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674B1 - 보일러의 열교환기 관접속구조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열교환기 관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674B1
KR100737674B1 KR1020060070439A KR20060070439A KR100737674B1 KR 100737674 B1 KR100737674 B1 KR 100737674B1 KR 1020060070439 A KR1020060070439 A KR 1020060070439A KR 20060070439 A KR20060070439 A KR 20060070439A KR 100737674 B1 KR100737674 B1 KR 100737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 exchanger
boiler
heat
ca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재
조규상
문성일
허석수
김석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0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6Connecting elements of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의 열교환기 관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버너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그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여 난방수로 제공하며, 몸체케이싱(11)의 내측으로는 열교환 파이프(13)가 내장되는 열교환기(10)와;
상기 열교환기(10) 몸체 측판(12) 외측에서 내부의 열교환 파이프(13)와 급,환수 파이프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관접속수단(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관접속수단(20)은 열교환기(10)의 측판(1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측의 열교환 파이프(13)와 연통되는 함체 형상을 이루며, 몸체 일측부에는 돌출된 관접속부(31)가 구비된 캡부재(30)로 구성되므로, 본 발명인 보일러의 열교환기 조립구조는 열교환기의 측판(12)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을 갖으면서 몸체 일측으로는 관접속부(31)가 형성된 캡부재(30)가 형성되므로, 종래의 관접속 엘보(40) 구성과는 달리 협소한 공간에서도 접속 파이프의 방향 전환성 향상 및 제품의 슬림화와 유로 분배 편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관접속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보일러의 열교환기 관접속구조{Structure of Connecting Pipe of Heat Exchanger of Boile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보일러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 보일러의 관접속 구성을 도시한 연소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열교환기의 요부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열교환기 11 - 몸체 케이싱
12 - 측판 13 - 열교환 파이프
13a - 주름관 20 - 관접속수단
30 - 캡부재 31 - 관접속부
32 - 접속홀 33 - 접속관
34 - 연결구 40 - 관접속 엘보
100 - 보일러
본 발명은 보일러의 열교환기 관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보일러의 열교환기 구성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측판으로 돌출된 캡형상의 관접속수단을 형성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파이프의 접속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및 기름 보일러는 유류와 가스가 산화되면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유체를 가열하여, 순환시킴으로 써, 실내의 난방 및 온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통상적인 가스 보일러의 구성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는 케이싱의 내측으로 가스를 산화시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버너부가 형성되고, 상기 버너부의 일측부로는 버너부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유체를 가열 및 순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온수공급부가 구비되며, 난방순환수에 물을 보충하기 위한 물탱크가 형성되고, 상기 버너부의 작동 및 온수공급부의 기능을 제어하는 콘트롤부로 크게 구성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보일러의 버너부 구성은 열교환 케이싱의 내측에서 열교환 파이프가 측판을 통해 외부의 다른 급 환수 파이프와 관접속되는 구성으로 형성된다.
