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282B1 -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282B1
KR100743282B1 KR1020017005280A KR20017005280A KR100743282B1 KR 100743282 B1 KR100743282 B1 KR 100743282B1 KR 1020017005280 A KR1020017005280 A KR 1020017005280A KR 20017005280 A KR20017005280 A KR 20017005280A KR 100743282 B1 KR100743282 B1 KR 100743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transistor
resistance
parti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9365A (ko
Inventor
아이벨토마스
아르놀드시그프리드
튀링거피터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10089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CMODULATION
    • H03C1/00Amplitude modulation
    • H03C1/02Details
    • H03C1/06Modifications of modulator to reduce distortion, e.g. by feedback, and clearly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modul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3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for modulate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CMODULATION
    • H03C1/00Amplitude modulation
    • H03C1/36Amplitude modulation by means of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t least thre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CMODULATION
    • H03C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modulators or modulation methods covered by H03C
    • H03C2200/0037Functional aspects of modulators
    • H03C2200/0041Calibration of mod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nsmitters (AREA)
  • Amplitude Modulation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Amplifier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DA)를 트랜스폰더(2)로 전송하도록 제공된 통신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1)는 데이터(DA)를 전송하는 데이터 소스(5)와, 캐리어 신호(CS)를 발생하는 캐리어 신호 발생기(6)와, 상기 데이터(DA) 및 상기 캐리어 신호(CS)가 인가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DA)에 따라서 상기 캐리어 신호(CS)를 변조하고 변조된 캐리어 신호(CSM)를 입력 저항(9)을 갖는 전송 수단(8)에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변조 수단(7)을 포함하며, 상기 변조 수단(7)은 상기 전송 수단(8)의 상기 입력 저항(9)과 함께 저항 네트워크(11)를 형성하는 변화가능한 출력 저항(10)과, 상기 데이터(DA)에 따라서 상기 출력 저항(10)을 변화시키는 저항 변화 수단(25)을 갖는다.

Description

통신 장치{AMPLITUDE MODULATOR}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정의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통신 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어 상용화되었으며, 따라서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공지되어 있는 장치에서, 데이터 소스는 논리 1 및 0의 시퀀스 형태로 데이터를 변조 수단으로 전송한다. 또한, 캐리어 신호 발생기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고주파수 캐리어 신호가 상기 변조 수단에 공급된다. 상기 변조 수단은 상기 데이터에 따라서 캐리어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된 캐리어 신호를 변조 수단에 속해 있는 안테나 전류 드라이브(antenna current drive)로 전송한다. 상기 안테나 전류 드라이브는 고정된 이득을 갖는다. 상기 안테나 전류 드라이브는 또한 변조된 캐리어 신호를 왜곡하지 않도록 입력측에 고 입력 저항을 갖는다. 안테나 전류 드라이브는 출력측에, 통상적으로 수십 오옴의 안테나 전류 입력 저항을 통해 안테나 전류를 구동하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저 출력 저항을 갖는다.
상기 데이터 소스, 캐리어 신호 발생기 및 변조 수단은 집적 회로의 구성요 소의 일부로서 구현된다. 데이터를 10 cm까지 전송하도록 통신 장치를 설계하면, 안테나 전류 드라이브는 소실 전력이 두드러지기 때문에 집적 회로로부터 분리된 개별적으로 구성된 2단 C-증폭기(discretely built two-stage C-amplifier)로서 구현되며, 상기 증폭기를 이용하면, 통신 스테이션의 적절한 통신 전력이 쉽게 얻어질 수도 있다. 신뢰할 수 있는 동작을 위하여, 안테나 전류 드라이브는 또한 적절한 크기의 냉각 수단과 바람직하지 않은 온도 변화를 억제하는 안정화 수단을 더 갖는다.
상기 공지된 장치에서, 변조 수단으로 수행될 수 있는 변조는 진폭 변조의 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데이터에 따라서, 캐리어 신호의 진폭은 변화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동일한 이득을 갖는 두 개의 병렬로 배열된 버퍼 증폭기에 캐리어 주파수가 인가된다. 제 1 버퍼 증폭기는 제 1 공급 전압으로 구동되고, 제 2 버퍼 증폭기는 제 2 공급 전압으로 구동된다. 데이터에 의존하여 진폭 변조를 수행하기 위해, 제 1 버퍼 증폭기 또는 제 2 버퍼 증폭기가 안테나 전류 드라이브에 접속되며, 따라서, 증폭되는 캐리어 신호의 두 개의 상이한 증폭기가 시간 순차 방식으로 안테나 전류 드라이브의 입력측에 존재한다.
상기 제 1 버퍼 증폭기의 제 1 공급 전압은 고정되고, 제 2 공급 전압은 전압 값들을 통하여 발생되며, 이들 전압 값들은 EEPROM에 사전에 프로그램된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상이한 정도의 변조로 캐리어 신호의 진폭 변조를 구현한다.
두 개의 버퍼 증폭기를 사용하고 EEPROM에 사전에 프로그램된 전압 값들에 따라 제 2 공급 전압을 발생한다는 것은 공지된 통신 장치에서 상당한 수의 회로를 필요로 하여 비용이 증가하며, 변조의 정도를 변화시킬 가능성이 비교적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 드라이브를 다양한 안테나 회로에 적용하는 것은 어려우며 비용이 많이 든다. 안테나 드라이브를 필요한 전송 전력을 보장하도록 C 증폭기로서 설계하면, 통신 장치의 집적 회로의 추가의 구성요소들을 안테나 드라이브에 집적시키는데 방해가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러한 통신 장치와 관련하여, 흔히 변조 수단을 완전히 집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조 수단은 훨씬 더 단순한 디자인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문헌 US 4,529,950은 수개의 진폭 레벨에서 변조된 변조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변조기를 개시하고 있으며, 그와 같은 변조 신호는 정확하게 중심으로 집중되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저 주파수 스펙트럼 성분을 갖지 않는다. 디지털 변조기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2개의 액세스를 갖는 입력과, 2개의 액세스에 접속된 2개의 입력 및 코드 변환기 디지털 데이터를 공급하는 2개의 출력을 갖는 코드 변환 회로와, 위상 제어 입력 및 캐리어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의 값의 함수로서 공급하는 출력을 갖는 캐리어 발생기와, 2개의 단을 갖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하고, 그러한 2개의 단 중 제 1 단은 각각 2개의 입력 및 하나의 출력을 갖는 2개의 논리 게이트에 의해 형성되며, 그것의 제 1 입력은 코드 변환 회로의 출력에 접속되고 제 2 입력은 발생기의 출력에 접속되며, 제 2 단은 2개의 트랜지스터에 의해 형성되고, 그러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논리 게이트의 출력에 접속되며, 값 3R 및 R의 2개의 부하 저항기를 통해, 제 1 공급 라인에 대한 콜렉터는 전위 Vcc로 상승되고, 제 2 공급 라인에 대한 에미터는 전위 VEE로 상승되며, 디지털 변조기는 제 1 라인에 접속된 정합된 부하 라인에 의해 구성된 출력을 포함한다.
캐리어 발생기는 구형파(square-wave) 신호를 공급하며, 구형파의 주파수는 캐리어 주파수이고, 그 위상은 0 또는 p이며, 이것은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가 1 또는 0과 동일한지의 여부의 함수이다. 코드 변환 회로는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에 근거하여 정의된 코드 변환기 디지털 데이터를 공급한다.
트랜지스터의 부하 저항기의 상이한 값들로 인해, 디지털 변조기에서의 2개의 가능한 진폭 레벨은 부하 저항기의 상이한 값들의 비율로 된다.
또한, 디지털 변조기는 변환기의 제 1 단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논리 게이트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게이트는 변환기의 제 2 단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트랜지스터 뿐만 아니라, 코드 변환 회로의 출력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된 입력 및 출력을 가지며, 상기 트랜지스터는 보조 게이트의 출력에 접속된 베이스와, 제 1 공급 라인에 접속된 콜렉터와, 적절한 값의 저항기에 의해 제 2 공급 라인에 접속된 에미터를 가짐으로써, 변조된 출력 전압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보상 회로는 그의 평균값의 변위를 초래하여, 후자가 다른 전압들의 평균값의 레벨로 되도록 하며, 그 후, 변조된 출력 신호가, 상이한 위상 및 진폭을 가지며, 모두 공통의 평균값에 중심을 갖는 전압들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정의된 유형의 통신 장치와 관련된 문제점을 회피하고, 훨씬 더 단순한 구성의 변조 수단을 포함하며 완전히 집적화될 수 있는 개선된 통신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유형의 통신 장치는 청구항 1의 특징부에 따른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특징 및 청구항 1에 청구된 특징을 제공함으로써, 단순화된 변조 수단이 바람직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점에 있어서, 캐리어 신호의 진폭을 변조하기 위해 변조 수단의 출력 저항을 가변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주 바람직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가변적인 출력 저항의 값을 낮은 값의 범위로 하면, 변조 수단의 입력 저항에 상기 변조된 캐리어 신호를 증폭하지 않고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따라서, 증폭기 형태의 상당한 전력 손실원(source of considerable power loss)이 생략되므로, 변조 수단의 완전한 집적이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전력 손실원의 생략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은 온도 변화에 대한 냉각 수단 및 안정화 수단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 및 청구항 1에 따른 특징에 의해 두 번째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인 통신 장치가 훨씬 더 간단한 구조의 변조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본 발명 및 청구항 2의 특징은 두 개의 부분 저항으로 얻어질 수도 있는데, 가변 출력 저항이, 두 개의 부분 저항을 스위칭 수단에 의해 결합함으로서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결합은 단지 스위칭 처리만을 요구하므로, 간단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이점은 상기 결합에 의해 얻어지는데, 두 개의 부분 저항의 제 1 조합으로 예를 들어, 전송 수단으로 전송될 수 있는 변조된 캐리어 신호의 제 1 진폭이 얻어질 수 있고, 두 부분 저항의 제 2 조합으로 예를 들어, 전송 수단으로 전송될 수 있는 변조된 캐리어 신호의 제 2 진폭이 얻어질 수 있다.
두 개의 부분 저항의 결합은 기본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 회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 및 청구항 3에 따른 특징이 특히 이로운 것으로 나타났는데, 왜냐하면, 스위칭 수단이 직렬 회로로 두 개의 부분 저항을 결합하도록 제공되는 경우보다, 두 개의 부분 저항을 병렬 회로로 결합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두 개의 부분 저항의 조합의 기술적 구현을 훨씬 더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점은 본 발명 및 청구항 3에 따른 특징을 제공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는 두 개의 부분 저항의 소정의 저항 값으로 두 개의 부분 저항을 병렬 회로로 결합하면, 출력 저항의 저항 값을 두 개의 부분 저항기의 더 큰 저항 값의 저항 값보다 작게 감소시키며, 따라서 두 개의 부분 저항을 직렬 회로로 결합하는 경우에 비하여, 훨씬 더 높은 전송 전력이 전송 수단의 입력 저항으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 및 청구항 3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두 개의 부분 저항 중 적어도 하나는 턴온 상태에서 다른 부분 저항에 병렬로 접속된 기본 저항기를 형성하는 트랜지스터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 및 청구항 4에 따른 특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트랜지스터는 전압 또는 전류에 의해 간단한 방법으로 구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에서 구동기는 예를 들면, TTL 기술에서 출력 측에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갖는 구동기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정의 온도 계수에 의해 손상되는 전도도를 갖는다. 따라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과열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보상 회로가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구동기는 출력측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갖는 MOS 기술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항을 형성하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부분 저항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 양호한데, 그 이유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형성되며 다른 부분 저항과 결합될 수 있는 기본 저항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기본적인 물리적 성질이 이용된다는 점에 있어서 간단한 방법으로 구현되기 때문이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사용될 때, 보상 회로는 생략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간단한 병렬 회로가 만들어질 수 있다. 청구항 5의 특징에 따르면, 구동기를 CMOS 구동기로서 구현하면 아주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는데, 이는 CMOS 기술의 이용은 현재의 비용 효과적인 기술을 이용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CMOS 구동기는 그 출력측에 두 개의 상보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이는 부분 저항을 결합하는 유연한 방식으로 양호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다른 이점이 얻어진다.
