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193B1 -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193B1
KR100739193B1 KR1020050134507A KR20050134507A KR100739193B1 KR 100739193 B1 KR100739193 B1 KR 100739193B1 KR 1020050134507 A KR1020050134507 A KR 1020050134507A KR 20050134507 A KR20050134507 A KR 20050134507A KR 100739193 B1 KR100739193 B1 KR 100739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lastic
injection molding
plastic injection
plas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1223A (ko
Inventor
정영만
전현우
정창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4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193B1/ko
Publication of KR20070071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1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1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llers dispersed in the moulding material, e.g. meta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5/00Use of 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as fi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 금속 입자를 함유한 플라스틱 재료 용융액을 주입하는 하나 이상의 주입구를 구비하고 소정의 형상을 사출 성형하도록 형성된 금형틀과; 상기 금형틀에 관통 형성된 통기공과; 상기 통기공으로부터 상기 금형틀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 이전이나 공정중에 상기 통기공을 통해 금형틀 내부의 공기를 강제 배기시키는 것에 의하여, 주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플라스틱 재료가 상기 금형틀의 내부에 원활하게 골고루 분산되어 퍼질 수 있도록 하여, 플라스틱 사출 성형 중에 금형틀 내부에 공기가 여전히 머물게 됨에 따라 원하는 사출물의 형상을 얻지 못하게 되는 가능성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에서 판상형 또는 장방형 금속 입자가 눕혀진 상태로 응고되도록 함으로써, 성형된 플라스틱 사출물의 전체 표면에 걸쳐 균일한 금속 질감을 얻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을 제공한다.
플라스틱 사출, 웰드 라인(weld line), 진공 펌프, 통기공, 강제 배기

Description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MOLD FOR PLASTIC INJECTION MOLDING AND PLASTIC INJECTION MOLDING METHOD}
도1은 플라스틱 재질에 금속 질감을 얻기 위한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플라스틱 재질에 금속 질감을 얻기 위한 종래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3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의 일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는 도3의 금형틀의 결합 사시도
도5는 도4의 금형틀의 주입구로 플라스틱 재료를 주입한 경우의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 흐름을 도시한 평단면 개략도
도6은 도5의 'A' 부분의 측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도7의 금형으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 중에, 도5의 'A'부분의 대응되는 도7의 금형 부분의 측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부 금형틀 11: 인서트부
11a: 가이드 20: 하부 금형틀
30: 상부 코어 40: 하부 코어
50: 주입구 90: 웰드 라인
99: 플라스틱 재료 유동 98: 알루미늄 플레이크
200: 진공 펌프 210: 배기 파이프
220: 통기공
본 발명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질감 효과를 얻기 위하여 사출 성형시 플라스틱 재료에 포함되는 금속 입자가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제품의 모든 위치에서 균일하게 분포하여 사출된 플라스틱 제품의 전체 면에 걸쳐 금속 질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냉장고 등의 가전 제품은 백색 가전이라고 불릴 정도로 종래에는 백색 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하여 그 외장을 장식하였으나,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보다 다양한 미감에 대한 욕구에 따라 백색 뿐만 아니라 적색 등의 다양한 색채의 플라스틱 외장 제품들이 인기를 끌기도 하였다. 아울러, 최근에는 보다 고급적 질감을 가전 제품으로부터 느낄 수 있도록,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의 표면에 금 속 성분을 스프레이로 코팅하여, 외장에 금속 질감을 느끼도록 하는 가전 제품의 출시가 급속도로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코팅층(89)을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88)의 표면에 입히는 경우에는, 스프레이 도포 공정이 주변의 대기를 오염시키므로 친환경적인 공정 환경을 구현하는 데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88)의 표면과 금속 질감을 불러일으키는 코팅층(89)이 박리되는 경우에는 가전 제품의 소비자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발생됨에 따라, 친환경적이면서도 안정적으로 금속 질감을 확보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이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부 코어(30)가 돌출 형성된 상부 금형틀(10)과, 내부에 하부 코어(40)가 돌출 형성된 하부 금형틀(20)을 포갠 금형을 제작하고, 금속 질감을 