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462B1 -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설치구조 및 천 접는방법 - Google Patents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설치구조 및 천 접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462B1
KR100739462B1 KR1020060029277A KR20060029277A KR100739462B1 KR 100739462 B1 KR100739462 B1 KR 100739462B1 KR 1020060029277 A KR1020060029277 A KR 1020060029277A KR 20060029277 A KR20060029277 A KR 20060029277A KR 100739462 B1 KR100739462 B1 KR 100739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loth
airbag
passenger seat
ai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영 환 김
Original Assignee
에스앤티대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앤티대우(주) filed Critical 에스앤티대우(주)
Priority to KR102006002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 H05K3/18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by direct electrop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해치 감소용 천이 구비된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설치구조는, 가스발생기, 지지대, 에어백 및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기를 통해 공급된 가스에 의해 팽창된 에어백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조수석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에어백 양단이 결합되는 지지대 하단의 결합돌기에 상해치 감소용 천을 결착 고정시키되, 상기 천의 양측을 겹쳐 위쪽 천과 아래쪽 천을 이루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에어백의 상단에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접는 방법은, 가스발생기, 지지대, 에어백 및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기를 통해 공급된 가스에 의해 팽창된 에어백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조수석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에어백 양단이 결합되는 지지대 하단의 결합돌기에 상해치 감소용 천을 결착 고정시킨 다음, 상기 천의 양측이 접촉되도록 겹쳐 위쪽 천과 아래쪽 천을 이루도록 한 후, 상기 겹친 천을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에어백의 상단에 위치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둘레에 이방성(異方性) 상태로 상해치 감 소용 천을 감아 설치하였던 종래 구조에 비해 가스 공급에 의해 팽창되는 에어백의 내부 압력 방향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에어백 팽창에 따른 상해치 감소용 천 중 위쪽 천과 아래쪽 천의 교대 전개에 따른 에어백의 전개방향을 탑승자의 머리부분 쪽으로 조절하여 에어백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조수석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조수석 에어백 모듈, 상해치 감소용 천,

Description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설치구조 및 천 접는 방법{The structure for installation to PIRW and folding method of passenger air bag}
도 1은 종래 조수석 에어백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조수석 에어백 모듈 중 에어백의 둘레에 상해치 감소용 천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 중 상해치 감소용 천이 접힌 상태로 설치 구성된 에어백의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백 상에 설치된 상해치 감소용 천의 사시도.
도 6은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 위치에 따라 본 발명의 상해치 감소용 천 설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해치 감소용 천이 적용된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조수석 에어백 모듈 10. 가스발생기
20. 지지대 24, 32. 결합돌기
26. 띠관 결합홀 30. 띠관
40. 에어백 45a. 상해치 감소용 천
46. 위쪽 천 47. 아래쪽 천
48. 지지대 결합홀 50. 쿠션랩
52. 절개홀 60. 하우징
본 발명은 상해치 감소용 천이 구비된 조수석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조수석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키기 위해 조수석 에어백 모듈 중 가스발생기가 고정된 지지대에 양단이 결합되는 에어백의 하단에 상해치 감소용 천(PIRW : Passenger Injury Relief Wrap)을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천의 양측이 위쪽 천(Upper Wrap)과 아래쪽 천(Lower Wrap)을 겹쳐서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상기 에어백 상단에 설치함으로써, 에어백 둘레에 이방성(異方性) 상태로 상해치 감소용 천을 감아 설치하였던 종래 구조에 비해 가스 공급에 의해 팽창되는 에어백의 내부 압력 방향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에어백 팽창에 따른 상해치 감소용 천 중 위쪽 천과 아래쪽 천의 교대 전개에 따른 에어백의 전개방향을 탑승자의 머리부분 쪽으로 조절하여 에어백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조수석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설치구조 및 천 접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충돌시 충격력에 의한 반작용으로 운전석 및 조수석에 탑승한 사람이 차량의 전면 유리 측으로 튕겨져 나가 상기 전면 유리와의 충돌로 탑승자가 부상을 입게 되는데, 이와 같은 탑승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중앙과 조수석 