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285B1 -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285B1
KR100737285B1 KR1020060064234A KR20060064234A KR100737285B1 KR 100737285 B1 KR100737285 B1 KR 100737285B1 KR 1020060064234 A KR1020060064234 A KR 1020060064234A KR 20060064234 A KR20060064234 A KR 20060064234A KR 100737285 B1 KR100737285 B1 KR 100737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ed product
product
semi
sensing unit
ton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환
허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에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에프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에프티
Priority to KR1020060064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G01P3/4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 G01P3/481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 G01P3/488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by measuring frequency of generated current or voltage of pulse signals delivered by variable reluctance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2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wheels or the like
    • B21D53/3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wheels or the like brake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16Details of the sealing or parts thereof, e.g. geometr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밀성과 품질이 우수하고 원가가 저렴한 톤휠을 빠른 작업시간으로 편리하게 생산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장착한 ABS, TCS, VDC 등의 장치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 및 장치{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tone wheel for vehicle}
도 1은 원판형 톤휠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원판형 톤휠의 종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원판형 톤휠의 제조장치 중 종래의 블랭킹 다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종래의 블랭킹 다이를 통해 제작된 톤휠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판형 톤휠의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톤휠의 제조장치 중의 하나로서 푸시 백 블랭킹 다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 백 블랭킹 다이를 통해 제작된 톤휠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톤휠의 제조장치 중의 하나로서 제품취출다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제작 완료된 완제품의 톤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소재 10 - 톤휠
70 - 푸시 백 블랭킹 다이 90 - 제품취출다이
110 - 1차 반제품 120 - 2차 반제품
130 - 3차 반제품 140 - 4차 반제품
150 - 5차 반제품 160 - 6차 반제품
본 발명은 차량 부품으로서 사용되어지는 톤휠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톤휠은 드라이브 샤프트(drive shaft)나 바퀴(wheel)등과 같이 회전하는 물체의 회전속도를 감지하기 위해 회전체에 설치되어지는 부품으로서, 그 형상에 따라 각각 독특한 제조방법 및 장치의 금형을 사용하게 된다.
그 일례로서 도 1에는 원판형상의 톤휠(10)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톤휠(10)은 회전체에 끼워지도록 내경(11)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축경부(12)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센싱홀(13)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요철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센싱부(14) 및, 상기 축경부(12)와 센싱부(14)를 연결하도록 굴곡 형성된 연결부(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톤휠(10)의 주변에는 톤휠 센서(tone wheel sensor)가 장착되는 바, 상기 톤휠 센서는 회전체와 함께 톤휠(10)이 회전을 할 때 상기 센싱홀(13)에 의하여 센싱부(14)에서 발생되는 펄스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차량에 탑재된 제어장치(콘트롤러)에서는 결과적으로 상기 톤휠 센서로부터 전달된 펄스를 분석하여 차량 바퀴의 회전속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톤휠(10)과 톤휠 센서는 제어장치와 함께 ABS(Anti-Lock Brake System), TCS(Traction Control System) 및 VDC(Vehicle Dynamic Control System) 등에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원판형상의 톤휠(10)에서 톤휠 센서가 감지하는 부위는 센싱부(14)의 윗면이므로, 상기 센싱부(14)는 매우 정밀한 평탄도를 갖추고 있어야 하고 동시에 균일한 단면 두께를 유지하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센싱홀(13)의 형상 및 간격의 균일도도 매우 높아야 함은 물론이다.
만약, 센싱부(14)의 편평한 정도가 정밀하지 못하고 또한 그 단면의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면 결국 센싱홀(13)의 형상 및 간격의 균일도가 낮아지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톤휠(10)의 불량률이 높아지는 원인이 된다.
