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519B1 - 레졸버 - Google Patents

레졸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519B1
KR100737519B1 KR1020060049488A KR20060049488A KR100737519B1 KR 100737519 B1 KR100737519 B1 KR 100737519B1 KR 1020060049488 A KR1020060049488 A KR 1020060049488A KR 20060049488 A KR20060049488 A KR 20060049488A KR 100737519 B1 KR100737519 B1 KR 100737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winding
stator
slot
sl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협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협성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협성사
Priority to KR1020060049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9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using eddy currents
    • G01P3/495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using eddy currents where the indicating means responds to forces produced by the eddy currents and the generating magnetic fie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using a variable number of pulses in a tra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18Windings for salient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졸버(RESOLV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졸버의 고정자와 회전자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범위를 보다 확장하여, 회전자의 위치 및/또는 각도의 산정에서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레졸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레졸버는 회전되는 물체에 연결되어 상기 물체와 함께 회전되고, 그 외주에 다수의 철심과,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그 내주에 다수의 철심과,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의 일 슬롯의 일측 슬롯을 도선이 관통하여 상기 일 슬롯에 대칭적인 슬롯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상기 회전자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일 슬롯에 대칭인 타 슬롯의 양측 슬롯까지 관통하여 상기 회전자의 철심에 권선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자 권선부로 이루어진 회전자 권선영역 및, 상기 고정자의 일 슬롯의 일측 슬롯을 도선이 관통하여, 상기 일 슬롯에 대칭적인 슬롯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상기 고정자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일 슬롯에 대칭인 타 슬롯의 양측 슬롯까지 관통하여 상기 고정자의 철심에 권선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자 권선부로 이루어진 고정자 권선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레졸버{RESOLV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졸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졸버의 분리 결합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자의 권선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자의 권선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자와 회전자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 6은 종래 구조에 따른 레졸버의 권선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레졸버 20 - 회전축
21 - 커플링 22 - 전프레임
23 - 후프레임 24 - 전커버
25 - 후커버 30 - 회전자
40 - 고정자 50 - 도선
i - 철심 s - 슬롯
w - 권선 n1, n2, n3, n4 - 권선부
본 발명은 리졸버(RESOLV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졸버의 고정자와 회전자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범위를 보다 확장하여, 회전자의 위치 및/또는 각도의 산정에서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레졸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졸버(resolver)는 회전 또는 회동되는 물체의 회전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류가 통전되는 고정자와 물체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자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자의 회전정도를 측정하는 것은 그 내구성이 강하고 정밀한 계측이 가능하다.
또, 상기 레졸버는 회전자 권선과 고정자 권선이 상호유도되어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을 계측함으로써 상기 물체에 연결된 회전자의 회전정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통상 상기 고정자 권선은 쌍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기 회전자의 회전정도를 상기 한 쌍의 고정자와의 유도전류량을 벡터량으로 계측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졸버는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 상기 회전자 권선과 고정자 권선을 더 증가하여 상기 권선들 간의 순차적인 유도전류 발생으로 상기 회전자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것의 개발이 있었다.
상기 종래의 레졸버(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 회전축(91)이 축방향으로 배열되어 설치되고, 이 회전축(91)의 외주에 회전자(92)가 결합하며, 상기 회전자(92)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 자(92)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통형상의 고정자(93)가 구비된다.
또, 상기 회전자(92)와 고정자(93) 모두에 외측으로 돌출된 철심(94)과 이 철심(94)들의 사이공간으로 이루어진 슬롯(95)이 형성된다.
상기 철심(94)은 상기 회전자(92)의 외주면에 상기 회전자(92)의 축방향으로 길게 배열된 박스형상을 이루고 돌출되고, 상기 고정자(93)의 내주면에 상기 고정자(93)의 축방향으로 길게 배열된 박스형상을 이루고 돌출된다.