전방(前方)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상에 에어백 모듈을 설치하여 차량 충돌시 가스발생기로부터 가스 방출에 따른 에어백이 터져 운전자 및 탑승자의 전방(前方)으로 전개되면서 충격력으로부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수석 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미도시) 상에 설치되는 종래 에어백 모듈(1)의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에어백(40)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발생기(10)와; 상기 가스발생기(10)를 지지하면서 에어백(40)의 내부로 가스발생기(10)가 내장될 수 있게 상기 에어백(40)의 양단이 겹쳐져 하단의 결합돌기(24,32)에 결착되도록 하는 지지대(20)와; 상기 가스발생기(10)의 가스 배출구(12)를 통해 방출되는 가스의 팽창작용으로 전개되는 에어백(40)과; 상기 가스발생기(10), 지지대(20) 및 에어백(40)을 결합하여 이를 조수석 전방(前方)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미도시) 상에 결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대(20)의 하단 중앙 및 일측에는 에어백(40)의 양단에 관통 형성된 결합홀(42)에 결합되어 상기 가스발생기(10)가 고정된 지지대(20)와 에어백(40)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결합돌기(24)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20)의 후방에는 가스발생기(10)가 결착된 띠관(30)측 결합돌기(32)를 결합시키기 위한 띠관 결합홀(26)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지지대(20)로부터 가스발생기(10)의 분리 이탈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지지대(20)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가스발생기(10)가 결착된 띠관(30)의 결합돌기(32)를 상기 지지대(20)의 후방에 관통 형성된 띠관 결합홀(26)에 삽입한 후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띠관(30)에 의한 가스발생기(10)가 상기 지지대(20)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에어백(40)을 포함하여 상기 에어백(40)의 양단이 결합된 지지대(20)의 둘레에는 작은 충격으로부터 에어백(40)의 전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쿠션랩(50)이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쿠션랩(50)의 상단에는 에어백(40)의 전개시 그 팽창력에 의해 쿠션랩(50)이 절개되면서 탑승자의 전방(前方)으로 원활히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절개홀(5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쿠션랩(50)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로 둘러 쌓인 에어백(40)과 가스발생기(10)가 고정된 지지대(20)를 하우징(60)에 내장시켜 조수석 전방(前方)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 상에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조수석 전방(前方)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 상에 종래 에어백 모듈(1)을 설치한 상태로 차량 간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발생기(10)의 가스 배출구(12)를 통해 에어백(40) 내부로 가스의 방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에어백(40) 내부로 방출된 가스의 팽창작용을 통해 조수석으로부터 인스트루먼트 패널 측으로 튕겨져 나오는 탑승자의 전방(前方)으로 전개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에어백 모듈(1)에 있어 차량 충돌에 따라 조수석에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의 전방(前方)으로 전개되는 에어백(40)의 경우 충돌감지센서(미도시) 의 차량 충돌 감지에 따른 가스발생기(10)의 가스 방출로 팽창되는 과정에서 상기 조수석에 탑승하고 있는 유아나 어린이 또는 키가 작은 여성과의 충돌이 이루어질 때 상기 에어백(40)의 팽창 압력에 의해 상기 유아나 어린이 또는 키가 작은 여성 등의 상해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더나아가 상기 유아나 어린이 또는 키가 작은 여성과 팽창하는 에어백(40)과의 충돌이 심할 경우 사망으로 이어지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이 에어백(40)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조수석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40)의 둘레에 상해치 감소용 천(PIRW : Passenger Injury Relief Wrap)(45)을 이방성(異方性) 상태로 감아 설치함으로써, 에어백(40) 내에 설치된 가스발생기(10)의 가스 방출에 따른 에어백(40)의 전개 팽창시 상기 이방성 상태로 에어백(40) 둘레에 감겨진 상해치 감소용 천(45)에 의해 에어백(40)의 내압이 양측면으로 분산되면서 전개되게 되며, 이 때 상기 상해치 감소용 천(45)의 경우 가스발생기(10)로부터 방출된 가스 공급에 따라 전개되는 에어백(40)의 팽창력에 의해 점차적으로 풀리면서 상기 에어백(40)의 팽창속도를 저하시켜 급작 팽창에 따른 에어백(40)과 조수석 탑승자간의 충돌로 발생되는 상해치를 감소시키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1)의 설치 위치 즉, 조수석 에어백 모듈(1)이 차량에 따른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탑부분에 마운팅되거나 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간이나 3/4 지점에 마운팅 되는 등 상기 조수석 에어백 모듈(1)의 설치 위치가 변경될 경우 에어백(40) 둘레에 감겨진 상해치 감소용 천(45)이 에어백(40)의 팽창력에 의해 점차적으로 풀리면서 에어백(40)의 전개방향이 사람의 머리쪽으로 이루어지도록 조절되지 않고 사람의 목부분으로 전개 팽창되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상기와 같이 에어백(40)의 전개방향이 사람의 목부분에 맞춰질 경우 상기 에어백(40)의 급작 팽창력에 의해 사람의 목이 뒤로 꺾이게 되면서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객과 인스트루먼트 패널과의 충돌작용과는 별도로 상기 전개 팽창되는 에어백(40)에 의해 조수석 탑승자가 커다란 상해를 입게 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차량에 