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7088A -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7088A
KR20040077088A KR1020030012490A KR20030012490A KR20040077088A KR 20040077088 A KR20040077088 A KR 20040077088A KR 1020030012490 A KR1020030012490 A KR 1020030012490A KR 20030012490 A KR20030012490 A KR 20030012490A KR 20040077088 A KR20040077088 A KR 20040077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waste
radioactive liquid
membrane
ion exchange
treated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5769B1 (ko
Inventor
박헌휘
Original Assignee
박헌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헌휘 filed Critical 박헌휘
Priority to KR1020030012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7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7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76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4Treating liquids
    • G21F9/06Processing
    • G21F9/12Processing by absorption; by adsorption; by 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사성 액체 폐기물(1) 처리방법은 막 분리조(8)에 방사성 액체 폐기물(1)을 이송하여 ㎛ 크기의 정밀여과분리막 또는 10,000 ∼ 300,000의 분획분자량(MWCO)을 갖는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한외여과분리막 등의 분리막(9-A)과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나노 및 역삼투분리막(9-B) 그리고 잔류 이온물질과 방사성 핵종을 제거하여 최종처리수(7)를 배출하는 이온교환탑(6)으로 구성되어, 최종처리수(7)는 원자력발전소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 설계 기준인 FSAR(Final Safety Analysis Report)에 적합하다.

Description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방법{Process of Radioactive Liquid Waste}
원자력발전소예서 발생되는 방사성 액체 폐기물은 방사성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흡수제와 고형 물질로서 처리하여 방사성 고체폐기물로 변형하여 방사성 물질 관리 방법에 의하여 장기간 관리시설 내에 보관하도록 되어 있다. 방사성 액체 폐기물은 수 %의 비방사성 물질(먼지, 흙, 슬러지, 합성세제, 오일 등)과 수천 ppm 미만의 방사성 물질(Ag, Fe, B, Si, Mg, Ca, Al, Zn, Cu, Ti, S, Na, K 등) 이 포함된 것으로 발생되는 곳은 실험실 계통수, 세탁폐수, 계통 제염수, 바닥배수 등이다.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모든 방사성 액체 폐기물을 고체화 할 수 없어서 1970년도에는 증발응축 방법으로 방사성 액체 폐기물을 대형 증발기에서 수분을 증발시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방법으로 방사능이 없는 액체는 환경으로 방출시켜 부피를 축소시키고 농축된 방사성 액체폐기물은 흡수제와 고형 물질로서 처리하여 고체 방사성 폐기물로 변형시켜 현재 보관 중에 있다. 증발 농축 방법에서도 방사성 물질이 동반 비산하여 응축수로 포함되는 경우는 방출수에 방사능이 나타나기도 하고, 합성세제가 많은 경우는 증발기에 거품이 많아서 운전이 중단되는 사례가 많았다. 1980년에는 방사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제거 방법으로 방사성 물질을 제거한 후 처리수를 방출하였다. 이 경우는 폐 이온교환수지를 고체 방사성폐기물로 고형화하여 보관 중에 있다. 이온 교환 수지에 의한 경우는 수%의 비방사성 물질인 먼지, 흙 등에 의하여 이온교환수지의 성능이 떨어지고 발전소 점검 기간에 발생되는 대 용량으로 발생되는 방사성 액체 폐기물은 처리 할수 없어서 문제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위의 방법은 방사성 액체 폐기물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한 가지 방법으로 치리하였기에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방사성 액체 폐기물의 특성은 수 mm에서 수 ㎛의 입자상물질, 이온성물질 그리고 방사성물질이 혼재되어 구성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방사성 액체 폐기물의 기존 처리공정(도 1)은 이온교환수지를 핵심공정에 이용함으로써 그 처리 공정이 구성되었다. 일반적인 방사성 액체 폐기물의 처리 공정인 도 1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발생된 방사성 액체 폐기물(1)은 모래 등이 충진된 여과설비(2)로 유입되어 입자성물질은 여과 제거하며, 1차 여과 처리된 처리수(3)는 활성탄 흡착탑(4)를 통과하며 1차 여과 처리된 여과처리수(3) 중의 유기물질 등을 흡착제거한다. 활성탄 흡착탑(4)를 통과한 처리수(5)는 양이온, 음이온 및 혼상으로 조합되어지거나 직렬하된 이온교환탑(6)을 통과한 최종처리수(7)는 방사능 핵종이 제거되어 FSAR(Final Safety Analysis Report)의 설계기준을 맞추도록 하였으며, 그 기준은 표 1과 같다.
