 처리기준이 사용자에 의해 또는 초기값으로 설정되었으면, 식별번호가 없는 경우 단계(S8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86)로 진행한다.
단계(S85)에서, 제2제어부(270)는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최하단에 신규취사메뉴정보 전체를 추가함으로써 현재취사메뉴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한다. 이때, 제2제 어부(270)는 추가되는 신규취사메뉴에 일련번호를 부가하고, 그에 따라 저장할 수도 있다.
단계(S86)에서, 제2제어부(270)는 소정의 처리기준에 따라 현재취사메뉴정보의 기설정된 특정 위치의 취사메뉴를 삭제하고, 신규취사메뉴정보를 그 위치에 포함시켜 교체함으로써, 현재취사메뉴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단계(S87)에서, 제2제어부(270)는 식별기호에 대응하는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취사메뉴를 삭제하고, 신규취사메뉴정보의 신규취사메뉴를 삭제된 위치에 저장함으로써 교체하여, 현재취사메뉴정보를 갱신한다.
단계(S88)에서, 제2제어부(270)는 단계(S85 내지 S87)에서 갱신된 현재취사메뉴정보를 제2표시부(230)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갱신된 사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S89)에서, 제2제어부(270)는 제2입력부(24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취사메뉴정보의 읽기 선택 명령을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이 취사메뉴정보의 읽기 선택 명령은 사용자가 개인 단말기(100)를 통하여 이 취사메뉴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8의 순서도 상에서는 이 취사메뉴정보는 단계(S82 내지 S88)에서 갱신이 이루어지기 이전의 현재취사메뉴정보(신규취사메뉴정보가 추가 또는 교체된 경우) 또는 갱신이 이루어진 현재취사메뉴정보(신규취사메뉴정보가 교체된 경우)를 의미한다. 이 취사메뉴정보는 그 포함하는 영역이 제2제어부(270)의 기능에 따라 그 포함하는 정보의 범위가 조절될 수 있다. 만약 선택되었으면 단계(S90)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91)로 진행한다.
단계(S90)에서, 제2제어부(270)는 제2저장부(220)에 저장된 취사메뉴정보를 판독하여, 제2카드처리부(210)로 하여금 메모리 카드(220)에 기록하도록 한다. 다만, 단계(S89) 및 (S90)은 단계(S82) 내지 (S88) 이전에 수행되거나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이 취사메뉴정보는 제2저장부(220)에 저장된 현재취사메뉴정보(추가 또는 교체된 현재취사메뉴정보)일 수도 있다.
단계(S91)에서, 제2제어부(270)는 제2입력부(24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취사정보 또는 운전정보의 읽기 선택 명령을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수신하였으면, 단계(S9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93)로 진행한다.
단계(S92)에서, 제2제어부(270)는 제2저장부(220)에 저장된 취사정보 또는 운전정보를 제2카드처리부(210)로 하여금 메모리 카드(400)에 기록한다.
단계(S93)에서, 사용자가 제2카드처리부(210)를 조작하여 메모리 카드(400)를 토출시킨다.
특히, 단계(S85 내지 S87)의 교체 및 추가 단계에서, 제2제어부(270)는 제2저장부(220)에 저장된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취사메뉴와 교체되거나 추가되는 신규취사메뉴정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규취사메뉴가 동일하면 하나의 취사메뉴만이 현재취사메뉴정보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계(S91) 및 (S92)는 단계(S82 내지 S88) 및 단계(S89 및 S90)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9a 내지 9g는 도 8에서의 신규취사메뉴 처리의 실시예들이다.
도 9a는 전기압력보온밥솥(200)의 제2저장부(220)에 저장된 현재취사메뉴정 보의 취사메뉴의 예이다. 이들 각 취사메뉴는 소정의 일련번호(예를 들면, 1 내지 6)를 함께 포함한다.
도 9b는 개인단말기(100)의 제1저장부(120)에 저장된 신규취사메뉴정보의 신규취사메뉴의 예이다. 이 신규취사메뉴정보는 각 신규취사메뉴의 저장 위치 교체될 위치인 식별번호를 포함하지 않고 있다.
도 9c는 단계(S85)의 추가 처리에 따라, 제2제어부(270)가 도 9a의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최하단(또는 최우측단)에 도 9b의 신규취사메뉴를 추가하고, 일련번호를 생성하여 포함시켜 갱신한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예이다.
도 9d는 단계(S86)의 처리에 따라, 제2제어부(270)가 도 9a의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최하단(또는 최우측단)의 취사메뉴를 삭제하고, 그 교체로 도 9b의 신규취사메뉴를 저장하여 갱신한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예이다.
도 9e는 개인단말기(100)의 제1저장부(120)에 저장된 신규취사메뉴정보의 취사메뉴의 예이다. 이 신규취사메뉴정보는 각 신규취사메뉴의 저장 위치 교체될 위치인 식별번호를 포함하지 않고 있다. 단계(S85)에서, 제2제어부(270)가 추가 처리를 하여 현재취사메뉴정보에 신규취사메뉴정보를 추가하더라도 동일한 취사메뉴가 있는 경우, 하나의 취사메뉴만이 현재취사메뉴정보에 포함되도록 갱신한다. 따라서, 결과는 도 9c와 동일하게 된다.
도 9f는 개인단말기(100)의 제1저장부(120)에 저장된 신규취사메뉴정보의 취사메뉴의 예로서, 전용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가 제1입력부(130)를 통하여 교체될 위치(식별기호, 일련번호)를 입력한 경우이다.
