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629B1 - 건축용 바닥재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 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용 바닥재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629B1
KR100744629B1 KR1020060098802A KR20060098802A KR100744629B1 KR 100744629 B1 KR100744629 B1 KR 100744629B1 KR 1020060098802 A KR1020060098802 A KR 1020060098802A KR 20060098802 A KR20060098802 A KR 20060098802A KR 100744629 B1 KR100744629 B1 KR 100744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
weight
flo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주
Original Assignee
정석주
정구영
구융
이용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주, 정구영, 구융, 이용의 filed Critical 정석주
Priority to KR102006009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9J1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loor Finish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바닥재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점착 조성물은 부틸 고무 5.71중량% ~ 9.28중량%, 폴리이소프렌 0.71중량% ~ 3.57중량%, 폴리부텐 14.28중량% ~ 21.43중량%, 중탄 51.54중량% ~ 71.43중량%, 석유 하이드로카본 수지 0.071중량% ~ 7.14중량%, 카본 0.71중량% ~ 7.14중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점착 특성이 우수하며, 내열성 및 내한성, 내후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해가되는 화학물질의 발생이 없으며, 방음, 방진 및 방수 특성이 우수한 점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점착 조성물을 사용한 점착 구조물은 바닥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방음, 방진 및 방수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인체에 무해하며, 냄새가 없는 친 환경적이다.
바닥재, 점착 조성물, 점착 구조물, 부틸고무

Description

건축용 바닥재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 구조물{Adhesive agent for floor plate and adhesive structure using the ag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구조물의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구조물에 대해서 메쉬 구조물을 추가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방음 특성을 증대시킨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 2B, 2C : 점착 구조물 10 : 바닥재
20 : 점착층(제진층) 21 : 메쉬구조체
30 : 이형지 40 : 흡음층
50a, 50b : 필름층 60 : 바닥
본 발명은 건축용 바닥재 점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해, 무취하며, 방음, 방진 및 방수 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층간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온도 변화에 따른 점착성능의 변화가 없는 동시에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건축용 바닥재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바닥재는 마루판이나 PVC계열 타일, 욕실 등에 사용되는 타일 등을 들 수 있다.
마루판의 경우 최근 원목마루, 강화마루 및 합판마루로 구분된다. 원목마루는 원목층을 두껍게 한 것으로 인체에 유해 성분의 발생이 없으나 습기나 온도에 민감하며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으며, 별도의 방음 및 방음을 위한 쿠션 등이 바닥에 깔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강화마루는 목질섬유질과 첨가제를 합성하고, 고온, 고압으로 성형시킨 섬유판을 코어로 하고, 상층에는 천연무늬목을 멜라닌 수지로 함침한 모양지를 접착시키고, 하층에는 습기를 차단하기 위한 방습라미네이트층을 접착시킨 것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강화마루의 경우 표면의 모양지의 질감이 다른 바닥재에 비해서 떨어지며, 습도조절 능력이 적어 수분 및 열에 의해서 변형되기 쉽고 변형 후 복원력이 충분하지 못하며, 방음 및 방진 효과가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별도의 방음 및 방음을 위한 쿠션 등이 바닥에 깔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합판마루는 5~7겹의 합판을 엇갈리게 접하고 표면에 천연무늬목을 접착한 것으로, 원목마루의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수분 및 열에 의한 변형이 적고 가 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합판마루의 경우 바닥과의 접착을 위해서 접착제를 사용해야 한다. 한편, 최근에는 화학 성분인 포름알데히드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의한 새집 증후군의 발생 및 아파트 등에서 층간의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문제점이 널리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는 마루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경향에 따라서 최근에는 유해성분을 발생시키지 않는 핫멜트 점착제가 합판마루에 사용되고 있다. 특허 제10-0581218호는 핫멜트 점착제 조성물에 대해서 게시하고 있다. 종래의 핫멜트 점착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에티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조성물 중에서 선택된 열가소성 수지에 대해서, 점착부여수지, 오일, 왁스 등이 혼합 첨가된다.