도 2에는 상기와 같은 원판형 톤휠(10)의 제조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즉, 평탄화가 이룩된 소재(1)를 가공하여 톤휠(10)의 외곽 형상에 맞도록 1차 반제품(110)을 제작하는 슬릿팅(slitting) 가공단계와, 상기 1차 반제품(110)을 가공하여 축경부(122)와 센싱부(124) 및 연결부(125)의 형상을 갖춘 2차 반제품(120)을 제작하는 드로잉(drawing) 가공단계와, 상기 2차 반제품(120)의 축경부(122) 중앙을 가공하여 내경(131)을 갖춘 3차 반제품(130)을 제작하는 1차 피어 싱(piercing) 가공단계와, 상기 3차 반제품(130)의 내경(131)을 확장 가공하면서 축경부(142)를 갖춘 4차 반제품(140)을 제작하는 버링(burring) 가공단계와, 상기 4차 반제품(140)의 센싱부(144)를 가공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센싱홀(153)을 갖춘 5차 반제품(150)을 제작하는 2차 피어싱 가공단계와, 상기 5차 반제품(150)의 센싱부(154)를 스트라이크(strike) 금형으로 가공하여 우수한 평탄도 및 정밀도의 센싱부(164)를 갖춘 6차 반제품(160)을 제작하는 스트라이크 가공단계와, 상기 스트라이크 가공단계 이후 블랭킹 다이를 이용하여 완제품의 톤휠(10)을 소재(1)로부터 분리하여 취출하는 생산완료단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링 가공단계는 한번에 그치지 않고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으 바, 일예로 1차 버링 가공단계는 형상을 만드는 예비가공에 해당하는 것이고, 2차 버링 가공단계는 만들어진 형상의 정밀도를 높이는 단계이다.
도 3에는 상기에 전술한 원판형 톤휠(10)의 종래 제조과정시 사용되는 블랭킹 다이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블랭킹 다이(50)는 크게 상형스트리퍼(51)와 상형펀치(52) 및 하형다이(53)로 구성된다.
상기 상형스트리퍼(51)와 하형다이(53)는 상기 6차 반제품(160)과 연결된 소재(1)의 상하면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상형펀치(52)는 위에서 아래로 하강하는 힘에 의해 상기 6차 반제품(160)의 센싱부(164)를 가압하여 6차 반제품(160)을 소재(1)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형펀치(52)에 의해 소재(1)로부터 분리된 6차 반제품(160)은 하형다이(53)사이로 낙하하여 완제품의 톤휠(10)로서 취출되어 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종래의 블랭킹 다이(50)를 통해 제작 완료된 톤휠(10)을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센싱부(14)의 끝단에 발생된 버(17)가 센싱부(14)의 윗면보다 더 높게 돌출 형성됨으로써 톤휠 센서의 센싱동작에 영향을 주게 되고, 이로 인해 톤휠(10)의 불량률을 높이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버(17)가 센싱부(14)의 윗면보다 더 높게 돌출 형성되는 이유는 블랭킹 다이(50)의 상형펀치(52)가 하강하면서 완제품의 톤휠(10)을 생산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상기 버(17)가 톤휠 센서의 센싱동작에 영향을 주는 이유는 상기 톤휠 센서가 센싱부(14)의 윗면을 통해 발생되는 펄스를 감지할 때 상기 버(17)의 간섭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블랭킹 다이(50)를 통해 제작 완료된 톤휠(10)을 리스트라이크(restrike) 금형으로 재차 가공하여, 상기 센싱부(14)의 끝단에 발생된 버(17)를 제거하는 별도의 후공정이 필요하게 되며, 이와 같은 별도의 후공정으로 인해 작업시간의 지연, 생산성 저하, 원가상승 등 여러 가지의 새로운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톤휠 제작시 센싱부의 끝단에 발생하는 버를 후공정을 통해 제거하지 않더라도 상기 버에 의해 톤휠센서가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가공단계 및 장치를 추가 구성토록 하여, 성능이 우수하고 원가가 저렴한 제품을 편리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톤휠의 제조방법은, 평판 형상의 소재를 가공하여 톤휠의 외곽 형상에 맞도록 1차 반제품을 제작하는 슬릿팅 가공단계와; 상기 1차 반제품을 가공하여 축경부와 센싱부 및 연결부의 형상을 갖춘 2차 반제품을 제작하는 드로잉 가공단계와; 상기 2차 반제품의 축경부 중앙을 