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313B1 - 세미카르바존 식물생장조정제의 작물의 조기종결을 위한용도 - Google Patents

세미카르바존 식물생장조정제의 작물의 조기종결을 위한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313B1
KR100736313B1 KR1020027007622A KR20027007622A KR100736313B1 KR 100736313 B1 KR100736313 B1 KR 100736313B1 KR 1020027007622 A KR1020027007622 A KR 1020027007622A KR 20027007622 A KR20027007622 A KR 20027007622A KR 100736313 B1 KR100736313 B1 KR 100736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growth
cotton
dfp
semicarba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5906A (ko
Inventor
존 알. 에반스
왈레스 더블유. 스튜워트
토마스 제이. 홀트
데이비드 엠. 사라비츠
리사 에스. 에반스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바스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65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4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s, e.g. biuret; Thio analogues thereof; Urea-aldehyde condensation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6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 >N—CO—N<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Thio analogu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무한생장패턴을 갖는 만기의 식물의 생식 성장의 조기 종결이 식물의 개화시기를 지난 한 시점에 식물의 로커스에 세미카르바존 식물생장조정제의 시용으로 이뤄진다. 세미카르바존은 시용시 식물에 존재하는 성숙한 생식성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고 지속적인 식물의 생식 성장을 종결시킬 충분한 양의 활성성분으로 시용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세미카르바존은 디플루펜조피르이다.
무한생장패턴, 세미카르바존 식물생장조정제, 디플루펜조피르.

Description

세미카르바존 식물생장조정제의 작물의 조기종결을 위한 용도 {Use of a semicarbazone plant growth regulator for early termination of crop plants}
본 발명은 세미카르바존 식물생장조정제의 작물의 조기종결(early-termination)을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만기(晩期:late-season) 열매 수확 및 (또는) 만기 해충관리를 향상시키기 위한 세미카르바존 식물생장조정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식물생장조정제(PGR's)는 식물생장의 생리학에 영향을 1주고 식물의 자연적 리듬에 영향을 미친다. 더욱 명확히는, 식물생장조정제는 예를 들어 수고(樹高)를 감소시키고, 씨앗의 발아를 자극하고, 개화를 유도하며, 잎색을 어둡게하고, 곡물의 쓰러짐(lodging)을 최소화하고, 잔디밭의 잔디 생장을 늦추고, 목화의 볼(Boll)이 시드는 것을 감소시키고 볼 보존(Boll retention)을 향상시킨다.
작물은 일반적으로 유한생장 패턴(determinate growth pattern) 또는 무한생장 패턴(indeterminate growth pattern)을 보인다. 유한생장 식물은 일정한 영양생장(vegetative growth)기간과 이어서 최대로 많은 꽃이 피는 일정한 생식생장(reproductive growth)기간을 갖는다. 반면에, 무한생장패턴은 초기의 영양생장기간과 이어서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이 동시에 발생하는 기간을 특징으로 한다. 두번째 기간의 길이 및 핀 꽃의 수는 주로 생장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무한생장 작물은 수확가능한 성숙 열매을 이러한 생식 기관으로부터 얻기에 충분한 시간인 생장철(growing season)의 시점을 지나서도 오랫동안 생식기관을 계속해서 생산한다. 따라서, 생장철의 일정한 시점을 지난 후의 생식생장은 시장성있는 수확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한다. 꽃 및 어린 열매은 탄수화물 및 질소의 강한 싱크(sink)이기 때문에, 이러한 강한 싱크의 요구량은 시장성 있는 수확물에 대해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발육에 따르는 열매의 지속적인 성숙에 필요한 가용 탄수화물 및 질소의 감소를 유발하게 될 것이다.
어리고 자라는 잎도 또한 강한 영양분 싱크이다. 생장 감소 및 결국은 생장중단 뿐만 아니라 잎 안의 증가하는 광합성 용량의 복합 때문에 잎은 생리적으로 성숙될수록 탄수화물의 싱크에서 탄수화물의 공급원으로 변한다. 무한생장 식물의 경우, 생장철의 어떠한 시점 이후에 피는 잎은 탄수화물 싱크에서 탄수화물 공급원으로 전환할 충분한 시간이 부족하다. 따라서, 어리고 자라는 잎은 그렇지 않았다면 시장성있는 열매의 생장 및 성숙에 더욱 분배되었을 일정량의 영양과 탄수화물 자원을 고갈시킨다.
무한생장패턴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물의 한 예는 목화(고십피움 히르수툼(Gossypium hirsutum))이다. 목화는 세계적으로 온대 및 아열대 지역의 농업 생산에서 1년생 식물로 재배되는 열대원산의 다년생 식물이다. 초기의 영양생장 후에, 목화는 영양생장을 계속하면서 생식생장을 시작한다. 꽃눈(스퀘어)이 생기고, 꽃으로 발육하고 수분(受粉) 후 볼이라고 불리우는 열매을 생기게한다.