상기 종래의 핫멜트 점착제는 주요 성분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다. 위에서 열거된 열가소성 수지는 그 자체로서 점착 성질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종래의 핫멜트 점착제는 점착성이 높지 않다. 그 결과 마루판을 바닥에 충분히 접착 유지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종래의 핫멜트 점착제를 사용하여 마루판을 바닥에 접착시킬 경우, 충분한 점착력이 필요한 곳에 대해서는 다른 접착제나 점착제를 추가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마루판 등을 바닥에 접착시킬 경우, 바닥을 구성하는 몰탈이나 콘크리트에 수분 함유율(함수율)이 높게 되면 접착제의 점착성이 떨어지거나 마루판이 휘기 때문에 수분이 증발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바닥재 중의 하나인 타일은 주로 욕실 등 방수가 필요한 바닥에 사용한다. 타일을 바닥에 점착시키는 경우, 종래에는 방수시트를 사용하여 방수처리를 한 후 점착제로서 공업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켰다. 이러한 종래의 타일 시공 방식은 시공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점착제로서 공업용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공업용 접착제로부터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 등 환경유해물질로 인해서 새집 증후군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자체로서 점착성질을 가지는 물질을 사용하여 점착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발생되지 않는 바닥재 점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체로서 방음 및 방진 특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층간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바닥재 점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체로서 방수 특성을 가짐으로써 욕실에 사용되는 바닥재를 별도의 방수처리 없이 접착시킬 수 있는 바닥재 점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점착특성이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후기성이 우수한 바닥재 점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위 특성을 가지는 점착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바닥재의 시공이 용이하고, 충분한 방음, 방진 및 방수 특성을 가지며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하며 냄새가 없는 친환경적인 점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열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건축용 바닥재 점착 조성물로서, 부틸 고무 5.71중량% ~ 9.28중량%, 폴리이소프렌 0.71중량% ~ 3.57중량%, 폴리부텐 14.28중량% ~ 21.43중량%, 중탄 51.54중량% ~ 71.43중량%, 석유 하이드로카본 수지 0.071중량% ~ 7.14중량%, 카본 0.71중량% ~ 7.14중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점착 특성이 우수하며, 내열성 및 내한성, 내후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해가되는 화학물질의 발생이 없으며, 방음, 방진 및 방수 특성이 우수하고, 냄새가 없는 점착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구조물은, 제1항에 기재된 바닥재 점착 조성물을 일정 두께로 형성한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서 시공이 간편하며 점착 조성물의 특징으로 인해서 바닥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구조물의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점착층의 내부에 격자 구조를 가지는 메쉬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쉬구조체는 전체적으로 점착층의 형상을 유지하며 아울러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점착층이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구조물은, 제1항에 기재된 바닥재 점착 조성물을 일정 두께로 형성한 상하부에 배치한 상하부 점착층과, 상기 상하부 점착층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하부 점착층에 둘러싸여 공기를 포함하고 있는 흡음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음층은, 흡음층 내에 포함된 공기에 의해서 방음 및 방진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건축용 바닥재 점착 조성물의 성분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조성물은 부틸 고무 5.71중량% ~ 9.28중량%, 폴리이소프렌 0.71중량% ~ 3.57중량%, 폴리부텐 14.28중량% ~ 21.43중량%, 충진제 51.54중량% ~ 71.43중량%, 석유 하이드로카본 수지 0.071중량% ~ 7.14중량%, 카본 0.71중량% ~ 7.14중량%으로 구성되어, 무해, 무취하며 방음, 방진 및 방수 특성이 우수한 성질을 가진다. 각각의 성분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틸 고무>
부틸 고무(Isobutylene-isoprene Rubber, 이하 설명의 편의상'부틸고무'라 한다)는 이소부틸렌과 소량의 이소프렌을 낮은 온도에서 액체상태로 이온 중합한 고무이다. 부틸고무는 기후의 변화에도 성질의 변화가 없으며 불포화결합이 적기 때문에 열에 강하다. 부틸고무는 고무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기절연성이 뛰어나고, 방수성이 좋다. 또한 부틸고무는 탄성이 작기 때문에 방진특성이 우수하다. 아울러 부틸고무는 -50℃ 정도의 낮은 온도에서도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경화과정에서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에폭시와는 달리 경화과정에서 인체에 해로운 포름알데히드가 생성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
또한 부틸고무는 공기투과율이 낮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서 바닥재의 하부에 위치할 경우 음을 차단하는 차음효과를 증대시킴으로써 점 착 조성물의 방음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부틸고무는 다른 고무와는 달리 자체 중량의 8배까지는 다른 물질을 충진시켜도 고무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고가인 부틸고무의 함유량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저가의 충진제의 함유량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점착 조성물의 전체적인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조성물의 경우, 부틸고무의 함유량은 전체 중량의 5.71중량% ~ 9.28중량%로 적은 양을 차지한다. 하지만 충진제의 양이 부틸고무의 양의 8배 이상이 되지 않기 때문에 부틸고무는 그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부틸고무를 5.71중량% 보다 적게 함유하는 경우 부틸고무가 고무의 특성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점착 조성물은 유연성이 저하되고 작은 인장력에도 쉽게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부틸고무가 9.28중량% 보다 많이 함유되는 경우에는 부틸고무가 고가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점착 조성물의 단가가 증가된다.
