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465B1 -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465B1
KR100735465B1 KR1020050131542A KR20050131542A KR100735465B1 KR 100735465 B1 KR100735465 B1 KR 100735465B1 KR 1020050131542 A KR1020050131542 A KR 1020050131542A KR 20050131542 A KR20050131542 A KR 20050131542A KR 100735465 B1 KR100735465 B1 KR 100735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nsor
camera module
sensor unit
power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465B1/ko
Priority to US11/639,320 priority patent/US7656447B2/en
Priority to JP2006342761A priority patent/JP4291359B2/ja
Priority to CNA2006101566036A priority patent/CN1992804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46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에 의한 과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에 포함된 다이오드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전류의 발생을 제거함으로써 전력 소모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렌즈부; 전원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렌즈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으로 구성된 I2C 버스에 연결된 이미지 센서부; 정전기 방전에 의한 과전류가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상기 시리얼 클럭 라인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다이오드; 정전기 방전에 의한 과전류가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상기 시리얼 데이터 라인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다이오드; 상기 전원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부와 상기 시리얼 클럭 라인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전원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부와 상기 시리얼 데이터 라인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I2C, 누설전류, 시리얼 클럭 라인(SCL),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 이미지 센서, 카메라 모듈, 다이오드

Description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WHICH COMMUNICATES USING I2C COMMUNICATION METHOD}
도 1은 일반적인 I2C 버스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이 단말기에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이 단말기에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카메라 모듈 111: 렌즈부
112: 이미지 센서부 113a, 113b: 제1, 2 다이오드
12: 단말기 메인 회로부 20a, 20b: 제1, 2 스위치
Vcm: 이미지 센서부 전원전압 Vdd: I2C 버스의 풀업 전압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기에 의한 과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에 포함된 다이오드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전류의 발생을 제거함으로써 전력 소모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2C는 TV, VCR 및 오디오 장비 등과 같이 대량 생산되는 제품용 집적회로들 간의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두 가닥의 양방향 시리얼 버스로서 필립스사에 의해 최초로 소개되었다. 오늘날 I2C는 내장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사실상의 표준 솔루션이 되었다.
I2C 버스는 클럭 전송을 위한 시리얼 클럭 라인(Serial Clock Line: SCL)과 데이터를 직렬로 전송하기 위한 시리얼 데이터 라인(Serial DAta line: SDA)으로 구성되며, 데이터는 클럭에 따라 송수신된다. 또한 I2C 버스에 접속된 디바이스들은 마스터(master)와 슬레이브(slave) 관계로 통신한다. I2C는 다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통신이 가능한 직렬 버스 프로토콜로서 다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전원선과 두가닥의 선(SCL, SDA)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도 1은 일반적인 I2C 버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2C 마스터 디바이스(1)는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의 두 개의 라인을 통해 복수의 I2C 슬레이브 디바이스(2-1, 2-2)와 연결된다. I2C 마스터 디바이스(1)는 I2C를 지원하는 I2C 슬레이브 디바이스들(2-1, 2-2)의 제어를 위해 I2C 버스 컨트롤러(미도시)를 이용하여 I2C 슬레이브 디바이스들(2-1, 2-2)에 단순히 데이터를 쓰거나 읽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I2C 마스터 디바이스(1)는 전송을 개시하는 장치로서 클럭 펄스를 생성하고, 전송을 종료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며, I2C 슬레이브 디바이스(2-1, 2-2)는 I2C 마스터 디바이스(1)가 어드레싱하는 장치이다. I2C 마스터 디바이스(1)가 시작 상태를 만들면, I2C 버스에 연결된 I2C 슬레이브 디바이스들(2-1, 2-2)이 이후의 데이터를 기다린다. I2C 마스터 디바이스(1)가 슬레이브 어드레스를 보내면, 각각의 I2C 슬레이브 디바이스(2-1, 2-2)는 자신의 고유 어드레스와 비교하며, 어드레스가 일치하는 I2C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이어지는 ACK 신호 구간에 이에 대한 응답을 보낸다. 그러면, I2C 마스터 디바이스(1)는 해당 I2C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데이터 송수신이 종료되면, I2C 마스터 디바이스(1)는 정지 상태를 만들고 버스를 해제한다. 이와 같은 I2C 버스의 동작을 위해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의 두 개의 라인은 각각 풀업 저항을 통해 풀업 전원(여기서는 풀업 전압)(Vdd)을 제공받는다.
현재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서도 상기와 같은 I2C 버 스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메인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DSP)와 카메라 모듈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 DSP는 I2C의 마스터 디바이스가 되고, 카메라 모듈 내의 이미지 센서(또는 이미지 신호 처리기(Image Signal Processor: ISP))가 I2C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된다.
