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7163B1 -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163B1
KR100737163B1 KR1020060035546A KR20060035546A KR100737163B1 KR 100737163 B1 KR100737163 B1 KR 100737163B1 KR 1020060035546 A KR1020060035546 A KR 1020060035546A KR 20060035546 A KR20060035546 A KR 20060035546A KR 100737163 B1 KR100737163 B1 KR 100737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frigeration cycle
protrusion
cycle system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천
이홍열
김종철
황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060035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163B1/ko
Priority to US11/730,494 priority patent/US7766391B2/en
Priority to DE602007004650T priority patent/DE602007004650D1/de
Priority to EP07105769A priority patent/EP18430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16L23/20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made exclusively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 F16L23/2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made exclusively of a material other tha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파이프가 결합된 메일 플랜지 블록과, 제2파이프가 결합된 피메일 플랜지 블록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24)에는 상기 제1파이프에 연통하는 구멍을 가진 돌출부(24a)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28)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28a)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8a)의 바닥면에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면이 밀착하는 시일부재(34)가 안착되되, 상기 시일부재(34)는 연질금속재의 내부링부(34a)와, 상기 내부링부(34a)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결합된 고무재의 외부링부(34b)로 이루어지므로, 이산화탄소를 냉매로 사용하는 냉동사이클 시스템에서 배관과 배관사이, 열교환기와 배관사이, 또는 두 부재간의 연결시, 고압에 견딜 수 있고, 저온과 고온에서 시일재질 변화 및 형상의 변경없이 기밀을 유지하며, 이산화탄소의 투과를 방지하여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고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fitting structure for pipe flange of a refrigeration cycle system}
도1은 종래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3은 도2의 메일 플랜지 블록과 피메일 플랜지 블록 및 시일부재의 상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조립도,
도5는 도3의 시일부재의 상세단면도,
도6은 도5의 A부의 상세도,
도7은 도5의 B부의 상세도,
도8은 도4의 C부의 상세도,
도9의 (a) 및 (b)는 도3의 시일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 단면도,
도10은 도4에 도시한 위치고정핀의 역할을 하는 단차부 및 대향 단차부를 나타내는 상세 단면도,
도11는 도4에 도시한 위치고정핀의 역할을 요철부 및 대향 요철부를 나타내는 상세 단면도,
도12는 도3에서 메일 플랜지 블록 및 피메일 플랜지 블록에 형성된 비드가 시일부재에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13은 도12에서 D부의 상세도,
도14는 도3에서 메일 플랜지 블록 및 피메일 플랜지 블록에 형성된 비드가 삽입되는 음각비드가 시일부재에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6은 도15의 E부의 상세도,
도17은 도15의 조립도,
도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19는 도18의 시일부재의 상세도,
도20은 도18의 조립도,
도21은 도20의 F부의 상세도,
도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조립 단면도,
도23는 도22의 G부의 상세도,
도24의 (a) 및 (b)는 도22의 시일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 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제1파이프 24 : 메일 플랜지 블록
24a : 돌출부 26 : 제2파이프
28 : 피메일 플랜지 블록 28a : 삽입부
30 : 스터트 볼트 32 : 너트
34 : 시일부재 34a : 내부링부
34b : 외부링부 36 : 위치고정핀
본 발명은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134a 냉매를 사용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의 연결부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 블록을 사용하여 연결하고 있다.
즉, 제1파이프(2)가 결합된 땅콩 단면형태의 메일 플랜지 블록(4 : male flange block)과, 제2파이프(6)가 결합된 땅콩 단면형태의 피메일 플랜지 블록(8 : female flange block)이 볼트(10)에 의해 체결되는 플랜지 연결구조로서,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4)에는 상기 제1파이프(2)에 연통하는 구멍을 가진 돌출부(4a)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8)에는 상기 돌출부(4a)가 삽입되는 삽입부 (8a)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4a)에 고무재질의 시일부재(12 : 오링)이 끼워져 실링하게 된다. 상기 볼트(10)는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4)의 관통구멍(4b)을 통해 피메일 플랜지 블록(8)의 구멍(8b)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런데, 최근에 프레온 가스의 환경오염으로 인해 친 환경적인 이산화탄소(CO2) 자연냉매를 사용하는 냉동사이클 시스템이 늘어가고 있다.