따라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1)의 조립 구조 및 설치 위치가 변경될 경우 에어백(40)의 둘레에 이방성 상태로 감아 설치되는 상해치 감소용 천(45)의 설치 위치 및 폭의 변경만으로는 에어백(40)과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조수석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 역시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에어백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조수석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키기 위해 조수석 에어백 모듈 중 가스발생기가 고정된 지지대에 양단이 결합되는 에어백의 하단에 상해치 감소용 천을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천의 양측이 위쪽 천과 아래쪽 천을 이루도록 겹쳐서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상기 에어백 상단에 설치함으로써, 에어백 둘레에 이방성 상태로 상해치 감소용 천을 감아 설치하였던 종래 구조에 비해 가스 공급에 의해 팽창되는 에어백의 내부 압력 방향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에어백 팽창에 따른 상해치 감소용 천 중 위쪽 천과 아래쪽 천의 교대 전개에 따른 에어백의 전개 방향을 탑승자의 머리부분 쪽으로 조절하여 에어백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조수석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이 에어백 하단에 고정된 상해치 감소용 천의 양측을 겹쳐 위쪽 천과 아래쪽 천을 이루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에어백의 상단에 설치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에어백의 조립 구조 및 설치 위치에 따라 이방성 상태로 에어백의 둘레에 감아 설치되는 종래 상해치 감소용 천의 설치 위치 및 폭의 변경이 매우 제한적이었던 종래에 비해 차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 위치에 관계없이 에어백 모듈의 자유로운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에어백의 상단에 상해치 감소용 천의 양측이 위쪽 천과 아래쪽 천을 이루도록 겹침과 동시에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고정시킴으로써, 이방성 상태로 상해치 감소용 천을 에어백 둘레에 감아 설치하였던 종래 방식에 비해 상기 에어백 상에 상해치 감소용 천의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며, 상기 설치작업의 간편성에 따른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 역시 단축시켜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설치구조는, 가스발생기, 지지대, 에어백 및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기를 통해 공급된 가스에 의해 팽창된 에어백과의 충돌로 발생 되는 조수석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에어백 양단이 결합되는 지지대 하단의 결합돌기에 상해치 감소용 천을 결착 고정시키되, 상기 천의 양측을 겹쳐 위쪽 천과 아래쪽 천을 이루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에어백의 상단에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해치 감소용 천은 에어백 상단에 고정된 상태로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 위치에 따라 위쪽 천을 아래쪽 천 보다 길게 형성하여 먼저 위쪽 천만 접은 다음 이어서 아래쪽 천과 겹쳐 지그재그 형태로 접은 구조를 이루거나, 또는 아래쪽 천을 위쪽 천 보다 길게 형성하여 먼저 아래쪽 천만 접은 다음 이어서 위쪽 천과 겹쳐 지그재그 형태로 접은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해치 감소용 천은 실이 직교로 교차되는 비신축성의 평직 나일론 직포로 이루어지되, 그 중앙의 일측에는 에어백의 양단과 결합되는 지지대 하단의 결합돌기에 결착되도록 지지대 결합홀이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접는 방법은, 가스발생기, 지지대, 에어백 및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기를 통해 공급된 가스에 의해 팽창된 에어백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조수석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에어백 양단이 결합되는 지지대 하단의 결합돌기에 상해치 감소용 천을 결착 고정시킨 다음, 상기 천의 양 측이 접촉되도록 겹쳐 위쪽 천과 아래쪽 천을 이루도록 한 후, 상기 겹친 천을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에어백의 상단에 위치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해치 감소용 천은 에어백 상단에 고정된 상태로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 위치에 따라 위쪽 천을 아래쪽 천 보다 길게 형성하여 먼저 위쪽 천만 접은 다음 이어서 아래쪽 천과 겹쳐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에어백의 상단에 위쪽 천이 면착되도록 위치 고정시키거나 또는 아래쪽 천을 위쪽 천 보다 길게 형성하여 먼저 아래쪽 천만 접은 다음 이어서 위쪽 천과 겹쳐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에어백의 상단에 아래쪽 천이 면착되도록 위치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설치구조 및 천 접는 방법을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종래 조수석 에어백 모듈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모듈 중 상해치 감소용 천이 접힌 상태로 설치 구성된 에어백의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에어백 상에 설치된 상해치 감소용 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한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45a)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는 가스발생기(10), 지지대(20), 에어백(40) 및 하우징(60)으로 구성되면서 상기 가스발생기(10)가 고정된 지지대(20) 하단의 결합돌기(24,32)에 에어백(40)의 양단이 결합된 상태로 하우징(60)에 내삽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 미도시) 