상기 고정자(93)와 회전자(92)의 철심(94)에 도선이 권선되어 권선(96)이 형성되고, 이 권선(96)들이 상호유도되면서 유도기전력을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 상기와 같은 권선(96)이 상기 고정자(93)와 회전자(92)에 단일 개 형성된 경우, 상기 회전자(92)가 1회전 한 후에 상기 고정자(93)의 권선(96)과 상호유도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자(92)의 회전각 수 측정은 가능하나, 상기 회전자(92)의 회전각도 측정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레졸버(90)의 회전자(92)에 형성된 철심(94)과 고정자(93)에 형성된 철심(94)을 상기 회전자(92)와 고정자(93)의 외주 및 내주면에 형성할 수 있는 최대 개수로 상기 철심(94)을 각각 형성하고, 이 철심(94)마다 권선(96)을 결합하여 상기 회전자(92)의 권선(96)과 고정자(93)의 권선(96)이 비교적 연속에 가깝게 상호유도되도록 하는 노력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회전자(92) 검출기는 상기 고정자(93)의 각 철심(94)에 결합한 권선(96)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류가 통전되는 상태에서, 상기 회전자(92)가 물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 상기 회전자(92)의 권선(96)들이 회동되면서 상기 회전자(92) 권선(96)에 최초 대응된 고정자(93) 권선(96)의 상호유도에서 벗어난 후에 상기 최초 대응된 고정자(93) 권선(96)에 인접한 다른 권선(96)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인접한 권선(96)과 상호유도되어 상기 회전자(92)의 회전각이 측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전자(92) 검출기는 상기 각 철심(94) 사이에 상기 철심(94)에 결합하는 권선(96)을 위한 슬롯(95)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자(93)의 권선(96)에 상기 회전자(92)가 회전되면서 회전자(92)의 철심(94) 사이에 형성된 슬롯(95)이 마주보는 경우, 상기 고정자(93) 철심(94)에 결합한 권선(96)의 상호유도가 단절되면서 상기 회전자(92)의 회전각 파악이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자(92)가 결합한 물체의 정확한 회전각을 구하기가 어려웠다.
또, 상기 고정자(93)와 회전자(92)의 각 철심(94)에 결합한 권선(96)은 각각 레졸버(90)의 외부로 연결되어 제어기 등으로 상기 각 고정자(93) 철심(94)과 회전되는 회전자(92) 철심(94)의 상호유도 상황을 각각 전송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다수의 회전자(92) 및 고정자(93)의 각 철심(94)에 결합한 다수의 권선(96)들과 제어기 등을 연결하는 공정 및 상기 각 권선(96)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취합, 가공 및 계산하는 작업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정자와 회전자의 권선간 상호유도범위를 확장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레졸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자와 고정자에 형성된 권선영역이 도선이 권선되지 않은 슬롯을 대칭적으로 지니도록 하여 왜곡이 적은 출력값이 산출되도록 하는 레졸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레졸버는 회전되는 물체에 연결되어 상기 물체와 함께 회전되고, 그 외주에 다수의 철심과,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그 내주에 다수의 철심과,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의 일 슬롯의 일측 슬롯을 도선이 관통하여 상기 일 슬롯에 대칭적인 슬롯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상기 회전자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일 슬롯에 대칭인 타 슬롯의 양측 슬롯까지 관통하여 상기 회전자의 철심에 권선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자 권선부로 이루어진 회전자 권선영역 및, 상기 고정자의 일 슬롯의 일측 슬롯을 도선이 관통하여, 상기 일 슬롯에 대칭적인 슬롯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상기 고정자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일 슬롯에 대칭인 타 슬롯의 양측 슬롯까지 관통하여 상기 고정자의 철심에 권선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자 권선부로 이루어진 고정자 권선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자 권선 영역 내의 도선은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 자의 원주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자 권선영역은 서로 다른 권선방향을 지닌 제1 및 제2 회전자 권선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회전자 권선부의 권선방향은 서로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자 권선 영역 내의 도선은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자의 원주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자 권선영역은 서로 다른 권선방향을 지닌 제1 및 제2 고정자 권선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고정자 권선부의 권선방향은 서로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자와 고정자는 각각 2개의 입력선과 2개의 출력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졸버(10)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졸버(10)의 각 부품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자(30)에 도선이 권선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자(40)에 도선이 권선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레졸버(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0)과, 커플링(21)과, 회전자(30)와, 고정자(40)와, 전프레임(22)과, 후프레임(23)과, 전커버(24)와 후커버(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20)은 후술하는 커플링(21)과 결합하여 회전되는 물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그 전단과 후단이 베어링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커플링(21)이 그 중앙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플링(21)은 상기 회전축(20)의 중앙부 중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회전축(20)에 형성된 중공 형상과 동일한 원통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일면에서 외측으로 봉이 소정 폭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21)의 일면에서 돌출된 봉이 상기 회전되는 물체에 결합한다.