도 2는 종래의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이 단말기에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11)은 주로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채용되며, 이 경우 I2C 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DSP와 통신한다. 통상적으로 반도체 소자 등은 정전기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ESD)에 의한 과전류로 인해 소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를 소자의 입출력 단자에 구비하게 되는데,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1) 또는 이미지 센서부(112)(또는 ISP, 본 명세서에서는 이미지 센서부(112)가 ISP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한다)에도 과전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다이오드(113a, 113b)가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과 이미지 센서부(112) 사에에 연결된다. 이 다이오드(113a, 113b)는 이미지 센서부(112)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I2C 버스에 연결된 카메라 모듈(11)은,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단말기 메인 회로부(12)로부터 제공되는 파워다운 신호등에 의 해 전원전압(Vcm)이 0V가 되면서 이미지 센서부(112) 등의 구동을 정지하게 된다. 이 때, 과전류가 I2C 버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I2C 버스의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에 연결된 다이오드(113a, 113b)의 특성에 의해, I2C 풀업 전원(Vdd)으로부터 누설전류(Il1, Il2)가 이미지 센서로 제공된다.
따라서, 종래의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11)은 카메라 모듈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해 카메라 전원을 차단할 경우 정지된 상태에서도 I2C 버스의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을 통해 누설전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 구동의 중지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카메라 모듈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이미지 센서부가 별도 지원하는 PWRDN(Power down) 입력 신호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 방법도 역시 수십~수백 ㎂정도의 소비전류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카메라 전원을 차단하는 방식에 비해 불필요한 소비전류를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포함된 카메라 모듈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누설전류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카메라 모듈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 낭비 를 제거하고, 더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배터리 구동시간 및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렌즈부;
전원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렌즈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으로 구성된 I2C 버스에 연결된 이미지 센서부;
정전기 방전에 의한 과전류가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상기 시리얼 클럭 라인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다이오드;
정전기 방전에 의한 과전류가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상기 시리얼 데이터 라인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다이오드;
상기 전원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부와 상기 시리얼 클럭 라인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전원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부와 상기 시리얼 데이터 라인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는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부는, 상기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버스 스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 모듈(11)은, 렌즈부(111); 소정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렌즈부(111)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부(112); 상기 이미지 센서부(112)와 연결된 I2C 버스 중 시리얼 클럭 라인(Serial Clock Line: SCL)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113a); 상기 이미지 센서부(112)와 연결된 I2C 버스 중 시리얼 데이터 라인(Serial DAta line: SDA)에 연결된 제2 다이오드(113b); 상기 이미지 센서부(11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부(112)와 상기 시리얼 클럭 라인(SCL)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1 스위치(20a); 및 상기 이미지 센서부(11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부(112)와 상기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2 스위치(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1)은 주로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채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I2C 버스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DSP와 통신한다. 이러한 I2C 버스를 이용한 통신에서, 카메라 모듈(11)로부터 I2C 버스로 과전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다이오드(113a, 113b)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누설전류를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은 I2C 버스의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과 이미지 센서부(112) 사이에 전원 유무에 따라 온/오프가 제어되는 스위치(20a, 20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부(111)는 촬상하고자 하는 영상을 이미지 센서부(112)로 전달한다. 상기 렌즈부(11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줌기능 또는 자동 노출 기능 또는 자동 초점 기능을 위해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진 모듈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부(112)는 빛에 반응하는 특성을 갖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서로 다른 밝기 및 파장을 신호 처리 가능한 레벨의 전기적인 값으로 출력하는 이미지 검출 소자를 포함한다. 즉, 상기 이미지 센서부(112)는, 렌즈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 변환된 전기신호는 I2C 버스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메인 DSP로 전달되어 디지털 처리되거나, 카메라 모듈(11) 내에 구비될 수 있는 이미지신호 처리기(ISP)에서 소정의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되어 I2C 버스를 이용하여 단말기 메인 DSP로 전달될 수 있다. 이 이미지 센서부(112)에 포함된 이미지 검출 소자는 빛에 반응하는 반도체 소자와,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변화를, 그 전기적 변화에 따라 레벨이 결정되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다수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므로, 구동을 위한 전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 센서부(112)는 전원에 연결된 전원라인을 통해 전원을 제공받는다.
상기 다이오드(113a, 113b)는 정전기 방전에 의한 과전류가 상기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으로 전달되는 것을 각각 차단하는 제1 다이오드(113a) 및 제2 다이오드(113b)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오드(113a, 113b)는 이러한 과전류가 I2C 버스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I2C 버스와 연결된 전극이 애노드(anode)가 되고, 전원라인과 연결된 전극이 캐소드(cathode)가 되는 극성을 갖도록 배치된다.