그러나 상기의 방사성 액체 폐기물의 기존 처리공정(도 1)에서 부유물질 등의 여과제거 대상 물질이 대부분 제거되지 못하고 활성탄 흡착탑(4)로 유입되어 활성탄의 오염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유기물질의 제거율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다음 공정의 이온교환탑(6)으로 유기물 및 부유물질이 유입되어 이온교환수지의 오염이 가속화되어 처리능력을 상실함은 물론 입자성 핵종인 Ag-110m의 유출로 인하여 FSAR의 설계기준(표 1)을 득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 방안으로 ㎛ 크기의 정밀여과 분리막 또는 10,000 ∼ 300,000의 분획분자량(MWCO)을 갖는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한외여과분리막 등의 분리막을 이용하여 방사성 액체 폐기물 중의 ㎛에서 10,000 ∼ 300,000의 분획분자량의 물질을 차단, 여과하여 다음과정의 나노 및 역삼투분리막과 이온교환수지의 오염을 최소화하며 방사성 물질의 효과적인 제거가 용이하여 FSAR(Final Safety Analysis Report)의 설계기준을 득 할 수 있는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방사성 액체 폐기물의 기존 처리공정이며,
도 2는 발명에 따른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공정이며,
도 3은 발명에 따른 방사성 액체 폐기물 의 또 다른 처리공정 예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방사성 액체 폐기물 2. 여과설비
3. 여과처리수 4. 활성탄 흡착탑
5. 흡착 처리수 6. 이온교환탑
7. 최종처리수 8. 막 분리조
9-A. 분리막 9-B. 분리막
10-A. 분리막 처리수 10-B. 분리막 처리수
11-A. 분리막 처리수 저장조 11-B. 분리막 처리수 저장조
12-A. 공급수 12-B. 공급수
13. 이온교환 처리수 14. 이온교환 처리수조
본 방사성 액체 폐기물(1)을 FSAR(Final Safety Analysis Report)의 설계기준에 부합 되기위하여 기존 처리공정은 도 1에 나타내었으며, 방사성 액체 폐기물은 모래 또는 기타 여과재를 충진한 여과설비(2)를 통과하여 여과 처리수(3)를 배출하며, 다음 공정인 활성탄 흡착탑(4)은 여과처리수(3) 중 유기물 및 일부 방사성 물질을 제거한 후 흡착처리수(5)는 이온교환탑(6)을 통과하면서 방사성 물질의 제거를 하게 된다.
상기의 공정은 현재까지의 일반화된 방사성 액체 폐기물(1)의 대표적인 처리공정이나 여과설비(2)의 여과처리수(3) 중의 입자성 물질의 유출에 의한 활성탄 흡착탑(4)의 수명의 단축 및 효율저하의 저하로 인하여 이온교환탑(6)의 최종처리수(7)는 방사능 물질의 제거능력이 FSAR(Final Safety Analysis Report)의 설계기준 이상으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사성 액체 폐기물(1) 처리방법은 도 2에 나타내었으며, 그 구성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막 분리조(8)에 방사성 액체 폐기물(1)을 이송하여 ㎛ 크기의 정밀여과분리막 또는 10,000 ∼ 300,000의 분획분자량(MWCO)을 갖는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한외여과분리막 등의 분리막(9-A)에 의하여 분리막 처리수(10-A)를 분리막 처리수 저장조(11-A)에 저장하게되며, 분리막 처리수 저장조(11-A)의 분리막 처리수(10-A)를 공급수(12-A)로하여 나노 및 역삼투의 기능을 갖으며,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분리막(9-B)으로 처리하여 분리막 처리수(10-B)를 분리막 처리수 저장조(11-B)에 담게된다. 분리막 처리수는 대부분의 이온성 물질을 분리하며, 특히 입자성 핵종인 Ag-110m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분리막 처리수 저장조(11-B)의 분리막 처리수(10-B)를 공급수(12-B)로 하여 이온교환탑(6)으로 이송하여 잔류 이온물질과 방사성 핵종을 제거하여 최종처리수(7)를 배출하게 된다. 최종처리수(7)는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기준인 FSAR(Final Safety Analysis Report)의 설계기준에 부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액체 폐기물(1)의 또 다른 처리공정인 도 3은 본 발명에서 구성된 도 2의 구성에서 분리막(10-B)과 이온교환탑(6)의 순서를 바꾸어 구성하였다. 상기의 도 3은 이온교환탑(6)의 성능이 도 2의 구성 보다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며, 최종처리수(7)의 제거율이 도 2 보다 저하되는 결과를 나타낸 바 본 발명에서 방사성 액체 폐기물(1)의 처리를 위한 공정으로는 도 2가 바람직하다 하겠다.