본 발명 및 청구항 6에 따른 특징은, 두 개의 부분 저항 중 적어도 하나가 두 개의 부분 저항을 결합하는 것에 의존하여 변할 수 있을 때, 캐리어 신호의 진폭 변조동안 제 1 진폭 또는 제 2 진폭이 서로에 관계없이 변화될 수 있거나 또는 두 개의 진폭이 서로에 의존하여 변화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들 진폭들의 함수로서 정의된 변조된 캐리어 신호의 변조의 정도는 출력 저항의 저항 값을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요건에 맞도록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변조 수단은, 변조 수단의 변화가능한 출력저항을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변조된 캐리어 신호의 변조의 정도에 대하여 정확하고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정도는 캐리어 신호의 진폭 변조 동안 발생된다. 이 점에 있어서, 소정 정도의 변조 및 상기 정도의 변조의 소정의 허용범위로, 전송 수단에 의해 발생된 전송 신호의 출력 전력의 아주 유연한 변화가,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항이 변화할 수 있는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진폭 변조 동안 스펙트럼의 측파대에 위치한 전송된 전송 신호의 전력에 대한 통신 범위(postal limits)가 양호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 및 청구항 6에 따른 특징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방법으로 변조 수단의 출력 저항이 간단하고 양호한 방식으로 전송 수단의 입력 저항에 맞도록 조정될 수 있다는 다른 이점이 얻어진다. 이런 방법으로, 상이한 입력 저항 내의 저항 값 및 전력 값이 비교적 간단히 조정될 수 있으며, 동시에 요구되는 정도의 변조가 계속해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 및 청구항 7에 따른 특징으로 제공함으로써, 변화가능한 부분 저항이 양호한 방식으로 생성되는데, 왜냐하면, 스위칭가능한 구동기를 스위칭 온 또는 스위칭 오프하는 것이 디지털 신호에 의해 직접 제어될 수 있어, 훨씬 단순화된 진폭 변조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 및 청구항 8에 따른 특징으로 제공함으로써, 상이한 기본 저항을 갖는 각각의 스위칭가능한 구동기를 스위칭 온 및 오프로 함으로써, 저항 값에 있어서, 넓은 범위에 걸쳐서 변경될 수 있고 아주 효율적으로 또한 비용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부분 저항이 구현된다는 이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 및 청구항 9에 따른 특징으로 제공함으로써, 부분 저항을 형성하며 공통 상보형 트랜지스터를 갖는 병렬 구성의 구동기 그룹으로, 많은 구동기들이 있는 경우 특히 상당한 비용 절감을 가져오는 이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 및 청구항 10에 따른 특징으로 제공함으로써, 집적 회로의 회로 설계가 훨씬 간단하고 공간 절약적이며 비용 효과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이점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구동기는 표준화된 기술에서 변조 수단의 모든 다른 성분들로 간단히 구현될수 있으며, 단일 설계 및 제조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이용가능한 자원을 아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집적 회로 제조에 경쟁력을 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들 및 다른 특징들은 후술하는 여섯 개의 실시예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이들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현 상황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에 필수적인 부분을 블록도 방식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도 1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도 1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도 1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도 1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를 도 1과 유사한 방식으로 도시한 도면.
도 1은 통신 장치(1)를 블록도의 형태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해 데이터(DA)가 트랜스폰더(2)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 장치(1)는, 논리 시스템의 일부로서 배치되어 그라운드(G)에 대해 공급 전압(V)을 전송하기 위해 제공되는 전압 공급 수단(3)을 포함한다. 공급 전압(V)은 전기 회로(4)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통신 장치(1)는 데이터(DA)를 전송하기 위해 제공되는 데이터 소스(5)를 포함한다. 데이터 소스는 통신 장치(1) 외부의 컴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데이터로서 디지털 정보 신호가 인가될 수 있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의 일부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처리 속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신호는 논리 1 및 0의 병렬 표현으로서 발생하며, 데이터 소스(5)에서 논리 1 및 0의 직렬 표현으로 변환된다. 직렬 표현은 코딩되며, 그 다음에 전송 데이터(DA)가 수신되어 선택된 코딩에 따라서 발생된 1 및 0의 직렬 시퀀스를 형성한다.
통신 장치(1)는 캐리어 신호(CS)를 발생하여 캐리어 신호(CS)를 전송하기 위해 제공되는 캐리어 신호 발생기(6)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1)에서, 캐리어 신호(CS)는 13.56 MHz의 주파수를 갖는다.
통신 장치(1)는 한편으로는 캐리어 신호(CS)가 다른 한편으로는 데이터(DA)가 인가될 수 있는 변조 수단(7)을 포함한다. 변조 수단(7)은 데이터(DA)에 따라서 캐리어 신호(CS)를 변조하도록 제공되며, 캐리어 신호(CS)는 상기 변조 동안 진폭 변조된다. 따라서, 캐리어 신호(CS)의 진폭은 데이터(DA)에 따라서 변화되며, 따라서 변조된 캐리어 신호가 발생된다. 변조 수단(7)은 변조된 캐리어 신호를, 따라서 진폭 변조된 캐리어 신호(CSM)를 전송하도록 제공된다.
진폭 변조된 캐리어 신호(CSM)는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진폭을 가지며, 본 경우에는 캐리어 진폭을 제 1 진폭이라고 하고, 변조 진폭을 제 2 진폭이라 한다. 통상적으로, 캐리어 진폭은 변조 진폭보다 더 크며, 따라서, 두 진폭을 이용하여 정의 변조 정도가 계산될 수 있다. 변조의 정도는 항상 백분율로 표시되며, 캐리어 진폭 및 변조 진폭의 일치는 0 퍼센트 정도의 변조에 대응하고, 캐리어 진폭에 비해 극소의 변조 진폭은 100 퍼센트 정도의 변조에 대응한다. 캐리어 진폭이 변조 진폭보다 작은 경우는 부의 변조 정도라고 한다.
통신 장치(1)는 전송 코일을 포함하는 발진 회로로서 구성되어 있는 전송 수단(8)을 포함한다(발진 회로 및 전송 코일은 도시되지 않음). 캐리어 신호 주파수(CS)에서, 전송 수단(8)은 일반적으로 일정한 입력 저항(9)을 갖는다. 진폭 변조된 캐리어 신호(CSM)는 변조 수단(7)에 의해 전송 수단(8)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변조 수단(7)은 출력 저항(10)을 가지며, 상기 출력 저항(10)은 전송 수단(8)의 입력 저항(9)과 함께 저항기 네트워크(11)를 형성한다. 캐리어 신호(CS)의 제 1 반주기(half period) 동안, 발진 회로는 저항기 네트워크(11)에 의해 출력 저항(10)을 통하여 공급 전압(V)에 접속되며, 충전 전류가 출력 저항(10)을 통해 흘러 발진 회로가 충전되도록 한다. 캐리어 신호(CS)의 제 2 반주기 동안, 발진 회로는 저항기 네트워크(11)에 의해 출력 저항(10)을 통해 그라운드(G)에 접속되며, 방전 전류가 출력 저항(10)을 통해 흘러 발진 회로가 방전되도록 한다. 충전 전류와 방전 전류간의 스위칭에 의해, 발진 회로는 캐리어 신호(CS)의 주파수로 충전 및 방전되며, 따라서 발진 회로가 발진하도록 트리거되고 발진 자기장이 전송 코일의 근방에 유도된다. 자기장은 전류의 변화의 세기에 비례하는 자기장 진폭을 갖는다. 전송 수단(8)의 입력 저항(9)이 일정하면, 전류의 세기는 변조 수단(7)의 출력 저항(10)에 의해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1)에서, 변조 수단(7)의 출력 저항(10)은 가변적으로 양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변화가능한 출력 저항(10)에 의해, 전류 변화의 상이한 세기가 발생될 수 있다.
변조 수단(7)의 변화가능하게 구성된 출력 저항(10)은 제 1 부분 저항(12A) 및 제 2 부분 저항(12B)으로부터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1)는 두 개의 부분 저항을 결합하는 스위칭 수단(SM)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수단(SM)은 두 개의 부분 저항을 병렬로 접속하도록 제공된다.
제 1 부분 저항(12A)은 제 1 저항기(13) 및 제 2 저항기(14), 제 1 스위치(15) 및 제 2 스위치(16)로 형성된다. 공급 전압(V)은 제 1 스위치(15)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제 1 저항기(13)에 접속된다. 제 1 스위치에는 제 2 스위치(16)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제 2 스위치에는 제 2 저항기(14)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저항기(14)는 또한 그라운드(G)에 접속된다. 제 1 스위치(15)와 제 2 스위치(16) 사이에는 접속점(A)이 있다.
제 2 부분 저항(12B)은 제 3 저항기(17) 및 제 4 저항기(18), 제 3 스위치(19) 및 제 4 스위치(20)로 형성된다. 공급 전압(V)에는 제 3 저항기(17)가 접속되며, 상기 제 3 저항기에는 제 3 스위치가 직렬로 접속된다. 제 3 스위치(19)에는 제 4 스위치(20)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제 4 스위치(20)에는 제 4 저항기(18)가 직렬로 접속된다. 제 4 저항기(18)는 또한 그라운드(G)에 접속된다. 제 3 스위치(19)와 제 4 스위치(20) 사이에는, 한편으로는 접속점(A)에 접속되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전송 수단(8)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점(B)이 있다.
스위칭 수단(SM)은 제 1 스위치(15)와 제 2 스위치(16), 제 3 스위치(19) 및 제 4 스위치(20)의 형태로 존재한다. 스위치(15, 16, 19, 20)는 전기 스위치로 형성된다. 제 1 스위치(15)는 제 1 메이크 접점(make contact)(22)을 가지며, 제 3 스위치(19)는 제 3 메이크 접점(23)을 가지며 제 4 스위치(20)는 제 4 메이크 접점(24)을 갖는다. 각각의 메이크 접점(21, 22, 23, 24)은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유휴(idle) 상태에서 개방되고 작동 상태에서 폐쇄된다. 메이크 접점(21, 22, 23, 24)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제 1 제어 신호(C1)는 제 1 메이크 접점(21)에 공급되고, 제 2 제어 신호(C2)는 제 2 메이크 접점(22)으로 공급되며, 제 3 제어 신호(C3)는 제 3 메이크 접점(23)에 공급되고 제 4 제어 신호(C4)는 제 4 메이크 접점(24)에 공급된다. 제어 신호(C1, C2, C3,C4)는 비활성 상태 또는 활성 상태를 취할 수도 있다. 제어 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가 활성 상태를 취하면, 각각의 메이크 접점은 작동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1)는 데이터(DA)에 따라서 변조 수단(7)의 변화가능한 출력 저항(10)을 변화시키는 저항 변화 수단(25)을 포함한다. 저항 변화 수단(25)은 캐리어 신호(CS)를 수신하고 데이터(DA)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저항 변화 수단(25)은 데이터(DA) 및 캐리어 신호(CS)로부터 제어 신호(C1, C2, C3, C4)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 신호(C1, C2, C3, C4)를 전송하도록 제공된다. 캐리어 신호(CS) 및 데이터(DA)로부터 제어 신호(C1, C2, C3, C4)를 발생하는 것은 저항 변화 수단(25)에 포함된 논리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통신 장치(1)에서 발생한다.
