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454B1 -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454B1
KR100739454B1 KR1020050115462A KR20050115462A KR100739454B1 KR 100739454 B1 KR100739454 B1 KR 100739454B1 KR 1020050115462 A KR1020050115462 A KR 1020050115462A KR 20050115462 A KR20050115462 A KR 20050115462A KR 100739454 B1 KR100739454 B1 KR 100739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active wastewater
level radioactive
low level
evaporator
water vap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6576A (ko
Inventor
임성팔
이호진
안병길
김길정
손종식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115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454B1/ko
Publication of KR20070056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6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08Processing by evaporation; by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78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characterised by auxiliary systems or arrangements
    • B01D5/009Collecting, removing and/or treatment of the condens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가열, 기체화 처리하여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 중의 방사성 물질을 제염한 다음, 자연공기로 희석시켜 비응축 상태로 대기 중에 배기하기 위한 극 저준위 기체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종래 증발천 등을 사용한 설비에 비하여 설치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고, 2차 폐기물 발생량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대기 중으로 배기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 증발기, 송풍기

Description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Process and system for the gasification of very low radioactive waste water}
도 1은 종래 방사성 폐수의 처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사성 폐수의 처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 저장조 110 : 펌프
120 : 증발천 130 : 송풍기
200 : 강제 순환식 증발기 210 : 순환 펌프
220 : 열교환기 225 : 스팀
230 : 포종단 240 : 분무 제거기
250 :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 260 : 배출관
300 : 송풍기 400 : 굴뚝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연구용 원자로, 원자력 연구 시설, 동위원소 사용 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기체화하여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대기 중으로 배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 연구용 원자로, 원자력 연구기관, 동위원소 사용 시설에서는 필연적으로 방사성 폐수가 발생한다. 방사성 폐수는 폐수 중의 방사성 물질의 양에 의하여 결정되는 방사성 준위에 따라 고준위 방사성 폐수, 중저준위 방사성 폐수,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로 분류하여 각각 처리하게 된다.
각 나라 마다의 분류 기준에는 차이가 있지만, 보통 고준위 방사성 폐수는 방사성 농도가 0.1 Ci/㎥ 이상, 중저준위 방사성 폐수는 0.1~5×10-5 Ci/㎥,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는 5×10-6 Ci/㎥ 이하인 폐수를 일컫는다. 고준위 방사성 폐수는 적합한 처리 방법을 통하여 중저준위 방사성 폐수로 만들고, 이 중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다시 극 저준위로 낮추게 되며, 중저준위 방사성 폐수 역시 적당한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로 전환시킨다.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는 중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처리한 후 얻어지기도 하 고, 공정 중에 사용하는 용수가 극히 적은 방사성 물질로 오염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는 폐수 중의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법적 규제 값 이하인 경우 그대로 배수하거나 또는 일반 용수로 희석하여 더욱 방사성 농도를 낮춘 후 수량이 풍부한 강이나 바다로 배수하게 된다.
그런데, 인근에 수량이 풍부한 강이나 바다가 없을 경우,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배출이 극히 제한을 받게 된다. 왜냐하면, 수량이 풍부하지 않을 곳에 배출하게 되면 경우에 따라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가 정체되는 곳이 생겨 부근에 방사성 물질이 극히 적은 양이나마 퇴적되어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증발시켜 대기 중으로 배기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경우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효율적으로 기체화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 원자력연구소에는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증발시켜 대기 중으로 배기하도록 하는 도 1과 같은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 시설에서는 수직으로 설치된 증발천(120) 표면에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흘려 내려보내고 증발천(120) 사이로 강제로 공기를 불어 넣음으로써 많은 수분이 증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집된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는 860 ㎥ 규모의 지하 저장조(100)에 저장되 었다가 용량 120 ㎥/hr인 순환 펌프에 의하여 1,032개의 급수 분배관을 통하여 가로 1.2 m × 세로 5.4 m 크기의 증발천(120) 표면으로 공급된다. 증발천(120)은 약 900 장 정도가 사용되고 있다. 폐수를 흘려 보냄과 동시에 시설 최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송풍 용량이 96,500 ㎥/hr 인 송풍기 10 대를 가동하여 시설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증발천(120) 사이로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흐르게 됨으로써 천 표면에서 수분이 증발하게 된다. 