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549B1 -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549B1
KR100740549B1 KR1020050123646A KR20050123646A KR100740549B1 KR 100740549 B1 KR100740549 B1 KR 100740549B1 KR 1020050123646 A KR1020050123646 A KR 1020050123646A KR 20050123646 A KR20050123646 A KR 20050123646A KR 100740549 B1 KR100740549 B1 KR 100740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terminal
pedestal
winding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3652A (ko
Inventor
이계설
Original Assignee
이계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설 filed Critical 이계설
Priority to KR1020050123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54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3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 H01G13/0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with provision for removing metal su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 H01G13/006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apaci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G4/00 - H01G11/00
    • H01G13/02Machines for wind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Abstract

본 발명은 박리기를 통해 전극판의 양면에 코팅된 활성탄을 한꺼번에 제거하도록 함은 물론 이러한 박리기, 단자 용접기, 권취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박리, 단자 용접, 권취의 과정이 한꺼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하부에 활성탄이 코팅된 전극판을 선택적으로 받쳐주는 상/하부 받침대가 선택적으로 각각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각 받침대와 짝을 이루어 이들 사이에 전극판을 홀딩하도록 중앙부가 개방된 상/하부 지지대가 각각 선택적으로 전후진 및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하부 지지대의 개방된 부위를 통해 전극판에 피복된 활성탄을 박리하도록 고속회전되는 브러쉬를 갖는 상/하부 브러쉬유닛이 선택적으로 전후진되도록 구비된 박리수단과; 전극판이 통과되는 전극판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전극판 통과구멍의 상부에 용접유닛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용접유닛의 후단에는 커팅유닛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극판의 유입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단자부재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전극판의 박리된 부위에 단자부재를 용접하고 커팅해주는 단자용접수단과; 단자용접수단을 통과한 전극판의 경로와는 다른 경로로 절연지가 공급되게 하여 권취릴을 통해 전극판과 절연지를 동시에 감아주는 권취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Device to manufacture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리수단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수단의 브러쉬 부위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용접수단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 당김바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전극판 2 : 활성탄
3,3' : 단자 3a : 단자부재
4 : 절연지 100 : 박리수단
101 : 공급릴 110 : 받침부
111 : 상부 받침대 112 : 하부 받침대
113,114,125,126,211,221 : 승강실린더 120 : 지지부
121 : 상부 지지대 122 : 하부 지지대
123,124,133,134 : 전후진실린더 130 : 박리부
131 : 상부 브러쉬유닛 131a,132a : 브러쉬
131b,132b : 모터 132 : 하부 브러쉬유닛
135,136 : 석션 파이프 200 : 단자용접수단
201 : 전극판 통과구멍 210 : 용접유닛
220 : 커팅유닛 231 : 단자 홀딩실린더
232 : 단자 이송실린더 300 : 권취수단
301 : 권취릴 400 : 전극판 당김바
401 : 승강블럭 402 : 이송스크류
403 : 서보모터
본 발명은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리기를 통해 전극판의 양면에 코팅된 활성탄을 한꺼번에 제거하도록 함은 물론 이러한 박리기, 단자 용접기, 권취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박리, 단자 용접, 권취의 과정이 한꺼번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는 전기기기 및 전기 자동차용의 회생용이나 전력 저장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전극판은 그 양면에 활성탄이 코팅되며, 이러한 활성탄을 일부 벗겨내어 여기에 단자를 용접한 상태에서 절연지와 함께 권취하여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제조하게 된다.
즉, 활성탄이 양면에 코팅된 (+)전극판과 (-)전극판을 박리기로 투입하여 상기 코팅된 활성탄의 양면을 8∼10㎜의 폭으로 제거하여 릴에 각각 되감으며, 이를 단자 용접기에 투입하여 (+)전극판의 활성탄이 제거된 부위에 (+)단자를 용접하고 (-)전극판의 활성탄이 제거된 부위에 (-)단자를 용접하여 다시 릴에 각각 되감으며, 이를 권취기로 투입하여 각 릴로부터 (+)전극판과 (-)전극판을 동시에 공급하면서 각각의 전극판 사이에 절연지가 개재되도록 다른 경로로 절연지를 공급하여 각 전극판과 절연지를 4중으로 감아줌으로써 그 제조가 완료된다.
