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280B1 - 경량의 고강도 거푸집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량의 고강도 거푸집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280B1
KR100746280B1 KR1020060022472A KR20060022472A KR100746280B1 KR 100746280 B1 KR100746280 B1 KR 100746280B1 KR 1020060022472 A KR1020060022472 A KR 1020060022472A KR 20060022472 A KR20060022472 A KR 20060022472A KR 100746280 B1 KR100746280 B1 KR 100746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ber
formwork
plate
mix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호
Original Assignee
장호판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호판재(주) filed Critical 장호판재(주)
Priority to KR1020060022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기되는 면섬유설과 화학섬유설을 열압착하여 제조한 판상의 강화섬유매트층과 열가소성 수지와 충전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수지층을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열압착에 의해 적층시킨 거푸집판재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용 판재뿐만 아니라 발코니, 내장재 등의 토목, 건설 현장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거푸집판재는 면섬유설, 화학섬유설 및 충전제를 혼합한 후 타면기로 개섬하여 솜의 형태로 얻고, 고온의 프레스기로 가열 압착하여 판상으로 제조한 강화섬유매트층; 상기 강화섬유매트층의 양면에 적층되는 유리섬유층; 상기 유리섬유층의 각각의 일측에 적층되는 열가소성수지 60 내지 80 중량%, 충전제 10 내지 40 중량%, 가공조제 0.1 내지 30 중량%로 구성되는 혼합수지층;으로 구성된다.
거푸집판재, 폴리프로필렌, 목분, 면섬유설, 화학섬유설, 금속 프레임

Description

경량의 고강도 거푸집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High Strength Panel of Lightweigh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판재의 일 양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판재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금속프레임층이 적층된 거푸집판재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속 프레임층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5는 금속프레임층이 적층된 거푸집판재의 적층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금속 프레임층이 혼합수지층에 일부 함침된 거푸집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금속 프레임층이 혼합수지층에 전부 함침된 거푸집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판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판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판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판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판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판재의 일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상세한 설명 -
10 : 강화섬유매트층 20 : 유리섬유층
30 : 혼합수지층 40 : 금속 프레임층
50 : 결합홈 60 : 보강리브
70 : 마감부재
100, 200, 300, 400 : 거푸집판재
본 발명은 폐기되는 면섬유설(纖維屑)과 화학 섬유설을 이용한 강화섬유매트층 및 열가소성수지를 이용한 혼합수지층을 적층하여 일체화한 거푸집판재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일정한 형태로 성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거푸집, 발코니, 내장재 등의 토목, 건설 현장 및 자동차, 바닥재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은 일정 형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하기 위해 다수개의 판재가 특정형상으로 조립되어 형성된 것으로, 콘크리트를 부어 만들 모양으로 판재 틀을 짠 후 콘크리트를 부어 굳힌 뒤 틀을 떼어내는데, 이때의 틀이 거푸집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거푸집용 판재가 합판으로 제조된 경우는 강알칼리성 성분을 함유하는 콘크리트와 직접 접촉하므로 거푸집 용도로 사용 중 시멘트에서 용출되는 강알칼리성 성분과 물이 합판의 표면 단판 속으로 침투되어 목질부의 팽창 및 열화를 초래하고, 각 접착층의 접착력을 약화시킨 것으로 인하여 2 내지 3회 사용한 후 폐기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합성수지로 제조된 경우는 목재 합판에 비하여 내수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나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쉽게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등 모양이 변형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금속 재질로 제조된 경우는 그 무게가 무거워 이동이 용이하지 않으며, 값이 비싼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면섬유설, 화학섬유설 및 충전제를 혼합, 가열압착하여 제조한 단단한 판상의 강화섬유매트층을 이용하여 단열 및 열차단 성능을 갖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판재의 모양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폐섬유를 사용하여 목재, 합성수지 및 금속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무게가 가벼워 이동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섬유층 및 혼합수지층을 외피로 사용하여 강도를 보강하고,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 표면과의 박리가 용이한 표면을 갖는 판재를 제공하는 것으로, 외관이 미려하여 