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843B1 -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843B1
KR100740843B1 KR1020050106769A KR20050106769A KR100740843B1 KR 100740843 B1 KR100740843 B1 KR 100740843B1 KR 1020050106769 A KR1020050106769 A KR 1020050106769A KR 20050106769 A KR20050106769 A KR 20050106769A KR 100740843 B1 KR100740843 B1 KR 100740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unit
signal
control device
measure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9712A (ko
Inventor
우종명
김인걸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106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843B1/ko
Publication of KR20070049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정기적으로 측정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다운받아 이를 처리하여 구조물의 변동사항을 검증하므로 작업이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므로 실시간으로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조물의 각 측정지점에 설치되고 센서부와 제어부, 메모리부, 안테나부로 구성되는 다수의 측정모듈과, 측정모듈과 송수신하여 측정 데이터를 다운받아 처리하는 측정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측정모듈의 센서부는 스트레인 게이지, 변위계, 로드셀, 가속도계, 속도계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고, 제어부는 프로세서 등으로 이루어지고, 메모리부는 플래시메모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구조물, 모니터링, 검증, 측정, 안전성, 동적 거동, 스트레인 게이지, 안테나, 비행기

Description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onitering of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측정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측정모듈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측정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측정모듈의 다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측정모듈의 다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 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소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측정모듈을 구조물에 설치하여 일정한 주기 또는 사고 및 변형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 측정모듈에 저장된 측정 데이터를 전송받아 구조물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빌딩, 교량, 댐, 터널, 가스관 등의 건축 및 토목 구조물, 기차, 비행기, 선박 등의 기계 구조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화, 바람이나 햇빛, 지진, 부식 등의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응력집중을 받거나 강도가 크게 약화되어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만약 상기 구조물에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대규모로 발생하므로, 이를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구조물에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된 것을 육안으로 살펴서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이면, 이미 안전에 크게 위협을 받는 상태이므로, 효과적인 예방 작업을 시행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구조물에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미세한 균열이나 특성의 변화, 내부의 균열 발생 등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는 구조물의 결함을 구조물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검사하는 비파괴 검사방법으로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법, 방사선을 이용하는 방법, 자기장을 이용하는 방법, 스트레인 게이지 등의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비파괴 검사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개 지점에 대한 측정을 위하여 설비를 설치하고 서로 연결하여야 하는 등 측정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다수의 지점에 대한 측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장시간(특히 고층 건물이나 길이가 긴 교량, 터널 등의 정밀 진단을 위해서는 수일 내지 수개월)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짧은 시간에 구조물의 결함이나 안전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물에 설치된 측정모듈이 정기적으로 측정한 데이터를 무선으로 다운받아 이를 처리하여 구조물의 변동사항을 검증하므로 작업이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므로 실시간으로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물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은 구조물의 각 측정지점에 설치 되고 센서부와 제어부, 메모리부, 안테나부로 구성되는 다수의 측정모듈과, 상기 측정모듈과 송수신하여 측정 데이터를 다운받아 처리하는 측정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측정모듈의 센서부는 스트레인 게이지, 변위계, 로드셀, 가속도계, 속도계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프로세서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모리부는 플래시메모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조물 모니터링 방법은 구조물의 동적 거동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값을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측정모듈을 구조물의 각 측정지점에 배열하여 설치하고, 각 측정모듈은 일정한 간격으로 구조물의 동적 거동을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측정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각 측정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운받아 처리하여 구조물의 안전여부를 검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물(2)의 각 측정지점에 설치되고 센서부(26)와 제어부(22), 메모리부(24), 안테나부(30)로 구성되는 다수의 측정모듈(20)과, 상기 측정모듈(20)과 송수신하여 측정 데이터를 다운받아 처리하는 측정제어장치(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구조물(2)을 비행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구조물(2)로는 교량, 고층 건물, 터널, 선박, 기차 등도 포함된다.
