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801B1 -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801B1
KR100925801B1 KR1020080015481A KR20080015481A KR100925801B1 KR 100925801 B1 KR100925801 B1 KR 100925801B1 KR 1020080015481 A KR1020080015481 A KR 1020080015481A KR 20080015481 A KR20080015481 A KR 20080015481A KR 100925801 B1 KR100925801 B1 KR 100925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data
strain data
nod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0173A (ko
Inventor
차호정
최학수
최석원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5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801B1/ko
Publication of KR20090090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58Wirele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a sensor or probe and a control or evaluation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진동 또는 응력 등을 센싱하고, 이 센싱된 스트레인 데이터를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전송함으로써, 시스템 구축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많은 수의 센서들을 배치할 수 있어 시스템 확장을 용이하게 하며, 스트레인 데이터가 버퍼에 순서대로 연속해서 저장되도록 하여 전송 데이터량을 감축하고,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와 베이스 스테이션 간의 스트레인 데이터 송수신이 일정한 규칙을 따르도록 하여 전송 데이터량을 감축하면서 신속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구조물의 주요 부분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레인 신호를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가 전송받아 스트레인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를 복수개의 패킷들로 구성되는 라운드(round) 별로 나누어서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스테이션이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구조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조물, 모니터링, SHM

Description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Structural Health Monitoring Method}
본 발명은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진동 또는 응력 등을 센싱하고, 이 센싱된 스트레인 데이터를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전송함으로써, 시스템 구축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많은 수의 센서들을 배치할 수 있어 시스템 확장을 용이하게 하며, 스트레인 데이터가 버퍼에 순서대로 연속해서 저장되도록 하여 전송 데이터량을 감축하고,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와 베이스 스테이션 간의 스트레인 데이터 송수신이 일정한 규칙을 따르도록 하여 전송 데이터량을 감축하면서 신속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구조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노후화가 발생하고, 또한 바람, 지진, 차량 등에 의해 시간에 따라 불특정하게 발생하는 하중을 받게 되며, 구조물의 거동 역시 시간 및 작용하는 하중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하지만, 구조물의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구조물의 동적 거동 특성으로 나타나는 대상 구조물의 고유 진동수와 감쇠 계수, 모드 형상 등은 일정하게 유지 되고, 이러한 구조물을 원형 구조물(Integrity Structure)이라고 한다.
그러나, 노후화나 기타 손상은 구조물의 특성을 반영하는 질량, 강성 등의 요소에 변화를 나타나게 하고, 이러한 변화는 원형 구조물의 동적 특성치의 변화를 야기시킨다.
따라서, 구조물의 동적 특성을 상시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실시간으로 구조물의 상태를 평가하고,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최근 들어 고층 빌딩과 장대교량과 같은 대형 토목 구조물이 증가함에 따라서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 SHM)의 역할이 중요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이와 같은 모니터링 기술은 건물, 교량 등과 같은 구조물의 동적 거동 상황을 측정, 분석 및 진단함으로써 구조물의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모니터링 기술은 주로 구조물에 부착된 센서에서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들 데이터를 변환하여 구조물의 손상도 평가를 위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으로 대별된다.
그러나, 효과적인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있어서는 매우 많은 기술들을 필요로 하며, 특히 구조물 손상 식별(Damage Identification) 기법과 데이터 획득 및 전송 기술들은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요소들이다.
상기 일반적인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 SHM)은 보통 유선 측정 장비 또는 단일 홉(single-hop) 무선 센서들을 기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센서들의 수가 제한적이고 시스템 확장성이 감소된다. 특히 유선에 기반을 둔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은 시스템 초기 구축을 위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시간 및 비용을 감소하고, 시스템 확장성이 보장되며, 많은 센싱 데이터를 손실 없이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이 요청되고 있다.