출력 저항(10)을 변화시키는데 제공된 변화가능한 출력 저항(10) 및 저항 변화 수단(25)에 의해 본 경우에 있어서 양호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변조 수단(7)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하기에는 일실시예를 이용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진폭 변조는 정의 정도의 변조를 갖는 진폭 변조라고 가정한다. 또한, 캐리어 신호(CS)의 변조는 데이터(DA)에 따라서 변조 수단(7)에 의해 이루어지며, 따라서 데이터(DA)에서 논리 0의 경우 캐리어 진폭이 발생되고 데이터(DA)에서 논리 1의 경우에 변조 진폭이 발생된다고 가정한다.
캐리어 진폭을 발생하기 위해, 저항 변화 수단(25)은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제 1 제어 신호(C1) 및 제 3 제어 신호(C3)는 동시에 활성 상태가 되고, 제 2 제어 신호(C2) 및 제 4 제어 신호(C4)는 동시에 비활성 상태가 된다. 이것은 제 1 부분 저항(12A)의 제 1 저항기(13)와 제 2 부분 저항(12B)의 제 3 저항기(17)의 병렬 회로 형태인 제 1 출력 저항을 형성한다. 제 1 저항은 제 1 충전 전류를 가능하게 한다. 캐리어 신호(CS)의 반주기 후에, 저항 변화 수단(25)에서 제 1 상태 변화가 발생하며, 따라서 제 1 제어 신호(C1) 및 제 3 제어 신호(C3)는 활성 상태에서 비활성 상태로 변화하는 반면에 제 2 제어 신호(C2) 및 제 4 제어 신호(C4)는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변화한다. 이것은 제 1 부분 저항(12A)의 제 2 저항기(14)와 제 2 부분 저항(12B)의 제 4 저항기(18)의 병렬 회로의 형태인 제 2 출력 저항을 형성한다. 제 2 출력 저항은 제 1 충전 전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 1 제어 신호(C1) 및 제 3 제어 신호(C3)와, 제 2 제어 신호(C2) 및 제 4 제어 신호(C4)에 있어서, 비활성 상태와 활성 상태 사이의 제 1 상태 변화가 교대로 일어나며, 이 때문에 제 1 충전 전류와 제 1 방전 전류 사이의 스위칭이 교대로 이루어진다. 제 1 출력 저항 및 제 2 출력 저항에 의해 제 1 충전 전류의 최대값과 제 1 방전 전류의 최대값에 도달하며, 이들 최대값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진폭 발생 조건를 만족시킨다.
변조 진폭을 발생하기 위하여, 저항 변화 수단(7)은 제어 신호(C1, C2, C3, C4)를 발생하며, 동시에 제 1 제어 신호(C1)가 활성 상태로 되고, 제 2 제어 신호(C2)가 비활성 상태로 되는 반면에, 제 3 제어 신호(C3) 및 제 R 제어 신호(C4)는 비활성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 3 출력 저항은 제 1 저항기(13) 및 제 1 부분 저항(12A)으로 형성된다. 제 3 출력 저항은 제 2 충전 전류를 가능하게 한다. 캐리어 신호(CS)의 반주기 다음에, 저항 변화 수단(25)에 제 2 상태 변화가 발생하고, 따라서 제1 제어 신호(C1)는 활성 상태로 변화하고 제 2 제어 신호(C2)는 활성 상태로 변화하는 반면에, 제 3 제어 신호(C3) 및 제 4 제어 신호(C4)의 상태는 유지된다. 따라서 제 4 출력 저항은 제 1 부분 저항의 제 2 저항기(14)로 형성된다. 제 4 출력 저항은 제 2 방전 전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 1 제어 신호(C1) 및 제 2 제어 신호(C2)에 있어서, 비활성 상태와 활성 상태 간의 변화가 교대로 발생하여, 제 2 충전 전류와 제 2 방전 전류 간의 변화를 교대로 발생시킨다.
오옴의 법칙에 따르면, 한편으로는, 제 2 충전 전류가 제 1 충전 전류보다 작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 2 방전 전류가 제 1 방전 전류보다 작다. 결국, 진폭 변조된 캐리어 신호(CSM)의 변조 진폭에 의한 자기장 진폭이 진폭 변조된 캐리어 신호(CSM)의 캐리어 진폭에 의한 자기장 진폭보다 더 작다.
변화가능한 출력 저항(10) 및 저항 변화 수단(25)을 제공함으로써, 캐리어 신호(CS)는 데이터(DA)에 따라 단순히 변조될 수 있다. 따라서, 본래 단순화된 변조 수단(7)이 제공되므로, 비용면에서 효율적인 통신 장치(1)가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저항 변화 수단(25)을 이용하면, 변화가능한 출력 저항이 저항 변화 수단(25)에 포함된 논리 회로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제 1 부분 저항(12A) 및 제 2 부분 저항(12B)으로부터 변화가능한 출력 저항(10)을 결합하고, 두 개의 부분 저항(12A, 12B)의 결합을 위하여 스위칭 수단(15, 16, 19, 20)을 제공하는 것은 아주 유익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스위칭 수단(15, 16, 19, 20)은 본 경우에 있어서, 두 개의 병렬 저항(12A, 12B)을 병렬로 접속하는데 양호하게 제공되는데, 병렬 연결은 회로에 지출되는 비용을 최소로 하기 때문이다. 또한, 두 개의 부분 저항(12A, 12B)을 병렬 연결하면, 상기 두 개의 부분 저항의 병렬 연결이 낮은 공칭(nominal) 출력 저항이 발생하도록 하기 때문에, 전송 수단의 입력 저항 상에 항상 높은 공칭 전송 전력이 발생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장치(1)와 유사한 통신 장치(1)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통신 장치(1)는 데이터 소스(5)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소스는 데이터(DA) 및 조합 정보(CI)를 전송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조합 정보는 제어 신호(C3, C4)의 제 1 조합, 제 2 조합 및 제 3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이한 진폭 값, 즉, 제 1 조합에 따른 제 1 진폭 값, 제 2 조합에 따른 제 2 진폭 값 및 제 3 조합에 따른 제 3 진폭 값이 변조 진폭 발생 동안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제어 신호(C3, C4)는 조합 정보(CI)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통신 장치(1)는 캐리어 신호(CS) 및 데이터(DA) 외에 조합 정보(CI)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저항 변화 수단(25)을 포함한다. 출력 저항(10)의 제 1 부분 저항(12A)은 제 2 저항기(14) 및 제 2 스위치(16)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제 3 저항기(17)는 메인부에 접속된다. 이런 방법으로, 제 3 저항기(17)는 제 3 스위치(19)에 직렬로 접속된다. 그러나, 제 3 저항기(17) 및 제 3 스위치(19)는 제 4 스위치(20) 및 제 4 저항기(18)를 갖는 병렬 회로 내에 포함된다. 상기 병렬 조합은 제 2 부분 저항(12B)을 형성한다. 상기 병렬 조합을 이용하면, 본 실시예의 제 2 부분 저항(12B)은 변화될 수 있다.
변조 수단(7)의 기능은 제 2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의 가정은 여기서도 유효하다.
저항 변화 수단(25)은, 논리 0이 데이터(DA)에 나타날 때, 캐리어 진폭이 발생되어 조합 정보(CI)가 캐리어 진폭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 저항기(14), 제 3 저항기(17) 및 제 4 저항기(18)는 상이한 값을 갖는다.
저항 변화 수단(25)은 또한 제 2 제어 신호(C2)가 항상 제 1 제어 신호(CI)에 대해 반전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제어 신호(C1)는 캐리어 신호(CS)의 제 1 반주기 동안에 활성 상태로 되고, 제 2 제어 신호(C2)는 비할성 상태로 되며, 제 1 제어 신호(C1)는 제 2 반주기 동안 비활성 상태로 되고 제 2 제어 신호(C2)는 활성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 1 반주기 동안 제 1 출력 저항은 제 1 저항기(13)에 의해 형성되며, 이 경우 상기 제 1 저항기는 변화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캐리어 진폭을 발생하기 위하여, 저항 변화 수단(25)은 제어 신호(C3, C4)를 발생하며, 제어 신호(C3)의 상태와 제어 신호(C4)의 상태는 제어 신호(C2)의 상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출력 저항은 제 1 반주기 동안 형성되는 반면에, 제 2 출력 저항은 제 2 반주기 동안 제 2 저항기(14), 제 3 저항기(17) 및 제 4 저항기(18)의 병렬연결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충전 전류와 제 1 방전 전류 간에는 교대로 스위칭(switching)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방전 전류는 최대값을 취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진폭을 발생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시킨다.
변조 진폭을 발생하기 위하여, 저항 변화 수단(25)은 조합 정보(CI)에 따라서 제어 신호(C3, C4)를 발생한다. 제 1 조합에 따르면, 제어 신호(C3, C4)는 제 1 반주기와 제 2 반주기 동안 비활성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 2 반주기 동안, 제 2 출력 저항이 제 2 저항기(14)에 의해 형성되며, 최소값을 취하는 제 2 방전 전류가 발생한다. 상기 최소값을 위하여, 변조 진폭의 최소의 가능한 진폭 값인 제 1 진폭 값이 발생한다. 제 2 조합에 따르면, 제 3 제어 신호(C3)는 제 2 제어 신호(C2)와 동일한 상태를 갖는 반면에, 제 4 제어 신호(C4)는 비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제 2 반주기 동안 제 3 출력 저항은 제 2 저항기(14)와 제 3 저항기(17)의 병렬 회로로 형성되며,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제 1 값을 취하는, 제 2 진폭 값에 대응하는 제 2 방전 전류가 발생한다. 제 3 조합에 따르면, 제 4 제어 신호(C4)는 제 2 제어 신호(C2)와 동일 상태를 갖는 반면에, 제 3 제어 신호(C3)는 비활성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면, 제 2 반주기 동안 제 3 출력 저항은 제 2 저항기(14) 및 제 4 저항기(18)의 병렬 조합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제 2 값을 취하는, 제 3 진폭 값에 대응하는 제 4 방전 전류가 발생한다.
제 2 부분 저항(12B)이 변화가능하므로, 변조 진폭이 발생되면 이 경우 세 개의 상이한 출력 저항이 발생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으로는, 예를 들어 소정의 변조 진폭에 있어서, 출력 저항(10)은 저항 변화 수단(25)에 의해 전송 수단(8)의 입력 저항(9)에 맞도록 간단히 조절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전송 전력 전송을 얻을 수 있다. 반면에, 예를 들어 진폭 변조의 경우, 그 동안 이미 조절된 출력 저항(10)이 존재하기 때문에, 세 개의 상이한 변조 진폭이 저항 변화 수단(25)에 의해 마찬가지로 간단히 발생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장치(1)와 유사한 통신 장치(1)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통신 장치(1)는 제 1 구동기(26)에 의해 구현되는 제 1 부분 저항(12A)을 포함한다.