내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1a) 중 상기 가스발생기(10)를 통해 공급된 가스에 의해 팽창된 에어백(40)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조수석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40) 양단이 결합되는 지지대(20) 하단의 결합돌기(24,32)에 상해치 감소용 천(45a)을 결착 고정시키되, 상기 천(45a)의 양측을 겹쳐 위쪽 천(46)과 아래쪽 천(47)을 이루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에어백(40)의 상단에 위치 고정시킨 것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상해치 감소용 천(45a)이 적용된 조수석 에어백 모듈(1a)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종래 조수석 에어백 모듈(1) 즉, 가스발생기(10) 및 지지대(20), 띠관(30), 에어백(40), 쿠션랩(50), 하우징(60)으로 구성된 종래 조수석 에어백 모듈(1)과 동일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상기 에어백(40)의 양단이 결합되는 지지대(20) 하단의 결합돌기(24,32)에 결착 고정됨과 동시에 천(45a)의 양측을 겹쳐 위쪽 천(46)과 아래쪽 천(47)을 이루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에어백(40)의 상단에 위치 고정시킨 상해치 감소용 천(45a)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 모듈(1a)에 적용된 상해치 감소용 천(45a)은, 실이 직교로 교차되는 비신축성의 평직 나일론 직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앙의 일측에는 에어백(40)의 양단과 결합되는 지지대(20) 하단의 결합돌기(24,32)에 결착되도록 지지대 결합홀(48)이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한 상해치 감소용 천(45a)의 구조를 도 5와 대비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는 에어백(40) 상단에 고정된 상태로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1a)의 설치 위치에 따라 지지대(20) 하단의 결합돌기(24,32)에 결착되는 천(45a)의 지지대 결합홀(48)을 기준으로 도 5와 같이 위쪽 천(46)을 아래쪽 천(47) 보다 길게 형성하여 먼저 위쪽 천(46)만 접은 다음 이어서 아래쪽 천(47)과 겹쳐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에어백(40)의 상단에 위쪽 천(46)이 면착되도록 위치 고정시키는 구조(도 6의 (a) 참조)를 이루거나, 또는 이와는 반대로 아래쪽 천(47)을 위쪽 천(46) 보다 길게 형성하여 먼저 아래쪽 천(47)만 접은 다음 이어서 위쪽 천(46)과 겹쳐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에어백(40)의 상단에 아래쪽 천(47)이 면착되도록 위치 고정시키는 구조(도 6의 (b) 참조)를 이룰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해치 감소용 천(45a)이 적용된 조수석 에어백 모듈(1a)에 있어 상기한 상해치 감소용 천(45a)의 접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설치 위치에 따라 본 발명의 상해치 감소용 천 설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45a) 접는 방법은, 가스발생기(10), 지지대(20), 에어백(40) 및 하우징(60)으로 구성된 조수석 에어백 모듈(1a) 중 상기 가스발생기(10)를 통해 공급된 가스에 의해 팽창된 에어백(40)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조수석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에어백(40) 양단이 결합되는 지지대(20) 하단의 결합돌기(24,32)에 천 (45a)의 지지대 결합홀(48)을 대응 결합시켜 상해치 감소용 천(45a)을 결착 고정시킨 다음, 상기 천(45a)의 양측이 접촉되도록 겹쳐 위쪽 천(46)과 아래쪽 천(47)을 이루도록 한 후, 상기 겹친 천(45a)을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도 4와 같이 에어백(40)의 상단에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상해치 감소용 천(45a)의 경우 에어백(40) 상단에 고정된 상태로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1a)의 설치 위치에 따라 지지대(20) 하단의 결합돌기(24,32)에 결착되는 천(45a)의 지지대 결합홀(48)을 기준으로 상기 천(45a)의 양측 길이가 달라지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탑 마운팅 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1a)의 경우 상해치 감소용 천(45a)의 양측 길이 중 위쪽 천(46)을 아래쪽 천(47) 보다 길게 형성하여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위쪽 천(46)만 접은 다음 이어서 아래쪽 천(47)과 겹쳐 지그재그 형태로 접는 방법을 통해 에어백(40)의 상단에 위치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간 및/또는 3/4 지점에 마운팅 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1a)의 경우 아래쪽 천(47)을 위쪽 천(46) 보다 길게 형성하여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아래쪽 천(47)만 접은 다음 이어서 위쪽 천(46)과 겹쳐 지그재그 형태로 접는 방법을 통해 에어백(40)의 상단에 위치 고정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상해치 감소용 천이 적용된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작동 과정을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상해치 감소용 천이 적용된 조수석 에어백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40) 양단이 결합되는 지지대(20) 하단의 결합돌기(24,32)에 본 발명의 상해치 감소용 천(45a)을 결착 고정시키되, 상기 천(45a)의 양측을 겹쳐 위쪽 천(46)과 아래쪽 천(47)을 이루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에어백(40)의 상단에 위치 고정시킨 상태의 조수석 에어백 모듈(1a)의 작동과정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상해치 감소용 천(45a)이 적용된 조수석 에어백 모듈(1a)이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탑부분에 마운트된 상태의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도 6의 (a) 참조).