상기 회전자(30)는 상기 회전축(20)의 외주에 고정되도록 상기 회전축(2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서 외부로 다수의 철심(i)이 돌출되고, 이 철심(i)들의 사이에 슬롯(s)이 형성되며, 상기 철심(i)들에 도선(50)이 권선되어 다수의 권선(w)으로 이루어진 권선부(n1, n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자(40)는 후술하는 전프레임(22)과 후프레임(23)의 내주에 결합하여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회전자(30)를 감싸도록 상기 회전자(30)의 외경보다 조 금 큰 내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자(30)의 철심(i)과 후술하는 고정자(40)의 철심(i)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회전자(30)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큰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고정자(40)는 그 내주면에 상기 회전자(3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철심(i)과 동일한 형상의 철심(i)이 다수 돌출 형성되고, 회전자(30)와 동일하게 상기 철심(i)들의 사이에 슬롯(s)이 형성되며, 상기 철심(i)들에 도선(50)이 권선되어 다수의 권선(w)으로 이루어진 권선부(n3, n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자(30)와 고정자(40)에 형성된 철심(i)은 상기 회전자(30)와 고정자(40)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상기 회전자(30)와 고정자(40)의 축방향에 수평되는 벽체 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되며, 다수의 철심(i)이 같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상기 슬롯(s)은 상기 철심(i)들이 같은 간격으로 배열됨에 따라 상기 철심(i) 간의 사이 공간이 슬롯(s)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철심(i)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슬롯(s)에 상기 도선(50)이 삽입 관통되면서 감겨 상기 권선(w)을 형성한다.
상기 전프레임(22)은 상기 회전축(20)의 전방, 즉 상기 회전축(20)에 삽입된 커플링(21)의 봉이 돌출되어 회전되는 물체와 결합하는 방향에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기 전프레임(22)의 내측면에 상기 회전축(20)과 커플링(21)과 회전자(30) 및 고정자(40)의 전면이 지지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전프레임(22)은 그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20)이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축(20)의 지름보다 조금 큰 지름의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후프레임(23)은 그 외주가 상기 전프레임(22)에 결합하여 통형상을 이루도록 전면에서 후방으로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프레임(23)의 함몰부에 상기 회전축(20)과 커플링(21)과 회전자(30)와 고정자(40)가 모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후프레임(23)의 후면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2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프레임(22)의 개구와 동일한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전커버(24)는 상기 전프레임(22)의 개구를 덮어 막도록 상기 전프레임(22)의 개구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 상기 커플링(21)에서 돌출된 봉이 관통되도록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후커버(25)는 상기 후프레임(23)의 개구를 덮어 막도록 상기 후프레임(23)의 개구 형상과 동일한 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상기 후프레임(23)의 개구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자(30) 및 고정자(40)의 도선은 각각 2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선(50)의 권선에 의해 권선방향이 서로 다른 한 쌍의 권선부(n1, n2), (n3, n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권선부(n1, n2), (n3, n4)는 각각 하나의 도선(50)이 권선된 것이므로, 각각 하나의 입력선(I1, I2)과 출력선(O1, O2)을 지니게 된다.