얻기 위하여 금형의 주입구(50)에 판 형상의 금속 플레이크(flake, 98)를 함유한 플라스틱 수지 재료를 주입하여, 사출물의 표면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사출물의 내부에도 골고루 금속 플레이크(98)가 분포하도록 성형하여, 금속 플레이크(98)에 의하여 외관이 금속 질감을 갖도록 플라스틱 사출물을 성형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여기서, 상부 코어(30)의 선단면과 하부 코어(40)의 선단면은 상하부 금형틀(10,20)이 결합된 상태에서 플라스틱 유동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서로 접촉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플라스틱 재료에 함유되는 금속 플레이크(98)는 금속 질감을 나타내는 반사도를 높이기 위하여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은 외관이 단순한 경우에는 별 문제없 이 사출물(1)의 전체 표면에 걸쳐 금속 질감을 표시할 수 있지만,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코어(30,40)가 형성되거나, 사출물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서 복수개의 주입구를 통해 플라스틱 재료를 주입하는 경우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형틀(10,20) 내부에서 서로 다른 2개의 유동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A)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플라스틱 재료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A)에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반되는 두 개의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이 충돌하는 것에 의하여 유동의 경계면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유동의 경계면에 웰드 라인(weld line, 90)이 발생되어, 판상(板狀)의 금속 플레이크(98)가 수평 상태로 응고되지 않고 수직으로 선 상태로 플라스틱 사출물(1)이 성형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사출물(1)을 성형하는 공정에서 플라스틱 재료가 서로 교차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금속 플레이크(98)가 수평으로 배열되어 금속 질감을 표현할 수 있게 되지만, 플라스틱 재료가 서로 교차하는 부분(A)에서는 금속 플레이크(98)가 수직으로 배열되므로, 다른 영역의 표면과는 달리 웰드 라인(90)에서는 금속 질감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게 되어,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제품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질감 효과를 얻기 위하여 사출 성형시 플라스틱 재료에 포함되는 금속 입자가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제품의 모든 위치에서 균일하게 분포하여 사출된 플라스틱 제품의 전체 면에 걸쳐 금속 질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 형용 금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형틀 내부에서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을 능동적으로 촉진시킴으로써,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이 구석구석에 원활히 침투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방향의 유동이 교차함에 따라 발생되는 경계면의 금형틀과 접하는 부분의 공기를 강제 배기함으로써, 플라스틱 사출 성형 중에 금형틀 내부에 공기가 여전히 머물게 됨에 따라 원하는 사출물의 형상을 얻지 못하게 되는 가능성을 제거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주입구를 구비하고 소정의 형상을 사출 성형하도록 형성된 금형틀과; 상기 금형틀에 관통 형성된 통기공과; 상기 통기공으로부터 상기 금형틀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을 제공한다.
이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 이전이나 공정중에 상기 통기공을 통해 금형틀 내부의 공기를 강제 배기시키는 것에 의하여, 주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플라스틱 재료가 상기 금형틀의 내부에 원활하게 골고루 분산되어 퍼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금형틀의 내부는 어느정도 진공도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금형틀 내에 플라스틱 재료가 주입되므로,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이 교차하는 부분이나 구석진 곳에도 플라스틱 재료가 원활하게 침투된다. 이를 위해, 상기 통기공은 상기 주입구로부터 주입되는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이 곧바로 도달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서로 다른 방향의 유동이 교차함에 따라 발생되는 경계면의 금형틀과 접하는 부분의 공기를 강제 배기함으로써, 플라스틱 사출 성형 중에 금형틀 내부에 공기가 여전히 머물게 됨에 따라 원하는 사출물의 형상을 얻지 못하게 되는 가능성을 제거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주입구는 금속 입자를 함유한 플라스틱 재료가 주로 주입된다. 이 때, 금속 입자는 다면체 형상일 수도 있고, 반사도가 높은 알루미늄 또는 펄 재질의 장방형이거나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금속 입자가 장방형으로 형성된 경우에, 입자의 최단 길이는 약 5㎛로 형성되고, 입자의 최장길이는 120 ㎛정도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 입자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높이가 약 1㎛ 내지 5㎛ 로 형성되고, 길이는 약 40~60㎛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크기를 갖는 금속 입자는 플라스틱 재료와 함께 유동하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국부적으로 차별없이 골고루 균일한 반사도를 갖게 된다.