아울러, 발생된 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신속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송 데이터량을 감소하는 방법이 제시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진동 또는 응력 등을 센싱하고, 이 센싱된 스트레인 데이터를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하여 전송함으로써, 시스템 구축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많은 수의 센서들을 배치할 수 있어 시스템 확장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레인 데이터가 버퍼에 순서대로 연속해서 저장되도록 하여 전송 데이터량을 감축하고,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와 베이스 스테이션 간의 스트레인 데이터 송수신이 일정한 규칙을 따르도록 하여 전송 데이터량을 감축하면서 신속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을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구조물의 주요 부분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레인 신호를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가 전송받아 스트레인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를 복수개의 패킷들로 구성되는 라운드(round) 별로 나누어서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스테 이션이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구조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를 멀티홉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와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사이에 데이터 중개 노드가 더 포함되어, 상기 데이터 중개 노드가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레인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레인 신호를 증폭부가 증폭하여 출력하는 과정, 상기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레인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필터부가 제거하여 출력하는 과정,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스트레인 신호를 A/D 컨버터가 스트레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과정, 상기 출력되는 스트레인 데이터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버퍼에 순서대로 연속해서 저장되는 과정, 상기 버퍼에 저장된 스트레인 데이터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복수개의 패킷으로 구성된 라운드 별로 나뉘어서 전송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D 컨버터는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를 12비트씩 연속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버퍼는 상기 12비트의 스트레인 데이터를 순서대로 연속해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와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간의 스트레인 데이터 송수신은,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가 라운드를 구성하는 패킷들 을 전송하되, 마지막 패킷에 응답 요청 플래그를 부가하여 전송하는 제1 과정,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이 상기 라운드를 구성하는 패킷들을 전송받고 상기 응답 요청 플래그를 확인한 후, 성공 메시지 데이터 또는 실패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에 전송하는 제2 과정,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가 성공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다음 라운드를 구성하는 패킷들을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전송하고, 실패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손실된 패킷들을 재전송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가 상기 손실된 패킷들을 재전송하는 경우에는 손실된 패킷들 중에서 마지막 패킷에 응답 요청 플래그를 부가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가 세팅된 시간 동안 상기 성공 메시지 데이터 또는 실패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받지 못한 경우에는 라운드를 구성하는 패킷들 중에서 마지막 패킷에 응답 요청 플래그를 부가하여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에 의하면,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진동 또는 응력 등을 센싱하기 때문에, 저 비용으로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가인 스트레인 게이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스트레인 게이 지를 구조물에 배치할 수 있어, 구조물의 많은 부분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시스템 확장성도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트레인 데이터가 버퍼에 순서대로 연속해서 저장되도록 하여 전송 데이터량을 감축하고,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와 베이스 스테이션 간의 스트레인 데이터 송수신이 일정한 규칙을 따르도록 하여 전송 데이터량을 감축하면서 신속한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센서(10),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10)와 연결되는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20) 및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2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스테이션(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10)에서 전송되는 스트레인 데이터를 멀티홉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20)와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30) 사이에 데이터 중개 노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10)는 "스트레인", 즉 물체에 회력이 작용하여 물체의 변형이 일어나는 효과를 이용하여 재료의 응력, 스트레인을 측정하는 센서이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10)는 저가이므로, 본 발명인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한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10)는 구조물의 기둥 또는 천장과 같은 주요 부분에 배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10)는 구조물의 많은 부분에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10)는 구조물의 진동 또는 응력을 실시간으로 센싱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센싱 값을 출력한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레인 신호는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20)로 입력된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10)와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20)는 일대일로 연결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레인 신호는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20)에서 디지털 값인 스트레인 데이터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 스트레인 데이터는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20)에서 라운드(round) 별로 나뉘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30)으로 무선 전송된다. 상기 각 라운드는 복수개의 패킷들로 구성된다. 각 라운드를 구성하는 패킷의 수는 사전 세팅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20)와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30) 사이에 데이터 중개 노드(미도시)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20)는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를 라운드 별로 나누어서 상기 데이터 중개 노드 로 무선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중개 노드는 전송받은 스트레인 데이터를 라운드 별로 나누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30)으로 전송한다.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20)는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를 최소화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고, 상기 데이터 중개 노드 또는 베이스 스테이션과의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다.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20)의 세부적인 구성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20)는 증폭부(21), 필터부(23), A/D 컨버터(25), 버퍼(27) 및 제어부(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증폭부(21)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10)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레인 신호(진동 또는 응력 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10)에 의하여 센싱된 스트레인 신호는 미비한 신호이기 때문에 일단 증폭할 필요가 있다.
