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782B1 - 전사 벨트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전사 벨트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782B1
KR100739782B1 KR1020060000880A KR20060000880A KR100739782B1 KR 100739782 B1 KR100739782 B1 KR 100739782B1 KR 1020060000880 A KR1020060000880 A KR 1020060000880A KR 20060000880 A KR20060000880 A KR 20060000880A KR 100739782 B1 KR100739782 B1 KR 100739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elt
belt
respect
uni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3220A (ko
Inventor
김용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0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782B1/ko
Priority to US11/585,129 priority patent/US7819240B2/en
Priority to CNB2006100641449A priority patent/CN100514221C/zh
Publication of KR20070073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8Ornamented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5/00Sheets and objec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Means therefor; Alb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2Cross section profile
    • B65H2404/224Cross section profile details of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5Driving or guid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135Handling of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215/00139Belt
    • G03G2215/00143Meandering prevention
    • G03G2215/00151Meandering prevention using edge limit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38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 recording medium carried by a transport belt
    • G03G2215/014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 recording medium carried by a transport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vertic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transfer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Discharging, Photosensitive Material Shape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전사 벨트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사 벨트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전사 벨트 및 지지 롤러와, 경사진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며 이음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구비한 벨트 가이드가 마련되며, 제1 및 제2 단부의 경사방향, 경사각, 이격 거리, 모따기 위치, 모따기 방향, 모따기 형상, 이음부의 위치 등이 개선되어, 전사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고, 주행 속도 편차를 줄일 수 있으며, 전사 벨트 모서리 부분이 찌그러지거나 전사 벨트가 지지 롤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벨트 가이드의 조립 공수 및 조립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사 벨트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Transfer belt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탠덤(tandem) 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중간 전사 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 벨트 유니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화상형성장치 200...급지 카세트 (cassette)
230...녹업 스프링(knock up spring) 231...녹업 플레이트(knock up plate)
310(310C,310M,310Y,310K)...현상기 311...감광체
312...현상 롤러 313...대전 롤러
314...공급 롤러 316...규제 부재
319...대전기
320...전사 벨트 유니트(transfer belt unit)
321,324...지지 롤러 322...밀착 롤러
323...회전축 325...규제부
329...전사 벨트 330(330C,330M,330Y,330K)...노광기
340...전사 롤러 350...정착기
351...가열 롤러 352...가압 롤러
372...픽업 롤러(pick up roller) 374...피드 롤러(feed roller)
376...배출 롤러 390...배지대
400...벨트 가이드 410...제1 단부
411,421...모서리 412,413,422,423 ...꼭지부
420...제2 단부 A...이음부
본 발명은 전사 벨트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로 전사하는 전사 벨트의 사행이 방지되는 전사 벨트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록 매체는 화상이 인쇄될 종이, 인화지, OHP필름 등을 통칭하는 용어로 정의된다.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복사기, 팩시밀리(facsimile), 이들 중 두가지 이상의 기기가 컨버전스(convergence)된 복합기 등을 일컫는 용어이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인쇄 데이터와 매칭 (matching)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를 이용하여 정전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며, 전사 벨트 유니트를 이용하여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고, 정착기를 이용하여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정착시킴으로써 외부 컴퓨터 등에서 입력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인쇄한다.
전사 벨트 유니트는 전사 벨트와, 이를 지지하고 구동하는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진다. 전사 벨트는 그 외주에 기록 매체를 흡착한 채 주행됨으로써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직접 전사시키거나, 또는 그 외주에 토너 화상을 1차 전사받은 후 이를 기록 매체에 2차 전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전사 벨트는 기록 매체의 이송 방향과 일치하는 일직선 방향으로 주행되어야 정확한 인쇄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사 벨트에 두께 편차가 존재하거나, 주행 방향 양 단부에 길이 편차가 발생하거나, 롤러들의 회전축이 서로 평행하지 않거나, 전사 벨트의 내주에 접촉되며 텐션(tension)을 가하는 롤러들에 외경 편차가 존재하는 경우에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이 일직선을 따르지 못하고 사행(蛇行 : meandering)될 우려가 있다.