상기 회전자(30) 및 고정자(40)의 권선부(n1, n2), (n3, n4)는 동일한 방법으로 권선되며, 하기에서는 도 3a의 회전자(30)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슬롯(s)의 양측 철심(i)(1',2')에 도선(50)이 먼저 권선되고, 이어서 철심(i)(1', 2') 양측에 형성된 철심(i) (n', 3')에 권선되어, 순차적으로 양측의 철심(i)에 권선되어, 철심(i)(3n/4+2', n/4+1')까지 권선되어, 서브 권선부(n11)를 형성한다. 이 서브 권선부(n11)에 연속하여, 도선(50)이 회전자(30)의 중심에 대하여 철심(i)(1', 2')에 대칭인 철심(i)(n/2+2', n/2+1')까지 권선되어, 서브 권선부(n12)를 형성한다. 즉, 서브 권선부(n11)의 도선(50)이 철심(i)(1', 2') 사이의 슬롯(s)의 일측 슬롯(s)(철심(i)(n, 1) 사이의 슬롯)을 관통하여 타측 슬롯(s)(철심(i)(2, 3) 사이의 슬롯)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철심(i)(1', 2') 사이의 슬롯(s)에 대하여 대칭인 슬롯(s)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방식으로 철심(i)에 권선된다. 서브 권선부(n11)의 철심(i)(1', 2') 사이의 슬롯(s)을 도선(50)이 관통하지 않는 것과 동일하게, 이 서브 권선부(n12)의 도선(50)은 철심(i)(n/2+2', n/2+1') 사이의 슬롯(s)을 관통하지 않는다. 서브 권선부(n11)와 (n12) 간의 연결은 도선(50)이 철심(i)(n/4+1')으로부터 철심(i)(3n/4+1')으로 진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서브 권선부(n11) 내의 도선(50)은 슬롯(s)을 관통한 이후에 원주방향에 따라 진행하여,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30)의 중심부를 관통함이 없이 원주방향으로 권선된다. 또한, 서브 권선부(n11)에 이어지는 서브 권선부(n12) 내의 도선(50)도 동일하게 원주방향으로 권선된다.
이러한 도선(50)은 철심(i)에 권선(w) 형태로 감겨서, 하나의 도선으로 하나의 권선부(n1)가 형성된다. 이 권선부(n1)은 서브 권선부(n11) 측에 형성된 입력 부(I1)와, 서브 권선부(n12) 측에 형성된 출력부(O1)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2번째의 권선부(n2)를 형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도선(50)은 권선부(n1)의 권선방향(도 3b를 참조하면 가로방향)과 다른 권선방향(예를 들면, 세로방향)으로 회전자(30)의 철심(i)에 권선된다. 권선부(n2)의 권선(w)을 위해, 도선(50)은 세로 방향으로 권선부(n1)의 권선(w)과 동일한 방법으로 철심(i)에 권선된다. 즉, 도선(50)은 하나의 슬롯(s) 양측의 철심(n/4+1', n/4+2')을 감싸면서 권선되어, 순차적으로 철심(n/4+1', n/4+2') 양측으로 권선되어, 최종적으로 철심(3n/4+1', 3n/4+2')까지 권선된다. 이러한 권선으로 인하여, 회전자(30)에는 서브 권선부(n21)과, 서브 권선부(n22)로 구성된 권선부(n2)가 형성된다. 이러한 도선(50)의 권선(w)에 의해 생성된 권선부(n2)는 서브 권선부(n21) 측에 형성된 입력부(I2)와, 서브 권선부(n22) 측에 형성된 출력부(O2)를 지닌다.