즉, 열교환기의 측판 외측으로 형성되는 관접속 엘보를 설치한 후 외부의 급 환수 파이프 및 내부의 열교환 파이프를 상호 연결시키는 구성인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보일러의 슬림화 및 컴팩트 해지는 추세에 따라서 각각의 파이프를 상호 관접속 시키는 다양한 구성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보일러의 구성에서 버너부의 열교환 파이프와 외부의 급,환수 파이프의 상호 접속은 별도의 관접속 엘보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시킨 구성으로 형성된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관접속 엘보를 설치한 후 외부로 설치되는 급,환수 파이프 또는 내부의 열교환 파이프를 상호 연결시키는 구성이므로, 이러한 구성은 비교적 협소하게 구성되는 보일러의 구성에서 조립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는, 별도로 열교환기의 측판에 설치되는 관접속 엘보의 자체 돌출길이에 따라 열교환기의 주변 관접속 구성을 설정해야 하는 관계로 보일러 전체의 슬림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의 열교환기 구성에 있어서, 열교환기의 측판으로 돌출된 캡형상의 관접속수단을 형성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파이프의 접속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관접속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슬림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보일러의 열교환기 관접속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버너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그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여 난방수로 제공하며, 몸체케이싱(11)의 내측으로는 열교환 파이프(13)가 내장되는 열교환기(10)와;
상기 열교환기(10) 몸체 측판(12) 외측에서 내부의 열교환 파이프(13)와 급,환수 파이프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관접속수단(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관접속수단(20)은 열교환기(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측의 열교환 파이프(13)와 연통되는 함체 형상을 이루며, 몸체 일측부에는 돌출된 관접속부(31)가 구비된 캡부재(3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보일러의 열교환기 조립구조는 보일러(100)의 열교환기의 측판(12)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을 갖으면서 몸체 일측으로는 관접속부(31)가 형성된 캡부재(30)가 형성되므로, 종래의 관접속 엘보(40) 구성과는 달리 협소한 공간에서도 접속 파이프의 방향 전환성 향상 및 제품의 슬림화와 유로 분배 편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관접속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보일러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 보일러의 관접속 구성을 도시한 연소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열교환기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용상태를 요부확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보일러의 열교환기 관접속 구조는 열교환기의 측판 몸체에 외부로 돌출된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에 형성되는 관접속부를 통해서 협소한 공간에서도 파이프의 방향성 및 접속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일러(100)의 버너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그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여 난방수로 제공하며 몸체케이싱(11)의 내측으로는 일측으로 측판(12)이 형성된 열교환 파이프(13)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0) 몸체 측판(12) 외측에서 내부의 열교환 파이프(13)와 급,환수 파이프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관접속수단(20)이 형성된다.
상기 관접속수단(20)은 열교환기(10)의 측판(1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측의 열교환 파이프(13)와 연통되는 함체 형상의 캡부재(30)가 형성된다.
즉, 측판(12)의 외측에서 소정 폭 만큼 돌출되는 캡부재(30)는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함체 형상을 갖으면서 내부의 열교환 파이프(13)와 상호 연통되는 구성으로 측판(12)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1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열교환 파이프(13)은 방향성 및 위치설정을 위하여 방향성이 자유로운 주름관(13a)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상기 캡부재(30)의 몸체 횡방향으로 돌출된 관접속부(31)가 형성된다.
상기 관접속부(31)는 도면에서와 같이 캡부재(30)의 몸체 일측으로 타원형의 접속홀(32)을 형성한 후 상기 접속홀(32)에는 몸체가 접속홀(32)가 대응되는 타원형을 갖으면서 단부로는 접속관(33)을 구비한 연결구(34)가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관접속부(31)의 구성이 단부로 접속관(33)을 구비하면서 캡부재(3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형성되므로, 종래 관접속 엘보(40) 구성과는 달리 돌출되는 폭을 최소화시키면서 급,환수 파이프를 용이하게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접속수단(20)인 캡부재(30)와 관접속부(31)의 설정 위치 및 돌출되는 최소 범위 등은 제품의 특징과 성격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정가능하며 이러한 가변범위 내의 설정 역시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종래 보일러(100)의 열교환기(10) 몸체 외측에서 내부 열교환 파이프(13)와 외부의 급,환수 파이프를 상호 접속시키는 구성이 관접속 엘보(40)가 적용되므로 발생되던 문제점을 캡부재(30)와 상기 캡부재(30)의 몸체 일측으로 구성되는 관접속부(31)를 통해서 유로분배성 및 제품의 슬림화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별도의 별도의 구성이 면서 외부로 돌출되는 폭이 큰 관접속 엘보를 적용시키지 않고 캡부재와 관접속부를 하나의 몸체에 위치시켜 협소한 공간에서도 파이프의 방향 전환 및 접속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슬림화 및 유로 분배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버너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그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여 난방수로 제공하며, 몸체케이싱(11)의 내측으로는 열교환 파이프(13)가 내장되는 열교환기(10)와;
    상기 열교환기(10) 몸체 측판(12) 외측에서 내부의 열교환 파이프(13)와 급,환수 파이프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관접속수단(20)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관접속수단(20)은 열교환기(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측의 열교환 파이프(13)와 연통되는 함체 형상을 이루며, 몸체 일측부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된 관접속부(31)가 구비된 캡부재(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열교환기 관접속 구조.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접속부(31)는 캡부재(30)의 몸체 일측으로 타원형의 접속홀(32)을 형성한 후 상기 접속홀(32)에는 몸체가 접속홀(32)가 대응되는 타원형을 갖으면서 단부로는 접속관(33)을 구비한 연결구(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열교환기 관접속 구조.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열교환 파이프(13)은 방향성 및 위치설정을 위하여 방향성이 자유로운 주름관(13a)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열교환기 관접속 구조.