<폴리부텐>
본 발명의 점착 조성물 중 폴리부텐(Polybutene)은 점착 부여제이면서 가소제 역할을 한다. 특히 폴리부텐은 저온에서는 점착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점착 조성물이 저온에서도 점착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폴리부텐은 80℃미만에서도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이후 설명하는 다른 성분에 의해서 보완된다.
본 발명의 점착 조성물에서 폴리부텐은 14.28중량% ~ 21.43중량%이 함유된다. 폴리부텐은 점착 부여제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14.28중량% 보다 적은 양이 함유 될 경우에는 점착 조성물의 점착 특성을 저하시키기 되고, 또한 폴리부텐은 고온 특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21.43중량% 보다 많은 양을 함유할 경우에는 점착 조성물의 고온 특성을 저하시킨다. 즉 고온에서 점착특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점착 조성물이 액체상태로 흘러내리게 된다.
<충진제>
본 발명의 점착 조성물 중 충진제는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점착 조성물의 경도를 유지하는 물질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점착 조성물 중 부틸고무는 자체 중량의 8배 정도를 다른 물질로 충진시켜도 본래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충진제는 부틸고무의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고가의 부틸고무 대신에 단가가 저렴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충진제로서 중탄(칼슘카보네이트)을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점착 조성물의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중탄은 단가가 낮다는 이점 이외에도 점착 조성물의 응집력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점착 조성물의 내후성(오랫동안 점착 특성을 유지하는 성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아울러 중탄은 내부의 미세기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세기공의 내측에 점착 조성물을 함유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점착 조성물의 표면이 오염될 경우 부분적으로 닦아 내게 되면 미세 기공에 함유되어 있는 새로운 점착 조성물이 미세 기공의 외측으로 흘러나오게 되어 점착 특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점착 조성물의 반복 사용이 가능하다.
중탄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조성물의 전체 중량 중 51.54중량% ~ 71.43중량%를 차지한다. 중탄이 51.54중량% 보다 적은 양이 함유될 경우 다른 조성물이 추가되기 때문에 점착 조성물 전체의 단가가 상승하게 되며, 또한 중탄이 71.43중량% 보다 많은 양이 함유되어 부틸고무의 함유량의 8배 이상이 될 경우에는 부틸고무의 특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수지(석유 하이드로카본 수지)>
수지는 점착 조성물의 내열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고온에서도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점착 조성물을 반고체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물질이다. 수지로서는 석유 하이드로카본 수지를 사용한다. 석유 하이드로카본 수지는 120℃ 이상의 고온에서도 점착 조성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점착 조성물에서 석유 하이드로카본 수지는 0.071중량% ~ 7.14중량% 함유된다. 석유 하이드로카본 수지가 0.071중량% 보다 적은 양이 함유될 경우에는 점착 조성물의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7.14중량% 보다 많은 양이 함유될 경우에는 점착 조성물의 표면 경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점착 조성물의 방진 특성이 저하된다.
<카본>
카본(탄소)은 부틸고무의 분자간의 공유결합배열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부틸고무의 결합을 보다 안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일반적으로 부틸고무는 시간이 지날수록 그 특성이 저하되는데, 카본을 함유시킴으로써 분자 구조를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부틸고무의 특성을 장기간 유지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점착 조성물에서 카본은 0.071중량% ~ 7.14중량% 함유된다. 카보이 0.071중량% 보다 적은 양이 함유될 경우에는 부틸고무의 결합력을 저하되며, 7.14중량% 보다 많은 양이 함유될 경우에는 부틸고무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점착 조 성물의 표면 경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점착 조성물의 방진특성을 저하시킨다.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프렌(Poly isoprene)은 합성고무로서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점착 조성물의 견고함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경도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성질로 인해서 점착 조성물에 대해서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점착 조성물이 늘어나지 않고 끊어지도록 한다. 또한 폴리이소프렌의 경우 내열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점착 조성물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며, 180℃ ~ 200℃에서도 점착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점착 조성물에는 폴리이소프렌이 0.71중량% ~ 3.57중량%이다. 폴리이소프렌이 0.71중량%보다 작은 양을 함유할 경우에는 점착 조성물의 내열성이 저하되며, 또한 3.57중량%보다 많은 양을 함유할 경우에는 점착 조성물의 경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점착 조성물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는 롤러 등 장비에 과도한 부하를 주게 된다.