열교환 매체로서 이산화탄소(CO2) 냉매를 이용한 냉동사이클은 압력이 임계점을 넘어선 초임계 냉동사이클을 구성하기 때문에 냉동사이클 시스템 내 압력은 종래 프레온계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사이클의 시스템보다 매우 높으며, 또한 시스템 내 온도는 -40℃~ 180℃ 에 분포되는 특징이 있다.
종래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에 사용되는 고무재질의 시일부재(오링)는 CO2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고압에 견딜 수 없으며, 에틸렌 계열(ACM)의 고무재질의 시일부재는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기온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한랭지역에서 탄력성이 부족하여 외부쇼크 시에 시일부재가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고 간극이 생기거나 뒤틀리면서 냉매의 누설이 발생하게 되고, 프로필렌계(EPDM) 고무재질의 시일부재는 이산화탄소 냉매 특성상 투과(Permeation)가 발생하여 주위환경에 관계없이 누설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산화탄소 냉매를 사용하는 냉동사이클 시스템에서, 고압에 견딜 수 있고, 저온과 고온에서 시일재질 변화 및 형상의 변경없이 기밀을 유지하며, 이산화탄소의 투과를 방지하여 냉매의 누설방지하고 최소화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파이프가 결합된 메일 플랜지 블록과, 제2파이프가 결합된 피메일 플랜지 블록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에는 상기 제1파이프에 연통하는 구멍을 가진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면이 밀착하는 시일부재가 안착되되, 상기 시일부재는 연질금속재의 내부링부와, 상기 내부링부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결합된 고무재의 외부링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에는 상기 제1파이프에 연통하는 구멍을 가진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는 시일부재가 끼워져 설치되되, 상기 시일부재는 연질금속재의 외부링부와, 상기 외부링부의 내측에 결합된 고무재의 내부링부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에는 상기 제1파이프에 연통하는 구멍을 가진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 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는 시일부재가 끼워져 설치되되, 상기 돌출부의 뿌리면에는 상기 시일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시일부재는 연질금속재의 내부링부와, 상기 내부링부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결합된 고무재의 외부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의 삽입부의 입구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내부링부를 눌려주는 원주방향 볼록부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에는 상기 제1파이프에 연통하는 구멍을 가진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는 시일부재가 끼워져 설치되되, 상기 돌출부의 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시일부재가 수용되어 안착하는 단차홈이 형성되고, 상기 시일부재는 연질금속재의 내부링부와, 상기 내부링부의 전체 외면을 감싸서 덮고 있는 외부링부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제1실시예)는, 제1파이프(22)가 결합된 사각블록 형태의 메일 플랜지 블록(24 : male flange block)과, 제2파이프(26)가 결합된 사각블록 형태의 피메일 플랜지 블록(28 : female flange block)이 스터드 볼트(30)와 너트(32)로 된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이다.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24)에는 상기 제1파이프(22)에 연통하는 구멍(H1)을 가진 돌출부(24a)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28)에는 상기 돌출부(24a) 가 삽입되는 삽입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28a)의 바닥면(28b)에는 상기 돌출부(24a)의 단부면(24b)이 밀착하는 시일부재(34)가 안착되고, 상기 돌출부(24a)가 상기 삽입부(28a)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24)과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28)에는 위치고정핀(36)이 끼워진다. 상기 제2파이프(26)는 상기 삽입부(28a)의 구멍(H2)에 연통된다.
상기 스터드 볼트(30)는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24)에 형성된 관통구멍(24e)과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28)에 형성된 관통구멍(28e)에 통하여 관통되어 상기 너트(32)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타측 너트는 생략되어 있다.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24)의 단부와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28)의 단부에는 상기 위치고정핀(36)이 끼워지는 구멍(24c)(28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24c)은 관통구멍이고, 상기 구멍(38c)은 일측이 막힌 구멍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일부재(34)는 연질금속재의 내부링부(34a)와, 상기 내부링부(34a)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결합된 고무재의 외부링부(34b)가 일체화된 구조이다. 상기 내부링부(34a)는 알루미늄, 백랍, 주석합금등의 연질금속재로 되어 있고, 상기 외부링부(34b)는 탄력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플로필렌계 또는 니트롤계의 고무재로 되어 있다. 상기 외부링부(34b)는 마름모꼴의 일측이 잘린 단면형태이며, 상기 내부링부(34a)와 외부링부(34b)는 그 결합성을 강화하기 위해 본드에 의해 접착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28a)의 바닥면(28b)과 상기 돌출부(24a)의 단부면(24b)에 의해 눌리어 압착됨에 따라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외부링부(34b)의 두께(t1) 는 상기 내부링부(34a)의 두께(t2)보다 1.2 ~ 2배 두껍게 되어 있다.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24a)의 단부면(24b)과 상기 삽입부(28a)의 바닥면(28b)에는 상기 내부링부(34a)를 눌려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삼각 단면형상의 비드(24b-1)와 비드(28b-1)가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드(24b-1)(28b-1)는 원형단면 형상, 다각형단면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28a)의 바닥면측 끝단의 측면에는 상기 외부링부(34b)가 끼워져 장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따라 장착홈(28d)이 형성되어 있다.