제 1 구동기(26)는 입력측에 제 1 구동기 데이터 입력(31) 및 제 1 구동기 인에이블(enable) 입력(31)을 갖는다. 제 1 구동기(26)의 제 1 입력 논리(30)는 제 1 구동기 데이터 입력(31) 및 제 1 구동기 인에이블 입력(32)에 접속된다. 제 1 구동기 데이터 입력(31), 제 1 구동기 인에이블 입력(32),제 1 입력 논리(30)는 저항 변화 수단(25)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 1 구동기 데이터 입력(31)에는 캐리어 신호(CS)가 인가될 수 있다. 제 1 구동기 인에이블 입력(32)에는 제 1 인에이블 신호(E1)가 인가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인에이블 신호(E1)는 두 개의 상태, 즉, 인에이블 상태 또는 차단(blocking) 상태를 채택할 수 있다. 제 1 입력 논리(30)는 제 1 제어 신호(C1) 및 제 2 제어 신호(C2)를 발생하여 전송하기 위해 제공된 다. 제 1 입력 논리(30)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도록 구성되며, 제 1 인에이블 신호(E1)의 인에이블 상태의 경우, 제 1 제어 신호(C1)는 캐리어 신호(C2)의 제 1 반주기 동안 활성 상태를 가지며, 동시에 제 2 제어 신호(C2)는 비활성 상태를 갖는다. 캐리어 신호(CS)의 제 2 반주기 동안, 제 1 제어 신호(C1)는 비활성 상태를 가지며, 동시에 제 2 제어 신호(C2)는 활성 상태를 갖는다. 한편, 제 1 인에이블 신호(E1)가 차단되면, 제 1 제어 신호 및 제 2 제어 신호는 비활성 상태를 갖는다.
제 1 구동기(26)는 출력측에 제 1 트랜지스터(28)를 갖는다. 제 1 트랜지스터(28)는 제 1 트랜지스터 출력 단자(28D)를 통하여 공급 전압(V)에 접속된다. 또한, 제 1 트랜지스터(28)는 제 2 트랜지스터 출력 단자(28S)를 통하여 제 1 구동기(26)의 출력을 형성하는 접속점(A)에 접속된다. 제 1 트랜지스터(28)는 제 1 제어 전극(28G)을 가지며, 상기 제어 전극에 의해 제 1 트랜지스터(28)는 스위치 동작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 1 제어 전극(28G)은 제 1 제어 신호(C1)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제 1 트랜지스터(28)는 제 1 제어 신호(C1)가 활성 상태로 될 때 턴온되고, 제 1 제어 신호(C1)가 비활성 상태로 될 때 턴오프된다.
제 1 구동기(26)는 출력측에 제 2 트랜지스터(29)를 갖는다. 제 2 트랜지스터는 제 3 트랜지스터 출력 단자(29D)를 통하여 접속점(A)에 접속된다. 또한, 제 2 트랜지스터(29)는 제 4 트랜지스터 출력 단자(2S)를 통하여 그라운드(G)에 접속된다. 제 2 트랜지스터(29)는 제 2 제어 전극(29G)을 가지며, 상기 제 2 제어 전극에 의해 제 2 트랜지스터(29)는 스위치 동작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 2 제어 전극(29G)은 제 2 제어 신호(C2)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제어 트랜지스터(29)는 제 2 제어 신호(C2)가 활성 상태로 될 때 턴온되고, 제 2 제어 신호(C2)가 비활성 상태로 될 때 턴오프된다.
통신 장치(1)는 제 2 구동기(27)에 의해 구현되는 제 2 부분 저항(12B)을 갖는다.
제 2 구동기(27)는 입력측에 제 2 구동기 데이터 입력(36) 및 제 2 구동기 인에이블 입력(37)을 갖는다. 제 2 구동기(27)의 제 2 입력 논리(35)는 제 2 구동기 데이터 입력(36) 및 제 2 구동기 인에이블 입력(37)에 접속된다. 제 2 구동기 데이터 입력(36), 제 2 구동기 인에이블 입력(37), 제 2 입력 논리(35)는 저항 변화 수단(25)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 2 구동기 데이터 입력(36)은 캐피어 신호(CS)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 2 구동기 인에이블 입력(37)은 제 2 인에이블 신호(E2)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제 2 인에이블 신호(E2)는 두 개의 상태, 인에이블 상태 또는 차단 상태를 채택할 수 있다. 제 2 입력 논리(35)는 제 3 제어 신호(C3) 및 제 4 제어 신호(C4)를 발생하여 전송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제 2 입력 논리(35)는, 제 2 인에이블 신호(E2)가 인에이블될 때 제 3 제어 신호(C3)가 활성 상태를 갖는 동시에 제 4 제어 신호(C4)는 비활성 상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캐리어 신호(CS)의 제 2 반주기 동안, 제 3 제어 신호(C3)는 비활성 상태를 갖는 반면에, 동시에 제 4 제어 신호(C4)는 활성 상태를 갖는다. 한편, 제 2 인에이블 신호(E2)가 차단 상태일 때, 제 3 제어 신호(C3) 및 제 4 제어 신호(C4)는 비활성 상태로 된다.
제 2 구동기(27)는 출력측에 제 3 트랜지스터(33)를 갖는다. 제 3 트랜지스터(33)는 제 5 트랜지스터 출력 단자(33D)를 통해 공급 전압(V)에 접속된다. 제 3 트랜지스터(33)는 또한 제 6 트랜지스터 출력 단자(33S)를 통하여 제 2 구동기(27)의 출력을 형성하는 접속점(B)에 접속된다. 제 3 트랜지스터(33)는 제 3 제어 전극(33G)을 가지며, 상기 제 3 제어 전극에 의해 제 3 트랜지스터(33)는 스위치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제 3 제어 전극(33G)은 제 3 제어 신호(C3)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제 3 트랜지스터(33)는 제 3 제어 신호(C3)가 활성 상태일 때 턴온되고, 제 3 제어 신호(C3)가 비활성 상태일 때 턴오프된다.
제 2 구동기(27)는 출력측에 제 4 트랜지스터(34)를 갖는다. 제 4 트랜지스터는 제 7 트랜지스터 출력 단자(34D)를 통하여 접속점(B)에 접속된다. 또한, 제 4 트랜지스터(34)는 제 8 트랜지스터 출력 단자(34S)를 통해 그라운드(G)에 접속된다. 제 4 트랜지스터(34)는 제 4 제어 전극(34G)을 가지며, 상기 제 4 제어 전극에 의해 제 4 트랜지스터(34)는 스위치 동작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 4 제어 전극(34G)은 제 4 제어 신호(C4)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제 4 트랜지스터(34)는 제 4 제어 신호(C4)가 활성 상태일 때 턴온되고, 제 4 제어 신호가 비활성 상태일 때 턴오프된다.
제어 신호(C1, C2, C3, C4)의 상태는 제 1 구동기(26)의 두 트랜지스터 및 제 2 구동기(27)의 두 트랜지스터(33, 34) 모두에 대해 푸쉬-풀 모드(push-pull mode)를 허용한다. 또한, 제 1 구동기(26)의 두 트랜지스터(28, 29)와 제 2 구동기(27)의 두 트랜지스터(33, 34)도 또한 동시에 차단 상태로 제어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구동기는 그 출력측에 소위 3 상태(tri-state)를 채택할 수 있다. 따 라서 두 개의 구동기(26, 27)는 3 상태 구동기로서 구성된다. 또한, 이 경우, 구동기(26, 27)의 출력 트랜지스터(28, 29, 33, 34)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양호하게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통신 장치(1)에서는, 제 1 부분 저항(12A) 대신 제 1 트랜지스터(28) 및 제 2 트랜지스터(29)가 도 1에 도시된 통신 장치(1)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통신 장치의 제 2 부분 저항(12B) 대신 제 3 트랜지스터(33) 및 제 4 트랜지스터(34)가 도 3에 도시된 통신 장치(1)에 제공된다. 네 개의 트랜지스터(28, 29, 33, 34) 각각은 스위치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턴온 상태에서 턴온 저항을 가지며, 상기 저항은 통상적인 관련 트랜지스터인 최소 채널 저항으로 주어진다. 상기 통상적인 최소 채널 저항은 문헌(Tietze Schenk, Halbleiterschaltungstechnik, 6 Edition, Springerverlag, 1983, ISBN 3-540-12488-8 6)에서 RDS ON 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부분 저항의 턴온된 트랜지스터는 다른 부분 저항에 병렬로 접속된 기본 저항을 형성한다.
저항 변화 수단(25)은 제 1 인에이블 신호(E1) 및 제 2 인에이블 신호(E2)를 발생하여 전송하기 위해 제공되는 인에이블 신호 발생 수단(38)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데이터(DA) 및 조합 정보(CI)가 상기 인에이블 신호 발생 수단(38)에 인가된다.
다음은 제 3 실시예를 참조하여 변조 수단(7)의 기능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가정은 여기서도 유효하다. 또한, 인에이블 신호 발생 수단(38)은, 저항 변화 수단(25)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 신호(C1, C2, C3, C4)가 도 1에 도시된 통신 장치(1)의 제어 신호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캐리어 진폭을 발생하기 위하여, 인에이블 신호 발생 수단(38)은 구성 정보(CI)와는 독립적으로, 인에이블 상태인 제 1 인에이블 신호(E1) 및 또한 인에이블 상태인 제 2 인에이블 신호(E2)를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캐리어 신호(CS)의 제 1 반주기 동안, 제 1 출력 저항(10)은 제 1 트랜지스터(28)와 제 3 트랜지스터(33)의 병렬 연결로 형성되어, 제 1 충전 전류를 가능하게 한다. 캐리어 신호(CS)의 제 2 반주기 동안, 제 2 출력 저항(10)은 제 2 트랜지스터(29)와 제 4 트랜지스터(34)의 병렬 연결로 형성되어, 제 2 충전 전류를 가능하게 한다. 이로부터 전송 수단(8)의 발진 전류를 위한 제 1 충전 전류와 제 1 방전 전류 간의 스위칭을 교대로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캐리어 진폭에 대해 가정되었으므로, 이 때문에 제 1 충전 전류와 제 1 방전 전류가 모두 최대값을 취할 수 있다.
변조 진폭을 발생하기 위하여, 인에이블 신호 발생 수단(28)은, 전술한 가정에 따라서, 캐리어 신호(CS)의 제 1 주기 및 제 2 주기 동안 인에이블 상태인 제 1 인에이블 신호(E1)와, 캐리어 신호(CS)의 제 1 주기 및 제 2 주기 동안 차단 상태인 제 2 인에이블 신호(E2)를 발생한다. 따라서, 제 1 반주기 동안 제 1 트랜지스터(28)에 의해 제 3 출력 저항이 형성되어 제 2 충전 전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 4 출력 저항이 제 2 트랜지스터(29)에 의해 형성되어 제 2 방전 전류를 가능하게 한다. 제 1 충전 전류에 대한 제 2 충전 전류의 비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이는 제 2 방전 전류에 대해서도 해당된다.
두 개의 부분 저항(12A, 12B)은 트랜지스터(28, 29, 33, 34)로 형성되므로, 기본 저항을 구현하는 턴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턴온 저항을 아주 간단히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구동기의 출력측에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면,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가 쉽게 구동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통신 장치(1)와 유사한 통신 장치(1)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1)는 변조 수단(7)을 포함한다. 변조 수단(7)은 네 개의 구동기, 즉, 제 1 구동기(39), 제 2 구동기(40), 제 3 구동기(41), 제 4 구동기(42)와, 저항 변화 수단(25)을 포함한다.