KR1020060070439A 2006-07-26 2006-07-26 보일러의 열교환기 관접속구조 KR100737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439A KR100737674B1 (ko) 2006-07-26 2006-07-26 보일러의 열교환기 관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439A KR100737674B1 (ko) 2006-07-26 2006-07-26 보일러의 열교환기 관접속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674B1 true KR100737674B1 (ko) 2007-07-09

Family

ID=3850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439A KR100737674B1 (ko) 2006-07-26 2006-07-26 보일러의 열교환기 관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0009A (zh) * 2010-12-27 2013-08-14 林内株式会社 潜热热交换器,及供热水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391A (ko) * 1999-09-21 2001-04-06 조기형 보일러의 난방수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391A (ko) * 1999-09-21 2001-04-06 조기형 보일러의 난방수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0009A (zh) * 2010-12-27 2013-08-14 林内株式会社 潜热热交换器,及供热水装置
KR20140001920A (ko) * 2010-12-27 2014-01-07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잠열 열교환기 및 급탕 장치
CN103250009B (zh) * 2010-12-27 2016-02-24 林内株式会社 潜热热交换器,及供热水装置
KR101905202B1 (ko) * 2010-12-27 2018-10-05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잠열 열교환기 및 급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07819A1 (en) Induction boiler
US20160201901A1 (en) Heater device for heating liquefied gas
JP6249750B2 (ja) 熱交換器
KR100737674B1 (ko) 보일러의 열교환기 관접속구조
EP1957884A1 (en) Dual pipe heat exchanger of instantaneous boiler for house heating and hot water and boiler
KR102238465B1 (ko) 열교환기, 가열 장치, 가열 시스템 및 물 가열 방법
KR100627720B1 (ko) 전기보일러의 구조
KR20070071476A (ko) 보일러용 직수 복합연결구
KR20090074844A (ko) 난방과 온수 라인이 구별된 카본섬유 히터 보일러
JP2007040649A (ja) 放熱板一体型空気熱交換器
KR100693737B1 (ko) 보일러의 열교환기 유로 형성구조
JP7086233B2 (ja) 給湯装置
KR101138668B1 (ko) 열교환기
KR100811637B1 (ko) 초소형 쾌속 전기보일러
KR20080059969A (ko) 보일러의 열교환기 수로부 유로구조
JP4935297B2 (ja) 熱源機
JP2002162050A (ja) 温水暖房装置の放熱器
KR20110011034U (ko) 열교환기와 이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JP4444864B2 (ja) 浴室外設置型風呂釜
JP7327794B2 (ja) 給湯器用の燃焼装置及び給湯器
KR100417209B1 (ko)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KR200231193Y1 (ko) 온수관이 내장된 침대
CN109937334B (zh) 具有热风产生单元的锅炉
KR100431635B1 (ko) 보일러 필터하우징 결합구조
KR100423255B1 (ko) 가스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