따라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각 전극판으로부터 활성탄을 벗겨내는 박리기, 각 전극판의 벗겨진 부위에 단자를 용접하는 단자 용접기, 각각의 단자가 용접된 각 전극판을 절연지와 함께 감아주는 권취기를 순차적으로 거치게 되는바, 하나의 기기를 거칠 때마다 릴에 감긴 각 전극판을 풀어주었다가 다시 릴에 되감는 작업을 반복해야 하므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각각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서 각 전극판의 권회수가 달라질 수 있고 또 각 단자가 정확하게 위치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 이럴 경우 축전특성이 달라지는 등 불량이 많아지게 된다.
또한, 각 전극판에서는 동일위치의 상하부 활성탄을 모두 박리시켜야 하는데, 각 전극판 상하부의 활성탄을 한꺼번에 박리할 경우 전극판이 제대로 지지되지 않아 박리된 전극판의 표면에 요철이 발생되므로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 2002-13105 호에서 상면 활성탄 제거수단, 하면 활성탄 제거수단, 되감기 안내수단이 순차 형성되도록 하여 상면 활성탄 제거수단을 통해 전극판 상면의 활성탄을 먼저 제 거하고, 하면 활성탄 제거수단을 통해 전극판 하면의 활성탄을 마저 제거한 후 이를 릴에 되감아주도록 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전극판의 활성탄 자동 제거장치를 개시한 바 있으나, 이러한 특허출원 제 2002-13105 호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전극판의 활성탄 자동 제거장치는 상하부 활성탄 제거수단이 개별적으로 형성된 것이어서 장치의 크기가 매우 커질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특허출원 제 2002-13105호의 경우에도 박리기, 단자 용접기, 권취기가 별도의 기기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에 많은 공정이 필요하고, 또 각각의 공정에서의 오차로 인해 불량이 많아지는 문제는 여전히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박리기, 단자 용접기, 권취기를 모두 하나의 기기에 통합하여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제조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전기적인 특성은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견지로는, 동일 장소에서 전극판으로부터 상하의 활성탄을 모두 박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신속한 박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보다 컴팩트한 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리수단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박리수단의 브러쉬 부위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용접수단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판 당김바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는 크게 박리수단(100)과, 단자용접수단(200)과, 권취수단(300)이 하나의 기기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박리수단(100)은 동일한 위치에서 전극판(1)의 상부와 하부의 활성탄(2)을 모두 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박리수단(100)은 상하부에 활성탄(2)이 코팅된 상태로 기기판(5)에 설치되어 있는 공급릴(101)로부터 공급되는 전극판(1)이 유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는 형상으로 상부 받침대(111)와 하부 받침대(112)가 각각 위치되고, 상부 받침대(111)의 상단부와 하부 받침대(112)의 하단부에는 각각 승강실린더(113)(114)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전극판(1)의 박리 위치에 따라 상부 받침대(111)와 하부 받침대(112) 중 어느 하나만 하강하거나 상승하는 받침부(110)와; 각 받침대(111)(112)의 위치보다 전방에 전극판(1)이 유동하는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는 형상으로 중앙부가 개방된 상부 지지대(121)와 하부 지지대(122)가 위치되고, 상부 지지대(121)와 하부 지지대(122)의 후위에는 각각 전후진 실린더(123)(124)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며, 각 전후진 실린더(123)(124)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승강실린더(125)(126)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상부 받침대(111) 또는 하부 받침대(112)와는 반대측 위치의 상부 지지대(121) 또는 하부 지지대(122) 하나만 전진하고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부 받침대(111) 또는 하부 받침대(112)와의 사이에 전극판(1)을 홀딩하는 지지부(120)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브러쉬(131a)(132a)와 모터(131b)(132b)의 축이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모터(131b)(132b)의 동력을 전달받아 브러쉬(131a)(132a)가 고속회전하는 상부 브러쉬유닛(131)과 하부 브러쉬유닛(132)이 전극판(1)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각 브러쉬유닛(131)(132)의 후단부에는 각각 전후진실린더(133)(134)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각 지지대(121)(122)의 위치와 동일하게 하나의 브러쉬유닛(131 또는 132)이 선택적으로 전진하여 전극판(1)의 상부 또는 하부의 활성탄(2)을 박리하는 박리부(130)가 받침부(110) 후위 즉 기기판(5) 후면에 설치 구성된다.