무한생장 성질 때문에, 스퀘어는 이러한 스퀘어가 시장성 있는 성숙 볼로 발 육하는 생장철의 충분한 시간이 흐른 후에도 계속 나타난다. 이러한 어린 볼 및 스퀘어의 생장 및 발육은 시장에서 팔릴 수 있는 단계까지 성숙할 충분한 시간을 갖는 볼에 의해 훨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었을 식물의 제한된 자원을 고갈시킨다. 이와 비슷하게 목화의 새싹은 생장을 계속하고 생장철의 대부분 동안 새 잎이 피게 한다. 많은 생장철에 늦게 생긴 잎은 생장철에 남은 시간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탄수화물을 공급하는 잎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어린 잎은 수확될 수 있을 볼에 의해 훨씬 더 유용하게 사용되었을 탄수화물 및 다른 양분을 일정량 요구한다.
콩과인 땅콩 작물 (아라키스 히포가에아(Arachis hypogaea))는 목화와 유사한 무한개화(indeterminate flowering) 패턴을 보이는 다른 중요한 농작물이다. 목화처럼 땅콩은 생장철에 너무 늦게 꽃을 피워 늦은 시기에 핀 꽃은 첫 서리가 내리기 전에 시장성있는 열매로 발육할 시간이 부족하게 된다.
담배(니코티아나 타바쿰 엘(Nicotiana tabacum L.)) 생산은 "토핑"이라고 불리우는 과정을 통해 정아(頂芽)를 일찍 제거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정아의 제거는 액아(腋芽:서커(sucker))의 생장 및 발육을 자극한다. 액아는 전혀 경제적 가치가 없고, 만약 자라도록 좌둘 경우 잎 수확을 감소시킬 것이다. 액아의 화학적 처리는 전형적으로 말레익 히드라지드를 이용하여 미국전역을 걸쳐 실시된다.
만약 새싹의 말단 부분의 추가 생장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만기 스퀘어, 꽃 및 미숙 열매의 수를 감소시키도록 조기종결, 작물관리 정책이 개발될 수 있다면, 탄수화물 및 기타 영양분은 남아있는 가장 강한 싱크(즉, 어린 열매 및(또는) 잎) 에 재분배될 것이다. 예를 들면, 목화의 경우, 이러한 자원의 재분배의 잇점은 이하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것이다 : 수확량의 증가 (더 큰 볼 때문에), 섬유 품질의 향상, 볼 개화(ball opening)의 촉진, 더욱 확실한 낙엽(defoliation) 및 조기 수확. 이러한 잇점 모두는 목화 생산업자에게 큰 경제적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조기종결 전략이 성공적이 되기 위해서는 잎, 줄기, 뿌리 및 열매과 같은 기관에 대한 실질적인 상해없이 영양생장 및 생식생장 모두가 억제되어야 할 것이다. 제초제 처리가 생장을 종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작물에 대한 상해가 심할 것이고 수확량에 심각한 감소를 야기할 것이다.
조기생장종결은 만기 해충관리의 면에서 또한 이익일 수 있다. 최근 유전학적으로 변형되어 바실루스 두리겐시스 곤충 독소 (Bacillus thurigensis insect toxin: BT 독소)를 발현하도록 형질전환된 내충성 변종목화의 도입으로 살충제 사용의 필요성 및(또는) 빈도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소위 내충성 "BT-목화"가 목화생산에 있어 해충관리의 모든 해결책은 아니다. 이 점에 관해서는 BT-목화의 내충성은 목화의 주요한 해충의 일부에만 제한된다. 게다가 BT 독소의 존재에 의해 작물에 제공되는 내성은 영구적인 것이 아니다. 불행하게도 BT 독소에 민감한 해충의 일부가 더 이상 BT 독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살충제는 BT 목화와 함께 목화 생산 시스템의 필수 성분으로 남는다. 현재 알려진 살충제에 내성이 있고(있거나) BT 독소에 저항성이 있는 해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목화생산 수준을 미래의 수요를 만족시 키도록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해충 관리 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생산비용을 낮추고 살충제 내성을 가진 해충의 발육을 완화시키는 수단으로서, 만기 살충제 사용의 제거는 현재 일부 목화 생산 전문가에 의해 추천되고 있다. 이러한 추천은 그 철의 특정 시점 이후에는 꽃눈(스퀘어), 꽃 및 어린 열매(볼)에 대한 해충 피해는 시장성있는 수확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 목화의 무한생장 성질 때문에, 생장철의 후기의 대부분을 통해 스퀘어, 꽃 및 볼의 생산은 계속된다. 그러나, 생장철의 한 시점 후에는 살충제를 추가로 사용하건 안하건간에 스퀘어, 꽃 및 어린 볼이 숙성하고, 시장성있는 수확에 영향을 줄 충분한 시간이 없다. 숙성하거나 거의 숙성한 볼은 목화의 주요 해충에 의한 피해에 그다지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생장철 후기 이후에 살충제 사용을 중단하는 것은 심하게 수확량을 감소시키지 않을 것이다. 비록 만기 살충제 사용의 감소가 단기적으로는 경제적 의미를 가질 수 있으나, 한 시즌의 만기 방제가 없으면 다음 시즌의 초기에 더 많은 해충이 생길 것이다.