제 1 구동기(39)는 그 출력측에 제 1 트랜지스터(43) 및 제 2 트랜지스터(44)를 갖는다. 제 1 트랜지스터(43)는 P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서 구성된다. 제 1 트랜지스터(43)는 제 1 트랜지스터 출력(43D), 제 1 제어 전극(43G), 제 2 트랜지스터 출력(43S)을 갖는다. 제 2 트랜지스터(44)는 제 3 트랜지스터 출력(44D), 제 2 제어 전극(44G), 제 4 트랜지스터 출력(44S)을 갖는다. 제 1 구동기(39)는 그 입력측에 제 1 입력 논리(45)를 가지며, 상기 제 1 입력 논리는 제 1 구동기 데이터 입력(45D) 및 제 1 구동기 인에이블 입력(45E)을 가지며 제 1 제어 신호(C1)를 발생한다. 제 1 제어 신호(C1)는 제 2 제어 전극(44G)에 인가될 수 있다. 제 1 트랜지스터(43)는 제 1 트랜지스터 출력(43D)을 통해 공급 전압(V)에 접속된다. 또한, 제 2 트랜지스터 출력(43S)은 제 2 트랜지스터(44)의 제 3 트랜지스터 출력(44D)에 접속된다. 제 2 트랜지스터 출력(43S)과 제 3 트랜지스터 출력(44D) 사이에는 제 1 구동기(39)의 출력이 존재하며, 이것은 접속점(A)으로 형성된다. 제 2 트랜지스터(44)는 제 4 트랜지스터 출력(44S)을 통하여 그라운드(G)에 접속된다. 제 1 구동기(39)는 전극 제어 입력(39A)을 가지며, 상기 전극 제어 입력은 제 1 제어 전극(43G)을 직접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캐리어 신호(CS)는 전극 제어 입력(39A)에 직접 인가될 수 있다. 본 경우에, 캐리어 신호(CS)는 논리 1 및 논리 0의 시퀀스로서 정의되며, 논리 0은 캐리어 신호(CS)의 제 1 반주기 동안 발생하고 논리 1은 제 2 반주기 동안 발생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논리 0은 비활성 상태를 나타내고 논리 1은 활성 상태를 나타낸다. 제 1 제어 전극(43G)은, 제 1 제어 전극(43G)이 캐리어 신호(CS)의 논리 0을 공급받을 때 제 1 트랜지스터(43)가 턴온되도록 구성되어, 비활성 상태로 된다. 제 1 제어 전극(43G)이 캐리어 신호(CS)의 논리 1을 공급받을 때 제 1 트랜지스터(43)는 턴오프되어 활성 상태로 된다.
제 2 구동기(40)는 그 출력측에 제 3 트랜지스터(46)를 갖는다. 제 3 트랜지스터(46)는 제 5 트랜지스터 출력(46D), 제 3 제어 전극(46G), 제 6 트랜지스터 출력(46S)을 갖는다. 제 2 구동기(40)는 그 입력측에 제 2 입력 논리(47)를 가지며, 상기 제 2 입력 논리는 제 2 구동기 데이터 입력(47D) 및 제 2 구동기 인에이블 입력(47E)을 가지며, 제 2 제어 신호(C2)를 발생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제어 신호(C2)는 제 2 제어 전극(46G)에 인가된다. 제 3 트랜지스터(46)는 제 5 트랜지스터(46D)를 통해 접속점(A)에 접속된다. 또한, 제 6 트랜지스터(46S)는 그라운드(G)에 접속된다.
제 3 구동기(41)는 그 출력측에 제 4 트랜지스터(48)를 포함한다. 제 4 트 랜지스터(48)는 제 7 트랜지스터 출력(48D), 제 4 제어 전극(48G), 제 8 트랜지스터 출력(48S)을 포함한다. 제 3 구동기(41)는 그 입력측에 제 3 입력 논리(49)를 가지며, 상기 제 3 입력 논리는 제 3 구동기 데이터 입력(49D) 및 제 3 구동기 인에이블 입력(49E)을 가지며 제 3 제어 신호(C3)를 발생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 3 제어 신호(C3)는 제 4 제어 전극(48G)에 인가될 수 있다. 제 4 트랜지스터(48)는 제 7 트랜지스터 출력(48D)을 통하여 접속점(A)에 접속된다. 또한, 제 8 트랜지스터 출력(48S)은 그라운드(G)에 접속된다.
제 4 구동기(42)는 그 출력측에 제 5 트랜지스터(50)를 포함한다. 제 5 트랜지스터(50)는 제 9 트랜지스터 출력(50D), 제 5 제어 전극(50G), 제 10 트랜지스터 출력(50S)을 포함한다. 제 4 구동기(42)는 그 입력측에 제 4 입력 논리(51)를 가지며, 상기 제 4 입력 논리는 제 4 구동기 데이터 입력(51D) 및 제 4 구동기 인에이블 입력(51E)을 가지며 제 4 제어 신호(C4)를 발생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제어 신호(C4)는 제 5 제어 전극(50G)에 인가될 수 있다. 제 5 트랜지스터(50)는 제 9 트랜지스터 출력(50D)을 통하여 접속점(A)에 접속된다. 또한, 제 10 트랜지스터 출력(50S)은 그라운드(G)에 접속된다.
각각의 트랜지스터(44, 46, 48, 50)는 N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서 구성된다. 각각의 제어 전극(44G, 46G, 48G, 50G)은, 활성 상태의 제어 신호(C1, C2, C3, 또는 C4)가 상기 제어 전극들에 인가될 때, 각각의 트랜지스터(44, 46, 48, 50)를 턴온 상태로 설정한다. 각각의 제어 전극(44G, 46G, 48G, 50G)은, 비활성 상태의 제어 신호(C1, C2, C3, 또는 C4)가 이들로 인가될 때, 각각의 트랜지스 터(44, 46, 48, 50)를 턴오프 상태로 설정한다.
각각의 구동기 데이터 입력(45D, 47D, 49D, 또는 51D)에는 캐리어 신호(CS)가 인가될 수 있다. 각각의 구동기 인에이블 입력(45E, 47E, 49E, 51E)은 각각의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1, E2, E3, E4)를 수신하도록 제공된다. 각각의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1, E2, E3 또는 E4)는 인에이블 상태 및 차단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제 1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1)가 인에이블 상태인 경우, 제 1 입력 논리(45)는 캐리어 신호(CS)의 제 1 반주기 동안 비활성 상태인 제 1 제어 신호(C1)를 발생한다. 캐리어 신호(CS)의 제 2 반주기 동안, 이것은 제 2 입력 논리(47), 제 3 입력 논리(49), 제 4 입력 논리(5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따라서, 제 2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2), 제 3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3), 및 제 4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4)가 발생할 때, 유사한 방법으로 각각의 제어 신호(C2, C3, C4)가 발생된다.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에서, 도 2에 도시된 통신 장치(1)의 제 1 부분 저항(12A) 대신에 제 2 및 제 3 트랜지스터(44, 46)가 제공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딘 통신 장치(1)의 제 2 부분 저항(12B) 대신에 통신 장치(1) 내의 제 4 트랜지스터(48) 및 제 5 트랜지스터(50)가 제공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1)에서, 도 2에 도시된 통신 장치(1)의 제 1 저항기(13) 및 제 1 스위치(15) 대신에 제 1 트랜지스터(43)가 제공된다. 턴온 상태의 제 1 트랜지스터(43), 턴온 상태의 제 2 트랜지스터(44), 턴온 상태인 제 4 트랜지스터(48)는 각각 저항 값을 갖는다. 턴온 상태인 제 3 트랜지스터(46)와 턴온 상태인 제 5 트랜지스터는 각각 제 2 저 항 값을 가지며, 제 2 저항 값은 제 1 저항 값보다 더 크다.
제 2 트랜지스터(44) 및 제 3 트랜지스터(46)는 제 1 부분 저항(12A)을 형성한다. 제 4 트랜지스터(48) 및 제 5 트랜지스터(50)는 제 2 부분 저항(12B)을 형성한다. 각각의 트랜지스터(44, 46, 48, 50)는 각각의 제어 신호(C1, C2, C3, 또는 C4)에 의해 턴온 상태 또는 턴오프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턴온 상태의 각각의 트랜지스터는 다른 부분 저항을 갖는 병렬 회로에 포함된 기본 저항을 형성한다. 두 개의 트랜지스터들(44 및 46, 48 및 50)로 형성된 두 개의 부분 저항(12A, 12B)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두 개의 부분 저항(12A 또는 12B) 중 적어도 하나의 저항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44, 46, 48, 50)에 대해 분리된 제어 신호(C1, C2, C3, C4)를 발생하고, 제 5 트랜지스터 출력(46D) 및 제 7 트랜지스터 출력(48D) 및 제 9 트랜지스터 출력(50D)을 접속점(A)에 접속하면, 두 개의 부분 저항(12A 또는12B)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 저항이 병렬 연결된 구동기 그룹(39 및 40, 41 및 42)으로 각각 사용될 수 있으며, 구동기 그룹(39 또는 40, 41 또는 42)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기 그룹이 나머지 그룹에 부가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캐리어 신호(CS)를 전극 제어 입력(39A)에 직접 인가하면, 보다 유리하게 부분 저항(12A 또는 12B)을 형성하는 병렬 연결된 구동기 그룹(39 및 40, 41 및 42) 각각이 모든 구동기(39, 40, 41, 42)에 대해서 그 출력측에 공동 상보형 트랜지스터, 즉, 제 1 트랜지스터(43)를 갖는다.
제 1 입력 논리(45), 제 2 입력 논리(47), 제 3 입력 논리(49), 제 4 입력 논리(51)는 저항 변화 수단(25)의 일부를 형성한다. 저항 변화 수단(25)은 제 1 인에이블 신호(E1) 및 제 2 인에이블 신호(E2)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제 1 인에이블 신호 발생 수단(38CW)을 갖는다. 저항 변화 수단(25)은 제 3 인에이블 신호(E3) 및 제 4 인에이블 신호(E4)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제 2 인에이블 신호 발생 수단(38MW)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제 1 인에이블 신호 발생 수단(38CW) 및 제 2 인에이블 신호 발생 수단(38MW)에는 데이터(DA) 및 조합 정보(CI)가 인가될 수 있다. 조합 정보(CI)는 제어 신호(C1, C2)의 조합과 관련된 제 1 조합 그룹과, 제어 신호(C3, C4)의 조합과 관련된 제 2 조합 그룹을 포함한다.
다음은 제 4 실시예, 제 5 실시예, 제 6 실시예를 참조하여 변조 수단(7)의 기능을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캐리어 신호(CS)의 제 1 반주기 동안, 제 1 트랜지스터(43)는 변화할 수 없는 출력 저항을 형성하여, 충전 전류가 상기 출력 저항을 통해 흐르며, 상기 충전 전류는 발진 회로가 충전되도록 한다.
제 4 실시예의 경우는 정(positive)의 정도의 변조 및 가변 변조 진폭을 갖는 진폭 변조된 캐리어 신호(CS)의 발생을 위한 변조 수단(25)의 기능을 설명한다.
캐리어 진폭을 발생하기 위해, 본 경우의 저항 변화 수단(25)은, 논리 0이 데이터(DA)에서 발생하면 제 1 인에이블 신호 발생 수단(38CW)이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1, E2)에 대해 인에이블 상태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 인에이블 발생 수단(38MW)은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3, E4)에 대해 차단 상태를 발생한다. 이것은 제 1 출력 저항을 제공하며, 따라서 제 2 트랜지스터(44)가 제 3 트랜지스터(46)에 병렬로 접속되기 때문에 최대 값을 취하는 제 1 방전 전류가 제 1 출력 저항(11)을 통해 흐른다.