- 실시 예 1
방사성 액체 폐기물을 도 2의 구성에 의하여, 정밀여과막 → 나노분리막 → 이온교환탑으로 처리하였다. 정밀여과막은 10 cmHg의 압력으로 1 ㎥/hr를 처리하였으며, 나노분리막은 8 kgf/㎠의 압력과 1 liter/min으로 처리하였으며, 이온교환탑은 1 liter/min으로 처리를 하였다.
* N/D : 검출 안됨
- 비교 예
방사성 액체 폐기물을 도 3의 구성에 의하여, 정밀여과막 → 이온교환탑 →나노분리막으로 처리하였으며 구성의 조건은 실시 예 1과 같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사성 액체 폐기물(1) 처리방법은 ㎛ 크기의 입자성 물질을 제거하는 정밀여과분리막 또는 한외여과분리막 등의 분리막(9-A)과 이온성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나노 및 역삼투분리막(9-B)으로 대부분의 이온성 물질을 분리하며, 특히 입자성 핵종인 Ag-110m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이온교환탑(6)에서 잔류 이온물질과 방사성 핵종을 제거하여 최종처리수(7)를 배출하게 되어, 최종처리수(7)는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기준인 FSAR(Final Safety Analysis Report)의 설계기준에 부합된다.

Claims (5)

  1. 방사성 액체 폐기물(1)을 ㎛ 크기의 정밀여과분리막 또는 10,000 ∼ 300,000의 분획분자량(MWCO)을 갖는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한외여과 등의 분리막(9-A)과 이온성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나노 및 역삼투분리막(9-B) 그리고 잔류 이온물질과 방사성핵종을 제거하는 이온교환탑(6)으로 구성되어진 방사성 액체 폐기물(1)처리방법.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평판형, 중공사형, 와권형 및 관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 정밀여과 및 한외여과등의 분리막(9-A).
  3. 청구항 1항과 2항에 있어 가압여과방식 또는 흡인여과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 정밀여과 및 한외여과 등의 분리막(9-A).
  4. 청구항 1항에 있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나노 및 역삼투 분리막(9-B).
  5. 청구항 1항에 있어 양이온 및 음이온 교환 수지가 단상 및 혼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구성될 수 있는 이온교환탑(6).