전사 벨트가 사행되면 토너 화상의 전사 위치가 틀어지거나, 컬러 인쇄의 경우 색상의 중첩 위치가 어긋남으로써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전사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사행 방지 수단이 필요하다. 사행 방지 수단은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을 일직선으로 안내하되, 그 주행 속도에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정 시점이나 일부 위치에서 속도 편차가 발생하여 전사 벨트의 주행 속도가 불균일하게 되면 그 시점 또 는 위치에 대한 전사 품질 불량이 우려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전사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고 그 주행 속도 편차를 억제할 수 있는 전사 벨트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사 벨트 유니트는,
순환 주행되며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 벨트;
상기 전사 벨트 내주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 롤러;
상기 전사 벨트 내주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지지 롤러에 마련된 규제부와 맞물려 상기 전사 벨트를 직선 주행시키는 것으로, 각각의 이음부를 갖는 한 쌍의 벨트 가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단부의 뒤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단부의 외측 모서리가 모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현상기, 및 전사 벨트 유니트를 포함하며 기록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 벨트 유니트는,
순환 주행되며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 벨트;
상기 전사 벨트 내주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 롤러;
상기 전사 벨트 내주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지지 롤러에 마련된 규제부와 맞물려 상기 전사 벨트를 직선 주행시키는 것으로, 각각의 이음부를 갖는 한 쌍의 벨트 가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단부의 뒤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단부의 외측 모서리가 모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단부의 외측 꼭지부는, 상기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예각의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단부에 마련된 각각의 꼭지부는 상기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모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한 쌍의 이음부는 상기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단부의 이격 거리는 1.5 mm 이상부터 2.0mm 이하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단부의 외측 모서리에 대한 모따기량은, 상기 벨트 가이드 두께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동일한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일 실시예로서, 탠덤(tandem) 방식 화상형성장치(100)를 도시한다. 이를 참조하면, 감광체(311), 노광기(330), 현상기(310), 정착기(350), 및 전사 벨트 유니트(320)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100)가 도시된다. 아울러,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지 카세트(200), 기록 매체(P)를 적재하며 녹업 스프링(230)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는 녹업 플레이트(231), 녹업 플레이트(231)에 적재된 기록 매체(P)를 인출하는 픽업 롤러(372) 및 픽업된 기록 매체(P)를 이송하는 피드 롤러(374)가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0)는, 각 색상별로 독립적인 4개의 감광체(311)를 구비하며 기록 매체(P)를 1회 이송하면서 서로 다른 4 가지 색상의 전사가 한꺼번에 이루어지는 탠덤 방식이다. 즉, 기록 매체(P)를 1회 이송하며 완전한 컬러 화상이 형성되며 흑백 화상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므로, 컬러 인쇄와 흑백 인쇄에 소요되는 시간이 동일하여 인쇄 속도가 매우 빠르다.
컬러 인쇄 가능한 탠덤 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예를 들면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 4개의 현상기(310C, 310M, 310Y, 310K), 및 노광기(330C, 330M, 330Y, 330K)를 포함한다.
각 색상별 현상기(310C, 310M, 310Y, 310K)는 감광체(311)와, 현상 롤러(312)와, 대전 롤러(313)와, 공급 롤러(314)와, 규제 부재(316) 및 토너 저장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대전 롤러(313)에는 감광체(311)의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기 위하여 대전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각 색상별 노광기(330C, 330M, 330Y, 330K)는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311)에 주사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공급 롤러(314)는 토너 저장부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 롤러(312)에 공급한다. 현상 롤러(312)는 현상제로서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수용된 토너를 감광체(311)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공급하여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 롤러(312)에는 토너를 감광체(311)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현상 롤러(312)의 외측에는 현상 롤러(312)에 부착된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316)가 설치된다.
감광체(311)는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감광체(311)의 외주로 노출된 외주면은 전사 벨트(329)와 대향된다.
전사 벨트 유니트(320)는 무한 궤도를 주행하는 전사 벨트(329), 전사 벨트(329)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전사 벨트(329)를 주행시키는 지지 롤러(321,324)를 구비한다. 4개의 전사 롤러(340)는 전사 벨트(329) 내부에 마련된다. 각 전사 롤러(340)는 전사 벨트(329)를 사이에 두고 각 현상기(310C, 310M, 310Y, 310K)에 구비된 감광체(311)와 대향 된다. 전사 벨트(329)는 감광체(311)와 전사 롤러(340)의 대향면 사이로 기록 매체(P)를 이송한다. 전사 롤러(340)에는 전사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며, 감광체(311)와 전사 롤러(340) 사이에 작용하는 기구적 압력 및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 화상은 기록 매체(P)로 전사된다.
