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797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797B1
KR100741797B1 KR1020050124840A KR20050124840A KR100741797B1 KR 100741797 B1 KR100741797 B1 KR 100741797B1 KR 1020050124840 A KR1020050124840 A KR 1020050124840A KR 20050124840 A KR20050124840 A KR 20050124840A KR 100741797 B1 KR100741797 B1 KR 100741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hinge
contact
delete delet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4189A (ko
Inventor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797B1/ko
Publication of KR20070064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된 키홈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에 힌지연결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키; 상기 키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되어, 상기 키의 작동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키와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타입의 몸체부와, 상기 키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부에서 돔 형태로 돌출하고 상기 키가 작동 후에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돔을 구비하는 탄성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키의 조작에 따른 클릭감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a는 도 1의 접점부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2b는 도 1의 통전접점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키홈
13: 키벽 20: 키
30: 스위치 31: 접점부
33: 통전부 40: 탄성패드
41: 몸체부 43: 복원돔
45: 키지지돌기 47: 스위칭돌기
50: 힌지연결부 60: 인쇄회로기판
100: 키패드 어셈블리 200: 단말기 본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의해 명령을 입력받는 키패드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키패드 어셈블리는 신호 발생을 위한 스위칭 장치로서,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리모콘, PDA, MP3와 같은 다양한 전자 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신호를 해당 기기의 제어 유닛에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전자 기기 중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키패드 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내부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인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되고, 키패드 어셈블리는 사용자가 키를 누름에 따라 특정한 스위치를 스위칭하여 그에 따른 특정한 신호가 인쇄회로기판에 입력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조작을 위하여 단말기 본체에 외부로 노출되게 결합 된다.
이러한 키패드 어셈블리는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는 숫자나 기호가 인쇄되어 구분되는 복수의 키들과, 사용자가 키를 누름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치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키를 누름에 따른 클릭감은 사용자가 키를 조작할 때에 느끼는 감각으로서, 키에 의한 정확한 신호의 발생에 못지 않게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제공하는 요소이다.
그에 따라, 키패드 어셈블리의 성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일 요소라고 할 수 있는 클릭감을 개선한 키패드 어셈블리 및 그러한 키패드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 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키의 조작에 따른 클릭감을 개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된 키홈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에 힌지연결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키; 상기 키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되어, 상기 키의 작동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 및 상기 키와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타입의 몸체부와, 상기 키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부에서 돔 형태로 돌출하고 상기 키가 작동 후에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돔을 구비하는 탄성 패드를 포함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100)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키(20)와, 키(20)의 작동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30)와, 키(20)의 작동에 연동되고 그 작동 후에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패드(4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복수의 키(20)가 장착되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본체(10)에 있어서, 하나의 키(20)가 배치되도록 키(20)의 수에 대응한 갯수로 개구된 부분은 키홈(11)이라고 칭해질 수 있다. 또한, 각 키홈(11)을 한정하는 본체(10)의 부분은 키벽(13)이라 칭한다. 또한, 키벽(13)에는 힌지홈(51)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키(20)는 본체(10)에 힌지연결부(5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힌지연결부(50)는 위의 힌지홈(51)과, 키(20)의 일단에 돌출하여 키홈(51)에 삽입 되어 키(20)가 회전하게 하는 힌지돌기(53)와, 힌지돌기(53)에 결합되고 힌지홈(51)을 한정하는 키벽(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55)으로 구성된다.
스위치(30)는 인쇄회로기판(60)상에 통전되지 않게 분리된 부분을 가지는 2 이상의 접점(31a 및 31b, 도 2a 참조)으로 구성되는 접점부(31)와, 키(20)를 누름에 따라 이러한 접점부(31)와 접촉하여 위의 분리된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접점부(31)가 통전되게 하여 인쇄회로기판(60)에 키(20)를 누름에 따른 신호가 입력되게 하는 통전부(33)로 구성된다.