목화의 주요한 핵심 해충은 솜벌레(헬리코베르파지아:Helicoverpazea), 담배 모충(헬리오디스 비레센스:Heliothis virescens) 및 목화씨바구미(안토노무스 그란두스:Anthonomus grandus)를 포함한다. 솜벌레 및 담배모충의 경우, 나방은 보통 알을 목화나무의 말단 지역(경단)에 낳는다. 부화 후 어린 애벌레는 경단 및 더 어린 스퀘어를 먹고 큰 애벌레는 경단 및 어린 볼을 먹는다. 목화씨바구미의 경우, 성충 암컷이 스퀘어안에 구멍을 내고 한 개의 알을 낳는다. 부화하면 애벌레는 스퀘어의 안쪽을 먹고 2 또는 3회 탈피를 한다. 안에 목화씨바구미 애벌레를 가진 스 퀘어는 일반적으로 2령(stage) 애벌레로 성장한 지 며칠 후에 목화나무에서 절단되어 땅으로 떨어진다. 목화씨바구미 생장은 절단된 스퀘어안에서 계속된다.
해충의 먹이 및(또는) 산란 장소를 제거 또는 감소시키는 작물관리전략은 만기 살충제 시용의 필요를 없애고 또한 겨울을 나는 해충의 수를 줄일 수도 있을 것이다. 목화씨바구미의 경우, 시즌 늦게 휴면(休眠)에 들어가는 목화씨바구미는 더 일찍 휴면에 들어가는 것보다 성공적으로 월동을 할 것이라는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만기 스퀘어를 줄이는 작물관리전략은 겨울을 나는 목화씨바구미의 수를 줄이게 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목표를 맞추거나 초과하는 성공적인 조기종결 전략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대체로 말하면, 본 발명은 무한생장패턴을 갖는 식물의 생식생장의 만기종결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세미카르바존 식물생장조정제는 시용시 식물에 존재하는 성숙한 생식생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고 식물의 최고 개화시기를 지난 한 시점에 식물의 지속적인 생식생장을 종결시킬 충분한 양으로 생장하는 식물의 로커스(locus)에 시용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세미카르바존은 디플루펜조피르이다. 그러한 조기 생장종결전략을 이용하여 향상된 만기 해충관리 뿐만 아니라 식물의 만기 열매 수확에서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측면 및 잇점 및 기타 이점은 바람직한 예시적 실시태양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주의깊게 고려해 본 후에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출원 명세서 및 첨부하는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만기"란 용어는 식물의 최고 개화시기를 지난 시점을 언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식물생장조정제는 미국특허 제 5,098,462호 및 제 5,098,466호(각 미국 특허의 전문은 본 출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되었음)에 더욱 충분히 설명된 티오세미카르바존 및 이소티오세미카르바존 및 그의 염과 같은 치환된 세미카르바존 및 관련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이용되는 가장 바람직한 세미카르바존은 디플루펜조피르이다.
세미카르바존은 식물의 계속되는 생식생장을 종결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식물의 로커스에 시용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세미카르바존은 약 0.0001 kg·ai/ha (활성성분의 킬로그램/헥타아르) 이상 및 전형적으로는 약 0.003 kg·ai/ha 이상의 양으로 식물의 로커스에 시용된다. 게다가, 세미카르바존은 약 0.10 kg·ai/ha 미만의 양으로, 보통 약 0.03 kg·ai/ha의 양으로 시용된다.
세미카르바존은 분말(dust), 입자, 용액, 유탁액, 습기있는 분말, 유체 및 현탁액의 형태로 시용될 수 있다. 활성 성분 화합물의 시용은 아래에 설명될 에이커 당 화합물의 적절한 양을 사용하여 그 화합물을 필요로 하는 식물의 로커스에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이루어졌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의 "로커스"에 대한 화합물의 시용은 식물에의 시용 또는 식물의 부분에의 시용 또는 식물이 자라고 있는 토양에의 시용을 포함한다.