각 브러쉬유닛(131)(132)의 브러쉬 위치 측방에는 진공흡입용 석션 파이프(135)(136)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박리된 활성탄 찌꺼기를 흡입 배출토록 구성되며, 석션 파이프(135)(136)의 반대측 단부에는 진공 흡입기(미도시)가 설치됨은 자명하다.
단자용접수단(200)은 박리수단(100)의 일측면 기기판(5)에 설치되어지며 박리수단(100)을 통과하면서 상부와 하부가 박리된 전극판(1)이 통과하는 전극판 통과구멍(201)이 형성되고, 전극판 통과구멍(201)의 상부에 용접유닛(210)이 승강실린더(211)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용접유닛(210)의 후위에는 커팅유닛(220)이 승강실린더(221)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커팅유닛(220)의 후위에는 그 피스톤로드 선단부에 홀딩판(231a)을 가진 단자 홀딩실린더(231)가 상하방향으로 위치되며, 단자 홀딩실린더(231)의 아래쪽에는 그 피스톤로드 선단부에 홀더(231a)와 짝을 이루는 이송판(232a)을 가진 단자 이송실린더(232)가 좌우방향으로 위치되어 전극판(1)의 유입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띠형상의 단자부재(3a)를 공급해주도록 구성된다.
이때, 전술한 전극판(1)은 (+)전극판 또는 (-)전극판 중 하나를 이루게 되고, 여기에 용접되는 단자(3)는 (+)단자 또는 (-)단자 중 하나를 이루는 것으로, 실제로는 상기한 박리수단(100) 및 단자용접수단(200)과 동일한 구조의 박리수단 및 단자용접수단이 대칭으로 구성되어 각각 (+)단자가 용접된 (+)전극판과 (-)단자가 용접된 (-)전극판이 권취수단(300)의 권취릴(301)로 공급되고, 이러한 (+)전극판과 (-)전극판의 경로와는 다른 경로로 절연지(4)가 각각 공급되게 하여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권취릴(301)에 의해 각 전극판과 각 절연지를 4중 구조로 동시에 감아주도록 구성된다. 이에, 도면부호 1은 (+)전극판을 지칭하고, 3은 (+)단자를 지칭하기로 하며, 1'는 (-)전극판을 지칭하고, 3'은 (-)단자를 지칭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서는 (+)전극판의 상하부를 박리하고, 여기에 (+)단자를 용접하여 권취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단자용접수단(200)과 권취수단(300)의 사이에는 전극판(1)의 단자 용접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 전극판(1)을 일정한 길이로 당겨주기 위한 전극판 당김바(400)가 구비되며, 전극판 당김바(400)의 후위는 승강블럭(401)에 고정되고, 승강블럭(401)은 상하방향으로 위치된 이송스크류(402)에 끼워지고, 이송스크류(402)의 하단부에는 이송스크류(402)를 회전시키는 서보모터(40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상하면에 각각 활성탄(2)이 코팅되어 있는 전극판(1)을 공급릴(101)을 통해 공급하여 박리수단(100)의 상부 지지대(121)와 하부 지지대(122)의 사이공간, 상부 받침대(111)와 하부 받침대(112)의 사이공간, 단자용접수단(200)의 전극판 통과구멍(201)을 각각 통과시키고, 전극판 당김바(400)의 위쪽을 지나게 하여 최종적으로 권취수단(300)의 권취릴(301)에 절연지(4)와 함께 감기도록 한 상태에서 장치를 동작시키면 권취릴(301)이 모터에 의해 일정각 회전되면서 전극판(1)과 절연지(4)가 함께 감기게 되며, 이러한 힘에 의해 전극판(1)이 일정길이 당겨지게 된다.
전극판(1)이 당겨져 박리위치가 되면 우선 하부 받침대(112)가 상승하고 이와 동시에 상부 지지대(121)가 전진한 후 하강하여 하부 받침대(112)와 상부 지지대(121)의 사이에 전극판(1)이 홀딩되며, 뒤쪽의 상부 브러쉬유닛(131)이 전진하여 상부 지지대(121)의 빈 공간을 통해 전극판(1) 상부를 박리하게 되고, 박리된 활성탄 찌꺼기는 상부 브러쉬유닛(131)에 연결된 석션 파이프(135)를 통해 진공 흡착되어 배출된다.