플레이크 형태의 금속 입자가 플라스틱 재료와 함께 금형틀 내부에 주입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에서 금속 플레이크가 세워진 상태로 응고되므로, 상기 통기공은 상기 주입구에 주입된 상기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이 교차하는 위치 주변에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통기공과 상기 진공 펌프 사이에는 배기 파이프가 연결되며, 상기 배기 파이프의 일단이 고정되는 상기 통기공의 주변에는 플라스틱 재료가 외부로 누설되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와 격리되도록 밀봉 처리된다.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금속 입자를 함유한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으로서, 금형 틀에 금속 입자를 함유한 플라스틱 용융 재료를 주입하는 주입 단계와; 상기 플라스틱 용융 재료를 주입하는 공정 중에 상기 플라스틱 용융 재료의 유동이 서로 교차하는 위치 주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플라스틱 용융 재료의 유동이 서로 교차하는 위치에서 일부 플라스틱 재료가 공기와 함께 배출되면서 판 형상의 금속 입자가 뉘여진 상태로 응고되므로, 상기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성형된 플라스틱 사출물은 그 표면 전체에 걸쳐 균일한 금속 질감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주입 단계 이전에, 상기 금형틀로부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주입되는 플라스틱 재료가 원활히 금형틀로 주입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및 그 성형 방법을 상술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도7의 금형으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 중에, 도5의 'A'부분의 대응되는 도7의 금형 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은, 상부 금형틀(10)과, 상부 금형틀(10)과 맞물려 사출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 을 성형하도록 형성된 하부 금형틀(20)과, 성형하지 않고자 하는 상부 금형틀(10)의 소정의 위치에 돌출 형성된 상부 코어(30)와, 성형하지 않고자 하는 하부 금형틀(20)의 소정의 위치에 돌출 형성된 하부 코어(40)와, 알루미늄 플레이크(98)를 함유한 플라스틱 재료가 금형틀(10,20) 내부로 주입되는 주입구(50)와, 주입구(50)를 통해 주입된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99)이 교차하는 위치(A) 주변의 상부 금형틀(10)에 관통 형성된 통기공(220)과, 통기공(220)을 통해 금형틀(10,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로터리 펌프로 형성된 진공 펌프(200)와, 통기공(220)과 진공 펌프(200) 사이를 연결하는 배기 파이프(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 금형틀(10)과 하부 금형틀(20)이 맞물린 상태에서 상부 코어(30)와 하부 코어(40)는 그 선단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촉되어, 플라스틱 재료가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주입구(50)에서 바라보는 코어(30,40)의 후방 영역(도5의 'A'부분)의 주변에 형성된 통기공(220)을 통해 금형틀(10,20) 내부의 공기를 강제 배기함으로써,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99)이 서로 교차하는 위치에서의 알루미늄 플레이크(98)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워진 상태로 응고되지 않고,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플라스틱 재료(99)가 배기 파이프(210)로 유입이 되면서 눕혀진 상태로 응고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을 통해 성형된 플라스틱 사출물은 알루미늄 플레이크(98)가 표면 전체에 균일하게 눕혀진 상태로 배열되므로, 플라스틱 사출물의 전체 표면에 걸쳐 균일한 금속 질감을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용을 상술한다.
도7에 도시된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을 준비한 후에, 진공 펌프(200)를 가동하여 금형틀(10,20)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든다. 이 때, 금형틀(10,20) 내부의 진공도는 10-6 Torr에 이를 만큼 거의 완전한 진공 상태에까지 도달시킬 필요가 없으며, 약 5×10-1 Torr정도 이하의 진공도를 이루면 충분하다. 그리고 나서, 주입구(50)를 통해, 알루미늄 플레이크(98)를 함유한 플라스틱 재료 용융액을 주입한다. 금형틀(10,20) 내부는 이미 주변 대기에 비하여 낮은 압력을 가지므로, 플라스틱 재료는 금형틀(10,20) 내부의 구석구석에 원활히 침투된다.