즉, 탠덤 방식 화상형성장치(100)에서, 감광체(311) 외주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전사 벨트(329)에 중간 전사되지 않고 기록 매체(P)에 직접 전사된다. 단지, 전사 벨트(329)는 기록 매체(P)를 감광체(311)와 전사 롤러(340) 사이로 이송할 뿐이다. 이 점은 도 2에 도시된 중간 전사 방식 화상형성장치(100)와 구별된다.
정착기(350)는 가열 롤러(351)와 가압 롤러(352)를 구비하며, 기록 매체(P)로 전사된 토너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P)에 정착시킨다. 가열 롤러(351)는 토너 화상에 열을 가하고, 가압 롤러(352)는 가열 롤러(351)와 대향되며 정착닙(nip)을 형성함으로써 기록 매체(P)에 고압의 압력을 가한다.
정착기(350)를 통과한 기록 매체(P)는 배출 롤러(376)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100) 외부의 배지대(390)로 배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중간 전사 방식 화상형성장치(100)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감광체(311), 노광기(330), 현상기(310), 정착기(350), 및 전사 벨트 유니트(320)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100)가 도시된다. 아울러,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지 카세트(200), 기록 매체(P)를 적재하며 녹업 스프링(230)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는 녹업 플레이트(231), 녹업 플레이트(231)에 적재된 기록 매체(P)를 인출하는 픽업 롤러(372) 및 픽업된 기록 매체(P)를 이송하는 피드 롤러(374)가 도시된다.
컬러 인쇄 가능한 중간 전사 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예를 들면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 4개의 현상기(310), 및 1 개의 노광기(330)를 구비한다.
감광체(311)는 4개의 현상기(310) 내부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별개의 부품으로서 1개 마련된다. 전사 벨트 유니트(320)는 무한 궤도를 주행하는 전사 벨트(329), 전사 벨트(329)의 양단부를 지지하며 전사 벨트(329)를 주행시키는 지지 롤러(321,324)를 구비한다. 전사 벨트(329)의 내주에는 전사 벨트(329)의 내주를 눌러 감광체(311)의 외주에 밀착시키는 밀착 롤러(322)가 마련된다. 토너 화상은 전사 벨트(329)에 1차 전사된 다음, 다시 기록 매체(P)에 2차 전사된다.
도 1에 도시된 탠덤 방식 화상형성장치(100)에서는 전사 벨트(329)가 기록 매체(P)의 이송 기능을 담당할 뿐 토너 화상은 감광체(311)로부터 기록 매체(P)에 직접 전사되지만, 도 2에 도시된 중간 전사 방식 화상형성장치(100)에서는 토너 화상이 감광체(311)로부터 전사 벨트(329)에 1차 전사된 다음 다시 기록 매체(P)에 2차 전사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인쇄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대전기(319)가 감광체(311) 외주를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노광기(330)가 옐로우(Y : yellow) 색상의 화상 정보에 해당되는 광을 감광체(311)에 주사하여, 옐로우 색상의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옐로우 색상의 현상기(310)는 옐로우 색상의 토너를 옐로우 색상의 정전 잠상에 공급하여 옐로우 색상의 토너 화상으로 현상한다. 옐로우 색상의 토너 화상은 전사 벨트(329)로 1차 전사된다.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마젠타(M), 시안(C), 블 랙(K) 색상의 토너 화상이 각각 전사 벨트(329)로 1차 전사됨으로써 각 색상별 토너 화상이 서로 중첩된다. 각 색상별 토너 화상이 전사 벨트(329)로 전사되는 순서는 상술한 바에 국한되지 않는다. 4 개 색상에 대한 각각의 토너 화상이 중첩됨으로써 전사 벨트(329)에는 완전한 1개의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그 다음에, 기록 매체(P)가 픽업 롤러(210) 및 피드 롤러(220)에 의해 이송된다. 기록 매체(P)가 전사 벨트(329) 및 전사 롤러(340)의 대면 위치에 도달되는 시점과, 전사 벨트(329)에 형성된 토너 화상의 선단이 전사 벨트(329) 및 전사 롤러(340)의 대면 위치에 도달되는 시점은 서로 동기화된다. 컬러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P)의 정확한 위치에 전사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전사 완료된 기록 매체(P)는 정착기(350)를 통과하며 토너 화상의 정착이 이루어지고, 배출 롤러(376)에 의하여 배지대(390)로 배출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 벨트 유니트(3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부(A)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전사 벨트(329), 지지 롤러(321,324), 벨트 가이드(400)를 구비한 전사 벨트 유니트(320)가 도시된다. 전사 벨트(329)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무한 궤도를 순환하며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시킨다. 전사 벨트(329)는 그 내주가 다수의 지지 롤러(321,324)로 지지되며 지지 롤러(321,324)의 회전에 따라 종동된다. 지지 롤러(321,324)들의 회전축(323)은 전사 벨트(329)의 주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마련되므로 전사 벨트(329)의 사행이 방지된다.