이때 증발량은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 및 유속, 상대습도, 온도 등에 의하여 변화하는데, 상대습도가 70 % 이하, 10 ℃ 이상의 대기 조건에서 상기 조건으로 운전하면 시간당 약 500~600 kg의 수분이 증발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시설은 증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매우 많은 증발천(120)을 사용하는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증발천(120)이 손상되어 주기적으로 교체해주어야 한다. 교체된 증발천(120)은 방사성 물질에 오염되어 있기 때문에 방사성 폐기물로 분류되어 엄격한 기준에 의하여 처리되거나 보관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의 방법은 증발천(120)이 두께가 얇고 길기 때문에 증발량을 높이기 위하여 증발천(120) 사이에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한계 이상으로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공기의 속도가 높아지면 증발천(120)이 진동하면서 비말동반 현상이 발생하여 제염계수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증발천(120)의 설치 개수가 많아지고, 전체 시설의 면적이 커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을 절감하던 중, 강제 순환식 증발기와 송풍기를 이용하여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기체화함으로써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대기 중으로 배기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장치를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제 순환식 증발기와 송풍기를 이용하여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기체화하여 대기 중으로 배기할 수 있는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기화시켜 방사성 핵종이 농축된 액체와 순수 수증기로 분류하는 단계와; (b) 상기 분류된 증발기 내 방사성 핵종이 농축된 액체는 증발기에 잔류시킴과 동시에 상기 증발된 만큼의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보충하여 중저준위 방사성 폐수로 만들어 별도 처리하는 단계와; (c) 상기 분류된 수증기 내 잔류하는 미세 물 입자를 완전 제거하여 배출하는 단계와; 및 (d) 상기 배출된 수증기를 대기의 노점 이하로 만든 후 외부로 배기하기 위해 자연공기와 희석시켜 완전 기체화시키는 단계를 포 함하는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방사성 핵종을 함유하지 않은 순수한 수증기와 방사성 핵종이 농축된 액체로 분리하기 위한 포종단(230)과, 상기 포종단(230)을 통하여 분리된 수증기에 미량 포함되어 있는 미세 물 입자까지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분무제거기(240)를 포함하는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가 구비되되, 상기 포종단(230)은 상기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분무제거기(240)는 상기 포종단(230)의 상단에 구비되는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 상기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 하단 개구부로부터 일측면 주입구까지 순환펌프(210)가 연통되되, 상기 순환펌프(210)를 통하여 가열되는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250)를 공급하기 위한 열교환기(220); 및 상기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에서 배출되는 미세 물 입자가 제거된 수증기를 희석시켜 대기의 노점 이하 상태로 변환시킨 후 외부로 배기하기 위하여 자연공기를 주입하는 송풍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는 현재 증발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된 강제 순환식 증발기에 의해 증발되어 수증기가 되고, 이 생성된 수증기는 다시 송풍기에 의해 유입된 공기에 의하여 대기의 노점 이하로 희석되어 완전 기체화됨으로써 안전하게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방법은, (a)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기화시켜 방사성 핵종이 농축된 액체와 순수 수증기로 분류한 다음, (b) 상기 분류된 증발기 내 방사성 핵종이 농축된 액체는 증발기에 잔류시킴과 동시에 상기 증발된 만큼의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보충하여 중저준위 방사성 폐수로 만들어 별도 처리하고, (c) 상기 분류된 수증기 내 잔류하는 미세 물 입자를 완전 제거하여 배출한 다음, (d) 상기 배출된 수증기를 대기의 노점 이하로 만든 후 외부로 배기하기 위해 자연공기와 희석시켜 완전 기체화시키는 단계로 구성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사성 폐수의 처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기체화하여 대기 중으로 배기하기 위한 장치는 크게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와 송풍기(300)로 구성된다.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 외부에는 폐수를 가열하기 위한 열교환기(220)와 폐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210)가 연통되어 설치되어 있다.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 내부에는 포종단(230) (Bubble Cap Plate) 및 분무제거기(240)가 그 상단 및 그 최상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 외부에는 상기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의 하단 개구부로부터 일측면 주입구까지 순환펌프(210)가 연통되되, 상기 순환펌프(210)를 통하여 가열되는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250)를 공급하기 위한 열교환기(220)가 설치되어 있다.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 내부 상단에는 방사성 핵종을 함유하지 않은 순수한 수증기와 방사성 핵종이 농축된 액체로 분리하기 위한 포종단(2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포종단(230)을 통하여 분리된 수증기에 미량 포함되어 있는 미세 물 입자까지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분무제거기(240)가 최상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는 상기와 같이 분류된 방사성 핵종이 농축된 액체를 증발기 내부에서 상기 증발된 만큼 보충되는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250)와 혼합시켜 중저준위 방사성 폐수로 만든 다음 별도 처리하기 위한 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 상단 배출관(260)은 송풍기(300)와 연결되는데, 상기 송풍기(300)는 자연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로, 상기 강제 순환식 증발 기(200)로부터 배출되는 미세 물 입자가 제거된 수증기를 자연공기로 희석시켜 대기의 노점 이하 상태로 변환시킨 후 굴뚝(400)을 거쳐 외부로 배기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경우의 공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250)는 순환 펌프(210)를 통하여 열교환기(220)를 통과하게 된다. 열교환기(220)에 의하여 가열된 폐수는 증발기(200) 내부로 주입된다.