통전부(33)는 인쇄회로기판(60) 위에 필름지지돌기(33a')에 의해 이격되게 지지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통전필름(33a)과, 통전필름(33a)의 양 면 중에 인쇄회로기판(60)상에 형성된 접점부(31)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통전접점(33b, 도 2b 참조)으로 구성된다. 통전접점(33b)은 접점부(31)와 접촉함에 따라 그의 분리된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인쇄회로기판(60)에 신호가 입력되게 한다.
탄성패드(40)는 키(20)의 작동에 연동하며, 그 작동 후에는 키(2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패드이다. 탄성패드(40)는 플레이트 형태의 몸체부(41)와, 몸체부(41)의 키(20)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돔 형태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복원돔(43)을 포함한다. 복원돔(43)을 이루는 부분은 키(20)를 지지함과 동시에, 키(20)가 눌려져서 회동함에 따라 키(20)에 연동되어 스위치(30)를 눌러주게 된다. 또한, 복원돔(43)은 키(20)가 눌려질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그에 따라 축적되는 탄성력을 바탕으로 눌려진 키(20)를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나아가, 복원돔(43)의 일면에는 키(20)를 지지하도록 키(20)를 향해 돌출한 키지지돌기(45)가 형성되고, 복원돔(43)의 타면에는 스위치(30)를 눌러주도록 스위치(30) 측 방향으로 돌출한 스위칭돌기(47)가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패드(40)는 고무 소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이제, 통전부(33)를 이루는 접점부(31) 및 통전접점(33b)에 대하여 도 2a 및 도 2b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a는 도 1의 접점부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1의 통전접점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도면들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31)는 서로 이격되게 인쇄회로기판(60, 도 1 참조)에 인쇄되어 통전되지 않는 제1 접점(31a)과 제2 접점(31b)을 포함한다. 제1 접점(31a)은 원형 단면적을 가지는 접점이고, 제2 접점(31b)은 제1 접점(31a)과 그의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링 형태를 가지는 접점이다. 이러한 제1 접점(31a)과 제2 접점(31b)은 서로 이격된 부분에 의해 통전되지 않는 상태를 갖게 된다.
또한, 통전접점(33b)은 제1 접점(31a)과 유사하게 원형 단면적을 가지는 접점이나, 그 넓이는 제1 접점(31a) 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통전접점(33b)은 제1 접점(31a)과 제2 접점(31b)을 통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1 접점(31a)과 접촉함과 동시에 제2 접점(31b)와도 접촉할 수 있는 넓이를 가져야 한다. 그에 따라, 제1 접점(31a)과 제2 접점(31b)간의 분리된 부분은 통전접점(33b)과의 접촉에 의해 연결되어, 제1 접점(31a)과 제2 접점(31b)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사용자가 키(20)를 인쇄회로기판(60) 측으로 향하는 방향(P)으로 누르게 되면 키(2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힌지연결부(50)에 의해 인쇄회로기판(60) 측을 향하는 방향(R)으로 회전하게 된다.
키(20)의 회전에 따라 탄성패드(40)의 복원돔(43)은 키(20)의 회전에 연동하여 탄성 변형하면서 스위치(30)를 누르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복원돔(43)의 키지지돌기(45)에 의해 복원돔(43)에 키(20)의 힘이 전달되어 복원돔(43)을 이루는 부분이 변형하면서 스위치(30) 측으로 하강하게 되고, 그 결과로 스위치(30) 측을 향하여 돌출하게 형성된 스위칭돌기(47)가 스위치(30)를 향한 방향(D)으로 눌려져서 스위치(30)를 누르게 된다.
스위치(30)는 위와 같은 키(20)와 탄성패드(40)의 작동에 따라 눌려지게 되고, 그 결과로 스위치(30)의 접점부(31)와 통전접점(33b)은 서로 맞닿게 된다. 접점부(31)와 통전접점(33b)이 중첩되게 접촉되어 서로 맞닿음에 따라, 접점부(31)의 이격되게 인쇄된 제1 접점(31a)과 제2 접점(31b)이 통전접점(33b)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1 접점(31a)과 제2 접점(31b)이 통전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60)에는 특정한 키(20)가 눌려짐에 따른 특정한 전기 신호가 입력된다.