판재를 떼어낸 후 별도의 마감처리가 필요 없는 거 푸집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용 판재뿐만 아니라 발코니, 내장재 등의 토목, 건설 현장 및 자동차, 바닥재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거푸집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인 거푸집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프레임층의 제조방법 및 프레스를 이용하여 일체화 하는 거푸집판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거푸집용 판재뿐만 아니라 발코니, 내장재 등의 토목, 건설 현장 및 자동차, 바닥재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판재에 관한 것으로, 열차단 효과가 우수하여 판재가 뒤틀리는 등의 모양 변화가 없으며, 무게가 가벼워 이동이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거푸집으로 사용 시 콘크리트와의 박리가 용이하여 표면의 손상이 없어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박리 후 별도의 마감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특징이 있는 거푸집판재에 관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면섬유설, 화학섬유설 및 충전제를 혼합한 후 타면기로 개섬하여 솜의 형태로 얻고, 고온의 프레스기로 가열 압착하여 판상으로 제조한 강화섬유매트층(10); 상기 강화섬유매트층(10)의 양면에 적층되는 유리섬유층(20); 상기 유리섬유층(20)의 각각의 일측에 적층되는 열가소성수지 60 내지 80 중량%, 충전제 10 내지 39.9 중량%, 가공조제 0.1 내지 30 중량%로 구성되는 혼합수지층(30); 으로 구성되는 열차단 및 강도가 우수한 거푸집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강화섬유매트층(10)의 사이에 유리섬유층(20)을 더 구비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화섬유매트층(10)의 사이에 유리섬유층(20)을 더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 판재의 강도를 더욱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수지층(30)의 일면에 금속 프레임층(40);을 더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프레임층(40)은 그물 구조의 금속망체를 함침시켜 판재의 휨방지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수지층(30)의 일면에 적층하여 압착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 수지층(30)으로 일부만 함침되어 일부는 표면 밖으로 돌출된 형태이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부 혼합 수지층(30)으로 함침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금속프레임층(40)이 사용되지 않는 반대 면은 콘크리트 타설부위로 사용된다. 상기 금속프레임층(4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철판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고, 종횡 방향에 대해 일정간격으로 세로방향의 칼집을 낸 후 좌우로 늘려 메쉬 형태가 되도록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 한 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늘려진 부위와 동일한 크기로 절단된 거푸집판재(100)를 하부에 적층하여 프레스로 가열압착하며, 도 6과 같이, 늘이지 않은 양단은 프레스에 의해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판재(100)와 동일한 크기의 금속프레임층(40)을 적층한 후, 금속프레임층(40)의 늘이지 않은 부위까지 거푸집판재(100)의 혼합수지층(30)에 함침되도록 하여,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판재는 상기 금속프레임층(40)만을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도 충분한 강도를 갖으나, 여러 형태로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들의 예를 본 발명의 도 8 내지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8 내지 도 1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거푸집판재에 결합홈(50), 보강리브(60) 및 마감부재(70)를 더 구비하여 유로폼 형의 거푸집판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합홈(50), 보강리브(60) 및 마감부재(70)는 통상적으로 당업자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도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거푸집판재를 응용하여 제조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 마감부재(70)는 부직포, 철판, 목재합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거푸집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1) 열가소성수지 60 내지 80 중량%, 충전제 10 내지 39.9 중량%, 가공조제 0.1 내지 30 중량%를 혼합시킨 후 압출기에 넣어 용융 압출하여 판상의 혼합수지층을 제조하고, 제조된 혼합수지층의 일면에 유리섬유층을 압착하는 단계;
2) 면섬유설, 화학섬유설 및 충전제를 혼합한 후 타면기로 개섬하여 솜의 형 태로 얻고, 고온의 프레스기로 가열 압착하여 판상의 강화섬유매트층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강화섬유매트층의 양면에 상기 유리섬유층이 강화섬유매트층을 바라보고 상기 혼합수지층이 외층이 되도록 적층한 후 가열 압착하여 일체화 하는 단계;
4) 절단하는 단계;
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혼합수지층(30)의 어느 한 일면에 금속 프레임층(40)을 더 적층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단계에서 상기 강화섬유매트층(10)의 사이에 유리섬유층(20)을 더 적층하여 고온의 프레스기로 가열압착하는 단계;를 더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의 거푸집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거푸집판재의 표면을 이루는 상기 혼합수지층(30)은 열가소성수지 60 내지 80 중량%, 충전제 10 내지 39.9 중량%, 가공조제 0.1 내지 30 중량%를 혼합시켜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압출하여 판상으로 제조한다.
