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076B1 -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 - Google Patents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076B1
KR100743076B1 KR1020060041436A KR20060041436A KR100743076B1 KR 100743076 B1 KR100743076 B1 KR 100743076B1 KR 1020060041436 A KR1020060041436 A KR 1020060041436A KR 20060041436 A KR20060041436 A KR 20060041436A KR 100743076 B1 KR100743076 B1 KR 100743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frame
assembled
upper portion
roll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법성
이기범
Original Assignee
(주)삼우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기계 filed Critical (주)삼우기계
Priority to KR1020060041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3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8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 B21B31/10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e.g. using C-hooks; Replacing roll chocks on roll shafts by horizontally displacing, i.e. horizontal roll changing
    • B21B31/103Manipulators or carriag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2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flatness or profile of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지의 압연롤 적치장치에 있어서 하부에는 고정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을 구비한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승하강 하되 하부에는 베이스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측에는 압연롤을 상부에 안착하기 위한 하부 스키드를 부설한 적치 부재와, 상기 지지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도록 관통되는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는 압연롤을 상부에 안착하기 위한 몸체를 결합하며 상기 몸체의 외측에는 돌출되도록 쵸크 받침구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를 부설한 상부 스키드와, 상기 고정 부재와 적치 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압연롤의 규격변화에 따라서 상기 적치 부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승하강 부재로 구성되는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양측에 쵸크가 양측에 조립된 압연롤을 순차적으로 적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을 갖는 압연롤에 따라서 높이를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적치할 수 있도록 하여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압연롤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되어 압연롤의 적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적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압연롤, 롤, 쵸크, 적치, 승하강, 2단, 스키드

Description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Apparatus piling up for rolling roll with chock bearing}
도 1 - 본 발명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 - 본 발명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 - 본 발명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4 - 본 발명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 - 본 발명에 있어서 승하강 부재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6 - 본 발명에 있어서 승하강 부재를 나타내기 위한 종단면도.
도 7 - 본 발명에 있어서 승하강 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8 -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구와 유압실린더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참고도.
도 9 내지 도 12 - 본 발명을 이용하여 압연롤을 적치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13 - 본 발명을 이용하여 압연롤을 적치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 사시도.
도 14 - 본 발명을 이용하여 압연롤을 적치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 발명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
110: 고정 부재
111: 고정 프레임 112: 지지 프레임
113: 수직 프레임 114: 받침구
115: 베어링 116: 스톱퍼(Stopper)
120: 적치 부재
121: 베이스 프레임 122: 지지 프레임
123: 하부 스키드 124: 롤 안착부
124a: 감지센서 125: 베어링
126: 유압실린더 127: 고정구
130: 상부 스키드
131: 몸체 132: 롤 안착부
133: 쵸크 받침구 134: 회전축
135: 유압실린더
140: 승하강 부재
141: 브라켓 141a: 힌지축
142: 승하강 조절구 142a: 롤러
143: 몸체 143a: 이동축
144: 유압실린더 144a: 고정구
145: 승하강 로드
A: 압연롤 B: 쵸크(Roll chock bearing)
본 발명은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에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을 순차적으로 적치하여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규격을 갖는 압연롤을 효율적으로 적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키기 위한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롤은 제철산업에서 냉연 강판을 생산하기 위한 압연기(Mill)에 설치되어 강판(슬래브)의 이송속도와 압하율을 조절하여 다양한 규격을 갖는 냉연 강판을 생산하게 된다.
이러한 압연롤은 사용목적과 용도에 따라서 워크롤(Work roll), 백업롤(Back up roll) 등으로 구분되며 냉연 강판의 생산량 및 작업시간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외경의 연마작업을 통해서 냉연 강판의 생산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때 연마작업을 위해서 대기하는 압연롤과 연마작업이 완료된 압연롤은 별도의 저장공간인 적치장치(적치대)를 통해서 대기 및 보관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하부에 적치된 압연롤과 상부에 적치된 압연롤의 사이에 연질의 받침 패드를 삽입하여 충격으로 인한 압연롤의 파손 및 손상을 사전에 방지하고 있으나, 이는 작업자의 개인 숙련도 및 경험치에 따라서 압연롤과 받침 패드의 적치효율이 결정되는 비능률적인 폐단을 갖게 되었다.