가변 변조 진폭을 발생하기 위하여, 저항 변화 수단(25)은, 논리 1이 데이터(DA)에서 발생하면 제 2 인에이블 발생 수단(38MW)이 조합 정보(CI)의 제 2 조합 그룹에 따라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3, E4)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한편으로는, 제 2 출력 저항이, 제 3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3)에 대해서는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고 제 4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4)에 대해서는 차단 상태를 발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방전 전류의 최대 값보다 더 작은 값을 취하는 제 2 방전 전류는 제 2 출력 저항을 통해 흐른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 3 출력 저항이, 제 4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4)에 대해서는 인에이블 상태를 발생하고 제 3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3)에 대해서는 차단 상태를 발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 3 방전 전류는, 제 2 방전 전류와 마찬가지로 방전 전류가 제 1 방전 전류의 최대 값보다 더 작은 값을 취하며 상기 제 2 방전 전류의 값과 구별될 수 있는 값을 취하는 제 3 출력 저항을 통해 흐른다. 제 2 방전 전류 및 제 3 방전 전류의 흐름에 의해 정의 정도의 변조를 갖는 가변 변조 진폭이 캐리어 신호(CS)의 진폭 변조 동안 발생한다.
제 5 실시예를 참조하여, 부의 정도의 변조를 갖는 진폭 변조된 캐리어 신호(CSM) 및 가변 캐리어 진폭을 발생하는 변조 수단(25)의 기능이 본 경우에 설명된다.
상기 변조 진폭을 발생하기 위하여, 본 경우의 저항 변화 수단(25)은, 논리 1이 데이터(DA)에서 발생하면, 제 1 인에이블 발생 수단(38CW)이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1, E2)에 대해 차단 상태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 인에이블 발생 수단(38MW)은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3, E4)에 대해 인에이블 상태를 발생한다. 이것은 제 1 출력 저항을 제공하여, 제 4 트랜지스터(44) 및 제 5 트랜지스터(46)의 병렬 회로로 인해 최대 값을 취하는 제 1 방전 전류가 제 1 출력 저항(11)을 통해 흐른다.
가변 캐리어 진폭을 발생하기 위하여, 저항 변화 수단(25)은, 논리 0이 데이터(DA)에서 발생하면 제 1 인에이블 발생 수단(38MW)이 조합 정보(CI)의 제 1 조합 그룹에 따라서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1, E2)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반면에, 제 2 출력 저항은, 제 1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1)에 대해 인에이블 상태를 발생하고, 제 2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2)에 대해 차단 상태를 발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최대 값보다 더 작은 값을 취하는 제 2 방전 전류는 제 2 출력 저항을 통해 흐른다. 반면에, 제 3 출력 저항은, 제 2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2)에 대해 인에이블 상태를 발생하고 제 1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1)에 대해 차단 상태를 발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방전 전류와 마찬가지로, 제 1 방전 전류의 최대 값보다 더 작은 값을 취하며, 제 2 방전 전류의 값과 구별될 수 있는 값을 취하는 제 3 방전 전류는 제 3 출력 저항을 통해 흐른다. 제 2 방전 전류 및 제 3 방전 전류의 흐름은, 캐리어 신호가 부의 정도의 변조로 진폭 변조될 때 가변 캐리어 진폭을 발생한다.
제 6 실시예를 참조하여, 부의 정도의 변조를 갖는 진폭 변조된 캐리어 신호(CSM)을 발생하는 변조 수단(25)의 기능을 본 경우에 설명한다. 본 경우는 정의 정도의 변조를 갖는 진폭 변조된 캐리어 신호(CSM)를 발생하기 위해 스위칭(switch-over)하는 경우이다. 본 경우에서, 저항 변화 수단(25)은,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3, E4)가 차단 상태를 갖는 동안 제 1 인에이블 발생 수단(38CW)이 조합 정보(CI)의 제 1 조합 그룹에 따라서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1, E2)를 발생하고,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1, E2)가 차단 상태를 갖는 동안 제 2 인에이블 발생 수단(38CM)이 조합 정보(CI)의 제 2 조합 그룹에 따라서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3, E4)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진폭 변조 동안 정의 정도의 변조를 갖는 캐리어 진폭을 발생하기 위하여, 논리 0이 제 1 조합 그룹에 따라서 데이터(DA)에 발생하면, 제 1 출력 저항은, 제 1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1)에 대해 인에이블 상태를 발생하고 제 2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2)에 대해 차단 상태를 발생함으로써 형성된다. 최대 값을 취하는 제 1 방전 전류는 제 1 출력 저항을 통해 흐른다.
정의 정도의 변조를 갖는 진폭 변조 동안 변조 진폭을 발생하기 위하여, 논리 1이 데이터(DA)에 발생할 때, 제 2 출력 저항은, 제 4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4)에 대해 인에이블 상태를 발생하고 제 3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3)에 대해 차단 상태를 발생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면, 제 1 방전 전류의 최대 값보다 더 낮은 값을 취하는 제 2 방전 전류는 제 2 출력 저항을 통해 흐른다.
통신 장치(1)에서, 논리 0이 데이터(DA)에서 발생할 때 인에이블 상태 및 차단 상태가 제 1 조합 그룹으로 교환되고, 논리 1이 데이터(DA)에서 발생할 때 제 2 조합 그룹으로 교환되어, 정의 정도의 변조를 갖는 진폭 변조된 캐리어 신호(CSM) 를 발생하기 위한 변경(change-over)이 발생한다.
진폭 변조 동안 부의 정도의 변조를 갖는 변조 진폭을 발생하기 위하여, 논리 1이 데이터(DA)에서 발생할 때 제 2 출력 저항이 형성되는데, 왜냐하면 차단 상태가 제 4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4)에 대해 발생되고 인에이블 상태가 제 3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3)에 대해 발생되기 때문이다. 제 1 방전 전류와 유사한 최대 값을 취하는 제 3 방전 전류는 제 2 출력 저항을 통해 흐른다.
진폭 변조 동안 부의 정도의 변조를 갖는 캐리어 진폭을 발생하기 위하여, 제 1 조합 그룹과 마찬가지로, 논리 0이 데이터(DA)에 발생할 때 제 4 출력 저항이 형성되고, 제 1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1)에 대해 차단 상태가 발생되고, 제 2 구동기 인에이블 신호(E2)에 대해 인에이블 상태가 발생된다. 그러면, 제 3 방전 전류의 최대 값보다 더 낮은 값을 취하는 제 4 방전 전류는 제 4 출력 저항을 통해 흐른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1)와 유사한 통신 장치(1)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통신 장치(1)는 출력측에 N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서 구성되는 트랜지스터(43)를 갖는 구동기(39, 40, 41, 42)를 포함한다. 구동기(39, 40, 41, 42)는 출력측에 P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서 각각 구성되는 트랜지스터(44, 46, 48, 50)를 더 갖는다. 따라서, 트랜지스터(43)는 제 1 트랜지스터 출력(43D)을 통해 접속점(A)에 접속되고 제 2 트랜지스터 출력(43S)을 통해 그라운드(G)에 접속된다. 제 2 트랜지스터(44)는 제 3 트랜지스터 출력(44D)을 통해 공급 전압(V)에 접속되고 제 4 트랜지스터 출력(44S)을 통해 접속점(A)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46, 48, 50)는 트랜지스터(44)와 마찬가지로 공급 전압(V)과 접속점(A) 사이에 접속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통신 장치(1)의 기능은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1)의 기능과 동일하다.
통신 장치(1)가 구현되면, 적어도 그 일부, 예를 들면, 전기 회로(4)의 변조 수단(7)은 집적 회로로서 구성된다. 그 결과, 변조 수단(7)에 포함된 구동기(39, 40, 41, 42)도 상기 집적 회로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이것은, 집적 회로의 회로 설계 과정에서 변조 수단(7)이 이미 고려될 수 있어, 한편으로는 회로 설계를 크게 간소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구현하는데 있어 공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집적 회로는 CMOS 집적 회로로서 구현되는데, 현재 최적으로 이용가능한 기술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동기 또한 CMOS 구동기이다. 출력측의 트랜지스터는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FET)로서 구성된다. 또한, 집적 회로 내의 MOS-FET는 구동기의 각 트랜지스터의 기본 저항이 동일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집적 회로가 두 개의 MOS-FET에 대해 구현될 때 -여기서, 제 1 MOS-FET는 제 1 턴온 저항을 가지며 제 2 MOS-FET는 제 2 턴온 저항을 갖는다-, 서로에 대한 두 개의 턴온 저항의 비는 비교적 양호하게 재생될 수 있음을 관측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턴온 저항의 비의 재생가능성은 변조 수단(7)의 변화가능한 출력 저항(10)이 CMOS 기술로 실현될 때 다음과 같이 이용된다.
먼저, 매트릭스는 집적 회로 내에 60 개의 저항으로 만들어진다. 이들 저항 은 턴온 저항을 이용하여 각각 N-FET의 수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매트릭스는 제 1 컬럼, 제 2 컬럼, 제 3 컬럼 및 제 4 컬럼의 저항을 갖는다. 각각의 컬럼은 제 1 로우, 제 2 로우, 제 3 로우 및 제 4 로우 저항의 네 개의 로우를 갖는다. 각 컬럼의 제 1 로우에는 제 1 저항 값을 갖는 저항이 있다. 각 컬럼의 제 2 로우에는 제 2 저항 값을 갖는 저항이 있다. 각 컬럼의 제 3 로우에는 제 3 저항 값을 갖는 저항이 있다. 각 컬럼의 제 4 로우에는 제 4 저항 값을 갖는 저항이 있다. 제 2 저항 값은 제 1 저항 값과 인자 21 만큼의 차이가 있다. 제 3 저항 값은 제 1 저항 값과 인자 22 만큼의 차이가 있다. 제 4 저항 값은 제 1 저항 값과 인자 23 만큼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네 개의 저항 모두의 저항 값은 서로에 대하여 2의 배수비를 갖는다.
반명에, 컬럼내의 저항들의 저항 값은 인자 kn 만큼 차이가 난다. 여기서 n은 0, 1, 2, 3의 값을 취할 수 있고, k는 2로부터 약간 차이가 나는 값이다. 본 경우에는 상기 k 값이 77/40으로 선택된다.
저항 변화 수단(25)에 포함된 논리 회로는 매트릭스의 저항기들을 활성화하도록 제공되며 구성된다. 따라서 매트릭스의 각각의 활성화된 저항은 매트릭스의 다른 모든 활성화된 저항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병렬 연결이 총 저항을 형성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논리 회로는 한편으로는 로우를 활성화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컬럼을 활성화시킨다. 로우의 활성화는 4 비트로 행해지며, 여기서 각 비트는 하나의 로우를 활성화한다. 컬럼의 활성화는 2 비트로 행해지며, 상기 2 비트로 0, 1, 2, 3이 형성될 수 있다. 2 비트가 0을 형성하면, 제 1 컬럼이 활성화된다. 2 비트가 1을 형성하면, 제 1 및 2 컬럼이 활성화된다. 2 비트가 2를 형성하면, 제 1, 2, 3 컬럼이 활성화된다. 2 비트가 3을 형성하면, 모든 컬럼이 활성화된다. 인자 k의 값의 선택은 본 경우에 있어서 아주 양호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왜냐하면, 상기 k 값의 선택에 의해 2 비트 및 4 비트의 함수로서 형성된 총 저항의 아주 스무드한 패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매트릭스내에서 활성화된 저항의 총 저항 값에 있어서, 큰 저항 값에 대해서는 총 저항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고, 작은 저항 값에 대해서는 대략적인 조정이 가능하다.