상기 열가소성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방수성, 콘크리트와의 용이한 이형성 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재생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충전제는 목분, 왕겨, 파쇄종이, 분쇄 마, 톱밥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여기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식물성 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합판과의 유사한 물성을 가지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제는 그 사용량에 있어서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10 내지 39.9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9.9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1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효과가 미미하다.
상기 가공조제는 석분, 탄산칼슘(CaCO3), 카본블랙 등의 무기충진제, 유 · 무기안료에서 선택되는 안료 또는 산화방지제, UV안정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산화방지제 또는 UV안정제는 고분자수지가 햇빛에 의하여 노화되거나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지의 물성을 좋게 해준다. 0.1 내지 30 중량%를 사용하는 경우 수지의 물성을 변형시키기 않으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수지층(30)을 제조하는 방법은 펠렛 형태 또는 잘게 분쇄된 열가소성 수지를 충전제, 가공조제와 혼합시킨 후 압출기에 넣어 용융 압출시키는 것으로 압출되어 나오면서 판상의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 용융온도는 가공하는 수지에 따라 다르며, 사용하는 수지의 용융온도에 맞추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압출되어 나오는 판상의 혼합수지층(30)의 잔열이 완전히 식기 전에 상기 혼합수지층(30)에 유리섬유를 롤러를 이용하여 압착시키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혼합수지층(30)과 유리섬유층(20)이 일체화 되어 완벽하게 접착이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리섬유층(20)은 본 발명의 거푸집판재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강도뿐만 아니라 단열의 효과를 부여해준다. 상기 유리섬유층(20)을 이루는 유리섬유는 메쉬 형태의 망목구조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혼합수지층에 함침되어 일체화되기에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강화섬유매트층(10)은 면섬유설, 화학섬유설 및 식물성 셀룰로오스 성분의 충전제를 혼합한 후 타면기로 개섬하여 솜의 형태로 얻고, 고온의 프레스기로 가열 압착하여 매트형태로 제조하는 것으로, 상기 면섬유설 및 화학섬유설은 재단시 발생하는 섬유를 분쇄, 혼합한 부스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화학섬유설은 아크릴섬유, 나일론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학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섬유설과 면섬유설 및 줄기마, 분쇄마, 코코넛 껍질, 목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성 셀룰로오스 성분의 충전제를 혼합하여 타면기로 개섬하여 솜 형태로 제조한 후, 롤러를 통과하여 부피를 감소시킨 후 사용하고자 하는 두께에 따라 여러 겹으로 적층하여 고온고압의 프레스기로 가열 압착한다. 상기 면섬유설과 화학섬유설 및 충전제의 사용량은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면섬유설, 화학섬유설 및 충전제를 한꺼번에 혼합하여 개섬하는 방법과 면섬유설과 화학섬유설을 각각 개섬하는 방법이 있는데,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각각 개섬하여 사용하는 경우, 화학섬유설/면섬유설/화학섬 유설/면섬유설/화학섬유설의 순서로 적층하여 화학섬유설을 외측으로 적층시키는 것이 고온의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가열 압착하여 판상으로 제조시 표면이 매끄러우므로 좋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화섬유매트층(10)의 사이에 유리섬유층(20)이 적층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강화섬유매트층(10)의 제조 시 화학섬유설과 면섬유설의 사이에 유리섬유층(20)을 적층되도록 하여, 즉, 화학섬유설/면섬유설/유리섬유층(20)/면섬유설/화학섬유설의 순으로 적층하여 가열 압착할 수 있으며, 또는 가열 압착하여 판상으로 제조된 강화섬유매트층(10)의 사이에 유리섬유층(20)이 적층되도록 하여, 즉, 강화섬유매트층(10)/유리섬유층(20)/ 강화섬유매트층(10)의 순으로 적층한 후 다시 가열 압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강화섬유매트층(10)의 사이에 유리섬유층(20)이 더 적층되는 경우 강도가 더욱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판상의 강화섬유매트층(10)을 제조하기 위한 가열 압착 조건은 100 ~ 300 ℃에서 500 ~ 3000 kgf/㎠의 프레스기를 이용하며, 필요에 따라 150 ~ 200 ℃의 스팀을 더 이용하여 내부까지 열을 전달하여 화학섬유설에 사용된 수지가 용융되어 면섬유설과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스팀을 가하여 프레스기로 가열 압착하는 경우 화학섬유설의 수지성분이 용융되어 면섬유설 및 충진제와 일체화되면서 부피가 감소되며, 단단한 판상의 매트형태가 제조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단단한 판상으로 제조된 강화섬유매트층(10)을 거푸집판재의 중심부로 사용하는 경우, 열전달이 차단되는 효과가 있어, 종래에 콘크리 트 타설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여러 번 사용하는 경우 판재의 모양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무 또는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강도를 나타내나 이들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제조단가가 낮아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혼합수지층(30)과 유리섬유층(20)을 미리 일체화되도록 제조한 후, 제조된 강화섬유매트층(10)의 양면에 각각 상기 혼합수지층(30)이 외층이 되도록 적층하고 고온고압의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일체화하여 제조한다. 