이 때, 주입된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99)이 서로 교차하는 영역(A)에 다소 강한 펌핑력으로 공기를 뽑아낸다. 이를 통해,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99)이 서로 교차하는 영역에서 교차 유동의 경계가 발생되지 않고, 통기공(220)을 통해 플라스틱 재료의 일부가 배기 파이프(210)로 배출됨으로써,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이 통기공(220)의 주변에 흡입되는 것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의 용융액에 함유된 알루미늄 플레이크(98)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눕혀진 상태가 된다. 아울러, 서로 다른 방향의 유동이 교차함에 따라 발생되는 경계면 부근의 금형틀(10,20)과의 접하는 부분의 공기를 강제 배기함으로써, 플라스틱 사출 성형 중에 금형틀(10,20) 내부에 공기가 여전히 머물게 됨에 따라 원하는 사출물의 형상을 얻지 못하게 되는 가능성을 제거할 수도 있게 된다.
플라스틱 재료의 용융액(99)이 금형틀(10,20)의 구석구석에 충분히 침투되 면, 진공 펌프(200)의 흡입 압력을 저하시키거나 정지시킨다.
한편, 진공 펌프(200)로 금형틀(10,2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정은 금형틀(10,20)에 플라스틱 재료 용융액을 주입하는 시점으로부터 금형틀(10,20) 내부에 플라스틱 재료 용융액이 구석구석 침투하여 응고되기 시작하는 시점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행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및 그 성형 방법을 상술한다.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의 구성은 전술한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과 그 구성이 동일하지만, 코어(30,40)와 일체로 형성된 인서트부(11)가 상하부 금형틀(10)과 분리가능하게 형성되고, 플라스틱 재료 용융액(99)이 교차하는 위치가 인서트부(11)에 형성될 경우에, 이와 근접한 위치에 통기공(220')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일 실시예와 그 구성이 상이하다.
즉,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서트부(11)는 금형틀(10,20)에 끼워진 상태로 장착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9와 같이 구성된 금형에서는 코어(30,40)의 뒷편에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99)이 교차하는 부분(90)이 발생되므로,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99)이 교차하는 위치와 근접하면서도,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99) 방향의 하류측에 통기공(220')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99)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알루미늄 플레이크가 세워진 상태로 응고되지 않으면서,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99)이 교차하는 위치 부근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11a는 인서트(11)를 금형틀(10,20)에 끼우는 가이드 돌기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속 질감을 표시하는 사출물을 얻기 위하여, 사출 성형 공정 중에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99)이 교차하는 코어(30,40)의 후방 영역(A)의 주변에 통기공(220)을 형성하여 금형틀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성형하고자 하는 사출물의 크기가 큰 경우에 복수개의 주입구를 통하여 금속 플레이크를 함유한 플라스틱 재질이 주입됨에 따라, 서로 상이한 방향의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이 교차함에 따라 발생되는 웰드 라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출 성형 공정 중에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99)이 교차하는 위치 주변에 금형틀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통기공를 형성하는 다른 어떠한 형태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 입자를 함유한 플라스틱 재료 용융액을 주입하는 하나 이상의 주입구를 구비하고 소정의 형상을 사출 성형하도록 형성된 금형틀과; 상기 금형틀에 관통 형성된 통기공과; 상기 통기공으로부터 상기 금형틀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플라스틱 사출 성형 공정 이전이나 공정중에 상기 통기공을 통해 금형틀 내부의 공기를 강제 배기시키는 것에 의하여, 주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플라스틱 재료가 상기 금형틀의 내부에 원활하게 골고루 분산되어 퍼질 수 있도록 하여, 플라스틱 사출 성형 중에 금형틀 내부에 공기가 여전히 머물게 됨에 따라 원하는 사출물의 형상을 얻지 못하게 되는 가능성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에서 판상형 또는 장방형 금속 입자가 눕혀진 상태로 응고되도록 함으로써, 성형된 플라스틱 사출물의 전체 표면에 걸쳐 균일한 금속 질감을 얻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10)

  1. 금속 입자를 함유한 플라스틱 재료를 주입하는 하나 이상의 주입구를 구비하고 소정의 형상을 사출 성형하도록 형성된 금형틀과;