컬럼을 활성화하기 위한 2 비트와 로우를 활성화하기 위한 4비트가 조합 정보(CI)를 통해 저항 변화 수단(25)에 포함된 논리 회로에 인가된다. 본 경우에서 데이터 소스(95)는 두 유형의 조합 정보(CI), 즉, 캐리어 조합 및 변조 조합을 생성한다. 캐리어 조합은 논리 회로의 캐리어 레지스터에 저장되고, 변조 조합은 논리 회로의 변조 레지스터에 저장된다. 데이터 소스(S)가 데이터(DA)를 변조 수단(7)에 포함된 저항 변화 수단(25)에 전송하는 동안, 저항 변화 수단(25)은 데이터(DA)에 따라서 출력 저항(10)을 형성하며, 따라서 변조 수단(7)의 매트릭스의 총 저항을 형성한다. 논리 0이 데이터(DA)에서 발생할 때, 논리 회로는 한편으로는 캐리어 조합을 이용하여 매트릭스의 제 1 총 저항, 따라서 변조 수단(7)의 제 1 출력 저항(10)을 형성하며, 따라서 캐리어 진폭이 발생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데이터(DA)에 논리 1이 발생할 때, 논리 회로는 변조 조합을 이용하여 매트릭스의 제 2 총 저항, 따라서 변조 수단(7)의 제 2 출력 저항(10)을 형성하며, 따라서 변조 진폭이 발생된다.
캐리어 진폭을 발생하는 제 1 출력 저항(10)의 형성 외에, 62 개의 상이한 변조 진폭을 더 발생하는 62 개의 상이한 제 2 출력 저항(10)이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이들 62 개의 제 2 출력 저항(10)으로 정의 정도의 변조를 갖는 진폭 변조와 부의 정도의 변조를 갖는 진폭 변조 모두 고려된다.
일그룹의 구동기(39, 40, 41, 42)가 그 그룹의 나머지에 대해 온 및 오프로 스위칭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특징이 제공되면, 상당히 단순화된 진폭 변조의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1)에서, 공통 상보형 트랜지스터(43)는, 변조 수단(7)에 복수의 구동기(39, 40, 41, 42)가 제공될 때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1)는 또한, 구동기(39, 40, 41, 42)의 트랜지스터(44, 46, 48, 50)의 상이한 기본 저항 때문에, 변조 수단(7)의 출력 저항(10)에 대한 넓은 범위의 저항이 넓은 범위에 형성된다고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것은, 상이한 정도의 변조를 가지며 데이터(DA)에 따라 발생된 진폭 변조된 캐리어 신호가 발생될 때 특히 중요하며, 특히, 적절한 기본 저항이 선택되면, 변조의 정도는 양호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1)에서, 구동기(39, 40, 41, 42)가 집적 회로의 구성요소 부분으로서 제공된다는 사실은 아주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는데, 왜냐하면, 이 때문에 구동기 제조가 간소화되며 공간이 절약되고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이 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장치(1)와 유사한 통신 장치(1)를 블록도로서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통신 장치(1)에서, 제 1 부분 저항(12A)은 제 1 트랜지스터 및 제 2 트랜지스터(53)로 형성된다. 제 1 트랜지스터(52)는 P 채널 효과 트랜지스터로서 구성되고, 제 2 트랜지스터(53)는 N 채널 효과 트랜지스터로서 구성된다. 제 1 트랜지스터(52)는 제 1 트랜지스터 출력(52D) 및 제 2 트랜지스터 출력(52S) 및 제 1 제어 전극(52G)을 갖는다. 제 2 트랜지스터(53)는 제 3 트랜지스터 출력(53D) 및 제 4 트랜지스터 출력(53S) 및 제 2 제어 전극(53G)을 갖는다. 제 1 트랜지스터 출력(52D)은 공급 전압(V)에 접속된다. 제 4 트랜지스터 출력(53S)은 그라운드(G)에 접속된다. 제 2 트랜지스터 출력(52S) 및 제 3 트랜지스터 출력(53D) 사이에는 접속점(A)이 있다. 제 1 제어 전극(52G) 및 제 2 제어 전극(53G)에는 캐리어 신호(CS)가 공급된다. 제 1 트랜지스터(52)는, 캐리어 신호(CS)의 제 1 반주기 동안 턴온 상태인 반면에, 제 2 트랜지스터(53)는 턴오프 상태이다. 제 1 트랜지스터(52)는 제 2 반주기 동안 턴오프 상태인 반면에, 제 2 트랜지스터(53)는 턴온 상태이다. 제 1 트랜지스터(52) 및 제 2 트랜지스터(53)는 턴온 상태에서 임의의 기본 저항을 갖는다.
통신 장치(1)에서, 제 2 부분 저항(12B)은 제 1 저항기(54), 제 2 저항기(55), 제 3 저항기(56), 제 4 저항기(57)로 형성되며, 제 1 스위치(58), 제 2 스위치(59), 제 3 스위치, 제 4 스위치(61) 형태의 스위칭 수단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위칭 수단은 두 개의 부분 저항(12A, 12G)을 연결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본 예에서는 두 개의 부분 저항(12A, 12G)을 직렬 연결하도록 한다. 제 1 저항기(54)는 접속점(A)에 직렬로 접속된다. 제 1 저항기(54)에는 제 2 저항기(55)가 직렬로 접속되고, 제 2 저항기(55)에는 제 3 저항기(56)가 직렬로 접속되며, 제 3 저항기(56)에는 제 4 저항기(57)가 직렬로 접속된다. 전송 수단(8)의 입력 저항(9)은 제 4 저항기(47)에 직렬로 접속된다. 제 1 저항기(54)와 제 2 저항기(55) 사이에는 접속점(B)이 있다. 제 2 저항기(55)와 제 3 저항기(56) 사이에는 접속점(C)이 있다. 제 3 저항기(56)와 제 4 저항기(57) 사이에는 접속점(D)이 있다. 제 4 저항기(57)와 입력 저항(9) 사이에는 접속점(E)이 있다. 네 개의 저항기(54, 55, 56, 57)를 갖는 병렬 회로에는, 한편으로는 접속점(A)에 접속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접속점(E)에 접속되는 제 1 스위치가 포함된다. 제 2 저항기(55), 제 3 저항기(56), 제 4 저항기(57)로 형성된 직렬 조합을 갖는 병렬 회로에는, 한편으로는 접속점(B)에 접속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접속점(E)에 접속되는 제 2 스위치(59)가 포함된다. 제 3 저항기(56) 및 제 4 저항기(57)로 형성된 직렬 조합을 갖는 병렬 조합에는 한편으로는 접속점(C)에 접속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접속점(E)에 접속되는 제 3 스위치(60)가 포함된다. 제 4 저항기(57)를 갖는 병렬 회로에는, 한편으로는 접속점(D)에 접속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접속점(E)에 접속되는 제 4 스위치(61)가 포함된다.
제 1 스위치(58)는 제 1 메이크 접점(58A)을 가지며, 제 2 스위치(59)는 제 2 메이크 접점(59A)을 가지며, 제 3 스위치(60)는 제 3 메이크 접점(60A)을 가지 며, 제 4 스위치(61)는 제 4 메이크 접점(61A)을 갖는다. 각각의 메이크 접점(58A 또는 59A 또는 60A 또는 61A)은 제어 신호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가능하며, 유휴(idle) 상태에서 오픈되고 동작(working) 상태에서 닫힌다. 메이크 접점(58A 또는 59A 또는 60A 또는 61A)에 활성 상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메이크 접점은 동작 상태가 된다. 메이크 접점(58A 또는 59A 또는 60A 또는 61A)에 비활성 상태를 선택하는 제어 신호가 공급되면, 상기 메이크 접점은 유휴 상태가 된다.
본 경우에서 데이터 소스(95)는 데이터(DA) 및 조합 정보(CI)를 전송하도록 제공된다. 저항 변화 수단(25)은 데이터(DA) 및 조합 정보(CI)를 수신하도록 제공된다. 저항 변화 수단(25)은 또한 제어 신호(C1, C2, C3, C4)를 발생하여 전송하도록 제공된다. 메이크 접점(58A, 59A, 60A, 61A)에는 제어 신호(C1, C2, C3, C4)가 공급된다.
다음은, 제 7 실시예를 이용하여 변조 수단(7)의 기능을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의 가정은 여기서도 유효하다. 또한, 네 개의 저항기(54, 55, 56, 57)는 상이한 값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캐리어 진폭을 발생하기 위하여, 논리 0이 데이터(DA)에 발생하면, 저항 변화 수단(25)은 활성 상태를 갖는 제 1 제어 신호(C1)를 발생한다. 그 결과, 접속점(A)은 접속점(3)에 직접 접속된다. 본 경우에서, 캐리어 신호의 제 1 반주기 동안, 제 1 충전 전류는, 공급 전압(V)으로부터, 상기 제 1 반주기 동안 제 1 부분 저항(12A)을 형성하는 제 1 저항기(52)를 통하여 전송 수단(8)의 발진 회로로 흐른 다. 또한, 캐리어 신호(CS)의 제 2 반주기 동안, 제 1 방전 전류는, 상기 발진 회로로부터 상기 제 2 반주기 동안 제 1 부분 저항(12A)을 형성하는 제 2 트랜지스터(53)를 통하여 그라운드(G)로 흐른다. 닫힌 스위치(58)가 0 오옴 저항 값을 갖는 제 2 부분 저항(12B)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 1 방전 전류 및 제 1 충전 전류는 최대 값을 갖는다.
변조 진폭을 발생하기 위하여, 논리 1이 데이터(DA)에서 발생하면, 저항 변화 수단(25)은 조합 정보(CI)에 따라서 제어 신호(C1, C2, C3, C4)를 발생한다. 제 1 제어 신호(CI)는 항상 비활성 상태를 갖는다. 따라서, 제 2 부분 저항(12B)의 최소 값은 제 1 저항기(54)의 값에 의해 주어진다. 캐리어 신호(CS)가 진폭 변조되는 동안, 세 개의 제어 신호(C2, C3, C4)에 의해 네 개의 상이한 정도의 변조가 발생될 수 있다.
제 1 변조 정도는 제 1 조합 정보(CI)를 이용하여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조합 정보(CI)에 따라서 제 2 제어 신호(C2)는 활성 상태를 가지며, 제 3 제어 신호(C3) 및 제 4 제어 신호(C4)는 비활성 상태를 갖는다. 그러면, 제 2 부분 저항(12B)은 제 1 저항기(54)에 의해 형성되며, 따라서, 캐리어 진폭의 발생 동안 발생하는 최대 값보다 더 작은 값을 갖는 제 2 충전 전류 및 제 2 방전 전류가 발생한다.
제 2 변조 정도는 제 2 조합 정보(CI)를 이용하여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조합 정보(CI)에 따라서 제 3 제어 신호(C3)는 활성 상태를 가지며, 제 2 제어 신호(C2) 및 제 4 제어 신호(C4)는 비활성 상태를 갖는다. 그러면, 제 2 부분 저항(12B)은 제 1 저항기(54) 및 제 2 저항기(55)의 직렬 조합에 의해 형성되며, 따라서, 캐리어 진폭의 발생 동안 발생하는 최대 값보다 더 작으며 또한 상기 제 2 충전 전류의 값 및 제 2 방전 전류의 값보다 더 작은 값을 갖는 제 3 충전 전류 및 제 3 방전 전류가 발생한다.
제 3 변조 정도는 제 3 조합 정보(CI)를 이용하여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 조합 정보(CI)에 따라서 제 4 제어 신호(C4)는 활성 상태를 가지며, 제 2 제어 신호(C2) 및 제 3 제어 신호(C3)는 비활성 상태를 갖는다. 그러면, 제 2 부분 저항(12B)은 제 1 저항기(54), 제 2 저항기(55), 제 3 저항기(56)의 직렬 조합에 의해 형성되며, 따라서, 캐리어 진폭의 발생 동안 발생하는 최대 값보다 더 작으며 또한 제 1 조합 정보(CI) 및 제 2 조합 정보(CI)에 따라서 발생된 충전 전류의 값 및 방전 전류의 값보다 더 작은 값을 갖는 제 4 충전 전류 및 제 4 방전 전류가 발생한다.