이때 사용되는 프레스기는 상기 강화섬유매트층(10) 제조 시 사용된 것과 동일하게 사용하며, 100 ~ 300 ℃에서 500 ~ 3000 kgf/㎠의 프레스기를 이용하며, 필요에 따라 150 ~ 200 ℃의 스팀을 더 이용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강화섬유매트층(10)의 수지가 용융되어 혼합수지층(30)의 수지와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강화섬유매트층(10)에 사용되는 화학섬유의 수지성분과 혼합수지층(30)의 수지성분이 열에 의해 용융되어 단단히 접착되므로 환경친화적으로 판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온 고압으로 일체화 한 후에는 상온에서 냉각시키거나, 콜드 프레스(cold press)를 이용하여 냉각하여 강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 프레임층(40)은 본 발명의 거푸집판재를 거푸집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지지대역할과 동시에 강도를 보강하여 준다. 상기 금속 프레임층(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고, 종횡 방향에 대해 일정간격으로 세로방향의 칼집을 낸 후 좌우로 늘려 메쉬 형태가 되도록 제조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혼합수지층(30)으로 일부 또는 전부 함침되기에 유리하므로 바람직하며, 이밖에도 일면이 요철형(凹,凸)으로 되며, 반대면이 편편한 판상 형태인 금속 프레임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 프레임층(40)의 형태는 도 4에 나타낸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 프레임층(40)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혼합수지층(30)과 유리섬유층(20)을 미리 일체화되도록 제조한 후, 제조된 강화섬유매트층(10)의 양면에 각각 상기 혼합수지층(30)이 외층이 되도록 적층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프레임층(40)에서 메쉬망 형태의 부위와 동일한 크기로 절단한 거푸집판재를 상기 금속프레임층(40)의 하부에 적층하여 프레스로 가열압착하며, 늘이지 않은 양단은 프레스에 의해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제조한다.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프레임층(40)과 거푸집판재(100)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여 압착하여 접착시킨 후, 늘이지 않은 부분을 거푸집판재(100)와 함께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벤딩프레스 등으로 압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금속 프레임층(40)의 두께에 따라 상기 혼합수지층(30)의 두께를 변화시키며, 혼합수지층(30)의 두께가 상기 금속 프레임층(40) 두께의 2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 프레임층(40)이 혼합수지층(30)에 일부만 함침(도 6에 도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전체적으로 함침(도 7에 도시)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만 함침되도록 하는 것이 강도가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각 층의 두께는 사용자가 원하는 용도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판재의 일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상부로부터 혼합수지층(30)/유리섬유층(20)/강화섬유매트층(10)/유리섬유층(20)/혼합수지층(30)의 순으로 적층되어 발코니, 내장재 등의 토목, 건설 현장 및 자동차, 바닥재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거푸집판재(100)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상부로부터 혼합수지층(30)/유리섬유층(20)/강화섬유매트층(10)/유리섬유층(20)/강화섬유매트층(10)/유리섬유층(20)/혼합수지층(30)의 순으로 적층된 것으로 강도를 더욱 보강한 거푸집판재(2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상부로부터 혼합수지층(30)/유리섬유층(20)/강화섬유매트층(10)/유리섬유층(20)/혼합수지층(30)/ 금속프레임층(40)의 순으로 적층되어 강도가 보강된 거푸집판재(300)의 일예를 나타낸 그림이며, 금속프레임층(40)이 상기 혼합수지층(30)에 일부만 함침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프레임층(40)은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거푸집판재에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거푸집판재에 금속프레임층(40)이 적층된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금속프레임층(40)을 제조하기 위한 단계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상기 도 4와 같이 제조된 금속프레임층(10)을 도 1에 도시된 거푸집판재(100)에 적층하는 적층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 망 형태의 부위와 동일한 크기로 절단한 거푸집판재를 상기 금속프레임층(40)의 하부에 적층하여 프레스로 가열압착한다.