상기에서 가열, 기화된 폐수는 증발기(200) 상단에 설치된 포종단(230)을 통과하게 되는데, 포종단(230)을 통과한 방사성 폐수(250)는 거의 방사성 핵종을 함유하지 않은 순수한 수증기와 방사성 핵종이 농축된 액체로 분리된다.
포종단(230)을 통과한 수증기는 증발기 최상단에 위치한 분무제거기(240)에 의해 수증기에 미량 포함되어 있던 미세 물 입자까지 완전히 제거된 다음 배출관(260)을 따라 배출된다.
증발기(200) 내의 폐수는 계속 순환되며, 증발된 만큼 연속적으로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250)가 보충된다. 일정 기간 운전하면 증발기 내의 폐수는 공급되는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보다 준위가 높아지므로 일정 준위 이상이 되면 중저준위 방사성 폐수로 분류하여 별도 처리한다.
증발기(200)에서 배출된 수증기는 초기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에 비하여 그 준위가 1/10 ~ 1/1,000로 낮아진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 수증기를 그대로 외부로 배기할 경우, 대기 중에서 응축되어 주변 대기로의 확산이 느려지며 바람 방향에 따라서는 지상으로 침강할 우려도 있다. 또한, 배기를 위한 배관 및 굴뚝에서도 수증기의 응축이 일어나 부식 가능성도 크다.
따라서, 증발기(200)에서 배출된 수증기는 송풍기(300)를 통하여 유입된 자연공기와 혼합시켜 대기의 노점 이하가 되도록 희석함으로써 대기 중에서 응축되지 않는 상태로 만든 후 외부로 배기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 조건을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조건이 하기 실시예만으로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 실시예 1>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250)를 준비하였다. 하기 표 1에 본 실시예 공정에서 사용한 6×10-7 Ci/m3 준위의 모의 방사성 폐수의 조성을 나타내었다.
성분 조성 (중량%)
Co-60 1 x 10-7 Ci/m3
Cs-137 5 x 10-7 Ci/m3
상기 모의 방사성 폐수는 순환 펌프(210)를 통하여 가열기(220)를 통과하게 되고,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 내부에서 기화하여 상부에 설치된 포종단(230)을 통과한다. 포종단(230)을 통과한 수증기는 증발기 최상단에 위치한 분무제거기(240) (Demister)에 의해 수증기에 미량 포함되어 있던 미세 물 입자까지 완전히 제거한 다음 배출관(260)을 따라 배출된다.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의 작동 조건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항 목 작동 조건
순환 펌프의 분당 회전수 및 용량 1,750 rpm, 120 m3/hr
가열 스팀 압력 및 온도 3 bar, 133 ℃
처리 용량 1000 kg/hr
표 2에 나타낸 작동 조건에 따르면, 5 % 이하의 수분 함량을 갖는 수증기가 배출관(260)을 따라 배출된다. 133 ℃ 보다 높은 가열 온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열전달 면에서의 비등에 의해 열전달이 방해되는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130~140 ℃ 범위의 가열 온도가 가장 적합하다.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에서 배출된 수증기는 그 준위가 5 x 10-11 Ci/m3로, 초기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에 비하여 그 준위가 약 1/10,000로 낮아진 상태가 된다.
또한,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에서 배출된 수증기는 송풍기(300)를 통하여 300,000 ㎥/hr의 유속으로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대기의 노점 이하가 되도록 희석된다. 이로써, 배출된 수증기는 대기 중에서 응축되지 않는 상태가 된 후 외부로 배기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를 사용할 경우, 기존 극 저준위 증발 설비에 비하여 설치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증발천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2차 폐기물 발생량도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서 시간당 500 kg의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증발시킬 수 있는 증발기(200)를 사용할 경우, 대기의 노점 이하로 희석하기 위한 송풍량도 대기 중의 상대습도가 70 % 이하, 10 ℃ 일 때 약 270,000 ㎥/hr로 기존 증발 설비와 비교할 때 약 1/4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원자력 발전소, 연구용 원자로, 원자력 연구 시설, 동위원소 사용 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는 기체화되어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대기 중으로 배기될 수 있고, 기존 극 저준위 증발 설비에 비하여 설치 면적이 크게 줄어들며, 증발천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2차 폐기물 발생량도 최소화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기화시켜 방사성 핵종이 농축된 액체와 순수 수증기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분류된 증발기 내 방사성 핵종이 농축된 액체는 증발기에 잔류시킴과 동시에 상기 증발된 만큼의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보충하여 중저준위 방사성 폐수로 만들어 별도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류된 수증기 내 잔류하는 미세 물 입자를 완전 제거하여 배출하는 단계와; 및 상기 배출된 수증기를 대기의 노점 이하로 만든 후 외부로 배기하기 위해 자연공기와 희석시켜 완전 기체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성 핵종이 농축된 액체와 순수 수증기는 포종단(230)에 의해 분류됨을 특징으로 하는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처리방법.