도8은 상기 시일부재(34)의 외부링부(34b)가 상기 삽입부(28a)의 바닥면(28b)과 상기 돌출부(24a)의 단부면(24b)에 의해 눌리고, 상기 시일부재(34)의 내부링부(34a)가 상기 비드(24b-1)(28b-1)에 의해 눌리어 압착됨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일 플랜지 블록(24)에서 위치고정핀이 끼워지는 구멍(24c)부분의 외면(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28)의 구멍(28c)쪽 외면)에는 상기 시일부재(34)가 볼트로 체결되어 눌릴시에 균등하게 볼트 체결력을 받도록 돌출된 단차부(24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차부(24d)의 높이는 시일부재(34)의 내부링부(34a)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게 되어 있다.
도9의 (a) 및 (b)는 도5에 도시한 시일부재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시일부재(134)(234)는 연질금속재의 내부링부(134a)(234a)와 고무재의 외부링부(134b)(234b)의 결합면에는 그 결합력을 높이도록 서로 맞추어 끼워지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나머지 구성은 도5의 시일부재(34)와 동일하다.
도10은 도4에 도시한 위치고정핀 대신에 메일 플랜지 블록(124)에 계단형상 단차부(124c)가 형성되고 피메일 플랜지 블록(128)에는 상기 계단형상 단차부(124c)에 맞추어지는 계단형상 대향 단차부(128c)가 형성되어, 메일 플랜지 블록(124)과 피메일 플랜지 블록(128)의 조립시 정확한 조립이 되게 하는 구조이다.
도11은 도4에 도시한 위치고정핀 대신에 메일 플랜지 블록(224)에 요철부(224c)가 형성되고 피메일 플랜지 블록(228)에는 상기 요철부(224c)에 맞추어지는 대향 요철부(228c)가 형성되어, 메일 플랜지 블록(224)과 피메일 플랜지 블록(228)의 조립시 정확한 조립이 되게 하는 구조이다.
도12 및 도13은 도3에서 메일 플랜지 블록 및 피메일 플랜지 블록에 형성된 비드가 시일부재에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질금속재의 내부링부(334a)와 고무재의 외부링부(334b)로 이루어진 시일부재(334) 중에서 상기 내부링부(334a)의 양측면에는 돌출부(324a)의 단부면과 상기 삽입부(328a)의 바닥면에 의해 눌리어 압착되는 비드(334a-1)(334a-2)가 각각 형성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되어 있다.
도14는 도3에서 메일 플랜지 블록 및 피메일 플랜지 블록에 형성된 비드가 삽입되는 음각비드가 시일부재에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질금속재의 내부링부(434a)와 고무재의 외부링부(434b)로 이루어진 시일부재(434) 중에서 상기 내부링부(434a)의 양측면에는, 돌출부(24a)의 단부면(24b)에 형성된 비드(24b-1)과 삽입부(28a)의 바닥면(28b)에 형성된 비드(28b-1)가 삽입되는 음각비드(434a-1)(434a-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음각비드(434a-1)(434a-2)에는 상기 비드(24b-1)(28b-1)기 각각 삽입되어 밀착함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524)에는 상기 제1파이프(도4에 도시)에 연통하는 구멍(H1)을 가진 돌출부(524a)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528)에는 상기 돌출부(524a)가 삽입되는 삽입부(528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24a)의 외측에는 시일부재(534)가 끼워져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돌출부(524a)의 뿌리면에는 상기 시일부재(534)를 수용하는 수용홈(524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일부재(534)는 연질금속재의 내부링부(534a)와, 상기 내부링부(534a)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결합된 고무재의 외부링부(53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일부재(534)의 상세한 구조 및 재질은 제1실시예의 시일부재(34)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524e)에 수용되는 시일부재(34)가 압착되도록 상기 수용홈(524e)이 깊이(d2)는 상기 내부링부(534a)의 두께(t2)보다 작거나 같게 되어 있다.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528)의 삽입부(528a)의 입구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내부링부(534a)를 눌려주는 원주방향 볼록부(528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524e)의 바닥면과 상기 원주방향 볼록부(528d)의 외면에는 상기 내부링부(534a)를 눌러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삼각 단면형상의 비드(524e-1)와 비드(528d-1)가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드(524e-1)(528d-1)는 원형단면 형상, 다각형단면 형상등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16은 도15에서 E부의 상세도이고, 도17은 도15의 조립도이다. 제2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8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624)에는 상기 제1파이프(도4에 도시)에 연통하는 구멍(H1)을 가진 돌출부(624a)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628)에는 상기 돌출부(624a)가 삽입되는 삽입부(628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624a)의 외측에는 시일부재(634)가 끼워져 설치되는 구조이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일부재(634)는 연질금속재의 외부링부(634a)와, 상기 외부링부(634a)의 내측에 결합된 고무재의 내부링부(63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링부(634a)는 알루미늄, 백랍, 주석합금등의 연질금속재로 되어 있고, 상기 내부링부(634b)는 탄력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플로필렌계 또는 니트롤계의 고무재로 되어 있다. 