KR1020030012490A 2003-02-27 2003-02-27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방법 Expired - Lifetime KR100675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490A KR100675769B1 (ko) 2003-02-27 2003-02-27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490A KR100675769B1 (ko) 2003-02-27 2003-02-27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088A true KR20040077088A (ko) 2004-09-04
KR100675769B1 KR100675769B1 (ko) 2007-01-29

Family

ID=37363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490A Expired - Lifetime KR100675769B1 (ko) 2003-02-27 2003-02-27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76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454B1 (ko) * 2005-11-30 2007-07-18 한국원자력연구원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739455B1 (ko) * 2005-11-30 2007-07-18 한국원자력연구원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224725B1 (ko) * 2012-08-03 2013-01-21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방사성 액체폐기물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399365B1 (ko) * 2013-08-27 2014-05-27 (주)이엔이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 장치
KR101523062B1 (ko) * 2013-12-16 2015-06-0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오프라인 모듈형/이동식 방사성 폐액 처리시스템
KR101696888B1 (ko) 2016-10-12 2017-01-17 (주)전테크 방사성 물질 함유 액체폐기물의 처리와 감량을 위한 처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2134B (zh) * 2011-12-23 2014-08-20 核工业理化工程研究院华核新技术开发公司 一种将放射性污染水处理成饮用水的净化系统
KR101669131B1 (ko) 2016-01-25 2016-10-2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방사성 액체 폐기물 증발 및 건조 시스템
KR102060817B1 (ko) * 2018-01-25 2019-12-30 (주)이엔이 이동형 방사능 오염수 처리장치 전용 이온교환기 세트
CN108335770B (zh) * 2018-02-08 2019-08-02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多功能的梯度结构柔性防护薄膜
KR102783917B1 (ko) 2022-12-07 2025-03-2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띠톱을 이용한 방사성 폐 역삼투막필터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 역삼투막필터 처리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454B1 (ko) * 2005-11-30 2007-07-18 한국원자력연구원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739455B1 (ko) * 2005-11-30 2007-07-18 한국원자력연구원 극 저준위 방사성 폐수의 기체화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224725B1 (ko) * 2012-08-03 2013-01-21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방사성 액체폐기물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399365B1 (ko) * 2013-08-27 2014-05-27 (주)이엔이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 장치
WO2015030366A1 (ko) * 2013-08-27 2015-03-05 ㈜이엔이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 장치
KR101523062B1 (ko) * 2013-12-16 2015-06-0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오프라인 모듈형/이동식 방사성 폐액 처리시스템
KR101696888B1 (ko) 2016-10-12 2017-01-17 (주)전테크 방사성 물질 함유 액체폐기물의 처리와 감량을 위한 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5769B1 (ko) 2007-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krzewska-Trznadel et al. Membrane processes in nuclear technology-application for liquid radioactive waste treatment
KR100675769B1 (ko) 방사성 액체 폐기물 처리방법
US20080083666A1 (en) System for Processing Contaminated Water
JP5756241B1 (ja) 六価クロム代替となる処理水の無排水処理装置と、その方法
JP5849342B2 (ja) 海水が混入した放射性汚染水からの放射性物質の除染装置及び除染方法
RU2112289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жидких радиоактивных отходов
JPWO2013031689A1 (ja) 放射性物質および/または重金属含有水の浄化方法および浄化装置
US7645387B2 (en) Method of utilizing ion exchange resin and reverse osmosis to reduce environmental discharges and improve effluent quality to permit recycle of aqueous or radwaste fluid
KR101391709B1 (ko) 공업용수로 재이용이 가능한 유화 오일폐수의 처리 방법
KR20050001895A (ko) 막분리를 이용한 하수 및 침출수의 순수화 재이용 시스템
CN101525191B (zh) 焦化废水膜法处理工艺
RU2268513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жидких радиоактивных отходов
JP2012225755A (ja) 放射性汚染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艀型放射性汚染水処理施設ならびに放射性汚染水処理方法および艀上放射性汚染水処理方法
JP5904123B2 (ja) 混合材料の洗浄分別方法および洗浄分別装置
CN109987738A (zh) 一种含铀废液中铀回收工艺
RU2101235C1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переработки жидких радиоактивных отход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0162157B1 (ko) 역삼투막 시스템을 이용한 화학 폐수의 처리방법
RU2273066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жидких радиоактивных отходов
KR100313670B1 (ko) 제관공장 폐수의 고도정화처리 방법
JP6497513B2 (ja) 汚染土壌処理装置および汚染土壌処理方法
JPH0679656B2 (ja) 脱塩機能を有する中空糸膜フィルタ
JP2001324593A (ja) 沸騰水型原子力発電所の放射性廃液処理システム
Tan et al. Operation of a membrane pilot plant for ANSTO effluent
KR100328067B1 (ko) 역세가능형 정밀여과막과 역삼투막 시스템을 이용한 폐수처리방법
JP2014020806A (ja) 放射性セシウム含有水の処理方法、飛灰の処理方法、放射性セシウム含有水の処理装置及び飛灰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30827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