  3.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를 방사성 핵종을 함유하지 않은 순수한 수증기와 방사성 핵종이 농축된 액체로 분리하기 위한 포종단(230)과, 상기 포종단(230)을 통하여 분리된 수증기에 미량 포함되어 있는 미세 물 입자까지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분무제거기(240)를 포함하는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가 구비되되, 상기 포종단(230)은 상기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분무제거기(240)는 상기 포종단(230)의 상단에 구비되는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
    상기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 하단 개구부로부터 일측면 주입구까지 순환 펌프(210)가 연통되되, 상기 순환 펌프(210)를 통하여 가열되는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250)를 공급하기 위한 열교환기(220); 및
    상기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에서 배출되는 미세 물 입자가 제거된 수증기를 희석시켜 대기의 노점 이하 상태로 변환시킨 후 외부로 배기하기 위하여 자연공기를 주입하는 송풍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순환식 증발기(200)는 상기 분류된 방사성 핵종이 농축된 액체를 증발기(200) 내부에서 상기 증발된 만큼 보충되는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250)와 혼합시켜 중저준위 방사성 폐수로 만든 다음, 별도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 추가적으로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장치.
KR1020050115462A 2005-11-30 2005-11-30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739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462A KR100739454B1 (ko) 2005-11-30 2005-11-30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5462A KR100739454B1 (ko) 2005-11-30 2005-11-30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576A KR20070056576A (ko) 2007-06-04
KR100739454B1 true KR100739454B1 (ko) 2007-07-18

Family

ID=38354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462A KR100739454B1 (ko) 2005-11-30 2005-11-30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4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197B1 (ko) * 2013-12-04 2014-04-07 김광득 방사성 세척폐수 재활용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201A (ko) * 1998-06-26 2000-01-15 이해규 전자선 및 이온교환수지 처리를 통한 원전의 제염폐수처리방법
KR20040077088A (ko) * 2003-02-27 2004-09-04 박헌휘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201A (ko) * 1998-06-26 2000-01-15 이해규 전자선 및 이온교환수지 처리를 통한 원전의 제염폐수처리방법
KR20040077088A (ko) * 2003-02-27 2004-09-04 박헌휘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6576A (ko) 200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73638B (zh) 一种高盐高浓度有机废液处理工艺
US88150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tion of contaminants in evaporator distillate
US4511376A (en) Method of separating a noncondensable gas from a condensable vapor
US20090290676A1 (en) Nuclear-engineering plant and method of operating a nuclear-engineering plant
IE62063B1 (en) Process for reducing the content of non-condensable components which are soluble in condensable components in fumes containing condensable components
CN107986366A (zh) 真空环境脱硫废水及其污泥处理系统
CN108046356A (zh) 一种较高沸点液体的降温蒸发处理方法及装置
US5250183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ultra-pure water
US4330307A (en) Method of separating a noncondensable gas from a condensable vapor
KR100739454B1 (ko)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739455B1 (ko)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8545704B2 (en) Method for recovering amine from amine-containing waste water
CN103400626B (zh) 一种处理核电站含Ag-110m废液的方法
KR100659154B1 (ko) 폭기에 의한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방법 및그 장치
CN103215593A (zh) 用于处理酸性蚀刻废物体系的回收系统及回收方法
TWM545782U (zh) 餘熱應用於處理和回收土壤及地下水中揮發性有機物污染物之系統
JP3198807U (ja) トリチウムからの液体放射性廃棄物の精製装置
RU2164045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жидких отходов атомных электростанций
CN207811305U (zh) 真空环境脱硫废水及其污泥处理装置
KR20120055233A (ko)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CN207738581U (zh) 一种多级酸洗气处理的垃圾渗沥液处理系统
JP6108408B2 (ja) 産業的な生成物および副産物を濃縮するシステム
CN207738580U (zh) 一种酸碱洗气处理的垃圾渗沥液处理系统
TW200304850A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organic exhaust
CN111681797A (zh) 一种小型核设施退役现场放射性废水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