상기와 같이 상해치 감소용 천(45a)의 양측을 겹쳐 위쪽 천(46)과 아래쪽 천(47)을 이루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에어백(40)의 상단에 위치 고정시킨 상태에서 차량 충돌에 따른 가스발생기(10)로부터 도 7의 (a)와 같이 에어백(40) 내부로 가스의 방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가스발생기(10)의 가스 방출에 따른 에어백(40)이 전개 팽창되면서 상기 에어백(40)의 상단과 면착되어 있는 천(45a)부분 즉,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해치 감소용 천(45a) 중 위쪽 천(46)이 먼저 펼쳐지면서 팽창중인 에어백(40)의 전개방향이 상기 펼쳐진 위쪽 천(46) 방향으로 치우쳐지게 되고, 그 다음 아래쪽 천(47) 역시 펼쳐지면서 이 역시 팽창중인 에어백(40)의 전개방향이 상기 펼쳐진 아래쪽 천(47) 방향으로 다시 치우쳐지는 등 상기 위쪽 천(46)과 아래쪽 천(47)이 에어백(40)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와 같이 교대로 펼쳐지면서 조수석 탑승자의 머리부분 쪽으로 에어백(40)의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에어백(40)의 전개방향 및 팽창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40) 상단에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설치하였던 상해치 감소용 천(45a)의 위쪽 천(46)과 아래쪽 천(47) 모두가 에어백(40)의 팽창력에 의해 펼쳐지게 되면 상기 상해치 감소용 천(45a)에 의해 조절된 방향 즉, 조수석 탑승자의 목부분 쪽으로 전개되지 않고 머리부분 쪽으로 에어백(40)의 전개가 이루어지면서 차량 충돌에 의해 전방(前方)으로 튕겨져 나가는 탑승자를 보다 원활하게 보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전개되는 에어백(40)과의 충돌에서 역시 상기 에어백(40)의 팽창 압력에 의해 조수석 탑승자의 목이 뒤로 꺾이면서 상해를 입는 것 또한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설치구조 및 천 접는 방법은, 에어백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조수석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키기 위해 조수석 에어백 모듈 중 가스발생기가 고정된 지지대에 양단이 결합되는 에어백의 하단에 상해치 감소용 천을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천의 양측이 위쪽 천과 아래쪽 천을 이루도록 겹쳐서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상기 에어백 상단에 설치함으로써, 에어백 둘레에 이방성 상태로 상해치 감소용 천을 감아 설치하였던 종래 구조에 비해 가스 공급에 의해 팽창되는 에어백의 내부 압력 방향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상기 에어백 팽창에 따른 상해치 감소용 천 중 위쪽 천과 아래쪽 천의 교대 전개에 따른 에어백의 전개방향을 탑승자의 머리부분 쪽으로 조절하여 에어백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조수석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이 에어백 하단에 고정된 상해치 감소용 천의 양측을 겹쳐 위쪽 천과 아래쪽 천을 이루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에어백의 상단에 설치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에어백의 조립 구조 및 설치 위치에 따라 이방성 상태로 에어백의 둘레에 감아 설치되는 종래 상해치 감소용 천의 설치 위치 및 폭의 변경이 매우 제한적이었던 종래에 비해 차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의 조립 위치에 관계없이 에어백 모듈의 자유로운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효과 역시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에어백의 상단에 상해치 감소용 천의 양측이 위쪽 천과 아래쪽 천을 이루도록 겹침과 동시에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고정시킴으로써, 이방성 상태로 상해치 감소용 천을 에어백 둘레에 감아 설치하였던 종래 방식에 비해 상기 에어백 상에 상해치 감소용 천의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며, 상기 설치작업의 간편성에 따른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 역시 단축시켜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Claims (5)

  1. 가스발생기, 지지대, 에어백 및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기를 통해 공급된 가스에 의해 팽창된 에어백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조수석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에어백 양단이 결합되는 지지대 하단의 결합돌기에 상해치 감소용 천을 결착 고정시키되,
    상기 상해치 감소용 천의 위쪽 천을 아래쪽 천 보다 길게 형성하여 먼저 위쪽 천만 접은 다음 이어서 아래쪽 천과 겹쳐 지그재그 형태로 접은 구조를 이루거나, 또는 아래쪽 천을 위쪽 천 보다 길게 형성하여 먼저 아래쪽 천만 접은 다음 이어서 위쪽 천과 겹쳐 지그재그 형태로 접은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설치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해치 감소용 천은 실이 직교로 교차되는 비신축성의 평직 나일론 직포로 이루어지되, 그 중앙의 일측에는 에어백의 양단과 결합되는 지지대 하단의 결합돌기에 결착되도록 지지대 결합홀이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설치구조.