한편, 사행을 방지하고 속도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전사 벨트(329)에는 그 주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음매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드로잉 (drawing) 공법에 의하여 축 방향이 길게 연장되고 두께가 얇은 원통 형상으로 전사 벨트(329) 재료를 뽑아낸 다음 정해진 길이로 잘라서 이음매 없는 전사 벨트(329)의 제조가 가능하다.
벨트 가이드(400)는 전사 벨트(329) 내주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부착되며 전사 벨트(329)의 직선 주행을 안내한다. 접착 테이프나 본드를 사용하여 벨트 가이드(400)를 전사 벨트(329)의 내주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롤러(321,324)의 외주에는 벨트 가이드(400)의 주행 방향이 일직선을 따르도록 규제하는 규제부(325)가 마련된다. 규제부(325)의 폭(W)은 벨트 가이드(400)의 폭(W)과 일치한다. 벨트 가이드(400)는 전사 벨트(329) 내주 방향으로 돌출되며 지지 롤러(321,324) 외주에 함몰 형성된 규제부(325)에 삽입된다. 규제부(325)는 벨트 가이드(400)와 맞물리며, 지지 롤러(321,324)의 회전시 벨트 가이드(400)의 양 측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전사 벨트(329)가 일직선을 따라 주행되도록 안내한다.
벨트 가이드(400)는 전사 벨트(329)의 주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음매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사 벨트(329)에 이음매 없는 벨트 가이드(400)를 부착시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작업이다. 조립 공수와 조립 비용을 절감하고 주행 속도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벨트 가이드(400)는 일정한 폭과 두께(t1) 및 절단된 양 단부(410,420)를 갖는 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벨트 가이드(400)의 부착시 벨트 가이드(400)의 양 단부(410,420)가 서로 마주 보면서 이어지는 이음부(A)가 형성된다. 만약 벨트 가이드(400)의 양 단부(410,420)가 서로 겹쳐지게 부착된다면 벨트 가이드(400)의 두께 편차가 발생하여 전사 벨트(329)가 국부적으 로 점핑(jumping)됨으로써 주행 속도 편차가 발생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벨트 가이드(400)의 양 단부(410,420)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 가이드(400)의 양 단부(410,420)를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전사 벨트(329)의 주행 방향을 따라 앞선 위치에 부착되는 것을 제1 단부(410)로 정의하고, 제1 단부(410)보다 뒤처진 위치에 부착되는 것을 제2 단부(420)로 정의한다. 이음부(A)가 지지 롤러(321,324)를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단부(410,420)는 경사진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단부(420)에 있어서, 전사 벨트(329)의 모서리 쪽 꼭지부(422)가 전사 벨트(329)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예각의 경사각(φ)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단부(420)는 전사 벨트(329)의 모서리 쪽 꼭지부(422)에서 시작되어 전사 벨트(329)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라 전사 벨트(329)의 안쪽 꼭지부(423)에 도달되는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 벨트(329)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제1 단부(410)와 제2 단부(420)는 평행한 상태로 이격된다. 따라서, 제1 단부(410)에 있어서, 안쪽 꼭지부(413)가 전사 벨트(329)의 주행 방향의 역방향에 대하여 예각의 경사각(φ)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단부(410)는 전사 벨트(329)의 모서리 쪽 꼭지부(412)에서 시작되어 전사 벨트(329)의 주행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라 전사 벨트(329)의 안쪽 꼭지부(413)에 도달되는 경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단부(410,420) 각각에 마련된 경사의 형상은 직선 또는 곡 선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전사 벨트(329)의 주행시 규제부(325)에 대하여 제1 단부(410)가 먼저 진입되고, 그 다음으로 제1 및 제2 단부(410,420) 사이의 갭(gap)이 진입되며, 그 다음으로 제2 단부(420)가 진입된다. 상기 갭에 이어서 규제부(325)로 진입되는 제2 단부(420)로 인하여 전사 벨트(329)에는 접촉 충격이 발생된다. 심한 경우, 제2 단부(420)가 지지 롤러(321,324)의 외주 및 규제부(325)의 경계 부분을 타고 넘어가 전사 벨트(329)를 지지 롤러(321,324)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 단부(420)는 전사 벨트(329)의 모서리 쪽에서 규제부(325)와 맞물리는 부분으로서 외측 모서리(421)가 모따기된다. 상기 모따기의 위치 및 형상은 도 4 및 도 5에 참조 부호 C로 도시되었다. 