가공하여 내경을 갖춘 3차 반제품을 제작하는 1차 피어싱 가공단계와; 상기 3차 반제품의 내경을 확장 가공하면서 축경부를 갖춘 4차 반제품을 제작하는 버링 가공단계와; 상기 4차 반제품의 센싱부를 가공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센싱홀을 갖춘 5차 반제품을 제작하는 2차 피어싱 가공단계와; 상기 5차 반제품의 센싱부를 스트라이크 금형으로 가공하여 우수한 평탄도 및 정밀도의 센싱부를 갖춘 6차 반제품을 제작하는 스트라이크 가공단계와; 상기 스트라이크 가공단계 이후 푸시 백 블랭킹 다이를 이용하여 상기 6차 반제품을 소재로부터 상방향으로 분리한 후 재차 하강시켜 상기 소재의 제품구멍으로 강제로 끼우는 예비취출단계와; 상기 예비취출단계 이후 제품취출다이를 이용해 상기 제품구멍에 끼워진 6차 반제품을 자유 낙하시켜 완제품의 톤휠을 생산해내는 제품생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톤휠의 제조장치는, 평판 형상의 소재를 순차적으로 다수번 가공하여 내경을 구비한 축경부와 센싱홀이 형성된 센싱부 및 연결부의 형상을 갖추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소재와 연결된 6차 반제품의 상태에서, 상기 6차 반제품과 인접한 부위의 소재를 고정한 다음 펀칭력에 의해 상기 6차 반제품을 소 재로부터 상방향으로 분리한 후 재차 하강시켜 상기 소재의 제품구멍으로 6차 반제품을 강제로 끼워 임시 결합시키는 푸시 백 블랭킹 다이와; 상기 제품구멍으로부터 이격된 부위의 소재를 고정한 다음 상기 제품구멍과 인접하면서 고정되지 않은 부위를 펀칭력을 이용해 가압하여 하향 절곡되도록 벤딩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품구멍에 끼워진 6차 반제품의 센싱부 윗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품구멍으로부터 6차 반제품을 자유 낙하시킴으로써 완제품의 톤휠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취출다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와 도 6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판형 톤휠의 제조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는 톤휠의 제조과정에 대한 도면이고, 도 6은 톤휠의 제조장치 중 푸시 백 블랭킹 다이에 대한 도면이며, 도 8은 제품취출다이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톤휠의 제조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소재(1)를 가공하여 톤휠(10)의 외곽 형상에 맞도록 1차 반제품(110)을 제작하는 슬릿팅(slitting) 가공단계와, 상기 1차 반제품(110)을 가공하여 축경부(122)와 센싱부(124) 및 연결부(125)의 형상을 갖춘 2차 반제품(120)을 제작하는 드로잉(drawing) 가공단계와, 상기 2차 반제품(120)의 축경부(122) 중앙을 가공하여 내경(131)을 갖춘 3차 반제품(130)을 제작하는 1차 피어싱(piercing) 가공단계와, 상기 3차 반제품(130)의 내경(131)을 확장 가공하면서 축경부(142)를 갖춘 4차 반제 품(140)을 제작하는 버링(burring) 가공단계와, 상기 4차 반제품(140)의 센싱부(144)를 가공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센싱홀(153)을 갖춘 5차 반제품(150)을 제작하는 2차 피어싱 가공단계와, 상기 5차 반제품(150)의 센싱부(154)를 스트라이크(strike) 금형으로 가공하여 우수한 평탄도 및 정밀도의 센싱부(164)를 갖춘 6차 반제품(160)을 제작하는 스트라이크 가공단계와, 상기 스트라이크 가공단계 이후 푸시 백 블랭킹 다이(70)를 이용하여 상기 6차 반제품(160)을 소재(1)로부터 상방향으로 분리한 후 재차 하강시켜 상기 소재(1)의 제품구멍(1a)으로 강제로 끼우는 예비취출단계와, 상기 예비취출단계 이후 제품취출다이(90)를 이용해 상기 제품구멍(1a)에 끼워진 6차 반제품(160)을 자유 낙하시켜 완제품의 톤휠(10)을 생산해내는 제품생산단계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재(1)는 롤 형태로 감겨진 연성재질의 강판이 롤러장치를 통과하는 과정상에서 평탄화가 이룩되어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링 가공단계는 한번에 그치지 않고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으 바, 일예로 1차 버링 가공단계는 형상을 만드는 예비가공에 해당하는 것이고, 2차 버링 가공단계는 만들어진 형상의 정밀도를 높이는 단계이다.