전극판(1)의 상부가 박리되면 상부 브러쉬유닛(131), 상부 지지대(121), 하부 받침대(112)가 각각 원위치되며, 곧바로 상부 받침대(111)가 하강하고 또 하부 지지대(122)가 전진 후 상승하여 이들 사이에 전극판(1)이 홀딩되고, 하부 브러쉬유닛(132)이 전진하여 전극판(1)의 하부를 박리한 후 하부 브러쉬유닛(132), 하부 지지대(122), 상부 받침대(111)가 각각 원위치된다.
따라서, 전극판(1)은 그 상부와 하부의 활성탄(2)이 동일한 위치에서 모두 박리될 수 있으며, 전극판(1)의 상하부 박리시 각 받침대(111)(112)와 각 지지대(121)(122)가 전극판(1)을 홀딩하면서 받쳐주게 되므로 상하부의 활성탄(2)이 박리 되면서도 전극판(1)은 요철되지 않고 편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박리된 전극판(1)은 권취릴(301)을 통해 감아줌에 따라 단자용접수단(200)으로 이송되며, 단자용접수단(200)에서는 단자 홀딩실린더(231)와 단자 이송실린더(232)에 의해 전극판(1)의 이송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띠형상의 단자부재(3a)가 공급되므로 상기 이송된 전극판(1)의 박리부위에 단자부재(3a)가 겹쳐지면 상부로부터 용접유닛(210)이 하강하여 단자부재(3a)를 전극판(1)의 박리부위에 용접하고, 커팅부재(220)가 하강하여 단자부재(3a)를 일정한 길이로 잘라준 후 복귀함으로써 전극판(1)에 일정한 길이를 가진 단자(3)가 용접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서 전극판(1)에 용접되는 단자(3)는 적게는 하나에서 그 크기에 따라 5개까지가 되며,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에서 전기적인 특성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이러한 단자(3)를 갖는 전극판(1)과 동일한 형상의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판(1')과 함께 이들 사이에 절연지(4)를 개재하여 감길 때 동일한 전극판에 용접되는 단자끼리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중심으로부터 그 각도가 동일해야 하며, 따라서 전극판에 단자를 여러개 용접한다고 할 때 각 전극판의 권회에 따른 거리를 감안하여 단자 사이의 거리가 정해져야 하며, 이러한 거리는 컨트롤러에 의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권회수와 크기에 따라 정확하게 계산되어 권취롤(301)을 제어함에 따라 항상 단자간 거리가 항상 정확해진다.
또한, 전극판(1)의 박리위치와 단자 용접위치가 일치해야 하며, 이러한 위치관계를 권취롤(301)을 통해 제어하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본 발명에서는 단자용접수단(200)과 권취수단(300)의 사이에 전극판(1)을 일정한 길이로 당겨주기 위한 전극 판 당김바(400)를 구비한 것으로, 전극판(1)의 일측은 권취릴(301)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반대측은 자유상태에 있으므로 전극판(1)의 상하부를 박리한 후 전극판 당김바(400)를 상승시키게 되면 전극판(1)이 일정한 길이로 당겨지게 되며, 전극판(1)의 당겨진 위치에서 박리된 부위가 단자용접수단(200)의 용접유닛(210) 직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태에서 전극판(1)의 박리된 부위에 단자(3)를 용접하고, 전극판 당김바(400)를 하강시키면서 권취릴(301)을 회전시켜 전극판(1)을 당겨주는 과정을 반복하면 전극판(1)의 박리위치에 정확하게 단자(3)가 용접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권취릴(301)에 의해 절연지(4), 전극판(1), 절연지(4), 다른 전극판(1')의 순서로 한꺼번에 일정한 횟수로 권회한 후 잘라주면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가 완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동일 극성의 단자끼리 동일 각도로 위치될 수 있으므로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의 전기적인 특성이 일정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기기에 전극판 박리수단, 단자용접수단, 권취수단이 순차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하부에 활성탄이 코팅된 전극판을 공급해주기만 하면 각각의 수단을 거쳐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그 제조가 매우 쉽게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전극판 박리수단이 전극판 상하부의 활성탄을 동일위치에서 박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전극판의 박리가 빠른 시간내에 쉽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전체적인 장치를 컴 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상하부에 활성탄(2)이 코팅된 상태로 기기판(5)에 설치되어 있는 공급릴(101)로부터 공급되는 전극판(1)이 유동하는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는 형상으로 상부 받침대(111)와 하부 받침대(112)가 각각 위치되고, 상기 상부 받침대(111)의 상단부와 상기 하부 받침대(112)의 하단부에는 각각 승강실린더(113)(114)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전극판(1)의 