이상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점착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각 성분의 중량%는 다음과 같다.
부틸고무 8.86중량%
폴리부텐 17.86중량%
중탄 60.20중량%
수지 (석유 하이드로카본 수지) 6.65중량%
카본 4.29중량%
폴리이소프렌 2.14중량%
먼저, 부틸고무 8.86중량%, 폴리이소프렌 2.14중량% 및 카본 4.29중량%를 혼합기에 넣고 회전 로드로 저으면서 10분 정도 가압 배합시킨다. 부틸고무, 폴리이소프렌 및 카본이 혼합되면서 반응하여 열이 발생하게 되며 80℃ 내지 90℃로 증가하게 된다. 이후 함유량이 많은 폴리부텐 및 중탄을 각각 전체 중량의 50% 즉 폴리부텐을 8.93중량%, 중탄을 30.10중량% 혼합기에 넣고 5분정도 함께 혼합한다. 폴리부텐 및 중탄을 50%만 넣는 이유는 폴리부텐 및 중탄이 점착 조성물에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후 수지(석유 하이드로카본 수지)를 넣고 5분 정도 혼합한다. 수지(석유 하이드로카본 수지)는 고온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혼합물이 고온 상태에 있을 때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폴리부텐 및 중탄의 나머지 양을 넣고 혼합하여 약 100분간 혼합을 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조성물이 완성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점착 조성물에 대해서 접착력 시험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접착력 시험은 45도 각도의 경사를 가지는 구조물 표면에 점착 조성물을 바르고, 그 위에 쇠구슬을 이동시켜 이동 거리로서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바닥재의 접착력은 이동거리가 20mm 이내일 것을 요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조성물은 약 8.3mm의 이동거리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일반적인 바닥재 점착 조성물에 비해서 점착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조성물은, 이와 같이 점착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닥재를 바닥에 접착시킬 경우 종래의 열가소성 수지로 만들어진 핫멜트 점착제와 같이 별도의 접착제 사용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점착 조성물에 대한 내열성 실험에서, 본 발명의 점착 조성물은 140℃ 내지 150℃의 고온상태로 24시간 동안 유지하여도 점착 조성물이 흘러내리지 않았으며 점착 특성에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점착 조성물의 내한성 실험에 서, 본 발명의 점착 조성물은 -30℃의 저온에서 24시간 유지한 후 상온에서 4시간 방지하여도 점착 조성물의 점착 특성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바닥재에 사용될 경우 냉난방으로 인한 온도 변화에도 점착 특성이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바닥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점착 조성물의 방음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음원과 시험기 사이에 점착 조성물이 없을 경우 및 점착 조성물이 1mm 두께로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실험을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점착 조성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약 16dB 정도가 감소한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조성물은 아파트 등의 바닥재에 사용될 경우 층간 방음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부틸 고무는 특성상 탄성이 작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조성물은 방진 특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조성물은 아파트 등의 바닥재에 사용되는 경우 중량충격에 의해서 발생하는 층간 방음, 방진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조성물은 부틸고무의 특성상 방수성이 높기 때문에, 시공시 콘크리트나 몰탈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되며, 아울러 방수공사가 필요한 곳(욕실, 주방 등)의 타일 등의 바닥재에 사용하는 경우 별도의 방수공사나, 방수 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여 공사비와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부틸고무의 특성상 단가가 낮은 충진제(중탄)의 비율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생산 원가를 낮추는 등 경제적인 이점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조성물을 사용한 바닥재 점착 구조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구조물의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구조물에 대해서 메쉬 구조물을 추가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방음 특성을 증대시킨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구조물(2A)은 가장 간단한 형태로서 바닥재(10)의 하부에, 위에서 설명한 점착 조성물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한 점착층(20)을 포함한다. 점착 구조물(2A)의 점착층(20)을 구성하는 점착 조성물은 점착 특성이 좋기 때문에 바닥재의 하부에 자체의 접착력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아울러 점착층(20)의 하부에는 이형지(30)가 부착되어 시공시 이형지(30)를 벗겨낸 후 바닥재(10)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점착층(20)을 바닥에 접착시키는 작업만으로 시공이 완료되기 때문에 작업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도 2의 점착 구조물(2B)은 도 1의 점착 구조물(2A)의 점착층(20)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격자 구조를 가지는 메쉬 구조체(21)가 배치된다. 