상기 푸시 백 블랭킹 다이(70)에 의해 6차 반제품(160)이 소재(1)의 제품구멍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분리되는 상기 예비취출단계에서는 상기 센싱부(164)의 밑면보다 더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버(167)가 센싱부(164)의 끝단에 발생된다.
또한, 상기 제품생산단계에서는 상기 제품취출다이(90)가 상기 제품구멍(1a)과 인접한 부위의 소재(1)를 하방으로 절곡시킴과 동시에 6차 반제품(160) 중 센싱 부(164)의 윗면을 가압하여 자유 낙하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소재(1)로부터 분리된 완제품의 톤휠(10)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원판형 톤휠(10)의 제조장치 중 핵심 요소에 해당하는 푸시 백 블랭킹 다이(70)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푸시 백 블랭킹 다이(70)는, 평판 형상의 소재(1)를 순차적으로 다수번 가공하여 내경(161)을 구비한 축경부(162)와 센싱홀(163)이 형성된 센싱부(164) 및 연결부(165)의 형상을 갖추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소재(1)와 연결된 6차 반제품(160)의 상태에서, 상기 6차 반제품(160)과 인접한 부위의 소재(1)를 고정한 다음 펀칭력에 의해 상기 6차 반제품(160)을 소재(1)로부터 상방향으로 분리한 후 재차 하강시켜 상기 소재(1)의 제품구멍(1a)으로 6차 반제품(160)을 강제로 끼워 임시 결합시키는 작동을 하게 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상기 푸시 백 블랭킹 다이(70)는, 상기 6차 반제품(160)을 제외한 주변부의 소재(1)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하는 상형다이(71) 및 하형스트리퍼(72)와, 상기 소재(1)와 연결된 6차 반제품(160)중에서 센싱부(164)의 밑면을 승강 이동시 발생하는 펀칭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소재(1)로부터 6차 반제품(160)을 상방향으로 분리시키는 하형펀치(73)와, 상기 센싱부(164)의 윗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하형펀치(73)에 의한 소재(1)와 6차 반제품(160)의 분리시에는 탄력적으로 승강 이동하였다가 스프링의 복원력을 통해 재차 하강 이동하여 상기 6차 반제품(160)의 분리시 소재(1)에 발생된 제품구멍(1a)으로 상기 6차 반제품(160)을 강제로 끼워주도록 힘을 발휘하는 상형스트리퍼(74)로 구 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형펀치(73)에 의해 6차 반제품(160)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소재(1)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센싱부(164)의 끝단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싱부(164)의 밑면보다 더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버(167)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8에는 상기 푸시 백 블랭킹 다이(70)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원판형 톤휠(10)의 제조장치 중 핵심 요소에 해당하는 제품취출다이(90)에 대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품취출다이(90)는, 상기 푸시 백 블랭킹 다이(70)에 의한 예비취출단계 이후, 상기 제품구멍(1a)으로부터 이격된 부위의 소재(1)를 고정한 다음 상기 제품구멍(1a)과 인접하면서 고정되지 않은 부위를 펀칭력을 이용해 가압하여 하향 절곡되도록 벤딩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품구멍(1a)에 끼워진 6차 반제품(160)의 센싱부(164) 윗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품구멍(1a)으로부터 6차 반제품(160)을 자유 낙하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완제품의 톤휠(10)을 생산할 수 있도록 작동을 하게 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푸시 백 블랭킹 다이(70)는, 상기 제품구멍(1a)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부위의 소재(1)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하는 상형스트리퍼(91) 및 하형다이(92)와, 상기 제품구멍(1a)과 인접한 부위이면서 상기 상형스트리퍼(91) 및 하형다이(92)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소재(1)의 윗면을 하강 이동시 발생하는 펀칭력으로 가압하여 하향 절곡되도록 벤딩시키는 