제 4 변조 정도는 제 4 조합 정보(CI)를 이용하여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제 4 조합 정보(CI)에 따라서 세 개의 제어 신호(C2, C3, C4)는 비활성 상태를 갖는다. 그러면, 제 2 부분 저항(12B)은 제 1 저항기(54), 제 2 저항기(55), 제 3 저항기(56), 제 4 저항기(57)의 직렬 조합에 의해 형성되며, 따라서, 캐리어 진폭의 발생 동안 발생하는 최대 값보다 더 작으며 또한 제 1 조합 정보(CI), 제 2 조합 정보(CI), 제 3 조합 정보(CI)에 따라서 발생된 충전 전류의 값 및 방전 전류의 값보다 더 작은 값을 갖는 제 5 충전 전류 및 제 5 방전 전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 1 부분 저항(12B)을 달리 구성함으로써 훨씬 더 많은 변조 정도를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제 1 스위치(58)는 제 1 저항기(54)에 병렬로 접속되고, 제 2 스위치(59)는 제 2 저항기에 병렬로 접속되고, 제 3 스위치(60)는 제 3 저항기(56)에, 제 4 스위치는 제 4 저항기(57)에 병렬로 접속되어, 15개까지의 변조 정도가 적절한 조합 정보(CI)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제 2 부분 저항(12B)은 직렬로 접속될 수 있는 저항기(54, 55, 56, 57) 및 상기 저항기(54, 55, 56, 57)를 교락(bridge)하거나 저항기(54, 55, 56, 57)의 그룹을 교락(bridge)하는 스위치(58, 59, 60)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변조 수단(7)은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되며, 변화가능한 출력 저항(10)이 직렬 접속된 부분 저항(12A, 12B)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변화가능한 출력 저항을 갖는 변조 수단이 대칭적인 진폭 변조 및 비대칭적인 진폭 변조 모두를 갖는 변조된 캐리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송 수단은 또한 용량성 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변조된 캐리어 신호를 전송하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변조 수단의 변화가능한 출력 저항은 또한 통신 라인의 저항을 한정하는 통신 라인 단말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양호한 방식으로 통신 라인의 출력 저항의 저항을 융통성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변조 수단의 변화가능한 출력 저항은 통신 장치의 입력 저항으로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통신 장치의 입력 저항의 저항을 융통성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변조 수단의 변화가능한 출력 저항은 복수의 CMOS 연산 증폭기의 출력 병렬 조합으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전송 수단은 일반적으로 입력 저항의 저항을 적절한 값으로 조절하는 조정 네트워크(adaptation network)를 가질 수도 있다.

Claims (11)

  1. 데이터(DA)를 트랜스폰더(2)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장치(1)에 있어서,
    데이터(DA)를 전송하는 데이터 소스(5)와,
    캐리어 신호(CS)를 발생하여 전송하는 캐리어 신호 발생기(6)와,
    한편으로는 상기 캐리어 신호(CS)를,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데이터(DA)를 수신하도록 설계되고, 또한 상기 데이터(DA)에 따라서 상기 캐리어 신호(CS)를 변조하고 변조된 캐리어 신호(CSM)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변조 수단(7)과,
    명목상 일정한 입력 저항(9)을 가지며, 상기 변조된 캐리어 신호(CSM)를 수신하도록 설계되는 전송 수단(8)을 포함하며,
    상기 변조 수단(7)은 상기 전송 수단(8)의 상기 입력 저항(9)과 함께 저항 네트워크(11)를 형성하는 출력 저항(10)을 갖고,
    상기 데이터(DA)에 따라서 상기 변조 수단(7)의 상기 출력 저항(10)을 변화시키도록 설계되는 저항 변화 수단(25)이 제공되며,
    상기 변조 수단(7)은 상기 저항 네트워크(11)의 일부로서의 제 1 스위칭가능 저항기(13; 28; 44; 52) 및 제 2 스위칭가능 저항기(14; 29; 43; 53)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스위칭가능 저항기는 턴온 스위칭 상태 및 턴오프 스위칭 상태 사이에서 제어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제 1 스위칭가능 저항기(13; 28; 44; 52) 및 제 2 스위칭가능 저항기(14; 29; 43; 53)는 상기 캐리어 신호(CS)의 각각의 반주기 동안 그들의 스위칭 상태에 대하여 서로 역으로 되게 제어되도록 설계되는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 수단(7)의 상기 변화가능한 출력 저항(10)은 제 1 부분 저항(12A) 및 제 2 부분 저항(12B)으로부터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부분 저항(12A, 12B)을 결합하기 위해 스위칭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제 1 부분 저항(12A)은 상기 스위칭가능 저항기(13, 15; 14, 16; 28; 29; 44; 46; 52; 53)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2 부분 저항(12B)은 다른 스위칭가능 저항기(17, 18; 33, 34; 48, 50; 58, 59, 60, 6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제 1 부분 저항(12A)과 상기 제 2 부분 저항(12B)을 병렬로 접속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부분 저항(12A, 12B)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기(26, 27; 39, 40, 41, 42)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구동기(26, 27; 39, 40, 41, 42)는 그 출력측에 트랜지스터(28, 29, 33, 34; 44, 46, 48, 50)를 가지며, 상기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동작을 하도록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트랜지스터(28, 29, 33, 34; 44, 46, 48, 50)의 스위칭 동작의 경우, 턴온된 상기 트랜지스터(28, 29, 33, 34; 44, 46, 48, 50)는 다른 부분 저항(12A, 12B)에 병렬로 접속된 기본 저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26, 27; 39, 40, 41, 42)는 CMOS 구동기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부분 저항(12A, 12B) 중 적어도 하나는 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부분 저항(12A, 12B) 중 적어도 하나는 병렬로 접속된 구동기들(39, 40, 41, 42)의 그룹으로서 제공되고,
    상기 그룹의 구동기들(39, 40, 41, 4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그룹의 나머지에 대하여 턴온 및 턴오프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39, 40, 41, 42)의 상기 각각의 트랜지스터(44, 46, 48, 50)의 기본 저항은 동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부분 저항(12A, 12B)을 형성하는 병렬로 구성된 구동기들(39, 40, 41, 42)의 그룹은 그 출력측에 공통 상보형 트랜지스터(4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기(39, 40, 41, 42)가 집적 회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부분 저항(12A, 12B)의 저항 부분들을 직렬로 결합하기 위해 제공되는 통신 장치.
KR1020017005280A 1999-08-31 2000-08-14 통신 장치 KR100743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890280.3 1999-08-31
EP99890280 1999-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365A KR20010089365A (ko) 2001-10-06
KR100743282B1 true KR100743282B1 (ko) 2007-07-26

Family

ID=8244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280A KR100743282B1 (ko) 1999-08-31 2000-08-14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03048B1 (ko)
EP (1) EP1125358B1 (ko)
JP (1) JP2003508959A (ko)
KR (1) KR100743282B1 (ko)
AT (1) ATE359616T1 (ko)
DE (1) DE60034305T2 (ko)
WO (1) WO20010171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2630U1 (ru) * 2019-06-18 2019-09-24 Петр Андреевич Землянухин Амплитудный модулято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1790A1 (fr) * 2000-07-11 2002-01-18 Schlumberger Systems & Service Microcontroleur securise contre des attaques dites en courant
EP1538557B1 (fr) * 2003-12-05 2013-02-13 STMicroelectronics S.A. Modulation résistive et capacitive dans un transpondeur électromagnétique
US8929741B2 (en) * 2007-07-30 2015-01-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tical interconnect
US8450877B2 (en) * 2009-01-06 2013-05-28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Communication across an inductive link with a dynamic load
US8013771B2 (en) * 2010-01-15 2011-09-06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andpass digital-to-analog convers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9950A (en) * 1982-03-02 1985-07-16 Henri Chazenfus Digital phase and amplitude modula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213335A (ko) * 1972-10-03 1974-04-05
US5144314A (en) * 1987-10-23 1992-09-01 Allen-Bradley Company, Inc. Programmable object identification transponder system
FR2642918B1 (fr) * 1989-02-09 1995-04-14 Cit Alcatel Circuit amplificateur large bande a controle automatique de gain
US5450088A (en) * 1992-11-25 1995-09-12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Gmbh Transponder arrangement
WO1996007927A2 (en) * 1994-09-01 1996-03-14 Philips Electronics N.V. Transconductance amplifier having a digitally variable transconductance as well as a variable gain stage and a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comprising such a variable gain stage
SG54559A1 (en) * 1996-09-13 1998-11-16 Hitachi Ltd Power transmission system ic card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ic card
US6167094A (en) * 1996-10-15 2000-12-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Data transmission circuit having a station and a response circuit
FR2792130B1 (fr) * 1999-04-07 2001-11-16 St Microelectronics Sa Transpondeur electromagnetique a fonctionnement en couplage tres proch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9950A (en) * 1982-03-02 1985-07-16 Henri Chazenfus Digital phase and amplitude modul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2630U1 (ru) * 2019-06-18 2019-09-24 Петр Андреевич Землянухин Амплитудный модулятор
RU192630U9 (ru) * 2019-06-18 2019-12-0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ж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Юж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Амплитудный модулято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03048B1 (en) 2006-02-21
EP1125358B1 (en) 2007-04-11
JP2003508959A (ja) 2003-03-04
EP1125358A1 (en) 2001-08-22
DE60034305T2 (de) 2007-08-30
ATE359616T1 (de) 2007-05-15
KR20010089365A (ko) 2001-10-06
DE60034305D1 (de) 2007-05-24
WO2001017101A1 (en) 200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858B1 (ko) 신호 증폭에 따른 변조 방법 및 장치
US8965304B2 (en) Multi-mode I/O circuitry supporting low interference signaling schemes for high speed digital interfaces
US20100001793A1 (en) High efficiency modulating rf amplifier
US7391282B2 (en) Radio-frequency switch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0738158B1 (ko) 집적 회로들간에 인터페이스 신호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회로
US9800452B2 (en) Digital quadrature modulator and switched-capacitor array circuit
JP2003506943A (ja) スイッチモードのrf電力増幅器用の駆動回路
JPH07250017A (ja) 電力増幅器及び増幅方法
US20090219112A1 (en) Phase shifter with flexible control voltage
CN107210527A (zh) 用于天线阵列的相位控制
KR100743282B1 (ko) 통신 장치
US6930506B2 (en) Terminating resistor driver for high speed data communication
US20030016093A1 (en) Integrated high frequency circuit for affecting the amplitude of signals
JPH08149038A (ja) 無線通信装置
AU597202B1 (en) Radio-frequency power level control circuit of mobile radio telephone
JP2005508104A (ja) Rf伝送器回路の出力電圧を変調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rf伝送器回路
US8041316B2 (en) Transmission circuit, transmission method, and use
JP3960037B2 (ja) 温度補償型水晶発振器
US5229731A (en) Power amplifying circuit capable of switching amplification mode
JP3946665B2 (ja) 大信号高周波スイッチ回路
US5592166A (en) High speed CMOS D/A converter for wave synthesis in network
US12009793B2 (en) Dual-mode power amplifi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3585114B2 (ja) 分周器
JP2005323030A (ja) スイッチ半導体集積回路
KR20010109208A (ko) 3 밴드전환형 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