상기 메쉬 구조체(21)는 일정 두께의 면상의 판에 의해서 가로 세로방향으로 구획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메쉬 구조체(21)를 포함하는 점착 구조물(2B)은, 점착 조성물을 가공하고, 메쉬 구조체(21)에 대해서 가압 충진하여 점착층(20)과 일체로 형성된다. 메쉬구조체(21)는 각각의 격자 내에 존재하는 점착 조성물이 높은 하중을 받았을 때 격자외측으로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서 메쉬구조 체(21)는 점착층(20)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바닥재(10)의 상부에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압력에 의해서 눌려져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재(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의 점착 구조물(2C)은, 상하부에 상하부 점착층(20a, 20b)을 형성하고 중간에 공기를 포함하고 있는 흡음층(40)을 형성하여 흡음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층간 방음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상기 흡음층(40)은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일정한 배열을 가지는 복수개의 오목부(41)와 볼록부(42)가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엠보싱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오목부(41) 및 볼록부(42)가 형성하는 공간에 공기가 존재하게 된다. 공기는 밀도가 작기 때문에 흡음 및 차음효과가 높다. 상기 흡음층(40)은 상하부 점착층(20a, 20b)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으며, 각각의 점착층(20a, 20b)은 공기투과율이 낮은 부틸고무로 제작되기 때문에 공기가 통과될 수 없기 때문에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흡음층(40)은 도 3에 게시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내에서 상하부 점착층(20a, 20b) 내에 공기를 포함하며 이로 인해서 흡음 및 차음효과를 가지는 다른 구조로도 충분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층(40)의 내부에 있는 공간을 진공을 만들 수 있는데 이 경우 흡음층(40)의 상하부에 위치하는 상하부 점착층(20a, 20b)에 대해서 각각의 점착층(20a, 20b)의 사이에 점착층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필름층(50a, 50b)을 삽입할
수 있다. 필름층(50a, 50b)은 소정의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간에 존 재하는 흡음층(40)이 진공상태가 되더라도 오목부(41) 및 볼록부(42)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점착층(20a, 20b)이 빨려 들어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점착 구조물(2C)의 형상을 유지하게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점착 구조물(2B, 2C) 역시 최하부에는 이형지(30)를 부착시킨 상태로 제작되며 시공시 이형지(30) 만을 벗겨내고 바닥재에 부착된 점착 구조물을 바닥에 접착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한 이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구조물(2A, 2B, 2C)은 방음, 방진 및 방수효과가 크기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방음, 방진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도 4의 점착 구조물은 도 1 내지 도 3에 게시된 점착 구조물(2A, 2B, 2C) 중 하나의 점착 구조물이다. 상기 점착 구조물(2A, 2B, 2C)의 상부에는 커버층(50, 주로 EVA :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로 만들어짐)이 형성되어 있어 점착 구조물(2A, 2B, 2C)의 상면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원목 마루, 강화마루 등과 같이 바닥(60)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마루판(10)의 경우 방음 및 방진을 위해서 바닥(60)에 방음, 방진 쿠션을 깔게 되는데, 위 방음, 방진 쿠션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구조물(2A, 2B, 2C)을 사용하여 방음, 방진 및 방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조성물은 자체적으로 점착특성을 가지고 있는 부틸 고무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핫멜트 점착제와 비교하여 높은 점착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조성물은 뷰틸 고무의 특성상 고가의 뷰틸 고무의 함유량을 적게 할 수 있고 아울러 저가의 충진제의 양을 많이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조성물은 내열성 및 내한성이 우수하여 온도 변화에 따르는 점착 특성에 변화가 없기 때문에 바닥재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조성물은 인체에 해로운 화학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며 자체적으로 방음 및 방진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새집 증후군 예방이나 층간 방음을 위한 바닥재 접착용으로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조성물은 방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나 몰탈에 수분이 함유되어 있더라도 바닥재의 시공이 가능하며, 아울러 욕실 등 방수작업이 필요한 곳에 사용하는 타일 등을 바닥에 접착시킬 경우 별도의 방수공사를 하지 않아도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는 점착 조성물을 사용함에 있어서, 메쉬 구조체나 흡음층 구성을 추가함으로써 점착 구조물의 내후성 및 방음 효과를 보다 증대 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6)

  1. 건축용 바닥재 점착 조성물로서,
    부틸 고무 5.71중량% ~ 9.28중량%, 폴리이소프렌 0.71중량% ~ 3.57중량%, 폴리부텐 14.28중량% ~ 21.43중량%, 중탄 51.54중량% ~ 71.43중량%, 석유 하이드로카본 수지 0.071중량% ~ 7.14중량%, 카본 0.71중량% ~ 7.14중량%으로 구성되어 방음, 방진 및 방수 특성을 가지는 바닥재 점착 조성물.