특히 작업공간이 협소한 적치장치와 압연롤의 사이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받침 패드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중량물인 압연롤이 추락하여 작업자의 신체 일부가 협착(狹窄)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롤의 적치공간을 수직 및 수평대로 구성하는 적치대와, 상기 적치대의 수직대에 설치된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무게중심을 위한 웨이트를 구비하는 복수의 바디부재와, 상기 바디부재의 상부 내측에 그 단부가 고정핀으로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적치롤 표면 사이에 개재되는 받침 패드를 구비하는 제 1링크부재와, 상기 바디부재의 하부 내측에 그 단부가 고정핀으로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롤 접촉 패드를 갖추어 롤 적치시 받침 패드의 적치 공간 측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2링크부재로 구성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16522호 "롤 적치장치"가 안 출된 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롤 적치장치"는 오직 양측에 조립되어 있는 쵸크(대형 베어링 유닛)가 분해된 압연롤만을 적치할 수 있는 것으로, 결국 적치작업을 위해서는 압연롤의 양측에 조립된 쵸크를 일일이 분해해야 하므로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함으로 인한 사용상의 한계를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의 "롤 적치장치"는 다양한 규격을 갖는 압연롤을 적치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가 극히 제한되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롤 적치장치"는 압연롤이 접촉 패드와 밀착되어 순차적으로 적치하게 되므로 중량물인 압연롤과의 충격으로 인한 내구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압연롤과 양측에 조립된 쵸크를 동시에 적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적치효율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규격을 갖는 압연롤을 효율적으로 적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적치장치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측에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적치할 수 있도록 하여 적치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규격을 갖는 압연롤에 따라서 적치장치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치되는 압연롤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상부 스키드를 작동하도록 하여 압연롤의 적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100)는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1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111)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112)을 구비한 고정 부재(110)와,
상기 고정 부재(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승하강 하되 하부에는 베이스 프레 임(121)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21)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122)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122)의 양측에는 압연롤(A)을 상부에 안착하기 위한 하부 스키드(123)를 부설한 적치 부재(120)와,
상기 지지 프레임(122)을 서로 연결하도록 관통되는 회전축(134)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134)의 양측에는 압연롤(A)을 상부에 안착하기 위한 몸체(131)를 결합하며 상기 몸체(131)의 외측에는 돌출되도록 쵸크 받침구(133)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 프레임(122)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134)과 연결되어 회전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135)를 부설한 상부 스키드(130)와,
상기 고정 부재(110)와 적치 부재(1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압연롤(A)의 규격변화에 따라서 상기 적치 부재(1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승하강 부재(14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110)는 외부의 충격 및 압연롤(A)의 적치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공지의 앵커 볼트(Anchor bolt)를 사용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 프레임(112,122)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베어링(115,125)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부재(110)와 적치 부재(120)의 지지 프레임(112,122)을 서로 연결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적치 부재(120)의 승하강 과정에서 마찰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한 동작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베어링(115,125)은 상기 적치 부재(120)의 승하강 과정에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원활한 미끄럼운동을 유도할 수 있는 베어링을 사용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하고 지지력이 우수한 오일리스 부시(Oilless bush) 및 LM가이드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111)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수직 프레임(113)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113)의 상부에는 받침구(114)를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121) 하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유압실린더(126)의 로드에 구비된 고정구(127)와 맞닿아 상기 적치 부재(120)의 승하강 과정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구(114)와 고정구(126)의 형상으로 일측으로 이동할수록 서로 맞물려 밀착될 수 있도록 쐐기(Wedge)형태를 갖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롤(A)의 규격(지름)이 변화될 경우 상기 승하강 부재(140)의 동작으로 상기 적치 부재(12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126)의 동작으로 상기 받침구(114)와 고정구(127)가 서로 밀착되어 고정하게 되므로 상기 적치 부재(120)의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11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스톱퍼(116)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상부 스키드(130)의 회전과정에서 후방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회전방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스키드(123)의 상부에는 압연롤(A)의 유동 및 