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은 식물의 지상부에 시용될 수 있다. 식물의 지상부에 액체 및 입자화된 고체 식물생장 조절제 조성물의 시용은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 어 스프레이어 또는 살분기(duster)를 포함하는 붐 앤 핸드(boom and hand)시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만약 필요하면, 조성물은 분무액으로서 공중살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수용액 형태로 시용된다. 용액은 통상적인 방법, 예를 들면 식물의 로커스에 스프레이, 분무 또는 급수하는 방법으로 시용될 수 있다.
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을 또한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다른 성분 또는 보조제와 함께 시용될 수 있다. 그러한 성분의 예는 표류조절제(drift control agents), 소포제, 보존제, 계면활성제, 비료, 식물독성물질(phytotoxicant), 제초제, 농약, 살충제, 살진균제, 습윤제, 점착제, 살선충제, 살균제, 미량 원소, 협력제, 해독제, 그들의 혼합물 및 식물 생장 조절 기술에서 잘 알려진 다른 보조제를 포함한다.
그것이 시용되는 방법에 상관없이, 세미카르바존은 지속적인 생식생장을 종결시킬 충분한 양으로 종결이 필요한 작물의 로커스에 시용된다. 세미카르바존은 본 발명의 원하는 조기 식물종결효과를 얻기 위하여 단독시용 또는 배합 시용으로 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비한정 실시예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디플루펜조피르(DFP)의 만기시용을 "3 NAWF (Nodes above whhite flower)단계"로 설명되는 만기 생장단계의 목화에 실지실험하였다. 놀랍게도 디플루펜조피르 는 말단(경단)에서 생장 중단을 야기하고 성숙한 영양기관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킴이없이 꽃, 스퀘어 및 미성숙 볼의 절단을 증진시켰다. 이러한 실지시험의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볼 수 있듯이, 실지시험 No. 1 (미시시피)에서 결과는 놀라운 것이었다. DFP 0.01 또는 0.02 kg·ai/ha를 단독 시용한 것은 최상위 8개 마디에서 스퀘어 및 꽃의 수를 80% 이상 감소(미처리군과 비교함)시켰다. 비록 스퀘어 및 꽃의 수의 감소 정도가 실지실험 No. 1만큼 크지는 않지만, 실지실험 No. 2 (루이지아나)에서 유사한 경향이 또한 관찰되었다. 표 1에 나타낸 이러한 시험결과는 소량의 DFP같은 세미카르바존은 목화 나무의 스퀘어 및 꽃의 수를 강력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1>
Figure 112002018481132-pct00001
실시예 2
다른 실지실험이 미시시피에서 실시되었는데, DFP를 3 NAWF단계에 목화나무에 시용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2018481132-pct00002
표 2의 결과에서 보여진 것처럼, 20g ai/ha 시용량으로 DFP처리된 목화나무은 22 DAT(처리후 경과일수(day after treatment))에 비처리된 목화나무에 비해 60%이상 많은 개화 볼(open boll)을 가졌다. 개화 볼의 이러한 큰 증가는 목화에 대한 DFP의 시용이 면화 재배자의 목화의 조기수확으로 해석될 볼 성숙을 가속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3
온실 실험은 목화와 같은 과(말바세:Malvaceae)인 오크라(Okra)(아벨모스쿠스 에스쿨렌투스:Abelmoschus eschulentus)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0.001 및 0.001 kg·ai/ha의 DFP 시용량은 오크라 생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표 3A). 0.003 내지 0.3 kg·ai/ha의 DFP 시용량은 심하게 영양생장을 감소시켰고(표 3B 및 3C), 꽃눈 및 매우 작은 열매의 폐기를 일으켰다(표 3D 및 3E). 처리된 식물의 열매의 길이 생장율은 시용후 첫 주동안은 미처리된 것에 비해 약간 작았다 (표 3F 및 3G). 그러나, 두번째 주에 처리된 나무의 열매가 미처리된 식물의 열매보다 더 빠른 속도로 길어져 두번째 주가 끝날 때에는 열매의 길이에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번째 주가 끝날 때에, DFP처리된 식물은 적지만 무거운 열매을 가졌다(표 3H 및 3I).
아래의 표에 설명된 연구중, 처리당 5-10개의 오크라나무를 시용하였고, 그러한 처리된 오크라나무의 결과를 평균하였다.