상기 증폭부(21)로부터 출력되는 증폭된 스트레인 신호는 필터부(23)에 입력된다. 상기 필터부(23)는 상기 증폭부(21)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레인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한 후 출력한다. 상기 증폭된 스트레인 신호에는 센싱된 스트레인 신호 이외에 불필요한 노이즈 신호가 포함된다. 따라서, 로우패스 필터로 구성된 필터부(23)를 이용하여 노이즈 신호 성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상기 노이즈 성분 신호가 제거된 스트레인 신호는 A/D 컨버터(25)로 입력된다. 상기 A/D 컨버터(25)는 상기 노이즈 성분 신호가 제거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스트레인 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이 스트레인 데이터는 디지털 데이 터로서 12비트씩 출력된다. 즉, 상기 A/D 컨버터(25)는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를 12비트씩 연속적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12비트씩 출력되는 스트레인 데이터는 순서대로 상기 버퍼(25)에 저장된다.
상기 A/D 컨버터(25)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레인 데이터는 버퍼(27)에 전달되어 순서대로 저장된다. 즉, 상기 버퍼(27)는 상기 A/D 컨버터(25)로부터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12비트의 스트레인 데이터를 순서대로 연속해서 저장한다.
구체적인 저장 방법을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D 컨버터(25)로부터 출력되는 첫 번째 스트레인 데이터(제1 스트레인 데이터)는 상기 버퍼(27) 중 최상층 버퍼(2 바이트)에 순서대로 저장되고, 상기 A/D 컨버터(25)로부터 출력되는 두 번째 스트레인 데이터(제2 스트레인 데이터)는 상기 버퍼(27) 중 최상층 버퍼(2 바이트)의 비어있는 4비트 공간과 다음 버퍼(최상층 버퍼 아래에 있는 버퍼)의 8비트 공간(최상위 비트로부터 8번째 비트까지의 공간)에 저장된다.
즉, 상기 각각의 스트레인 데이터(제1 스트레인 데이터, 제2 스트레인 데이터 등)는 2바이트 버퍼에 각각 하나씩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비어있는 각 버퍼의 영역에 순서대로 연속해서 저장된다.
상기 버퍼(27)에 저장되어 있는 스트레인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29)의 제어에 따라 무선으로 전송된다. 이 전송된 스트레인 데이터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30)으로 바로 전송되거나, 데이터 중개 노드(미도시)를 거쳐 무선 멀티홉 전송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30)으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29)의 제어에 따라 상기 버퍼(27)에 저장된 스트레인 데이터는 라운드(round)로 나뉘어져 연속해서 전송된다. 상기 각 라운드(round)는 복수개의 패킷들로 구성된다. 상기 각 라운드를 구성하는 패킷들의 수는 세팅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퍼(27)에 저장되어 전송할 패킷의 수가 100개이고, 각 라운드가 5개의 패킷으로 구성된다면, 상기 제어부(29)는 상기 100개의 패킷을 20개의 라운드로 분할하여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20)로부터 직접 또는 데이터 중개 노드(미도시)를 거쳐 멀티홉 무선 전송 방식으로 전송된 스트레인 데이터는 베이스 스테이션(30)에 수집 및 분석된다.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30)은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20) 또는 데이터 중개 노드(미도시)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30)은 상기 전송된 스트레인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상기 구조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도 4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30)에서 이루어진 모니터링의 일예를 보여준다. 즉,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30)에서는 실시간으로 전송받은 스트레인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나중에 데이터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통해 수행되는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구조물의 주요 부분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는 진동 또는 응력 등을 센싱하여 스트레인 데이터를 발생하여 출력한다(도 5에서 단계s10). 상기 출 력된 스트레인 신호는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에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는 상기 스트레인 신호(아날로그 신호)를 스트레인 데이터(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를 복수개의 패킷들로 구성되는 라운드(round) 별로 나누어서 전송한다(s20).
상기 스트레인 신호가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에서 처리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레인 신호는 증폭부가 증폭하여 출력한다(s21). 그러면, 상기 증폭부로부터 출력되는 증폭된 스트레인 신호를 입력받은 필터부는 상기 스트레인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로우패스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한다(s23).
그런 다음,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스트레인 신호는 A/D 컨버터에 의하여 스트레인 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된다(s25). 상기 출력되는 스트레인 데이터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에 순서대로 연속해서 저장된다(s27). 이때, 상기 A/D 컨퍼버는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를 12비트씩 연속해서 출력하고, 상기 버퍼는 상기 12비트의 스트레인 데이터를 순서대로 연속해서 저장한다.
다음, 상기 버퍼에 저장된 스트레인 데이터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복수개의 패킷으로 구성된 라운드 별로 나뉘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또는 데이터 중개 노드로 전송된다(s29).