도 6은 금속프레임층(40)이 혼합수지층(30)의 일면에 일부만 함침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금속프레임층(40)의 양단이 상방으로 절곡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금속프레임층(40)이 혼합수지층(30)의 일면에 전부 함침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금속프레임층(40)의 양단이 상방으로 절곡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판재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결합홈(50)을 더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홈(50)의 구조는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거푸집판재로 사용되기 위한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판재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결합홈(50), 보강리브(60) 및 마감부재(70)를 더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보강리브(60)의 모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감부재는 부직포, 철판, 목재합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판재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부재 없이 보강리브(60)만 더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보강리브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판재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결합홈(50), 보강리브(60) 및 마감부재(70)를 더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보강리브(60)를 더 추가하여 사용하는 경우 강도를 더욱 보강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판재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결합홈(50), 보강리브(60) 및 마감부재(70)를 구비하며, 보강리브의 개수가 6개인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판재의 제조시, 금속프레임층(40)과 거푸집판재(100)의 크기를 동일하게 하여 압착하여 접착시킨 후, 늘이지 않은 부분을 거푸집판재(100)와 함께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벤딩프레스로 압착하여 제조한 거푸집 판재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금속프레임층(40)의 늘이지 않아 절곡된 부분이 거푸집판재(100)의 혼합수지층(30)에 완전히 함침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판재는 기존의 거푸집 판재에 비하여 오랫동안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판재는 단단한 판상의 강화섬유매트층을 이용하여 단열 및 열차단 성능을 갖도록 하여 판재의 모양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폐섬유를 사용하여 목재, 합성수지 및 금속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무게가 가벼워 이동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섬유층 및 혼합수지층을 외피로 사용하여 강도를 보강하 고,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 표면과의 박리가 용이한 표면을 갖는 판재를 제공하는 것으로, 외관이 미려하여 판재를 떼어낸 후 별도의 마감처리가 필요 없는 판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거푸집용 판재뿐만 아니라 발코니, 내장재 등의 토목, 건설 현장 및 자동차, 바닥재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판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면섬유설, 화학섬유설 및 충전제를 혼합한 후 타면기로 개섬하여 솜의 형태로 얻고, 고온의 프레스기로 가열 압착하여 판상으로 제조한 강화섬유매트층;
    상기 강화섬유매트층의 양면에 적층되는 유리섬유층;
    상기 유리섬유층의 각각의 일측에 적층되는 열가소성수지 60 내지 80 중량%, 충전제 10 내지 39.9 중량%, 가공조제 0.1 내지 30 중량%로 구성되는 혼합수지층;
    으로 구성되는 경량의 고강도 거푸집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지층의 일면에 금속 프레임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고강도 거푸집판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프레임층은 상기 혼합수지층에 전부 또는 일부 함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고강도 거푸집판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섬유매트층의 사이에 유리섬유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고강도 거푸집판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섬유매트층은 아크릴섬유, 나일론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학섬유설과 면섬유설 및 줄기마, 분쇄마, 코코넛 껍질, 목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 셀룰로오스 충전제를 혼합하여 개섬 후 100 ~ 300 ℃에서 500 ~ 3000 kgf/㎠로 가열 압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고강도 거푸집판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지층에서 열가소성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충전제는 목분, 왕겨, 파쇄종이, 분쇄 마, 톱밥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가공조제는 석분, 탄산칼슘(CaCO3), 카본블랙, 유 · 무기안료에서 선택되는 안료 또는 산화방지제, UV안정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의 고강도 거푸집판재.