상기 연질금속재의 외부링부(634a)와 고무재의 내부링부(634b)의 결합면에는 그 결합력을 높이도록 서로 맞추어 끼워지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624a)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시일부재(634)의 기밀성을 높이도록 상기 고무재의 내부링부(634b)의 내경(Di)은 상기 돌출부(624a)의 외경(Do)보다 작게 되어 있다.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628)의 삽입부(628a)의 입구부 가장자리(결합면)에는 상기 시일부재(634)의 일측면을 눌러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삼각단면 형상의 비 드(628f)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624)의 돌출부(624a)의 뿌리면(결합면)에는 상기 시일부재(634)의 타측면을 눌러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삼각단면 형상의 비드(624f)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비드(628f)(624f)는 원형단면 형상, 다각형단면 형상등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20은 도18의 조립도이고, 도21은 도20에서 F부의 상세도이다. 제3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냉동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724)에는 상기 제1파이프(22)에 연통하는 구멍(H1)을 가진 돌출부(724a)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728)에는 상기 돌출부(724a)가 삽입되는 삽입부(728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724a)의 외측에는 시일부재(734)가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돌출부(724a)의 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시일부재(734)가 수용되어 안착하는 단차홈(734e)이 형성된다.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시일부재(734)는 연질금속재의 내부링부(734a)와, 상기 내부링부(734a)의 전체 외면을 감싸서 덮고 있는 고무재의 외부링부(734b)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링부(734a)는 알루미늄, 백랍, 주석합금등의 연질금속재로 되어 있고, 상기 외부링부(634b)는 탄력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플로필렌계 또는 니트롤계의 고무재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제4실시예)의 내부링부(734a)는 시일부재(734)의 두께 방향으로 넓게 되는 판형고리 형태로 되어 있으나, 도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부재 (834)는 그 폭방향으로 넓게 되어 있는 판형고리 형태의 내부링부(834a)와 이 내부링부를 감싸는 외부링부(834b)로 되어 있거나, 도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부재(934)는 원형고리 형태의 내부링부(934a)와 이 내부링부를 감싸는 외부링부(934b)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내부링부는 판형고리, 사각고리, 다각고리, 원형고리등 다양한 형태의 고리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제4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에 의하면, 이산화탄소를 냉매로 사용하는 냉동사이클 시스템에서 배관과 배관사이, 열교환기와 배관사이, 또는 두 부재간의 연결시, 고압에 견딜 수 있고, 저온과 고온에서 시일재질 변화 및 형상의 변경없이 기밀을 유지하며, 이산화탄소의 투과를 방지하여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고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제1파이프가 결합된 메일 플랜지 블록과, 제2파이프가 결합된 피메일 플랜지 블록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24, 324)에는 상기 제1파이프에 연통하는 구멍을 가진 돌출부(24a, 324a)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28, 328)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28a, 328a)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8a, 328a)의 바닥면에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면이 밀착하는 시일부재(34, 134, 234, 334, 434)가 안착되되,
    상기 시일부재(34, 134, 234, 334, 434)는 연질금속재의 내부링부(34a, 134a, 234a, 334a, 434a)와, 상기 내부링부(34a, 134a, 234a, 334a, 434a)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결합된 고무재의 외부링부(34b, 134b, 234b, 334b, 434b)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8a)의 바닥면측 끝단의 측면에는 상기 외부링부(34b)가 끼워져 장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따라 장착홈(28d)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8a)의 바닥면(28b)과 상기 돌출부(24a)의 단부면(24b)에 의해 눌리어 압착됨에 따라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외부링부(34b)의 두께(t1)는 상기 내부링부(34a)의 두께(t2)보다 1.2 ~ 2배 두껍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링부(34a)는 알루미늄, 백랍, 주석합금 중의 하나의 연질금속재로 되어 있고, 상기 외부링부(34b)는 탄력성과 기밀성이 우수하도록 플로필렌계 또는 니트롤계의 고무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질금속재의 내부링부(134a, 234a)와 고무재의 외부링부(134b, 234b)의 결합면에는 그 결합력을 높이도록 서로 맞추어 끼워지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메일 플랜지 블록(24)에는 상기 시일부재(34)가 볼트로 체결되어 눌릴시에 균등하게 볼트 체결력을 받도록 돌출된 단차부(24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4a)가 