<표 3A>
오크라의 높이 감소에 대한 DFP의 초기 스크린 시험
Figure 112007014903682-pct00020
<표 3B>
오크라 수고
Figure 112007014903682-pct00021
<표 3C>
오크라 수고
Figure 112007014903682-pct00022
<표 3D>
DFP 시용시 꽃눈 또는 작은 열매인 오크라 생식기관의 운명
Figure 112007014903682-pct00023
<표 3E>
DFP 시용시 꽃눈 또는 작은 열매인 오크라 생식기관의 운명
Figure 112007014903682-pct00024
<표 3F>
오크라 열매 길이의 증가
Figure 112007014903682-pct00025
<표 3G>
오크라 열매 길이의 증가
Figure 112007014903682-pct00026
<표 3H>
과실 무게(gram)로 나타낸 오크라 수확량
Figure 112007014903682-pct00027
<표 3I>
과실 무게(gram)로 나타낸 오크라 수확량*
Figure 112007014903682-pct00028
위의 데이타는 목화 또는 오크라같은 작물에 약 0.003 내지 약 0.03 kg·ai/ha의 시용량의 디플루펜조피르같은 세미카르바존 단독 시용이 영양생장을 매우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꽃눈, 꽃 및 어린 열매의 절단(abscission)을 야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놀랍게도, 오크라 열매의 무게는 DFP 처리에 의해 증가했다.
실시예 4
DFP의 만기시용이 영양생장 및 만기 꽃의 개화를 중지시킬 수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땅콩 나무(아라키스 히포가에아)에 대해 실지실험을 실시했다. DFP의 시용은 10 갤론/에이커(gpa)를 공급하도록 조절된 CO2 배낭 스프레이어를 시용하여 이루어졌다. 땅콩 나무를 포함하는 부지는 12 피트 X 12 피트였다. 시용은 수확을 약 6주 및 3주 앞둔 활동적으로 생장하고 있는 땅콩 나무에 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 v/v 대쉬(DASH, 등록상표) HC 스프레이 보조제와 함께 DFP을 땅콩에 흩뿌려 시용하였다. 땅콩을 모으고 칭량하여 수확결과를 계산하여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건조한 상태에서 이뤄진 GA-015실험을 제외한 모든 실험은 관개되었다. DFP는 약 0.008 및 0.017 kg·ai/ha의 시용량으로 시용하였다.
<표 4>
미처리군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된 땅콩 수확율
Figure 112007014903682-pct00029
일부 땅콩 피해가 관찰되었고 이는 DFP 시용량에 의존했다. 즉, DFP의 시용량이 증가하면 땅콩 피해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31 DAT에는 땅콩 피해는 심각하지 않았다. 피해증상은 땅콩덮개안의 상부 잎의 약간 오그라듬을 포함했다. 약 0.034 kg·ai/ha로 시용된 DFP가 약 20%의 가장 높은 피해를 나타냈으나, 땅콩 피해는 눈에 띌만큼의 백화현상을 포함하지 않았다.
표 4의 데이타에서 입증된 것처럼, 중요한 수확율 증가가 NC-101실험에서 관찰되었다. 중요한 수확율 증가는 수확 6주전 0.034 kg·ai/ha의 DFP 시용 및 수확 3주전 0.008, 0.017 및 0.034 kg·ai/ha의 DFP 시용으로부터 발생했다. 표 4의 비고(3)에서 볼 수 있듯이, NC-101 실험이 모든 연구중 시용에서 수확까지의 시간을 가장 근접하게 추정하였다. 그러나, GRS 및 FTS 실험에서 두번째 날에 시용된 더 낮은 시용량 (0.008 및 0.017 kg·ai/ha)은 수학율을 통계학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양인 2% 내지 10%를 증가시켰다. GA-015 실험은 수확율 증가 경향이 보이지 않았고, 이는 실험기간 대부분동안 나무가 건조 스트레스하에 있었기 때문에 예상되지 않은 것이 아니다.
실시예 5
추가적인 실지시험이 DFP 시용에 의해 폐기되는 볼의 크기가 스트레스, 과다한 시용량 또는 시용시기에 영향받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목화나무에 대해 실시되었다. 상세하게는, 1% v/v 대쉬(등록상표) HC 스프레이 보조제와의 DFP 혼합액을 0.01, 0.02 및 0.09 kg·ai/ha의 시용량으로 5 NAWF (낙엽전 40일에 대응), 5 NAWF + 300 DD (낙엽전 25일에 대응) 및 5 NAFW + 600 DD (낙엽전 15일에 대응)에 시용하였다. 결과를 아래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07014903682-pct00030
위 표 5의 데이타로부터 명백하게 알 수 있듯이, DFP의 시용 시기가 시용량보다 수확량에 더욱 큰 영향을 미쳤다. 시용량 0.01 및 0.02 kg·ai/ha는 0.09 kg·ai/ha에 비해 각 시용시기에서 수확량에 대한 부정적 효과가 적은 경향이 있다. 5 NAWF에서의 시용은 5% 수준에서 미처리군에 비해 수확량을 매우 감소시켰다. 놀랍게도, 667DD의 시용시기에서의 모든 처리는 수확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시용량 0.01 및 0.02 kg·ai/ha는 5% 수준에서 약간 현저한 수확량 상승을 제공하였다. 10% 수준에서, 0.22 kg·ai/ha의 시용량의 DFP 시용은 현저한 수확량 상승을 제공하였다. 300DD 시용시기에서 오직 0.090 kg·ai/ha 시용량만 현저한 수확량 감소를 일으킨다.