박리 위치에 따라 상기 상부 받침대(111)와 상기 하부 받침대(112) 중 어느 하나만 하강하거나 상승하는 받침부(110); 상기 각 받침대(111)(112)의 위치보다 전방에 상기 전극판(1)이 유동하는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는 형상으로 중앙부가 개방된 상부 지지대(121)와 하부 지지대(122)가 위치되고, 상기 상부 지지대(121)와 상기 하부 지지대(122)의 일측에는 각각 전후진 실린더(123)(124)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며, 상기 각 전후진 실린더(123)(124)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승강실린더(125)(126)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상기 상부 받침대(111) 또는 상기 하부 받침대(112)와는 반대측 위치의 상기 상부 지지대(121) 또는 상기 하부 지지대(122) 하나만 전진하고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상부 받침대(111) 또는 상기 하부 받침대(112)와의 사이에 상기 전극판(1)을 홀딩하는 지지부(120); 상기 받침부(11) 후위 즉 기기판(5) 후면에 설치되어지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브러쉬(131a)(132a)와 모터(131b)(132b)의 축이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모터(131b)(132b)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브러쉬(131a)(132a)가 고속회전하는 브러쉬 유닛(131)(132)이 상기 전극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각 브러쉬 유닛(131)(132)의 후단부에는 각각 전후진실린더(133)(134)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각 지지대(111)(112)의 위치와 동일하게 하나의 브러쉬 유닛(131 또는 132)이 선택적으로 전진하여 상기 전극판(1)의 상부 또는 하부의 활성탄(2)을 박리하는 박리부(130)를 포함하여서 된 박리수단(100)과,
    상기 박리수단(100)의 일측면 기기판(5)에 설치되어지며, 박리수단(100)을 통과하면서 상부와 하부가 박리된 전극판(1)이 통과하는 전극판 통과구멍(201)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판 통과구멍(201)의 상부에 용접유닛(210)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접유닛(210)의 후단에는 커팅유닛(220)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극판(1)의 유입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띠형상의 단자부재(3')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극판(1)의 박리된 부위에 상기 단자부재(3')를 용접하고 커팅해주는 것에 따라 상기 전극판(1)에 단자(3)를 용접해주는 단자용접수단(200)과,
    상기 기기판(5)에 설치되어 단자용접수단(200)을 통과한 전극판(1)의 경로와는 다른 경로로 절연지(4)가 공급되게 하여 권취릴(301)을 통해 상기 단자(3)가 용접된 전극판(1)과 상기 절연지(4)를 동시에 감아주는 권취수단(30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브라쉬유닛(131)(132)의 브러쉬(131a)(132a) 위치 측방에는 진공흡입용 석션 파이프(135)(136)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박리된 활성탄 찌꺼기를 흡입 배출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용접수단(200)과 권취수단(300)의 사이에는 상기 전극판(1)의 단자 용접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 상기 전극판(1)을 일정한 길이로 당겨주기 위한 전극판 당김바(400)가 구비되며, 상기 전극판 당김바(400)의 후위에는 승강블럭(401)이 고정되고, 상기 승강블럭(401)은 상하방향으로 위치된 이송스크류(402)에 끼워지며, 상기 이송스크류(402)의 하단부에는 이송스크류(402)를 회전시키는 서보 모터(40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수단(100) 및 상기 단자용접수단(200)과 동일한 형상의 다른 박리수단 및 단자용접수단이 상기 권취수단(300)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구비되어 상기 권취수단(300)에 의해 절연지(4), 단자가 용접된 (+)전극판(1), 절연지(4), 단자가 용접된 (-)전극판(1')이 동시에 감기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
KR1020050123646A 2005-12-15 2005-12-15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 KR100740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646A KR100740549B1 (ko) 2005-12-15 2005-12-15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646A KR100740549B1 (ko) 2005-12-15 2005-12-15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652A KR20070063652A (ko) 2007-06-20