적치위치를 정확하게 유도하기 위한 롤 안착부(124)가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롤 안착부(124)는 "V"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여 압연롤(A)의 정확한 위치를 확보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롤 안착부(124)의 상부에는 압연롤(A)과 서로 맞닿는 부분에 황동재질의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압연롤(A)의 적치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손 및 손상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롤 안착부(124)의 표면에는 압연롤(A)의 적치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상기 상부 스키드(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공지의 감지센서(124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센서(124a)를 통해서 압연롤(A)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상부 스키드(130)가 후방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적치 부재(12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압연롤(A)을 상기 하부 스키드(123)에 적치할 수 있게 되고, 반대로 상기 감지센서(124a)를 통해서 압연롤(A)이 적치됨을 확인할 경우에는 상기 상부 스키드(130)가 전방으로 회전되므로 압연롤(A)을 상기 상부 스키드(130)의 상부에 적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124a)는 통상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근접센서(Proximity sensor)를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 상부 스키드(130)는 상기 유압실린더(135)의 동작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압연롤(A)을 적치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이때 상기 몸체(131)의 상부에는 압연롤(A)의 유동방지 및 적치위치를 정확하게 유도하기 위해서 "V"형상을 갖는 롤 안착부(1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롤 안착부(132)의 상부에는 압연롤(A)과 서로 맞닿는 부분에 황동재질의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압연롤(A)의 적치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손 및 손상을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롤 안착부(132)의 하부에는 압연롤(A)의 적치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상기 상부 스키드(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공지의 감지센서(132a)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센서는 작업자의 조작실수로 상기 상부 스키드(130)를 회전시켜 적치된 압연롤(A)을 낙하시키는 안전사고의 발생원인을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131)의 전방에는 걸림구(134)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22)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홈(122a)과 맞닿아 상기 상부 스키드(130)의 상부에 적치되는 압연롤(A)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상부 스키드(130)를 상기 지지프레임(122)의 상부에 안착시키게 되므로 압연롤(A)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 및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쵸크 받침구(133)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압연롤(A)의 양측에 조립된 쵸크(B)의 하부를 지지함은 물론 자중에 의해서 상기 쵸크(B)가 회전하면서 주변설비와 충돌되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압연롤(A)과 쵸크(B)를 일일이 분리하여 적치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불편함을 사전에 방지함은 물론 이로 인한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승하강 부재(140)의 구성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프레임(111)의 상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브라켓(141)과, 상기 브라 켓(141)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축(141a)을 매개로 회전하되 상부에는 롤러(142a)를 구비한 승하강 조절구(142)와, 상기 승하강 조절구(142)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이동축(143a)이 양측에 형성된 몸체(143)와, 상기 몸체(143)의 내부에 형성하되 일측은 상기 고정 프레임(111)에 결합하고 타측의 로드는 몸체(143)의 일측에 고정하는 유압실린더(144)와, 상기 브라켓(14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조절구(142)의 각도변화에 따라서 상부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승하강 축(145)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롤(A)의 규격변화에 따라서 상기 적치 부재(1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유압실린더(144)를 동작시키게 되면 상기 이동축(143a)이 전진하면서 상기 승하강 조절구(142)가 힌지축(141a)을 매개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승하강 조절구(142)의 상부에 형성된 롤러(142a)가 상기 승하강 축(145)의 하부를 밀착시켜 들어올리게 되므로 결국 상기 적치 부재(120)의 높이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142a)는 물리적인 하중과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공지의 베어링으로 대용(代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100)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압연롤을 적치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압연롤을 적치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센서(124a)를 통해서 압연롤(A)의 적치 유무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때 압연롤(A)의 적치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유압실린더(135)의 로드를 전진시켜 상기 상부 스키드(130)를 후방으로 들어올려 압연롤(A)이 하부 스키드(123)로 적치될 수 있도록 개방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스키드(123)의 상부로 압연롤(A)이 적치되면 상기 감지센서(124a)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유압실린더(135)의 로드를 후진시키게 되므로 상기 상부 스키드(130)가 전방으로 내려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스키드(130)의 상부에 압연롤(A)이 적치되는데 이때 상기 쵸크(B)는 상기 쵸크 받침구(133)에 의해서 지지가 되므로 자중으로 회전되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쵸크(B)가 양측에 조립된 압연롤(A)을 안전하게 적치할 수 있으며, 특히 감지센서를 통해서 압연롤(A)의 적치 유무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효율 및 활용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양측에 쵸크가 양측에 조립된 압연롤을 순차적으로 적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을 갖는 압연롤에 따라서 높이를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적치할 수 있도록 하여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압연롤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되어 압연롤의 적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적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공지의 압연롤 적치장치에 있어서,