5 NAWF에서 스트레스를 받지 않는(non-stressed) 목화에 시용했을 때는 DFP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성숙 볼의 유지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DFP은 더 늦은 시기에 시용되었을 경우에는 성숙 볼의 유지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DFP 시용은 평가된 모든 시기와 모든 시용량에서 목화에서 스퀘어 및 꽃이 떨어지도록 했다. 600 DD 에 거의 모든 미성숙 스퀘어가 떨어지고 꽃이 졌다. 따라서, 이 시기에 수확량 증가는 아마도 나무에 의한 탄화수소 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것에 기인한 것일 것이다. 300 DD 또는 600 DD에서는, 씨앗 발아 또는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전혀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씨앗 발아 및 품질에 부정적 영향을 일으키는 경향이 5 NAWF에서의 DFP 처리에서는 관찰되었다. 그래서, 목화에서 가장 실질적인 시용시기는 5 NAWF 단계 이후로 보인다.
실시예 6
실시예 5를 다른 시험장소에서 반복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112007014903682-pct00031
실시예 7
DFP를 두 개의 다른 생장단계에서 목화에 0.01 및 0.02 kg·ai/ha로 시용하였다 : 변종 스톤빌(Stoneville) 474에 대하여 5 NAWF 및 5 NAWF + 350 HU (Heat units). 그 결과를 아래의 표 7A 및 7B에 나타내었다.
<표 7A>
5 NAWF단계에서 시용된 해충 조절에 대한 DFP의 효과
Figure 112007014903682-pct00032
<표 7B>
5 NAWF + 350 HU단계에서 시용된 해충 조절에 대한 DFP의 효과
Figure 112002018481132-pct00016
위의 데이타는 5 NAWF 단계에서의 시용이 해충의 수를 감소시킬 충분한 스퀘어가 떨어지는 결과를 낳지는 않았고, 목화가 직경이 1인치 이상인 볼을 많이 떨어뜨리도록 하였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러나, 5 NAWF + 350 HU의 2차 시기에, 0.02 kg·ai/ha의 DFP로 처리된 부지는 목화씨바구미 및 손상된 나무 벌레 약충(若蟲)에 의해 구멍난 스퀘어가 각각 58% 및 32%정도로 크게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이 2차 시기에서는 떨어진 볼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0.02 kg·ai/ha의 DFP가 목화나무 종결 조제로서 커다란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8
플루 큐어된 상업적 담배밭의 담배나무에 DFP처리를 시용했다. 같은 날에 토핑하고 스프레이하였다. 시용시 담배나무의 약 5-10%가 싹 단계였다. 처리는 속이 빈 원뿔형 노즐이 장착된 핸드 헬드 스프레이를 가지고 시용하였다. 스프레이 부피는 1 그루당 33ml 또는 대충 1에이커 당 50갤런이었다. 각 처리가 3 그루의 담배나무에 시용되었으며 각 나무는 반복 실험으로 고려되었다. 담배나무는 WAT(처리후 경과 주수)단위로 측정되는 다양한 간격으로 조사되었다. 시판되는 표준 로얄(ROYAL) MH-30 (말레익 히드라지드)가 3.4 kg·ai/ha로 시용된 한 처리는 다음 날까지 시용될 수가 없다. 시용시 이러한 지연때문에, 그 처리는 대조구와 그다지 차이가 없었고, 아래의 표 8A-8C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표 8A>
플루-큐어된 담배에 끼친 % 상해
Figure 112007014903682-pct00033
<표 8B>
플루-큐어된 담배나무/나무 1 그루당 액아수
Figure 112007014903682-pct00034
<표 8C>
41 DAT에서 최종평가시 담배나무 1 그루당 총 액아 무게, 평균 액아 무게 및 길이, 꼭대기 담배 잎 5개의 길이
Figure 112007014903682-pct00035
위의 데이타는 DFP가 일부 피해증상을 전형적 옥신 축적의 미성숙 잎에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고(표 8A 참조), 이는 잎의 오그라짐으로 증명되었다. 게다가, 이러한 잎은 바람직하지 않게 시즌 늦게까지 푸른색으로 남아있었다. 그러나, 그 피해가 수확시 꼭대기 5장의 잎의 최종길이를 줄이지는 않았다 (표 8C 참조, 그러나 길이가 줄어드는 약한 경향이 있다). 성숙된 잎은 피해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DFP는 최고 시용량인 0.07 kg·ai/ha는 시용 후 6주 동안 효과가 있었다. 그루당 액아(sucker)의 수를 줄였고, DFP의 더 낮은 시용량은 더 짧은 기간동안 효과가 있었다. 일단 DFP의 억제 활성이 멈추면, 액아의 수는 급격히 복귀되었다. 1.1 kg·ai/ha의 시용량의 말레익 히드라지드와 DFP의 배합은 DFP 단독과 심하게 다르지 않았다. 6 WAT에, 모든 처리는 그루당 액아 중량 및 평균 액아 중량을 감소시켰다 (표 8C 참고). 0.7 kg·ai/ha의 DFP는 그루당 총 액아 중량, 평균 액아 중량 및 평균 액아 길이를 감소시키는 데 가장 효과적인 처리였다.