또한, 권선부(n1)의 권선방향과, 권선부(n2)의 권선방향을 서로 상이하되, 바람직하게는 90°의 각도를 유지된다. 이러한 각도는 권선부(n1)와 권선부(n2)에서의 출력파형에도 그대로 유지되어, 별도의 처리장치를 통한 각도 및 위치 해석을 위한 데이터 처리가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자(40)에 도선(50)이 권선되는 경우도, 회전자(30)에 권선되는 방식과 동일하게 권선되어, 서로 권선방향(또는 권선방향)이 상이한 권선부(n3), (n4)가 형성된다. 이들 권선부(n3), (n4)는 각각 서브 권선부(n31, n32), (n41, n42)로 이루어진다. 또한, 권선부(n3), (n4)의 권선방향도 상술된 바와 같이, 90°의 각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c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선부(n1), (n2), (n3), (n4)는 각각 초기 권선(w) 부분과 최종 권선(w) 모두 한 쌍의 철심(i) 내에 하나의 슬롯을 포함하고, 이 슬롯에는 도선(50)이 관통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자(30) 및/또는 고정자(40)의 입력부(I1), (I2)에 인가된 교류 신호가 출력부(O1), (O2)에서 출력될 때, 그 출력파형(예를 들면, 코사인파형 또는 사인 파형)에 왜곡이 적어지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30)는 고정자(40)의 내부 중심에 설치되며, 각각은 2개의 권선부(n1, n2), (n3, n4)가 형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레졸버의 작용을 설명한다.
레졸버(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레졸버(10)로 전원이 인가되고, 이 인가된 전원은 상기 레졸버(10)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자(40)의 각 권선(w)으로 통전된다.
상기 고정자(40)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상기 고정자(40)의 주변에 전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자(40)에 전기장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자(30)에 결합된 물체가 회전 또는 회동되면, 상기 물체의 회전과 동일하게 상기 레졸버(10)의 회전자(30)가 회전된다.
상기 회전자(30)가 회전되면서, 상기 회동자의 외주에 설치된 다수의 권선(w)이, 즉 권선부(n1, n2)가 회동되고, 상기 권선(w)(권선부(n1, n2))들이 회동되면서 상기 고정자(40)의 권선(w)(즉, 권선부(n3, n4))이 이루는 전기장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킨다.
또, 상기 고정자(40)로 전달된 유도기전력은 상기 고정자(40)로 유도전류를 통전시키고 이 유도전류를 계측하여 상기 회전되는 물체의 회전각이 별도의 처리장치에서 산정된다.
이때, 상기 회전자(30)가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자(30)의 권선부(n1, n2)가 상기 고정자(40)의 권선부(n3, n4)와 거리가 확대/축소되면서 거리에 반비례하는 유도기전력이 증/감되어 측정되고, 이 유도기전력의 증/감 정도에 의해 상기 회전되는 물체의 회전각이 측정된다. 이러한 유도기전력의 증/감은 모든 권선부(n1, n2), (n3, n4)에서 항상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고정자와 회전자의 권선간 상호유도범위를 확장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자와 고정자에 형성된 권선영역이 도선이 권선되지 않은 슬롯을 대칭적으로 지니도록 하여 왜곡이 적은 출력값 또는 출력파형이 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회전되는 물체에 연결되어 상기 물체와 함께 회전되고, 그 외주에 다수의 철심과,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그 내주에 다수의 철심과, 다수의 슬롯이 형성된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의 일 슬롯의 일측 슬롯을 도선이 관통하여 상기 일 슬롯에 대칭적인 슬롯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상기 회전자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일 슬롯에 대칭인 타 슬롯의 양측 슬롯까지 관통하여 상기 회전자의 철심에 권선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자 권선부로 이루어진 회전자 권선영역 및;
    상기 고정자의 일 슬롯의 일측 슬롯을 도선이 관통하여, 상기 일 슬롯에 대칭적인 슬롯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며, 상기 고정자의 중심에 대하여 상기 일 슬롯에 대칭인 타 슬롯의 양측 슬롯까지 관통하여 상기 고정자의 철심에 권선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자 권선부로 이루어진 고정자 권선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 권선 영역 내의 도선은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자의 원주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 권선영역은 서로 다른 권선방향을 지닌 제1 및 제2 회전자 권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자 권선부의 권선방향은 서로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권선 영역 내의 도선은 상기 슬롯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자의 원주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 권선영역은 서로 다른 권선방향을 지닌 제1 및 제2 고정자 권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자 권선부의 권선방향은 서로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와 고정자는 각각 2개의 입력선과 2개의 출력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졸버.