  2. 제1항에 기재된 바닥재 점착 조성물을 일정 두께로 형성한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점착층의 내부에 격자 구조를 가지는 메쉬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구조물.
  4. 제1항에 기재된 바닥재 점착 조성물을 일정 두께로 형성한 상하부에 배치한 상하부 점착층과,
    상기 상하부 점착층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하부 점착층에 둘러싸여 공기를 포함하고 있는 흡음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층은 복수개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서로 번갈아 배치되는 엠보싱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구조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층의 내부는 진공상태이며, 상기 상하부 점착층은 그 내부에 삽입되어 점착층을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필름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구조물.
KR1020060098802A 2006-10-11 2006-10-11 건축용 바닥재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 구조물 KR100744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802A KR100744629B1 (ko) 2006-10-11 2006-10-11 건축용 바닥재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802A KR100744629B1 (ko) 2006-10-11 2006-10-11 건축용 바닥재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629B1 true KR100744629B1 (ko) 2007-08-02

Family

ID=3860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802A KR100744629B1 (ko) 2006-10-11 2006-10-11 건축용 바닥재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6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609B1 (ko) * 2009-04-08 2011-11-29 (주) 우성폴리텍 프리케스트 구조물의 누수방지 및 접합용 자착식 부틸고무테이프의 구조
KR101414748B1 (ko) 2012-03-29 2014-07-04 장성득 합성고무를 이용한 접착제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150133556A (ko) * 2014-05-20 2015-11-30 한폴 주식회사 부틸고무 조성물를 이용한 방진시트의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277A (ko) * 1990-10-31 1992-05-27 게리 리 그리스올드 포장도로 표지 재료
KR100563307B1 (ko) 2005-08-09 2006-03-27 (주)리포엘 건축용 바닥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277A (ko) * 1990-10-31 1992-05-27 게리 리 그리스올드 포장도로 표지 재료
KR100563307B1 (ko) 2005-08-09 2006-03-27 (주)리포엘 건축용 바닥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609B1 (ko) * 2009-04-08 2011-11-29 (주) 우성폴리텍 프리케스트 구조물의 누수방지 및 접합용 자착식 부틸고무테이프의 구조
KR101414748B1 (ko) 2012-03-29 2014-07-04 장성득 합성고무를 이용한 접착제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150133556A (ko) * 2014-05-20 2015-11-30 한폴 주식회사 부틸고무 조성물를 이용한 방진시트의 시공방법
KR101587929B1 (ko) 2014-05-20 2016-01-22 한폴 주식회사 부틸고무 조성물를 이용한 방진시트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5606B2 (ja) 音響増強システム
KR100632147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US10493736B2 (en) Underlay mat for floor coverings
US5956921A (en) Method for preparing flooring system having crack suppression and fracture resistance
MX2011002873A (es) Tapete y sistema acustico bituminoso multifuncional.
CA2899742C (en) Multi-layer acoustical flooring ti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1359386B2 (en) Floor element for forming a floor covering, a floor coverin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oor element
KR100744629B1 (ko) 건축용 바닥재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 구조물
KR100686211B1 (ko) 충격흡수용 차음재
AU2010246910A1 (en) Floor for a modular building
EP1721734B1 (en) Floor covering
KR20050082179A (ko) 뜬바닥 구조로 설치되는 방음 방진재
US200502145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sound transmission
KR20050090141A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저감용 수성 도막식 적층형 바닥재
KR20060127511A (ko)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시공방법
JPH11293810A (ja) 床下地材、床板および建築物の床構造
JPS6378961A (ja) 制振複合床材
KR200350960Y1 (ko) 뜬바닥 구조로 설치되는 방음 방진재
KR200387009Y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KR20090113031A (ko) 코르크 탄성층을 포함하는 층간 구조
KR0176006B1 (ko) 건축용 방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758794B1 (ko) 양생중 흡음재를 부착한 흡음재 일체형 무기질 보드 및이의 제조방법
DE202006000728U1 (de) Raumbegrenzungselement
KR200271105Y1 (ko) 폐타이어 고무칩을 이용한 바닥재
JP3583078B2 (ja) 床構成体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