한편 이 다이오드(113a, 113b)는 카메라 모듈(11) 내에서 이미지 센서부(112)와 연결된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이미지 센서부(112)의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 단자와 연결되어, 이미지 센서부(112) 내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카메라 모듈(11) 내에 이미지 신호 처리기(Image Signal Processor: ISP)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신호 처리기의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 단자와 연결되어, 이미지 신호 처리기 내에 포함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스위치(20a, 20b)는 상기 이미지 센서부(112)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부(112)와 상기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1 스위치(20a) 및 제2 스위치(20b)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부(112)가 동작할 필요가 없는 경우, 예를 들어 단말기의 사용자가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미지 센서부(112)에는 전원이 공급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전원전압(Vcm)은 0V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원전압(Vcm)이 0V라고 하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 다이오드(113a, 113b)의 특성에 의해 I2C 버스의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을 통해 이미지 센서부 방향으로 누설전류가 발생한다. 이 누설전류는 카메라 모듈을 사용한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켜 배터리의 가동 시간을 단축시키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이미지 센서부(112)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 신호로 사용하여, 전원이 존재하는 경우 온(ON) 상태가 되어 단락되고, 전원이 존재하 지 않는 경우 오프(OFF) 상태가 되어 개방되는 스위치(20a, 20b)를 구비한다. 즉, 이미지 센서부(11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이미지 센서부(112)에 공급되는 전원전압(Vcm)이 0V가 됨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I2C의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을 통해 이미지 센서부(112)로 흐르도록 발생하는 누설전류를 상기 스위치(20a, 20b)가 차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20a, 20b)는 버스 스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며, 두 개의 스위치가 하나의 제어신호(여기서는, 전원전압(Vcm))를 이용하여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20a, 20b)는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이 단말기에 적용된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작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1)은 단말기 메인 회로부(12)에 구비된 I2C 버스의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과 연결된다. 상기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 각각은 풀업(pull-up) 저항을 통해 풀업 전원(Vdd)과 연결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단말기 메인 회로부(12)에는 메인 DSP가 I2C의 마스터(master)로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에 연결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1) 내의 이미지 센서부(또는 ISP)가 슬레이브(slave)로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에 연결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11)이 동작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촬상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부(112)의 전원(Vcm)은 이미지 센서부(112)가 동작하기에 적절한 전압을 제공한다. 이 전원전압(Vcm)에 의해 이미지 센서부(112)가 구동되며, 이 전원전압(Vcm)이 스위치부(21)의 제어 신호로 제공되어 상기 스위치부(21)는 온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이미지 센서부(112)와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을 연결하여 상기 이미지 센서부(112)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단말기 메인 회로측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카메라 모듈(11)로 파워 다운(Power Down) 신호가 전달되고 카메라 모듈(11)에 전원전압이 공급되지 않으며 상기 이미지 센서부(112)의 동작이 정지된다. 즉, 상기 전원전압(Vcm)이 0V가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전원전압(Vcm)이 스위치부(21)의 제어 신호로 제공되어, 상기 스위치부(21)는 이미지 센서(112)와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 각각의 연결을 개방시킨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과전류 차단을 위한 다이오드(113a, 113b)에 의해 단말기 메인 회로부(12) 측 의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을 통해 발생하는 누설전류의 발생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 내에 포함된 과전류 방지 다이오드에 의해 전원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존재하는 누설전류의 발생을 차단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 등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단말기 등의 배터리 구동 시간 및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렌즈부;
    전원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렌즈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시리얼 클럭 라인(SCL) 및 시리얼 데이터 라인(SDA)으로 구성된 I2C 버스에 연결된 이미지 센서부;
    정전기 방전에 의한 과전류가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상기 시리얼 클럭 라인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다이오드;
    정전기 방전에 의한 과전류가 상기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상기 시리얼 데이터 라인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다이오드;