도 9g는 단계(S87)에서 제2제어부(270)가 도 9f의 식별번호와 신규취사메뉴를 포함하는 신규취사메뉴정보를 수신하여, 도 9a의 제5번인 "찜" 취사메뉴를 삭제하고, 제5번에 "고구마" 취사메뉴를 저장하여 갱신한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예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신제품이나 다른 제품 등에서 추가되는 메뉴를 기존의 전기압력보온밥솥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 취사메뉴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제한적인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압력보온밥솥에 저장된 정보인 취사정보 또는 운전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 개인 단말기 등을 통하여 제조자 또는 수리자 등이 정보를 판독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정보 또는 운전정보를 통합하여,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잔존 수명, 사용자의 패턴, 기호 등의 분석을 위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소정의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신규취사메뉴정보를 판독하거나, 취사정보 또는 운전정보를 상기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는 카드 처리부와;
    상기 카드 처리부에 메모리 카드가 삽입된 경우, 상기 카드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신규취사메뉴정보를 판독하고, 저장된 취사정보 또는 운전정보를 상기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되, 상기 신규취사메뉴정보에 교체되는 현재취사메뉴정보의 취사메뉴에 대한 식별기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신규취사메뉴정보에 포함된 신규취사메뉴와, 상기 식별기호에 대응하는 취사메뉴를 교체하여 상기 현재취사메뉴정보를 갱신하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신규취사메뉴정보에 식별기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판독된 신규취사메뉴정보의 신규취사메뉴를 현재취사메뉴정보에 추가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기호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신규취사메뉴정보에 식별기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신규취사메뉴정보와 현재취사메뉴정보의 특정 취사메뉴를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정보는 총 취반회수, 메뉴별 취반회수, 메뉴별 취반시간, 보온시간, 보온중 커버의 개방 회수 및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정보는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온도 및 수명, 부품 수명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갱신되지 않은 현재취사메뉴정보 또는 갱신된 현재취사메뉴정보를 상기 카드처리부로 하여금 상기 메모리 카드에 기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
KR1020060015939A 2006-02-18 2006-02-18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 KR100746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939A KR100746404B1 (ko) 2006-02-18 2006-02-18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939A KR100746404B1 (ko) 2006-02-18 2006-02-18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404B1 true KR100746404B1 (ko) 2007-08-03

Family

ID=3860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939A KR100746404B1 (ko) 2006-02-18 2006-02-18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4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523B1 (ko) * 2015-07-09 2016-12-15 (주)쿠첸 전원 최초 인가시 압력 잠금 상태 제어가능한 전기밥솥 및 상기 전기밥솥의 전원 최초 인가시 압력 잠금 상태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681A (ko) * 1993-11-17 1995-06-16 배순훈 원터치식 다기능 전자렌지
KR19990032842A (ko) * 1997-10-21 1999-05-15 윤종용 데이터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렌지
JP2003262340A (ja) 2002-03-07 2003-09-19 Sharp Corp 調理機器
KR20030081528A (ko) * 2001-03-22 2003-10-1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조리관련정보 제공시스템, 조리관련정보 제공장치,조리기기, 조리관련정보 제공방법, 조리관련정보취득방법, 조리관련정보 제공프로그램, 및 조리관련정보취득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681A (ko) * 1993-11-17 1995-06-16 배순훈 원터치식 다기능 전자렌지
KR19990032842A (ko) * 1997-10-21 1999-05-15 윤종용 데이터통신 기능을 갖는 전자렌지
KR20030081528A (ko) * 2001-03-22 2003-10-1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조리관련정보 제공시스템, 조리관련정보 제공장치,조리기기, 조리관련정보 제공방법, 조리관련정보취득방법, 조리관련정보 제공프로그램, 및 조리관련정보취득프로그램
JP2003262340A (ja) 2002-03-07 2003-09-19 Sharp Corp 調理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523B1 (ko) * 2015-07-09 2016-12-15 (주)쿠첸 전원 최초 인가시 압력 잠금 상태 제어가능한 전기밥솥 및 상기 전기밥솥의 전원 최초 인가시 압력 잠금 상태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405B1 (ko) 전기밥솥의 취사메뉴정보 처리 시스템
JP2007167618A (ja) 電気炊飯器の炊飯メニュー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60147207A1 (en) Home appliance, mobile device and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US7043336B2 (en) Data processing method for a memory pack of an internet microwave oven
KR20040026816A (ko) 전자렌지
KR101448994B1 (ko) 펌웨어 다운로드 이력 관리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그 제어방법
US200201698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oftware for office equipment at point-of-sale
US20060093514A1 (en) Platelet incubator
CN111356960A (zh) 用于控制设备的操作的系统和方法
JP4470115B2 (ja) 表示部カスタマイズ機能を有する電気炊飯器
CN103136027A (zh) 即时更新装置和即时更新方法
CN102652427B (zh) 用户信息登记程序和用户信息登记方法
KR100746404B1 (ko) 메모리카드를 이용한 전기압력보온밥솥
JP2001188940A (ja) 自動販売機通信システム
EP2118799B1 (en) Cooking information book, cooking system, cooking method, and using method for the cooking system
WO2002097669A1 (fr) Procede de gestion de resultats reels de cuisson, procede et serveur de gestion de contenu, et appareil de cuisson
CN114222978A (zh) 耗电信息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712439B (zh) 烹饪装置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US8074183B2 (en) Image formation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JP2003302055A (ja) 加熱調理器
CN112462637A (zh) 家电设备及其控制方法
JP3993123B2 (ja) 表示器、その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制御システム
JP2002116923A (ja) インターネットを用いた家電機器の不具合診断方法とそれに使用される家電機器
JP2003284640A (ja) 調理機器
JP2002039536A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