상기에서 측정모듈(20)의 센서부(26)는 건물이나 교량, 비행기 등의 구조물(2)의 동적 거동(응력집중이나 변형, 팽창, 수축 등)을 측정하는 데 많이 사용하는 스트레인 게이지, 변위계, 로드셀, 가속도계, 속도계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센서부(26)를 수mm 또는 수∼수백㎛ 정도의 크기로 설정하여 구성하는 것이 구조물(2)의 미세 거동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육안으로 측정이 어려운 결함이나 손상 등을 검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26)는 구조물(2)에 직접 접촉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메모리부(24)는 저장된 측정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도록 플래시메모리 등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22)는 프로세서(23)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프로세서(23)는 제조기술의 발달로 미크론(㎛) 단위까지 제조가 가능하므로, 수㎜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는 기판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로세서(23)에는 설치지점에 대한 고유번호를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2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부(30)를 통하여 수신된 주파수 신호(전자파)의 일부를 이용하여 유도전력을 발생시켜 프로세서(23)에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DC 정류기(21)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DC 정류기(21)를 설치하게 되면, 측정모듈(20)을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안테나부(3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발생하는 유도전력을 구동 전력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매우 많은 수의 측정모듈(20)을 구조물(2)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불필요하므로, 구조가 간단하게 되고, 제조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26)로부터 측정되는 신호 및 상기 프로세서(23)에서 처리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기(25)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22)에는 정밀한 측정값을 얻기 위하여 미세한 크기의 주파수신호나 유도전력을 증폭할 수 있도록 증폭회로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로세서(23)는 상기 센서부(26)에서 측정된 값과 고유번호를 조합하여 소정의 측정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안테나부(30)를 통하여 트리거신호와 함께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상기 측정모듈(20)은 수mm 정도의 크기로 제조하는 것이 구조물(2)에 장착하는 경우에 눈에 잘 띄지 않으므로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구조물(2)의 미세 거동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비교적 많은 지점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측정모듈(2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부(26), 제어부(22), 안테나부(30)를 적층식으로 구성하여 크기를 최소화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측정모듈(20)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 부(22)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전지(28)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지(28)는 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이용하는 것이 측정모듈(20)을 구조물(2)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계속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전지(28)는 상기 안테나부(3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일부를 상기 DC 정류기(21)를 이용하여 정류한 다음,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수㎜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기판에 장착될 수 있는 초소형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안테나부(30)를 구성한다.
종래 다이폴 안테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유전체 칩 안테나 등에 있어서는 2㎜ 이하의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방식으로 제조되는 초소형 안테나의 구조를 제안한다.
상기 안테나부(30)를 구성하는 초소형 안테나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층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가상평면에 각각 나선형으로 감기는 형상으로 도선을 형성하고, 하나의 선을 이루도록 이웃하는 가상평면에 형성된 나선형 도선을 중앙쪽 끝부분 또는 가장자리쪽 끝부분끼리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안테나는 3층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가상평면에 각각 나선형으로 감기는 형상으로 도선(32), (34), (36)을 형성하고, 하나의 선을 이루도록 1층과 2층의 가상평면에 형성된 나선형 도선(32), (34)을 중앙쪽 끝부분끼리 연결선(33)으로 서로 연결하고, 2층과 3층의 가상평면에 형성된 나선형 도선(34), (36)을 가장자리쪽 끝부분끼리 연결선(35)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맨아래쪽(1층) 가상평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도선(34)의 가장자리쪽 끝부분에는 급전선(38)이 연결된다.
상기에서 도선(36)의 가장자리쪽 끝단과 급전선(38)을 잡고 도선(32), (34), (36)과 연결선(33), (35)을 잡아 늘리면 전체가 하나의 선으로 연결된다.
상기에서는 가상평면에 형성하는 도선(32), (34), (36)을 사각형으로 감아 들어가거나 나오는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원형, 타원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감아 들어가거나 나오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 있어서는 연결선(33), (35)을 길게 나타냈지만, 실제로는 상기 연결선(33), (35)의 길이를 가능한 한 짧게 형성하는 것이 최대한 초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도선(32), (34), (36) 사이에 서로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생략하여 나타낸다.
상기에서는 가상평면을 3층으로 설정하여 도선(32), (34), (36)을 3층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2층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4층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안테나부(30)를 이루는 초소형 안테나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유전체 박막(50) 한쪽면에 나선형의 도선(52), (54), (56), (57)을 형성하고, 1층과 3층의 유전체 박막(50)에는 도선(52), (56)의 중앙쪽 끝부분에 연결되도록 관통구멍(53)을 형성하고, 2층과 4층의 유전체 박막(50)에는 도선(54), (57)의 가장자리쪽 끝부분에 연결되도록 관통구멍(55)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 (53), (55)에 도체분말을 채운 다음, 4개의 유전체 박막(50)을 밀착 접합시켜 하나의 칩으로 형성하고,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에 의하여 관통구멍(53), (55)에 채워진 도체분말이 용융되면서 이웃하는 도선끼리 하나의 선으로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도선의 중앙쪽 끝부분에 연결하여 관통구멍(53)을 형성한 유전체 박막(50)과 도선의 가장자리쪽 끝부분에 연결하여 관통구멍(55)을 형성한 유전체 박막(50)을 교대로 적층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맨 아랫층에 위치하는 유전체 박막(50)의 밑면에는 관통구멍(53)에 연결되는 급전선(58)을 형성한다.