가압돌기(93a)를 구비한 상형펀치(93)와, 상기 상형펀치(93)에 의한 소재(1)의 벤딩 가공 시 상기 제품구멍(1a)에 끼워진 6차 반제품(160)의 센싱부(164) 윗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품구멍(1a)으로부터 6차 반제품(160)을 분리시키면서 자유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형펀치(93)에 탄력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푸시핀(94)으로 구성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제작 완료된 완제품의 톤휠(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완제품의 톤휠(10)은 스트라이크 가공단계 및 예비취출단계를 거쳐 제작된 6차 반제품(160)과 동일하며, 또한 제품취출다이(90)를 통해 이후의 공정인 제품생산단계를 거치더라도 그 형상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에 끼워지도록 내경(11)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축경부(12)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센싱홀(13)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면서 요철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센싱부(14)와, 상기 축경부(12)와 센싱부(14)를 연결하도록 굴곡 형성된 연결부(15)를 구비하여 구성됨은 물론, 상기 센싱부(14)이 끝단에는 상기 센싱부(14)의 밑면보다 더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버(17)가 구비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정 및 장치를 통해 제작된 완제품의 톤휠(10)은 센싱부(14)의 끝단에 발생된 버(17)가 상기 센싱부(14)의 밑면보다 더 아래쪽으로 돌출되게 굴곡 형성된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상기 버(17)에 의한 톤휠 센서의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톤휠 센서를 통해 보다 정확한 데이터 값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완제품의 톤휠(10)은 제품의 성능이 대폭적으로 향상되어지고, 이 와 같은 톤휠(10)을 사용하는 ABS, TCS, VDC 등도 더욱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발생된 버(1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센싱부(14)의 끝단에서 하향 굴곡지게 형성됨으로써 톤휠 센서가 센싱부(14)의 윗면을 통해 발생되는 펄스를 감지할 때 상기 버(17)의 간섭을 받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버(17)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후공정이 필요치 않게 됨으로써 작업시간의 단축과 생산성 향상 및 원가절감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밀성과 품질이 우수하고 원가가 저렴한 톤휠을 빠른 작업시간으로 편리하게 생산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장착한 ABS, TCS, VDC 등의 장치도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7)

  1. 평판 형상의 소재(1)를 가공하여 톤휠(10)의 외곽 형상에 맞도록 1차 반제품(110)을 제작하는 슬릿팅 가공단계와;
    상기 1차 반제품(110)을 가공하여 축경부(122)와 센싱부(124) 및 연결부(125)의 형상을 갖춘 2차 반제품(120)을 제작하는 드로잉 가공단계와;
    상기 2차 반제품(120)의 축경부(122) 중앙을 가공하여 내경(131)을 갖춘 3차 반제품(130)을 제작하는 1차 피어싱 가공단계와;
    상기 3차 반제품(130)의 내경(131)을 확장 가공하면서 축경부(142)를 갖춘 4차 반제품(140)을 제작하는 버링 가공단계와;
    상기 4차 반제품(140)의 센싱부(144)를 가공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센싱홀(153)을 갖춘 5차 반제품(150)을 제작하는 2차 피어싱 가공단계와;
    상기 5차 반제품(150)의 센싱부(154)를 스트라이크 금형으로 가공하여 우수한 평탄도 및 정밀도의 센싱부(164)를 갖춘 6차 반제품(160)을 제작하는 스트라이크 가공단계와;
    상기 스트라이크 가공단계 이후 푸시 백 블랭킹 다이(70)를 이용하여 상기 6차 반제품(160)을 소재(1)로부터 상방향으로 분리한 후 재차 하강시켜 상기 소재(1)의 제품구멍(1a)으로 강제로 끼우는 예비취출단계와;
    상기 예비취출단계 이후 제품취출다이(90)를 이용해 상기 제품구멍(1a)에 끼 워진 6차 반제품(160)을 자유 낙하시켜 완제품의 톤휠(10)을 생산해내는 제품생산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비취출단계에서는,