상기 삽입부(28a)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24)과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28)에는 위치고정핀(36)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4a)가 상기 삽입부(28a)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124)에는 계단형상 단차부(124c)가 형성되고 피메일 플랜지 블록(128)에는 상기 계단형상 단차부(124c)에 맞추어지는 계단형상 대향 단차부(128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4a)가 상기 삽입부(28a)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224)에 요철부(224c)가 형성되고 피메일 플랜지 블록(228)에는 상기 요철부(224c)에 맞추어지는 대향 요철부(228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4a)의 단부면(24b)과 상기 삽입부(28a)의 바닥면(28b)에는 상기 내부링부(34a, 434a)를 눌려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비드(24b-1)와 비드(28b-1)가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내부링부(434a)의 양측면에는, 돌출부(24a)의 단부면(24b)에 형성된 비드(24b-1)와 삽입부(28a)의 바닥면(28b)에 형성된 비드(28b-1)가 삽입되는 음각비드(434a-1)(434a-2)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링부(334a)의 양측면에는 돌출부(324a)의 단부면과 상기 삽입부(328a)의 바닥면에 의해 눌리어 압착되는 비드(334a-1)(334a-2)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13. 제1파이프가 결합된 메일 플랜지 블록과, 제2파이프가 결합된 피메일 플랜지 블록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624)에는 상기 제1파이프에 연통하는 구멍을 가진 돌출부(624a)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628)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628a)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624a)의 외측에는 시일부재(634)가 끼워 져 설치되되,
    상기 시일부재(634)는 연질금속재의 외부링부(634a)와, 상기 외부링부(634a)의 내측에 결합된 고무재의 내부링부(634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624a)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시일부재(634)의 기밀성을 높이도록 상기 고무재의 내부링부(634b)의 내경(Di)은 상기 돌출부(624a)의 외경(Do)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628)의 삽입부(628a)의 입구부 가장자리(결합면)에는 상기 시일부재(634)의 일측면을 눌러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비드(628f)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624)의 돌출부(624a)의 뿌리면(결합면)에는 상기 시일부재(634)의 타측면을 눌러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비드(624f)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16. 제1파이프가 결합된 메일 플랜지 블록과, 제2파이프가 결합된 피메일 플랜지 블록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524)에는 상기 제1파이프에 연통하는 구멍을 가진 돌출부(524a)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528)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528a)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524a)의 외측에는 시일부재(534)가 끼워져 설치되되,
    상기 돌출부(524a)의 뿌리면에는 상기 시일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524e)이 형성되고, 상기 시일부재(534)는 연질금속재의 내부링부(534a)와, 상기 내부링부(534a)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결합된 고무재의 외부링부(534b)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528)의 삽입부(528a)의 입구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내부링부(534a)를 눌려주는 원주방향 볼록부(528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524e)에 수용되는 시일부재(534)가 압착되도록 상기 수용홈(524e)이 깊이(d2)는 상기 내부링부(534a)의 두께(t2)보다 작거나 같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524e)의 바닥면과 상기 원주방향 볼록부(528d)의 외면에는 상기 내부링부(534a)를 눌러서 기밀을 유지하도록 비드(524e-1)와 비드(528d-1)가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19. 제1파이프가 결합된 메일 플랜지 블록과, 제2파이프가 결합된 피메일 플랜지 블록이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일 플랜지 블록(724)에는 상기 제1파이프에 연통하는 구멍을 가진 돌출부(724a)가 형성되고, 상기 피메일 플랜지 블록(728)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728a)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724a)의 외측에는 시일부재(734)가 끼워져 설치되되,