상기 유전체 박막(50)에 형성하는 나선형의 도선(52), (54), (56), (57)과 급전선(58)은 반도체제조공정에서 주로 사용하는 인쇄기술이나 사진식각기술 등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안테나부(3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수㎜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기판에 프로세서(23)과 함께 장착될 수 있도록 초소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측정제어장치(10)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정모듈(20)의 안테나부(30)와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RF 안테나(12)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거동 변화를 검증하는 구조물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구조물(2)의 동적 거동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구조물(2)의 각 측정지점에 측정모듈(20)을 배열하여 설치한다.
상기 측정모듈(20)은 구조물(2)의 동적 거동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26)와, 상기 센서부(26)에서 측정된 값을 처리하는 제어부(22)와, 상기 제어부(22)에서 처리된 데이터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4)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조물(2)에 설치된 각 측정모듈(20)에서는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상기 센서부(26)의 측정값을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24)에 저장한다. 즉 상기 측정모듈(20)에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계속하여 구조물(2)의 동적 거동을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측정모듈(20)의 제어부(22)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센서부(26)의 측정값을 데이터 변환기(25)를 통하여 변환하여 상기 메모리부(24)에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일정한 주기 또는 운행 후에 상기 측정제어장치(10)를 이용하여 각 측정모듈(20)의 메모리부(24)에 저장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다운받는다.
상기에서 구조물(2)이 비행기나 기차, 선박 등인 경우에는 운행 전후에 안전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조물(2)이 건물이나 터널, 댐 등인 경우에는 일정한 주기(예를 들면 3개월, 6개월, 1년 등) 또는 지진이나 태풍, 홍수 등의 급격한 외력이 작용한 후에 안전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제어장치(10)를 작동시켜 상기 측정모듈(20)로부터 데이터를 다운 로드받기 위한 신호를 상기 RF 안테나(12)를 통하여 송출하게 되면, 상기 측정제어장치(10)로부터 일정한 구역 안에 위치한 측정모듈(20)에서는 상기 측정제어장치(10)의 신호를 안테나부(30)를 통하여 수신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22)는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24)에 저장된 데이터를 해당 측정모듈(20)의 고유번호와 함께 상기 안테나부(30)를 통하여 송출시킨다.
상기 측정제어장치(10)에서는 상기 안테나부(30)를 통하여 송출되는 각 측정모듈(20)의 고유번호와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구조물(2)의 안전성 여부 및 동적 거동의 변동상황을 검증하게 된다.
상기에서 측정제어장치(10)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상기 측정모듈(20)의 안테나부(30)에서 수신하게 되면, 수신된 신호의 일부는 상기 DC 정류기(21)를 통하여 정류되어 상기 제어부(22) 등이 구동되기 위한 전원으로 공급되고, 일부는 상기 전지(28)를 충전시키는 데 사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측정제어장치(10)를 구조물(2)의 전체 영역에 걸쳐 이동시킴에 따라 구조물(2) 전체의 안전성 여부를 검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측정모듈(20)의 메모리부(24)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측정제어장치(10)에서 완전하게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측정제어장치(10)에서 리셋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측정모듈(20)을 초기 상태(상기 메모리부(24)에 저장된 측정 데이터를 모두 제거한 상태)로 만들도록 구성하게 되면, 계속하여 새로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고, 반영구적으로 측정모듈(20)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 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측정제어장치를 구조물의 측정모듈이 설치된 부근을 이동시키면서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만으로, 일정한 주기 또는 운행 전후에 실시간으로 짧은 시간에 구조물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구조물에 장착된 측정모듈이 일정한 간격으로 계속하여 구조물의 동적 거동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일정한 주기 또는 운행 전후에 무선으로 다운받아 이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구조물의 동적 거동을 효과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안전성 여부 등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무선으로 측정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운받는 것이 가능하므로, 검증 및 측정하는 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사람이 직접 측정하기 어려운 지점이나 위험한 지점에 대한 측정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1)

  1. 구조물의 각 측정지점에 설치되고 센서부와 제어부, 메모리부, 안테나부로 구성되는 다수의 측정모듈과, 상기 측정모듈과 송수신하여 측정 데이터를 다운받아 처리하는 측정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값과 고유번호를 조합하여 소정의 측정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안테나부를 통하여 트리거신호와 함께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되고 정기적으로 상기 센서부를 통한 측정을 행하여 측정값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와, 상기 안테나부를 통하여 수신된 주파수 신호의 일부를 이용하여 유도전력을 발생시켜 프로세서에 구동 전원을 인가하는 DC 정류기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측정되는 신호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처리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듈의 센서부는 구조물의 동적 거동을 측정하는 스트레인 게이지, 변위계, 로드셀, 가속도계, 속도계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듈에는 상기 제어부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는 전지를 더 설치하는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부는 2층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가상평면에 각각 나선형으로 감기는 형상으로 도선을 형성하고, 하나의 선을 이루도록 이웃하는 가상평면에 형성된 나선형 도선을 중앙쪽 끝부분 또는 가장자리쪽 끝부분끼리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6.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청구항 5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듈은 지름 또는 한변의 크기가 수mm로 설정되어 형성되는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7. 삭제