    상기 푸시 백 블랭킹 다이(70)에 의해 6차 반제품(160)이 제품구멍(1a)에서 상방향으로 분리될 때 센싱부(164)의 끝단에는 상기 센싱부(164)의 밑면보다 더 아래쪽으로 돌출된 버(167)가 발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품생산단계에서는,
    상기 제품취출다이(90)가 상기 제품구멍(1a)과 인접한 부위의 소재(1)를 하방으로 절곡시킴과 동시에 6차 반제품(160)의 센싱부(164) 윗면을 가압하여 자유 낙하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
  4. 평판 형상의 소재(1)를 순차적으로 다수번 가공하여 내경(161)을 구비한 축경부(162)와 센싱홀(163)이 형성된 센싱부(164) 및 연결부(165)의 형상을 갖추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소재(1)와 연결된 6차 반제품(160)의 상태에서,
    상기 6차 반제품(160)과 인접한 부위의 소재(1)를 고정한 다음 펀칭력에 의해 상기 6차 반제품(160)을 소재(1)로부터 상방향으로 분리한 후 재차 하강시켜 상 기 소재(1)의 제품구멍(1a)으로 6차 반제품(160)을 강제로 끼워 임시 결합시키는 푸시 백 블랭킹 다이(70)와;
    상기 제품구멍(1a)으로부터 이격된 부위의 소재(1)를 고정한 다음 상기 제품구멍(1a)과 인접하면서 고정되지 않은 부위를 펀칭력을 이용해 가압하여 하향 절곡되도록 벤딩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품구멍(1a)에 끼워진 6차 반제품(160)의 센싱부(164) 윗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품구멍(1a)으로부터 6차 반제품(160)을 자유 낙하시킴으로써 완제품의 톤휠(10)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취출다이(9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톤휠의 제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푸시 백 블랭킹 다이(70)는,
    상기 6차 반제품(160)을 제외한 주변부의 소재(1)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하는 상형다이(71) 및 하형스트리퍼(72)와;
    상기 소재(1)와 연결된 6차 반제품(160)중에서 센싱부(164)의 밑면을 승강 이동시 발생하는 펀칭력으로 가압하여 상기 소재(1)로부터 6차 반제품(160)을 상방향으로 분리시키는 하형펀치(73)와;
    상기 센싱부(164)의 윗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하형펀치(73)에 의한 소재(1)와 6차 반제품(160)의 분리시에는 탄력적으로 승강 이동하였다가 스프링의 복원력을 통해 재차 하강 이동하여 상기 6차 반제품(160)의 분리시 소재(1)에 발생된 제품구멍(1a)으로 상기 6차 반제품(160)을 강제로 끼워주도록 힘을 발휘하는 상형스트리퍼(74);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톤휠의 제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형펀치(73)에 의해 6차 반제품(160)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소재(1)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센싱부(164)의 끝단에는 상기 센싱부(164)의 밑면보다 더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버(167)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톤휠의 제조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품취출다이(90)는,
    상기 제품구멍(1a)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부위의 소재(1)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도록 하는 상형스트리퍼(91) 및 하형다이(92)와;
    상기 제품구멍(1a)과 인접한 부위이면서 상기 상형스트리퍼(91) 및 하형다이(92)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소재(1)의 윗면을 하강 이동시 발생하는 펀칭력으로 가압하여 하향 절곡되도록 벤딩시키는 가압돌기(93a)를 구비한 상형펀치(93)와;
    상기 상형펀치(93)에 의한 소재(1)의 벤딩 가공시 상기 제품구멍(1a)에 끼워진 6차 반제품(160)의 센싱부(164) 윗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품구멍(1a)으로부터 6차 반제품(160)을 분리시키면서 자유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형펀치(93)에 탄력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푸시핀(94);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톤휠의 제조장치.