  7. 1) 열가소성수지 60 내지 80 중량%, 충전제 10 내지 39.9 중량%, 가공조제 0.1 내지 30 중량%를 혼합시킨 후 압출기에 넣어 용융 압출하여 판상의 혼합수지층을 제조하고, 제조된 혼합수지층의 일면에 유리섬유층을 압착하는 단계;
    2) 면섬유설, 화학섬유설 및 충전제를 혼합한 후 타면기로 개섬하여 솜의 형태로 얻고, 고온의 프레스기로 가열 압착하여 판상의 강화섬유매트층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강화섬유매트층의 양면에 상기 유리섬유층이 강화섬유매트층을 바라보고 상기 혼합수지층이 외층이 되도록 적층한 후 가열 압착하여 일체화 하는 단계;
    4) 절단하는 단계;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재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상기 강화섬유매트층의 사이에 유리섬유층을 더 적층하여 고온의 프레스기로 가열압착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재의 제조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에서 혼합수지층의 일면에 금속 프레임층을 더 적층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재의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프레임층은 철판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고, 종횡 방향에 대해 일정간격으로 세로방향의 칼집을 낸 후 좌우로 늘려 메쉬 형태가 되도록 제조한 후, 상기 거푸집판재의 상부에 적층하여 프레스로 가열압착하며, 늘이지 않은 양단은 프레스에 의해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재의 제조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상기 열가소성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상기 충전제는 목분, 왕겨, 파쇄종이, 분쇄 마, 톱밥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며, 상기 가공조제는 석분, 탄산칼슘(CaCO3), 카본블랙, 유 · 무기안료에서 선택되는 안료 또는 산화방지제, UV안정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재의 제조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의 상기 강화섬유는 아크릴섬유, 나일론섬유, 폴리에스테르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화학섬유설과 면섬유설 및 분쇄된 마, 코코넛 껍질, 목분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충전제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재의 제조방법.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 및 3)단계의 가열압착은 100 ~ 300 ℃, 500 ~ 3000 kgf/㎠인 프레스를 이용하며 압착하며, 150 ~ 200 ℃의 스팀을 더 이용하여 가열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재의 제조방법.
  14.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프레임층은 혼합수지층에 전부 또는 일부 함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판재의 제조방법.