    상기 돌출부(724a)의 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시일부재(734)가 수용되어 안착하는 단차홈(734e)이 형성되고, 상기 시일부재(734)는 연질금속재의 내부링부(734a)와, 상기 내부링부(734a)의 전체 외면을 감싸서 덮고 있는 외부링부(734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20. 청구항 10, 청구항 11, 청구항 12, 청구항 15, 청구항 18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삼각단면 형상, 원형단면 형상, 다각형단면 형상 중의 어느 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내부링부(734a)는 판형고리, 사각고리, 다각고리, 원형고리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의 고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KR1020060035546A 2006-04-05 2006-04-20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KR100737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546A KR100737163B1 (ko) 2006-04-20 2006-04-20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US11/730,494 US7766391B2 (en) 2006-04-05 2007-04-02 Pipe connecting structure
DE602007004650T DE602007004650D1 (de) 2006-04-05 2007-04-05 Rohrverbindungsstruktur
EP07105769A EP1843072B1 (en) 2006-04-05 2007-04-05 Pipe connect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546A KR100737163B1 (ko) 2006-04-20 2006-04-20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163B1 true KR100737163B1 (ko) 2007-07-06

Family

ID=3850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546A KR100737163B1 (ko) 2006-04-05 2006-04-20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1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104B1 (ko) 2007-10-11 2009-11-13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KR100968841B1 (ko) * 2008-03-27 2010-07-09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KR101446109B1 (ko) * 2008-01-07 2014-10-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배관 플렌지 연결구조
CN112572090A (zh) * 2019-09-28 2021-03-30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管路接头组件
KR102433487B1 (ko) 2021-03-15 2022-08-18 주식회사 삼부엠티에스 차량용 냉각수 배관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992B1 (ko) * 2006-04-05 2007-03-12 주식회사 두원공조 자동차용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및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992B1 (ko) * 2006-04-05 2007-03-12 주식회사 두원공조 자동차용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및연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104B1 (ko) 2007-10-11 2009-11-13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KR101446109B1 (ko) * 2008-01-07 2014-10-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배관 플렌지 연결구조
KR100968841B1 (ko) * 2008-03-27 2010-07-09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CN112572090A (zh) * 2019-09-28 2021-03-30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管路接头组件
CN112572090B (zh) * 2019-09-28 2023-11-21 杭州三花研究院有限公司 管路接头组件
KR102433487B1 (ko) 2021-03-15 2022-08-18 주식회사 삼부엠티에스 차량용 냉각수 배관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3072B1 (en) Pipe connecting structure
KR100737163B1 (ko) 차량용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US20040178631A1 (en) Tube coupling
US11391390B2 (en) Diaphragm valve structure
KR20080102209A (ko) 플레어리스관 접속 구조, 플레어리스관 접속 방법, 및 현지배관 접속 방법
US20120299292A1 (en) Fluid passage connecting device and refrigerating cycle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4797823A (zh) 真空泵
KR101111617B1 (ko) 공조 시스템용 서비스 밸브 및 그 연결 구조
KR100692992B1 (ko) 자동차용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및연결방법
KR200481716Y1 (ko)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 조립체
US9493044B2 (en) Tire valve and molding seal for a tire valve
KR100927104B1 (ko)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 연결구조
EP3677825B1 (en) Pipeline adapter
CN109707873B (zh) 一种波纹弹簧防振颤单向阀
JP2007192274A (ja) 管継手
KR100737158B1 (ko) 내부열교환기를 가진 냉동사이클 시스템의 배관 플랜지연결구조
JP2007198549A (ja) 冷凍サイクルの配管用継手
KR102272416B1 (ko) 파이프용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CN216813117U (zh) 电子膨胀阀、制冷系统及汽车
CN220379134U (zh) 一种管路密封组件
CN210861837U (zh) 一种空调膨胀阀管路连接装置
CN110758045B (zh) 管路转接装置及热管理系统
KR101448112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냉매 파이프의 연결구조
KR101067445B1 (ko) 서비스밸브를 구비하는 공조기 시스템 및 알루미늄 확관부 연결 공조기용 서비스밸브
JP2007192368A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