KR1020060064234A 2006-07-10 2006-07-10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737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234A KR100737285B1 (ko) 2006-07-10 2006-07-10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234A KR100737285B1 (ko) 2006-07-10 2006-07-10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285B1 true KR100737285B1 (ko) 2007-07-09

Family

ID=38503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234A KR100737285B1 (ko) 2006-07-10 2006-07-10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2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639B1 (ko) * 2008-10-23 2012-03-16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톤휠 및 그 제조방법
KR101155616B1 (ko) 2009-02-26 2012-06-13 송재환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톤휠
KR20150120585A (ko) * 2014-04-17 2015-10-28 (주)신일 얀 가이드 롤러의 디스크 제조금형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4107A (ja) * 1995-08-11 1997-02-25 Nippon Seiko Kk 回転速度検出装置用トーンホイ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H11311629A (ja) 1998-04-28 1999-11-09 Nippon Seiko Kk トーンホイール付転がり軸受ユニット
KR20030084280A (ko) * 2002-04-26 2003-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휠스피드 측정용 톤휠
KR20060124567A (ko) * 2005-05-30 2006-12-05 주식회사 유성에프티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4107A (ja) * 1995-08-11 1997-02-25 Nippon Seiko Kk 回転速度検出装置用トーンホイールとその製造方法
JPH11311629A (ja) 1998-04-28 1999-11-09 Nippon Seiko Kk トーンホイール付転がり軸受ユニット
KR20030084280A (ko) * 2002-04-26 2003-11-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휠스피드 측정용 톤휠
KR20060124567A (ko) * 2005-05-30 2006-12-05 주식회사 유성에프티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639B1 (ko) * 2008-10-23 2012-03-16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톤휠 및 그 제조방법
KR101155616B1 (ko) 2009-02-26 2012-06-13 송재환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톤휠
KR20150120585A (ko) * 2014-04-17 2015-10-28 (주)신일 얀 가이드 롤러의 디스크 제조금형 및 방법
KR101582288B1 (ko) * 2014-04-17 2016-01-05 (주)신일 얀 가이드 롤러의 디스크 제조금형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57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onewheel for vehicles
US20120073350A1 (en) Bossed disc-like member manufacturing method and bossed disc-like member manufacturing apparatus
EP0942287B1 (en) Sensor r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849578B2 (en) Progressive and transfer die stamping
JP2000024719A (ja) 面取り用金型および該金型を用いた面取り加工方法
KR100737285B1 (ko)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106424296A (zh) 一种五金带料双面无毛刺冲裁工艺以及无毛刺冲裁模具
CN105312422A (zh) 开口环形件滑杆弯曲模
CN101102858A (zh) 用于对离合器盘和最终产品进行冲压和去毛刺的装置和方法
KR100872830B1 (ko)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CN205668016U (zh) 一种可监控冲压数量的冲压模具
KR101613631B1 (ko) 프레스의 트리밍장치
CN209139630U (zh) 一种高精度的压扣模具
CN208555652U (zh) 薄板抗变形冲孔模具
JPH11320021A (ja) 板金の厚肉化プレス工法
CN110523841B (zh) 一种密集小圆孔的级进模冲压成型方法
JP4817183B2 (ja) ワッシャの製造方法
JP2009285659A (ja) プレス成形方法及びプレス金型
KR101155616B1 (ko) 차량용 톤휠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톤휠
JP2018075577A (ja) パンチングメタル製造用のパンチ金型、ダイ金型、金型セット、及びパンチングメタルの製造方法
JP7063074B2 (ja) プレス加工装置
KR100470074B1 (ko) 컴퓨터 픽업 프레임과 그의 제조용 프로그레시브 금형 및그의 제조방법
KR101569353B1 (ko) 프레스 성형방법
KR102282098B1 (ko) 안전벨트고리 제조방법
EP2826571A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ulley for motor vehicle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