KR100740549B1 true KR100740549B1 (ko) 2007-07-18

Family

ID=38363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646A KR100740549B1 (ko) 2005-12-15 2005-12-15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5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177B1 (ko) * 2013-07-29 2015-06-16 주식회사 코엠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도전판 권취 시스템과 도전판권취롤 제조방법
IT201700019147A1 (it) * 2017-02-21 2018-08-21 Manz Italy Srl Apparato e metodo di lavorazione
WO2018154431A3 (en) * 2017-02-21 2018-10-11 Manz Italy S.R.L. Machin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1990B1 (ko) * 2011-11-17 2013-04-08 주식회사 에너솔 알루미늄 고분자 커패시터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2394182A (zh) * 2011-11-28 2012-03-28 罗红琴 聚酯电容卷绕机的石英环升降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373Y1 (ko) * 1990-10-30 1992-11-21 윤인서 야외용 차광모자
KR19980037790U (ko) * 1996-12-18 1998-09-15 김재봉 고전압콘덴서의 단자용접장치
JP2000323367A (ja) * 1999-05-10 2000-11-24 Kaido Seisakusho:Kk 電極箔帯の巻取り装置
KR20030073502A (ko) * 2002-03-12 2003-09-19 이계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도전판의 활성탄 자동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373Y1 (ko) * 1990-10-30 1992-11-21 윤인서 야외용 차광모자
KR19980037790U (ko) * 1996-12-18 1998-09-15 김재봉 고전압콘덴서의 단자용접장치
JP2000323367A (ja) * 1999-05-10 2000-11-24 Kaido Seisakusho:Kk 電極箔帯の巻取り装置
KR20030073502A (ko) * 2002-03-12 2003-09-19 이계설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도전판의 활성탄 자동 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177B1 (ko) * 2013-07-29 2015-06-16 주식회사 코엠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도전판 권취 시스템과 도전판권취롤 제조방법
IT201700019147A1 (it) * 2017-02-21 2018-08-21 Manz Italy Srl Apparato e metodo di lavorazione
WO2018154431A3 (en) * 2017-02-21 2018-10-11 Manz Italy S.R.L. Machin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652A (ko)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47360B (zh) 一种能够进行位置检测的圆形电容组装机
KR100740549B1 (ko)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제조장치
CN110000484B (zh) 一种圆柱锂电池保护板自动装配焊接设备
JP4909906B2 (ja) プリント回路基板製造方法および前記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EP2259338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esoldering the solar battery and soldering a lead wire to the solar battery
CN203330548U (zh) 太阳能电池用扁平导线软钎焊装置
KR101079121B1 (ko) 미세 금속파이프의 와이어 커팅장치
JP2013206904A (ja) 太陽電池セル組立装置
JP2010005735A (ja) マルチワイヤ放電加工装置
CN210257273U (zh) 一种反向贴膜机
CN207706530U (zh) 一种自动焊锡机
JP2007043801A (ja) コイル巻落とし方法及び装置
KR101874281B1 (ko) 2차 전지용 전극 생산 시스템
JP2009224599A (ja)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コイル部品の製造装置、及びコイル部品
JP4485543B2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製造装置
CN109551251A (zh) 一种钢卷自动对接焊接设备
KR102192068B1 (ko) 리튬이온 배터리 전극판 접착장치의 테이프 자동공급장치
CN218447554U (zh) 一种变压器全自动绕线机
CN106711387A (zh) 一种电池焊接、整形设备
CN113664353B (zh) 一种燃料电池金属双极板巡检线的电阻点焊方法
CN211569647U (zh) 一种升降式移动切刀装置
CN208037666U (zh) 转盘式卷纸包装机及其系统
CN217691227U (zh) 一种圆柱电芯自动青稞纸附贴机
JP4497699B2 (ja) 巻線装置
JPH11191472A (ja) 端子実装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端子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