상기 모따기는 챔퍼(chamfer) 가공된 평면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라운딩(rounding) 가공된 곡면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모따기는 전사 벨트(329)의 주행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모따기된 꼭지부(422)의 두께(t2)는 벨트 가이드(400)의 두께(t1)보다 작다. 상기 모따기의 깊이는 t1 및 t2에 대한 두께 차이의 허용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전사 벨트(329)의 주행 안정성을 고려하면 모따기된 꼭지부(422)의 두께(t2)는 벨트 가이드(400)의 두께(t1)의 1/2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환원하면, 제2 단부(420)의 외측 모서리(421)에 대한 모따기량(t1-t2)은 벨트 가이드(400) 두께(t1)의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외측 모서리(421)의 모따기와 함께, 제1 및 제2 단부(410,420)에 마련된 모든 꼭지부(412,413,422,423)는 전사 벨트(329)의 주행 방향에 평행한 방향 을 따라 추가적으로 모따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 가이드(400)의 측면으로부터 전사 벨트(329)의 양측 모서리에 이르는 이격 거리(H)는 실질적으로 0 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 벨트(329)의 주행시 전사 벨트(329)의 양측 모서리가 규제부(325)에 접촉 간섭되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및 제2 단부(410,420)의 이격 거리(G)는 1.5 ~ 2.0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 거리(G)가 지나치게 작으면 벨트 가이드(400)의 부착이 곤란해지고 제1 및 제2 단부(410,420)가 겹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너무 크면 전사 벨트(329)의 주행 속도 편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사 벨트(329)의 양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한 쌍의 이음부(A)는 전사 벨트(329)의 주행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 지지 롤러(321,324)와 벨트 가이드(400)의 접촉 충격 및 전사 벨트(329)의 주행 속도 편차를 줄이기 위함이다. 이음부(A) 사이의 이격 거리(△L)로서 실험 등을 통하여 최적값을 찾아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사 벨트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벨트 가이드 양 단부의 경사방향, 경사각, 이격 거리, 모따기 위치, 모따기 방향, 모따기 형상, 이음부의 위치 등이 개선되어, 전사 벨트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고, 주행 속도 편차를 줄일 수 있으며, 전사 벨트 모서리 부분이 찌그러지거나 전사 벨트가 지지 롤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벨트 가이드의 조립 공수 및 조립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순환 주행되며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 벨트;
    상기 전사 벨트 내주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 롤러;
    상기 전사 벨트 내주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지지 롤러에 마련된 규제부와 맞물려 상기 전사 벨트를 직선 주행시키는 것으로, 각각의 이음부를 갖는 한 쌍의 벨트 가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단부의 뒤쪽에 위치하며, 상기 규제부와 먼저 맞물리는 상기 제2 단부의 외측 모서리는 상기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감소되는 형상으로 모따기됨으로써 상기 규제부에 상기 벨트 가이드가 안정적으로 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벨트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의 외측 꼭지부는,
    상기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예각의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벨트 유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가이드의 양측 모서리 및 상기 전사 벨트의 양측 모서리는 그 위치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벨트 유니트.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음부는 상기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벨트 유니트.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부의 이격 거리는 1.5 ~ 2.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벨트 유니트.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의 외측 모서리에 대한 모따기량은,
    상기 벨트 가이드 두께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 벨트 유니트.