KR1020060022472A 2006-03-10 2006-03-10 경량의 고강도 거푸집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46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472A KR100746280B1 (ko) 2006-03-10 2006-03-10 경량의 고강도 거푸집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472A KR100746280B1 (ko) 2006-03-10 2006-03-10 경량의 고강도 거푸집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450U Division KR200418007Y1 (ko) 2006-03-10 2006-03-10 경량의 고강도 거푸집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280B1 true KR100746280B1 (ko) 2007-08-06

Family

ID=38601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472A KR100746280B1 (ko) 2006-03-10 2006-03-10 경량의 고강도 거푸집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2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814B1 (ko) 2007-07-09 2008-12-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카폴딩 구조물에 설치되는 족장용 바닥재
KR101054954B1 (ko) * 2005-05-25 2011-08-05 (주)삼박 열가소성 복합재로 만들어진 거푸집용 판재
CN102839577A (zh) * 2012-08-31 2012-12-26 中铁上海工程局华海工程有限公司 一种短枕道床热塑性复合材料模板的施工方法
KR20220162372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플러스데크 경량 거푸집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098A (ko) * 2001-11-24 2002-01-29 안계진 건축용 거푸집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437272B1 (ko) 2001-06-05 2004-06-23 영산개발 주식회사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합성수지 판재 및 이를이용한 거푸집 패널
KR200384022Y1 (ko) 2005-01-06 2005-05-11 주식회사 청원소재 복합판재
KR20060013176A (ko) * 2004-08-06 2006-02-09 주식회사 동양씨엠아이 건축용 바닥패널
KR20060045871A (ko) * 2004-04-30 2006-05-17 (주)삼박 열가소성 복합 판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272B1 (ko) 2001-06-05 2004-06-23 영산개발 주식회사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조한 합성수지 판재 및 이를이용한 거푸집 패널
KR20020008098A (ko) * 2001-11-24 2002-01-29 안계진 건축용 거푸집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60045871A (ko) * 2004-04-30 2006-05-17 (주)삼박 열가소성 복합 판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13176A (ko) * 2004-08-06 2006-02-09 주식회사 동양씨엠아이 건축용 바닥패널
KR200384022Y1 (ko) 2005-01-06 2005-05-11 주식회사 청원소재 복합판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954B1 (ko) * 2005-05-25 2011-08-05 (주)삼박 열가소성 복합재로 만들어진 거푸집용 판재
KR100874814B1 (ko) 2007-07-09 2008-12-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카폴딩 구조물에 설치되는 족장용 바닥재
CN102839577A (zh) * 2012-08-31 2012-12-26 中铁上海工程局华海工程有限公司 一种短枕道床热塑性复合材料模板的施工方法
KR20220162372A (ko) *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플러스데크 경량 거푸집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KR102547643B1 (ko) * 2021-06-01 2023-06-26 주식회사 플러스데크 경량 거푸집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체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9332B2 (ja) 継ぎ目無しの長い竹板材
CN1960865B (zh) 热塑性复合片型材料、其制造方法及由其制造的制品
EP3744924B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US20180162021A1 (en) Impact resistant door facing, method of forming impact resistant door facing and door formed therewith
CN201314119Y (zh) 一种木塑建筑模板
KR100746280B1 (ko) 경량의 고강도 거푸집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057678B (zh) 一种高耐磨防水防潮的复合板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100086237A (ko) 복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556012B1 (ko) 단열보드
KR200418007Y1 (ko) 경량의 고강도 거푸집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54954B1 (ko) 열가소성 복합재로 만들어진 거푸집용 판재
KR100524404B1 (ko) 섬유성형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0384022Y1 (ko) 복합판재
CA2938496A1 (en) Thermoformable panel for shelves
KR101568964B1 (ko) 소음방지용 바닥재
KR100509900B1 (ko) 복합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66672B1 (ko) 건축물 외벽 패널
EP2314779B1 (en) Laminated insulating panel, use of such an insulating panel and method for arranging such an insulating panel
CH691319A5 (de) Formteil auf der Basis eines Hartschaumes sowie Herstellungsverfahren und Verwendung desselben.
KR101166888B1 (ko) 섬유합판 및 그 제조방법
PL200667B1 (pl) Sposób wytwarzania płyty oraz płyta
WO2022052444A1 (zh) 一种内嵌金属板的复合地板
KR100550584B1 (ko) 비닐, 섬유 및 부직포를 포함하는 성형재 및 그 제조 방법
CN202519971U (zh) 具有玻纤增强热塑性复合材料的网格芯玻纤增强建筑模板
CN202611177U (zh) 不饱和聚酯树脂环氧玻纤复合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