    상기 주입구에 주입된 상기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이 교차하는 위치 주변에 위치하도록 상기 금형틀에 관통 형성된 통기공과;
    상기 통기공으로부터 상기 금형틀 내부의 공기를 뽑아내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금속 입자를 함유한 플라스틱 재료를 주입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입자는 판상형이나 장방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은, 상기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이 교차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상기 금형틀에 형성된 인서트부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은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이 교차하는 위치의 하류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은 상기 주입구로부터 주입되는 플라스틱 재료의 유동이 곧바로 도달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과 상기 진공 펌프 사이에는 배기 파이프가 연결되고, 상기 배기 파이프의 일단이 고정되는 상기 통기공의 주변에는 외부와 격리되도록 밀봉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8. 금속 입자를 함유한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으로서,
    금형 틀에 금속 입자를 함유한 플라스틱 용융 재료를 주입하는 주입 단계와;
    상기 플라스틱 용융 재료를 주입하는 공정 중에 상기 플라스틱 용융 재료의 유동이 서로 교차하는 위치 주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단계 이전에, 상기 금형틀로부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단계는 상기 금형틀에 플라스틱 재료 용융액을 주입하는 시점으로부터 응고되기 시작하는 시점까지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
KR1020050134507A 2005-12-29 2005-12-29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 KR100739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507A KR100739193B1 (ko) 2005-12-29 2005-12-29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507A KR100739193B1 (ko) 2005-12-29 2005-12-29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223A KR20070071223A (ko) 2007-07-04
KR100739193B1 true KR100739193B1 (ko) 2007-07-13

Family

ID=3850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507A KR100739193B1 (ko) 2005-12-29 2005-12-29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19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464A (ko) * 1998-05-18 1999-11-05 이광호 금형내 가스빼기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464A (ko) * 1998-05-18 1999-11-05 이광호 금형내 가스빼기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1223A (ko)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28178B (zh) Frp的制造方法
KR100690898B1 (ko) 금속 질감을 표현하는 플라스틱 사출물
MY148344A (en) Compression molding method for electronic component and compression molding apparatus employed therefor
CN101293387B (zh) 嵌件成型品及其制备方法
CN108189317A (zh) 一种注塑机喷嘴
CN205387641U (zh) 一种纸浆模塑自动成型机免冲洗的免切边产品成型装置
KR100739193B1 (ko)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
EP3308934B1 (en) In-mold injection molding mold device
CN101108531A (zh) 一种塑料注塑成型用模具以及塑料注塑成型方法
KR100739192B1 (ko) 플라스틱 사출 성형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금형
CN208180138U (zh) 一种模具的抽真空结构
US5850867A (en) Method of making cores with molding sand
CN101108900A (zh) 具有金属质感的注塑物
KR101632149B1 (ko) 진공기능을 갖는 사출성형장치
KR100857581B1 (ko) 플라스틱 제품 사출방법 및 사출장치
CN101108529B (zh) 注塑成型方法以及所采用的模具
KR101020085B1 (ko) 복수의 핸드폰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동시 사출성형이가능한 금형
CN216683173U (zh) Gis应力锥生产模具
CN218599438U (zh) 一种注塑件、家用电器和模具
KR100774482B1 (ko) 플라스틱 사출 성형용 금형
CN103464758B (zh) 一种防止倒流的注射成型模具
CN218599439U (zh) 一种注塑件、家用电器以及模具
CN211616578U (zh) 一种木塑门板用消除条形色差的结构
CN209156230U (zh) 一种smc模内产品喷涂喷点扩散结构
CN211492646U (zh) 一种真空抽气式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