  8. 구조물의 동적 거동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값을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데이터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측정모듈을 구조물의 각 측정지점에 배열하여 설치하고, 각 측정모듈은 일정한 간격으로 구조물의 동적 거동을 측정하여 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측정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각 측정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운받아 처리하여 구조물의 안전여부를 검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조물에 설치된 각 측정모듈의 제어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을 처리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고, 상기 측정제어장치를 통하여 일정한 주기 또는 운행 전후에 각 측정모듈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운받고, 상기 측정제어장치에서 다운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의 안전여부를 검증하는 구조물 모니터링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측정제어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측정모듈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받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측정제어장치로부터 일정한 구역 안에 위치한 측정모듈에서는 상기 측정제어장치의 신호를 안테나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해당 측정모듈의 고유번호와 함께 상기 안테나부를 통하여 송출시키고, 상기 측정제어장치에서는 상기 안테나부를 통하여 송출되는 각 측정모듈의 고유번호와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구조물의 안전 여부 및 동적 거동의 변동상황을 검증하는 구조물 모니터링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정제어장치로부터 송출된 신호가 상기 측정모듈의 안테나부에서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의 일부는 측정모듈의 DC 정류기를 통하여 정류되어 상기 제어부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으로 공급되고, 일부는 측정모듈에 설치된 전지를 충전시키는 데 사용되는 구조물 모니터링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측정모듈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측정제어장치에서 완전하게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측정제어장치에서 리셋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측정모듈을 초기 상태로 만드는 구조물 모니터링 방법.
KR1020050106769A 2005-11-09 2005-11-09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0740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769A KR100740843B1 (ko) 2005-11-09 2005-11-09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769A KR100740843B1 (ko) 2005-11-09 2005-11-09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712A KR20070049712A (ko) 2007-05-14
KR100740843B1 true KR100740843B1 (ko) 2007-07-19

Family

ID=3827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769A KR100740843B1 (ko) 2005-11-09 2005-11-09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6203A (zh) * 2018-01-12 2018-07-06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天线撑腿应变的副面变形位置姿态快速计算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801B1 (ko) * 2008-02-20 2009-11-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
KR102016124B1 (ko) 2018-03-15 2019-08-29 박수창 경비행기 안전 진단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509A (ko) * 2003-12-24 2005-06-2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설치형 구조물 자동계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509A (ko) * 2003-12-24 2005-06-2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설치형 구조물 자동계측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56203A (zh) * 2018-01-12 2018-07-06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天线撑腿应变的副面变形位置姿态快速计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712A (ko) 2007-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913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ultrasonic rock bolt condition monitoring
US7938012B2 (en) Smart coat for damag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ing device and damage detecting method using said coating
US10330640B2 (en) Block made of a building material
CN205049266U (zh) 压力传感器与测试器件
EP2894451B1 (en) Detection and assessment of damage to composite structure
Min et al. Development of a low-cost multifunctional wireless impedance sensor node
EP0526855A1 (en) Conformal circuit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and assessment
Kim et al. Wireless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stay cables under two consecutive typhoons
JP6226453B2 (ja) 腐食検出装置および腐食検出方法
KR100740843B1 (ko)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29303A (ko) 박막 센서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식 손상 측정용 부식탐지기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JP3247666B2 (ja) 探傷検査用コイル素子および探傷検査用コイル
JP6556474B2 (ja) 締結ユニットと締結構造とその検査方法
CN103076398A (zh) 接地网圆钢棒腐蚀检测周侧加载传感器
US8967000B2 (en) Planar electric board with pliable wings and system for sensing components along three coordinate axis of inner forces in a block made of a building material
JP7128566B2 (ja) 腐食センサおよび腐食検出方法
Novak et al. Development of state sensors f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JP2008164515A (ja) き裂長さ検出方法およびき裂長さ検出装置
US6925888B2 (en) MEMS sensor for detecting stress corrosion cracking
CN108693245B (zh) 一种三角环绕蜿蜒式涡流传感器及其线圈绕制方法
JP7084575B2 (ja) 亀裂検知センサー及び亀裂検知システム
JP6536815B2 (ja) 応力ゲージ、及びこれを備えた鋼材
US20230098763A1 (en) Coupling member and measurement system
Zymelka et al. Screen-Printed One-Meter-Long Sensors for Damage Detection in Welded Engineering Structures
JPS59203950A (ja) 海洋浮遊構造物係留用平行線ケ−ブルの破断検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