KR1020060049488A 2006-06-01 2006-06-01 레졸버 KR100737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488A KR100737519B1 (ko) 2006-06-01 2006-06-01 레졸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488A KR100737519B1 (ko) 2006-06-01 2006-06-01 레졸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519B1 true KR100737519B1 (ko) 2007-07-10

Family

ID=3850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488A KR100737519B1 (ko) 2006-06-01 2006-06-01 레졸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296B1 (ko) * 2017-11-27 2019-05-23 (주) 코모텍 단락권선을 이용한 회전자 코어와 이를 이용한 권선형 리졸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486A (ja) * 1994-09-26 1996-04-12 Akira Ishizaki 位置検出装置
JPH11234995A (ja) * 1998-02-17 1999-08-27 Tamagawa Seiki Co Ltd レゾルバ巻線方法及び構造
JP2001349749A (ja) * 2000-06-09 2001-12-21 Tamagawa Seiki Co Ltd 角度検出装置
JP2002054949A (ja) * 2000-08-11 2002-02-20 Minebea Co Ltd 多重巻線バリアブルリラクタンスレゾルバ、及び多重巻線バリアブルリラクタンスレゾルバ回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8486A (ja) * 1994-09-26 1996-04-12 Akira Ishizaki 位置検出装置
JPH11234995A (ja) * 1998-02-17 1999-08-27 Tamagawa Seiki Co Ltd レゾルバ巻線方法及び構造
JP2001349749A (ja) * 2000-06-09 2001-12-21 Tamagawa Seiki Co Ltd 角度検出装置
JP2002054949A (ja) * 2000-08-11 2002-02-20 Minebea Co Ltd 多重巻線バリアブルリラクタンスレゾルバ、及び多重巻線バリアブルリラクタンスレゾルバ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296B1 (ko) * 2017-11-27 2019-05-23 (주) 코모텍 단락권선을 이용한 회전자 코어와 이를 이용한 권선형 리졸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rimani et al. An online method for static eccentricity fault detection in axial flux machines
JP4654348B1 (ja) 検出装置用巻線の正弦波巻線方法
CN105850014B (zh) 旋转变压器装置、电动机以及驱动器
CN108369112B (zh) 旋转角度检测装置及旋转电机
Nasiri-Gheidari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disk type variable reluctance resolvers
JPWO2016063324A1 (ja) 回転角度検出装置、回転電機、及びエレベータ用巻上機
US9810550B2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Totoonchian Effect of damper winding on accuracy of wound‐rotor resolver under static‐, dynamic‐, and mixed‐eccentricities
JP4397788B2 (ja) 回転角度検出装置
CN105610289A (zh) 一种交直流两用测速发电机
KR100737519B1 (ko) 레졸버
US7323843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signals for detection of stator and rotor errors in magnetic circuits in a synchronous machine
Chiver et al. Stator winding leakage inductances determination using finite elements method
KR20110126107A (ko) 두 개의 고정자 및 두 개의 회전자를 구비한 전기식 구동 장치
JP2011030378A (ja) ステータ及び電気機器
JP2010259267A (ja) 回転角度検出装置
JP2017515120A (ja) ターン間欠陥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並びに電気機械
JP2003153510A (ja) ダイレクトドライブモータシステム
CN110402377B (zh) 测量装置、测量方法以及马达的制造方法
KR102293611B1 (ko) 리졸버
JP2010261914A (ja) 電機子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JP2001272204A (ja) ねじれ量測定装置
Ilhem et al. Modeling and detection of eccentricity fault in switched reluctance motor
JP2016116301A (ja) 磁界センサ
JPS5941162A (ja) かご形ロ−タのバ−間抵抗の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