    상기 전원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부와 상기 시리얼 클럭 라인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전원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미지 센서부와 상기 시리얼 데이터 라인의 연결을 차단하는 제2 스위치
    를 포함하는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부는,
    상기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버스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는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050131542A 2005-12-28 2005-12-28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 Expired - Fee Related KR100735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542A KR100735465B1 (ko) 2005-12-28 2005-12-28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
US11/639,320 US7656447B2 (en) 2005-12-28 2006-12-15 Camera module for communicating through I2C method
JP2006342761A JP4291359B2 (ja) 2005-12-28 2006-12-20 I2c通信方式を利用して通信するカメラモジュール
CNA2006101566036A CN1992804A (zh) 2005-12-28 2006-12-28 通过i2c方法进行通信的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542A KR100735465B1 (ko) 2005-12-28 2005-12-28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465B1 true KR100735465B1 (ko) 2007-07-03

Family

ID=3819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5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5465B1 (ko) 2005-12-28 2005-12-28 I2c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56447B2 (ko)
JP (1) JP4291359B2 (ko)
KR (1) KR100735465B1 (ko)
CN (1) CN199280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7736A (ja) * 2007-12-14 2009-07-02 Hoya Corp デジタルカメラ
JP5181840B2 (ja) * 2008-05-30 2013-04-10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TWI390967B (zh) * 2009-03-16 2013-03-21 Altek Corp 關閉時序產生單元之方法、關閉數位影像擷取裝置之方法及數位影像擷取裝置
US20110013078A1 (en) * 2009-07-15 2011-01-20 Hiroshi Shinozaki Head-separated camera device
CN102231839B (zh) * 2011-05-24 2013-06-19 深圳市掌网立体时代视讯技术有限公司 双传感器的i2c控制装置和方法
US9370265B2 (en) 2013-07-12 2016-06-21 Palmer Hamilton, Llc Foldable mobile restaurant booth
CN104378100A (zh) * 2014-11-07 2015-02-25 惠州市亿能电子有限公司 一种通讯电路
JP2017034486A (ja) * 2015-07-31 2017-02-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固体撮像素子および固体撮像素子の動作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機器
CN108668055A (zh) * 2017-03-29 2018-10-16 上海荆虹电子科技有限公司 外置安全加密芯片的生物识别摄像头模组及终端设备
CN109818649A (zh) * 2017-11-20 2019-05-28 上海普锐马电子有限公司 一种静电放电发生装置
CN110401585B (zh) * 2019-07-11 2021-08-17 上海申矽凌微电子科技有限公司 可中断串行总线通讯方法、系统及介质
US11567848B2 (en) * 2020-11-30 2023-01-31 Cirrus Logic, Inc. Data transmission
JP2022167593A (ja) * 2021-04-23 2022-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アクセサリとそ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
CN113342726B (zh) * 2021-06-22 2022-09-06 上海料聚微电子有限公司 一种i2c总线系统、具有外加电压工作模式的芯片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2518B1 (ko) * 1997-07-09 2000-08-01 윤종용 시스템상태를감지할수있는전원분배유닛
US7088395B2 (en) * 2001-01-29 2006-08-08 Konica Corporation Image-capturing apparatus
US7619683B2 (en) 2003-08-29 2009-11-17 Aptina Imaging Corporation Apparatus including a dual camera modul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730049Y (zh) 2004-10-14 2005-09-28 海信集团有限公司 电视机iic总线上的隔离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46492A1 (en) 2007-06-28
JP2007181202A (ja) 2007-07-12
US7656447B2 (en) 2010-02-02
CN1992804A (zh) 2007-07-04
JP4291359B2 (ja)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1359B2 (ja) I2c通信方式を利用して通信するカメラモジュール
US11119550B2 (en) USB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TWI513168B (zh) 電源轉換裝置
WO2018027502A1 (zh) 开关机电路与雾滴检测仪
US12052809B2 (en) Luminaire and luminaire control system
CN219916686U (zh) 驱动电路及显示装置
CN111508418A (zh) 显示装置的驱动电路及驱动方法
CN109361467B (zh) 一种光模块
CN104159358A (zh) 一种手电筒驱动电路及移动终端
CN111010777B (zh) 控制电路和设备控制系统
CN210378418U (zh) 一种微米发光二极管矩阵显示器
CN211557589U (zh) 控制电路和设备控制系统
CN210518243U (zh) 基于复合信号的ec复位电路以及电子设备
CN111385485A (zh) 图像采集设备与电子装置
WO2020252877A1 (zh) 一种微米发光二极管矩阵显示器
US20200337134A1 (en) Control circuit and related lighting system
CN212872640U (zh) 一种智能安防系统监控电路
CN219893174U (zh) 电源控制电路、深度相机及多机同步系统
CN109994924B (zh) 固态光源驱动装置和投影设备
CN218603200U (zh) 镜头驱动器电路和摄影设备的镜头驱动器
EP3888422B1 (en) Power supply for an led lighting unit
CN222638743U (zh) 一种控制装置及灯具
WO2015141915A1 (ko) 별도의 배선추가 없이 교류전원 벽스위치를 이용한 led 조명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342682B (zh) 供电控制电路
CN211656442U (zh) 一种开关调色温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