  4. 가스발생기, 지지대, 에어백 및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에 설치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스발생기를 통해 공급된 가스에 의해 팽창된 에어백과의 충돌로 발생되는 조수석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에어백 양단이 결합되는 지지대 하단의 결합돌기에 상해치 감소용 천을 결착 고정시킨 다음,
    상기 상해치 감소용 천의 위쪽 천을 아래쪽 천 보다 길게 형성하여 먼저 위쪽 천만 접은 다음 이어서 아래쪽 천과 겹쳐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에어백의 상단에 위쪽 천이 면착되도록 위치 고정시키거나 또는 아래쪽 천을 위쪽 천 보다 길게 형성하여 먼저 아래쪽 천만 접은 다음 이어서 위쪽 천과 겹쳐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에어백의 상단에 아래쪽 천이 면착되도록 위치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접는 방법.
  5. 삭제
KR1020060029277A 2006-03-31 2006-03-31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설치구조 및 천 접는방법 KR100739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277A KR100739462B1 (ko) 2006-03-31 2006-03-31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설치구조 및 천 접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277A KR100739462B1 (ko) 2006-03-31 2006-03-31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설치구조 및 천 접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462B1 true KR100739462B1 (ko) 2007-07-13

Family

ID=3850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277A KR100739462B1 (ko) 2006-03-31 2006-03-31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설치구조 및 천 접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4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6176A (ja) * 1992-11-30 1994-06-03 Takata Kk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H06278558A (ja) * 1993-03-24 1994-10-04 Ikeda Bussan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5588674A (en) 1994-10-07 1996-12-31 Isuzu Motors Limited Intervening cloth on an air bag
KR20050027416A (ko) * 2003-09-15 2005-03-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6176A (ja) * 1992-11-30 1994-06-03 Takata Kk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H06278558A (ja) * 1993-03-24 1994-10-04 Ikeda Bussan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5588674A (en) 1994-10-07 1996-12-31 Isuzu Motors Limited Intervening cloth on an air bag
KR20050027416A (ko) * 2003-09-15 2005-03-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4750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8096578B2 (en) Knee airbag
JP5999061B2 (ja) 座席搭載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KR100798582B1 (ko) 팽창식 결합 커튼 접기용 장치 및 접는 방법
JP6614047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603174B2 (ja) エアバッグ
US6431583B1 (en) Inflatable knee bolster with external tethering
JP5724909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003631B2 (ja)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9137307A (ja)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20010007391A1 (en) Air bag apparatus for passenger seat
US7712781B2 (en) Protective cushion wrap with slip feature
EP1555168B1 (en) Leg-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occupant
WO2004065179A1 (ja) 乗員保護装置
JP2006035988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444616B2 (ja) 膨張拘束モジュール
JP7220172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2004231177A (ja) エアバッグにおける又はエアバッグに関する改良
JP2019059381A (ja)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07069396A1 (ja) 乗員拘束装置
US7832759B2 (en) Side airbag module for a motor vehicle
JP7361038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8176863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4928829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
KR100739462B1 (ko) 조수석 에어백의 상해치 감소용 천 설치구조 및 천 접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