나아가, 키(2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그러한 조작 후에는 탄성패드(40)에 의해 자동적으로 원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클릭감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도 3(및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평면도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200)와, 단말기 본체(200)에 장착되어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200)의 전면 상단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210)와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220)가 구비된다. 단말기 본체(200)의 전면 하단에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100)와 소리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230)이 구비된다. 또한, 단말기 본체(200)의 배면에는 인쇄회로기판(60) 등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나아가, 본 도면에서는 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등 다른 형태의 단말기에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키패드 어셈블리(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키패드 어셈블리(100)로서, 단말기 본체(200)를 이루는 키벽(1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복수의 키(2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키패드 어셈블리(100)에 대해서는 앞서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는바, 중복하여 설명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키(20)를 누름에 따라 키(20)가 회전하면서 스위치(30)를 눌러 인쇄회로기판(60)에 그 키(20)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입력하게 한다.
나아가, 키(20)의 회전 동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40) 등이 구비됨으로 인하여 키(20)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개선된 클릭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의 조작에 따라 키가 회전되어 스위치를 눌러 그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탄성적으로 복원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클릭감이 개선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형성된 키홈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에 힌지연결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키;
    상기 키의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되어, 상기 키의 작동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
    상기 키와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타입의 몸체부와, 상기 키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부에서 돔 형태로 돌출하고 상기 키가 작동 후에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원돔을 구비하는 탄성 패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키홈을 한정하는 키벽에 형성된 힌지홈과;
    상기 힌지홈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키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돌기와;
    상기 힌지돌기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힌지홈을 한정하는 상기 키벽의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키가 상기 힌지홈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복원돔에서 상기 키를 향해 돌출하여, 상기 키를 지지하는 키지지돌기와;
    상기 복원돔에서 상기 스위치를 향해 돌출하여, 상기 키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눌러주는 스위칭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는 일체형의 고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124840A 2005-12-16 2005-12-16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41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840A KR100741797B1 (ko) 2005-12-16 2005-12-16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840A KR100741797B1 (ko) 2005-12-16 2005-12-16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189A KR20070064189A (ko) 2007-06-20
KR100741797B1 true KR100741797B1 (ko) 2007-07-25

Family

ID=3836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840A KR100741797B1 (ko) 2005-12-16 2005-12-16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7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358U (ja) * 1992-10-28 1994-05-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薄形キーボー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358U (ja) * 1992-10-28 1994-05-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薄形キーボ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189A (ko)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97939A (ja) 両面キーボード
MXPA01004666A (es) Un telefono portatil y un metodo de conectar la energia.
JP2004079503A (ja) 移動通信端末のサイドボタンスイッチ及びその振動防止装置
US11749471B2 (en) Combination electronic switch with transformable combination
CN211319978U (zh) 按键式智能墙壁开关
CN112992580B (zh) 按键结构及电子设备
KR20180080151A (ko) 탈착식 물리키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074179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CN100424800C (zh) 开关配置
EP1133720A1 (en)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197285B1 (ko) 사이드 스위치 모듈
JP2000322970A (ja) パネルスイッチ
EP1758344B1 (en) Key pad assembl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364952Y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JP3416700B2 (ja) キースイッチの構造
CN213042823U (zh) 弹片式微动开关及游戏设备
CN112687487B (zh) 一种按键结构及其终端
KR2004000994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 키 조립체구조
KR1006861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JP2003331688A (ja) キー装置
KR2006004036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체형 사이드키 구조
JP2001216869A (ja) キーボタン付き電子機器
KR101004885B1 (ko) 키 입력 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KR200264777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 기능키 구조
KR100652765B1 (ko) 이동 단말기의 경사 키버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