비록 본 발명이 현재 가장 실질적이고 바람직한 실시태양으로 고려된 것과 관련지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실시태양에 제한되지 않고, 반대로,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내 포함되는 동등한 배열 및 다양한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식물의 최고 개화시기를 지난 한 시점에 0.0001 내지 0.10 kg·ai/ha(활성성분의 킬로그램/헥타아르)의 디플루펜조피르를 식물의 로커스(locus)에 시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물의 생식생장의 만기(late season) 종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식물이 무한 생장 패턴을 갖는 것인 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식물이 말바세(Malvaceae) 또는 파바세(Fabaceae)과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식물이 목화, 오크라 또는 땅콩 식물인 방법.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시용량이 0.003 내지 0.03의 kg·ai/ha인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플루펜조피르가 하나 이상의 보조제와 함께 시용되는 것인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플루펜조피르가 액체 또는 고체 입자의 형태로 시용되는 것인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식물이 목화이고, 디플루펜조피르가 목화 식물에 3 NAWF단계(백색 꽃보다 3마디 전 단계)에서 시용되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식물이 니코티아나 타바쿰 엘(Nicotiana tabacum L.)인 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027007622A 1999-12-15 2000-12-05 세미카르바존 식물생장조정제의 작물의 조기종결을 위한용도 KR100736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61,382 1999-12-15
US09/461,382 US6284711B1 (en) 1999-12-15 1999-12-15 Use of a semicarbazone plant growth regulator for early termination of crop pl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906A KR20020065906A (ko) 2002-08-14
KR100736313B1 true KR100736313B1 (ko) 2007-07-06

Family

ID=2383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622A KR100736313B1 (ko) 1999-12-15 2000-12-05 세미카르바존 식물생장조정제의 작물의 조기종결을 위한용도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6284711B1 (ko)
EP (1) EP1241944B1 (ko)
JP (1) JP2003516945A (ko)
KR (1) KR100736313B1 (ko)
CN (1) CN1184887C (ko)
AR (1) AR026980A1 (ko)
AT (1) ATE270046T1 (ko)
AU (1) AU782269B2 (ko)
BR (1) BR0016450B1 (ko)
CA (1) CA2395084C (ko)
DE (1) DE60011935D1 (ko)
EA (1) EA004305B1 (ko)
ES (1) ES2223645T3 (ko)
IL (2) IL149753A0 (ko)
MX (1) MXPA02005633A (ko)
PL (1) PL199871B1 (ko)
UA (1) UA72020C2 (ko)
WO (1) WO2001043551A1 (ko)
ZA (1) ZA2002055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53867A1 (es) * 2005-05-12 2007-05-23 Basf Ag Metodo para incrementar la resistividad de plantas de cultivo
JP5082856B2 (ja) * 2005-11-30 2012-11-28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
MX2013007379A (es) 2010-12-21 2013-07-15 Bayer Cropscience Lp Mutantes tipo papel lija de bacillus y metodos de uso de los mismos para mejorar el crecimiento vegetal, promover la salud de plantas y controlar enfermedades y plagas.