상기와 같이 전송되는 스트레인 데이터는 베이스 스테이션 또는 데이터 중개 노드가 전송받는다.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는 무선으로 전송된다.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스테이션은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구조물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s30).
한편,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에서 전송되는 스트레인 데이터는 데이터 중개 노드로 일단 전송된 후, 상기 데이터 중개 노드를 거쳐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를 멀티홉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와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사이에 상기 데이터 중개 노드가 더 포함되어, 상기 데이터 중개 노드가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레인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와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또는 데이터 중개 노드 간의 스트레인 데이터 송수신에 관하여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가 라운드를 구성하는 패킷들을 전송하되, 마지막 패킷에 응답 요청 플래그를 부가하여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또는 데이터 중개 노드로 전송한다(s40). 즉,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는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스트레인 데이터들을 패킷화한 후, 사전에 세팅된 수만큼의 패킷들(라운드)로 나누어서 전송한다. 이때, 반드시 라운드를 구성하는 패킷들 중 마지막 패킷에 응답 요청 플래그를 부가하여 전송한다.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또는 데이터 중개 노드가 상기 라운드를 구성하는 패 킷들을 전송받고, 상기 응답 요청 플래그를 확인한 후, 응답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에 전송한다(s50).
상기 응답 메시지 데이터는 성공 메시지 데이터 또는 실패 메시지 데이터 중 하나이다.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또는 데이터 중개 노드는 상기 응답 요청 플래그를 확인하여 해당 라운드를 구성하는 마지막 패킷까지 도착했음을 인식한다. 그런 다음, 라운드를 구성하는 모든 패킷들이 전송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라운드를 구성하는 모든 패킷들이 정상적으로 전송된 경우에는 응답 메시지 데이터로서 성공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로 전송한다. 반면, 상기 확인 결과, 손실된 패킷들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손실된 패킷들의 번호를 포함한 실패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로 전송한다.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가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또는 데이터 중개노드로부터 성공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다음 라운드를 구성하는 패킷들을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또는 데이터 중개 노드로 전송한다(s60).
그런데, 만약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가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또는 데이터 중개 노드로부터 실패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상기 실패 메시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손실된 패킷들의 번호를 확인하여 손실된 패킷들을 재전송한다(s60).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가 상기 손실된 패킷들을 재전송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손실된 패킷들 중에서 마지막 패킷에 응답 요청 플래그를 부가하여 재전 송한다. 예를 들어, 1번 ~ 5번 패킷들(라운드를 구성하는 패킷들)을 전송한 결과, 2번 및 4번 패킷이 손실되었다면, 4번 패킷에 응답 요청 플래그를 부가하여 전송한다.
이와 같이 손실된 패킷들이 발생한 경우에, 라운드를 구성하는 마지막 패킷에 응답 요청 플래그를 부가하여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손실된 패킷들 중에서 마지막 패킷에 응답 요청 플래그를 부가함으로써, 전송 데이터량을 감소시킨다.
한편, 상기 전송된 패킷들 중에서 응답 요청 플래그가 부가된 마지막 패킷이 손실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또는 데이터 중개 노드가 응답 요청 플래그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응답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에 전송하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는 상기 라운드를 구성하는 패킷들을 전송한 후부터 일정 시간(사전에 세팅된 시간) 동안 상기 성공 메시지 데이터 또는 실패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받지 못한 경우에는 응답 요청 플래그가 부가된 마지막 패킷이 손실된 것으로 인정하여 라운드를 구성하는 패킷들 중에서 단지 마지막 패킷에 응답 요청 플래그를 부가하여 재전송한다. 즉, 라운드를 구성하는 모든 패킷들을 재전송하지 않고, 단지 응답 요청 플래그가 부가된 마지막 패킷만을 재전송함으로서 전송 데이터량을 감소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의 세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스트레인 데이터가 버퍼에 저장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에서의 모니터링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절차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스트레인 신호가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에서 처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절차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와 베이스 스테이션 간의 스트레인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 20 :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
21 : 증폭부 23 : 필터부
25 : A/D 컨버터 27 : 버퍼
29 : 제어부 30 : 베이스 스테이션

Claims (7)