    하부에는 고정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을 구비한 고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의 상부에 위치하여 승하강 하되 하부에는 베이스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측에는 압연롤을 상부에 안착하기 위한 하부 스키드를 부설한 적치 부재와, 상기 지지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도록 관통되는 회전축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의 양측에는 압연롤을 상부에 안착하기 위한 몸체를 결합하며 상기 몸체의 외측에는 돌출되도록 쵸크 받침구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를 부설한 상부 스키드와, 상기 고정 부재와 적치 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압연롤의 규격변화에 따라서 상기 적치 부재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축을 매개로 회전하되 상부에는 롤러를 구비한 승하강 조절구와, 상기 승하강 조절구의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이동축이 양측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하되 일측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결합하고 타측의 로드는 몸체의 일측에 고정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승하강 조절구의 각도변화에 따라서 상부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승하강 축으로 이루어지는 승하강 부재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에 미끄럼 베어링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다수개의 수직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부에는 받침구를 형성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유압실린더를 형성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에는 고정구를 구비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의 동작으로 상기 고정구가 받침구와 서로 밀착되면서 상기 적치 부재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하부 스키드의 상부에는 "V"형상을 갖는 롤 안착부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롤 안착부의 표면에는 압연롤의 적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
  6. 삭제
KR1020060041436A 2006-05-09 2006-05-09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 KR100743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436A KR100743076B1 (ko) 2006-05-09 2006-05-09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436A KR100743076B1 (ko) 2006-05-09 2006-05-09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3076B1 true KR100743076B1 (ko) 2007-07-26

Family

ID=3849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436A KR100743076B1 (ko) 2006-05-09 2006-05-09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30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1043U (ko) * 1995-11-10 1997-06-18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압연롤의 적치대
KR200167191Y1 (ko) * 1995-12-08 2000-03-02 이구택 상하부를 동시 적치, 인출장치
JP2000312908A (ja) * 1999-04-20 2000-11-14 Sms Schloeman Siemag Ag ミルハウジングを持たないロール担持枠
KR20030031237A (ko) * 2001-10-12 2003-04-21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의 3단 적치장치
KR20030043060A (ko) * 2001-11-26 2003-06-02 주식회사 포스코 롤 파손이 방지되는 롤 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1043U (ko) * 1995-11-10 1997-06-18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압연롤의 적치대
KR200167191Y1 (ko) * 1995-12-08 2000-03-02 이구택 상하부를 동시 적치, 인출장치
JP2000312908A (ja) * 1999-04-20 2000-11-14 Sms Schloeman Siemag Ag ミルハウジングを持たないロール担持枠
KR20030031237A (ko) * 2001-10-12 2003-04-21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의 3단 적치장치
KR20030043060A (ko) * 2001-11-26 2003-06-02 주식회사 포스코 롤 파손이 방지되는 롤 적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8132868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рабочих валков и/или опорных валков
CN111151603B (zh) 一种板料折弯用支撑机构
DK201070002A (en) Roller press with retractable grinding material guide plate
CN104444958B (zh) 货物堆垛抓取器
CN210209596U (zh) 一种可防止物件倾倒的液压翻转机
KR100743076B1 (ko) 쵸크가 조립된 압연롤용 적치장치
CN112299072A (zh) 一种布料加工用卷布机构
CN208178779U (zh) 一种对中、翻板装置
US6357705B1 (en) Adjustable roller stand
JP4687659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US6612145B2 (en) Leveler for stretcher leveling of a metal strip or sheet
CN218086648U (zh) 一种冷轧轧辊储存装置
KR100935105B1 (ko) 압연롤용 자동 적치장치
CN220216279U (zh) 一种盘卷热轧材立式开卷装置
TWI609826B (zh) 不對稱的帶捲架
CN212598031U (zh) 一种具有储料功能的钢带开卷机
CN214211783U (zh) 一种机械加工用钢板开卷装置
KR100765958B1 (ko) 압연롤용 자동 적치장치
CN111606182B (zh) 一种用于房屋建筑施工的安全升降机
CN212525493U (zh) 一种带有储料功能的钢带开卷机
CN214290137U (zh) 一种大直径卷板用辅助装置
CN116374826B (zh) 一种用于金属化薄膜的吊装搬运装置
CN220501935U (zh) 一种用于收放钢管的装置
CN216735583U (zh) 一种用于钢卷运输的高强度塑料端护板
CN214568806U (zh) 一种保温装饰一体板的板料缓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