EP2755485A1 (en) 2011-09-12 2014-07-23 Bayer Cropscience LP Methods of enhancing health and/or promoting growth of a plant and/or of improving fruit ripening
US10624277B2 (en) * 2015-04-10 2020-04-21 Kenneth Kyle Friesen Compound intercropping process
CN110692475B (zh) * 2019-11-16 2021-07-27 菏泽市农业科学院 一种促进花生早花早熟的栽培方法
AU2021203604A1 (en) * 2021-03-09 2022-09-29 Cotton Seed Distributors Ltd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cotton cro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28156A1 (de) * 1991-07-16 1993-02-24 Bayer Ag 3-Aryl-4-hydroxy-delta3-dihydrofuranon- und 3-Aryl-4-hydroxy-delta3-dihydrothiophenon-Derivat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9188A (en) * 1969-10-24 1975-04-22 Amchem Prod Growth regulation process
US4272280A (en) * 1980-07-07 1981-06-09 Gulf Oil Corporation Isobenzofurandione thiosemicarbazones and use as plant growth regulators
US4581057A (en) * 1984-03-15 1986-04-08 The Board Of Regents Of University Of Michigan, Corp. Of Michigan Abscisic acid containing foliar fertilizers and method of using same to enhance crop yields
US5098466A (en) * 1985-08-20 1992-03-24 Sandoz Ltd. Compounds
US5098462A (en) * 1985-08-20 1992-03-24 Sandoz Ltd. Substituted semi-carbazones and related compounds
US5123951A (en) * 1986-03-31 1992-06-23 Rhone-Poulenc Nederland B.V. Synergistic plant growth regulator compositions
ES2205156T3 (es) * 1996-03-13 2004-05-01 Syngenta Participations Ag Combinaciones herbicida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28156A1 (de) * 1991-07-16 1993-02-24 Bayer Ag 3-Aryl-4-hydroxy-delta3-dihydrofuranon- und 3-Aryl-4-hydroxy-delta3-dihydrothiophenon-Deriv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49753A0 (en) 2002-11-10
EA200200680A1 (ru) 2002-12-26
CN1409598A (zh) 2003-04-09
AU782269B2 (en) 2005-07-14
AR026980A1 (es) 2003-03-05
JP2003516945A (ja) 2003-05-20
IL149753A (en) 2007-07-04
EP1241944B1 (en) 2004-06-30
ES2223645T3 (es) 2005-03-01
CN1184887C (zh) 2005-01-19
BR0016450A (pt) 2002-08-27
UA72020C2 (en) 2005-01-17
DE60011935D1 (de) 2004-08-05
US6284711B1 (en) 2001-09-04
CA2395084C (en) 2009-05-26
CA2395084A1 (en) 2001-06-21
ATE270046T1 (de) 2004-07-15
KR20020065906A (ko) 2002-08-14
PL199871B1 (pl) 2008-11-28
EP1241944A1 (en) 2002-09-25
MXPA02005633A (es) 2002-09-02
EA004305B1 (ru) 2004-02-26
WO2001043551A1 (en) 2001-06-21
AU3006301A (en) 2001-06-25
ZA200205587B (en) 2003-10-03
PL355817A1 (en) 2004-05-17
BR0016450B1 (pt) 2013-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6887C2 (ru) Пест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CZ324392A3 (en) Pesticidal composition
Schott et al. Bioregulators; Present and Future Fields of Application
KR100736313B1 (ko) 세미카르바존 식물생장조정제의 작물의 조기종결을 위한용도
Elbert et al. New applications for neonicotinoid insecticides using imidacloprid as an example
EA019535B1 (ru)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тлей на растениях
JPS62114902A (ja) 二つの有効成分を含有する植物生長調節用組成物
CN107182334A (zh) 一种无公害无花果的病虫害综合防治方法
US6150302A (en) Use of a semicarbazone plant growth regulator for crop yield enhancements
Adlerz et al. Grape insects and diseases in Florida
US6589916B1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and promoting the growth of plants
Hara et al. Effect of seasons and insecticides on orchid thrips injury of anthuriums in Hawaii
Looney Growth regulator use in commercial apple production
Webster et al. Effects of Ethephon on Abscission of Vegetative and Reproductive Structures of Phaseolus vulgaris L. 1
Geetha Chapter-5 Influence of Defoliants, Dessicants and Harvest-Aid Chemicals in Determining Cotton Yield
Costa et al. Peach and nectarine meadow orchard in temperate climates
Palumbo et al. Insect management on desert vegetables and melons: Whiteflies
SCHOTT et al. Research Station, Limburgerhof, Germany
Pfeiffer et al. 2021 Home Grounds and Animals PMG-Home Fruit
Pfeiffer et al. Home Fruit: Diseases and Insects. p. 3-1–3-24. In: 2020 Pest Management Guide for Home Grounds and Animals. Va. Coop. Ext. Pub. 456-018
Yoder et al. Home Fruit: Diseases and Insects. p. 3-1–3-24. In: 2017 Pest Management Guide for Home Grounds and Animals. Va. Coop. Ext. Pub. 456-018
Yoder et al. Home Fruit: Diseases and Insects. p. 3-1–3-23. In: 2016 Pest Management Guide for Home Grounds and Animals
Sykes Experiments on the Control of Currant Clearwing Moth (Synanthedon tipuliformis (Clerck)) on Gooseherries
Snipes et al. Influence of crop condition on harvest-aid activity
Brenner Chemical suppression of a perennial ryegrass (Lolium perenne) living mulch and influence of ground cover management on growth of'Chardonnay'wine grapes (Vitis vinifera) and Douglas fir Christmas trees (Pseudotsuga menzies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