  1.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구조물의 주요 부분에 배치된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스트레인 신호를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가 전송받아 스트레인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를 복수개의 패킷들로 구성되는 라운드(round) 별로 나누어서 전송하는 제1 단계;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스테이션이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구조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와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간의 스트레인 데이터 송수신은,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가 라운드를 구성하는 패킷들을 전송하되, 마지막 패킷에 응답 요청 플래그를 부가하여 전송하는 제1 과정,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이 상기 라운드를 구성하는 패킷들을 전송받고 상기 응답 요청 플래그를 확인한 후, 성공 메시지 데이터 또는 실패 메시지 데이터를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에 전송하는 제2 과정,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가 성공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다음 라운드를 구성하는 패킷들을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전송하고, 실패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손실된 패킷들을 재전송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를 멀티홉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와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사이에 데이터 중개 노드가 더 포함되어, 상기 데이터 중개 노드가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레인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가 상기 손실된 패킷들을 재전송하는 경우에는 손실된 패킷들 중에서 마지막 패킷에 응답 요청 플래그를 부가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데이터 전송 노드가 세팅된 시간 동안 상기 성공 메시지 데이터 또는 실패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받지 못한 경우에는 라운드를 구성하는 패킷들 중에서 마지막 패킷에 응답 요청 플래그를 부가하여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
KR1020080015481A 2008-02-20 2008-02-20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 KR100925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481A KR100925801B1 (ko) 2008-02-20 2008-02-20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481A KR100925801B1 (ko) 2008-02-20 2008-02-20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173A KR20090090173A (ko) 2009-08-25
KR100925801B1 true KR100925801B1 (ko) 2009-11-11

Family

ID=4120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481A KR100925801B1 (ko) 2008-02-20 2008-02-20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8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1849B (zh) * 2014-07-03 2017-01-04 国家电网公司 基于变压器过电压信号及响应的绕组变形在线检测系统
CN104864837B (zh) * 2015-05-27 2017-10-13 武汉光谷北斗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北斗移动cors基站的桥梁形变监测数据修正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342A (ko) * 2000-08-17 2002-02-25 서창원 구조물 무인관리 시스템
KR20040105923A (ko) * 2003-06-10 2004-12-17 박세현 웹서버 실장 데이터로거 시스템
KR20070049712A (ko) * 2005-11-09 2007-05-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02092A (ko) *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센서 네트워크에 의한 산사태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342A (ko) * 2000-08-17 2002-02-25 서창원 구조물 무인관리 시스템
KR20040105923A (ko) * 2003-06-10 2004-12-17 박세현 웹서버 실장 데이터로거 시스템
KR20070049712A (ko) * 2005-11-09 2007-05-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02092A (ko) * 2006-06-30 2008-01-04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센서 네트워크에 의한 산사태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173A (ko) 200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042B1 (ko)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시스템
US6533502B2 (en) Wireless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sis of piles
JP5292036B2 (ja) 疲労損傷監視装置
Barsocchi et al. Sensing a city's state of health: Structural monitoring system by internet-of-things wireless sensing devices
AU2002244316A1 (en) Wireless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sis of piles
WO2014109324A1 (ja) 建物安全性検証システム及び建物安全検証方法
US20030154786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detecting the onset of structural collapse
JP5614735B2 (ja) 地震時のトンネル覆工挙動の計測システム
JP3785137B2 (ja) 計測情報送信装置及び多点計測情報収集システム
JP5941998B2 (ja) 代表変位波形の補正方法及び建物の残余耐震性能を評価する方法
KR100925801B1 (ko) 구조물 상시 모니터링 방법
Dorvash et al. Application of state-of-the-art in measurement and data analysis techniques for vibration evaluation of a tall building
CN107121253A (zh) 用于桥梁结构在不中断交通情况下快速振动检测的方法
EP2454576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thin structure
Whang et al. Development of an embedded networked sensing system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KR101057030B1 (ko) Dpcm 전송기법을 이용한 usn 기반형 회전기계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Whelan et al. Development of a wireless bridge monitoring system for condition assessment using hybrid techniques
JP7068768B2 (ja) 劣化診断装置、劣化診断方法および劣化診断システム
WO2002095388A2 (en) Acoustic monitoring of a structure
Beskhyroun et al. Ambient and forced vibration testing of a 13-story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KR20100002686A (ko) 양방향 통신 기능을 이용한 구조물 계측 및 제어 시스템
KR100660427B1 (ko) 구조물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ho et al. Development of a low-cost automated tension estimation system for cable-stayed bridges
KR101807637B1 (ko) 교량 상시진동 모니터링 및 측정치 처리 방법
Gkoktsi et al. MITICA Experimental Testing: Instrumentation and Signal Processing Using the Fast Hammer Impact Tes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