  7. 감광체, 노광기, 현상기, 정착기, 및 전사 벨트 유니트를 포함하며 기록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 벨트 유니트는,
    순환 주행되며 감광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시키는 전사 벨트;
    상기 전사 벨트 내주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 롤러;
    상기 전사 벨트 내주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부착되며 상기 지지 롤러에 마련된 규제부와 맞물려 상기 전사 벨트를 직선 주행시키는 것으로, 각각의 이음부를 갖는 한 쌍의 벨트 가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단부의 뒤쪽에 위치하며, 상기 규제부와 먼저 맞물리는 상기 제2 단부의 외측 모서리는 상기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감소되는 형상으로 모따기됨으로써 상기 규제부에 상기 벨트 가이드가 안정적으로 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의 외측 꼭지부는,
    상기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예각의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가이드의 양측 모서리 및 상기 전사 벨트의 양측 모서리는 그 위치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음부는 상기 전사 벨트의 주행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부의 이격 거리는 1.5 mm 이상부터 2.0mm 이하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의 외측 모서리에 대한 모따기량은,
    상기 벨트 가이드 두께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00880A 2006-01-04 2006-01-04 전사 벨트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0739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880A KR100739782B1 (ko) 2006-01-04 2006-01-04 전사 벨트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11/585,129 US7819240B2 (en) 2006-01-04 2006-10-24 Transfer belt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B2006100641449A CN100514221C (zh) 2006-01-04 2006-12-20 传送带单元以及具有该传送带单元的成像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880A KR100739782B1 (ko) 2006-01-04 2006-01-04 전사 벨트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220A KR20070073220A (ko) 2007-07-10
KR100739782B1 true KR100739782B1 (ko) 2007-07-13

Family

ID=38223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880A KR100739782B1 (ko) 2006-01-04 2006-01-04 전사 벨트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19240B2 (ko)
KR (1) KR100739782B1 (ko)
CN (1) CN10051422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6611B1 (en) * 2005-10-27 2006-11-14 Kyocera Mita Corporation Belt device
JP5129030B2 (ja) * 2007-06-11 2013-01-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ベルト体、ベル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79441B2 (ja) * 2009-06-10 2013-04-10 シャープ株式会社 転写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2012042636A (ja) * 2010-08-18 2012-03-01 Sharp Corp 無端形状ベルト、中間転写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および無端形状ベルトの製造方法
KR101417212B1 (ko) * 2011-09-23 2014-07-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사행 방지 가이드를 갖는 무단 벨트
US8931632B2 (en) * 2012-07-17 2015-01-13 Ncr Corporation Jam reduction
JP6347648B2 (ja) * 2014-04-07 2018-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51348B2 (ja) * 2014-04-18 2018-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282610B2 (ja) * 2015-03-31 2018-02-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用紙搬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163242B2 (en) * 2019-09-11 2021-11-0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7449487B2 (ja) 2020-04-28 2024-03-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1671A (ja) * 2001-05-16 2002-11-29 Ricoh Co Ltd 転写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9765A (en) * 1994-10-31 1998-01-20 Xerox Corporation Flexible belt system
US6160978A (en) * 1998-02-05 2000-12-12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n endless belt provided with ribs and indicia
JP3478797B2 (ja) * 1999-12-28 2003-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453143B2 (en) 2000-05-26 2002-09-17 Canon Kabushiki Kaisha Endless bel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endless belt, conveying device, tubular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ubular fil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094177A (ja) 2002-04-26 2004-03-25 Canon Inc 電子写真エンドレスベル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装置
JP2004184697A (ja) 2002-12-03 2004-07-02 Ricoh Co Ltd 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1671A (ja) * 2001-05-16 2002-11-29 Ricoh Co Ltd 転写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14221C (zh) 2009-07-15
US20070151829A1 (en) 2007-07-05
KR20070073220A (ko) 2007-07-10
CN1996164A (zh) 2007-07-11
US7819240B2 (en) 201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782B1 (ko) 전사 벨트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8095054B2 (en)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070172263A1 (en) Transfer device
JP2003246484A (ja) ベルト搬送装置
US20070286640A1 (en) Transfer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46390B2 (ja) 画像形成装置
US9405209B2 (en)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US922781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5562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047018B2 (ja)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63273B2 (ja)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03201B2 (ja) 画像形成装置
JP5206269B2 (ja) 転写ベルト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171639B2 (ja) 転写ベルトユニット及び該ユニット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0739737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6150611B2 (ja)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1209763B2 (en) Paper guide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622660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515307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88709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070080689A (ko) 전사 벨트 및 클리닝 부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5888915B2 (ja) 画像形成装置
US9500988B2 (en) Developing apparatus
JPH1130917A (ja) 電子写真装置
JP2017142543A (ja)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