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456B1 - 카메라 모듈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456B1
KR100735456B1 KR1020050109041A KR20050109041A KR100735456B1 KR 100735456 B1 KR100735456 B1 KR 100735456B1 KR 1020050109041 A KR1020050109041 A KR 1020050109041A KR 20050109041 A KR20050109041 A KR 20050109041A KR 100735456 B1 KR100735456 B1 KR 100735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ens unit
camera module
hold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1454A (ko
Inventor
조정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9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456B1/ko
Publication of KR20070051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 제조 시 포커스 조정 및 렌즈부 고정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 커버는, 렌즈부가 결합되는 홀더를 덮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상기 렌즈부와 홀더의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커버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커버; 및 상기 커버 개구부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부의 광축 부위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캡 개구부가 형성되는 보조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을 사용하면, 카메라 모듈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 포커싱 작업을 할 수 있고, 보다 간편하게 렌즈부와 홀더의 결합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으며, 렌즈부 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카메라, 렌즈, 커버, 포커싱, 접착제, 홀더, 캡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Cover for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process for camera module using thereof}
도 1은 종래의 단초점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단초점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자동초점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자동초점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 커버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 커버의 보조캡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 커버가 결합된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 커버 중 메인 커버만 결합된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FPC 200 : 하우징
300 : 렌즈부 400 : 홀더
500 : 모터 610 : 메인 커버
612 : 커버 개구부 614 : 체결홀
620 : 보조캡 622 : 캡 개구부
624 : 체결돌기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덮기 위한 커버 및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 제조 시 포커스 조정 및 렌즈부 고정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출시된 휴대폰에는 휴대폰의 기본 기능 즉, 통화 및 문자기능 이외에 MP3 기능이나 네비게이션 기능 들이 추가되어 있는데, 그 중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기능이 카메라 기능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휴대폰용 카메라에 적용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단초점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단초점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은 초점이 일정하게 고정된 단초점 카메라 모듈로서, FPC(10)에 마운트 되어 있는 하우징(20)에 렌즈부(30)가 나사결합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20)에 결합된 렌즈부(30)를 회전시킴으로써 초점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단초점 카메라 모듈을 제작할 때에는, 먼저 화상을 보면서 렌즈부(30)를 회전시켜 초점을 맞춘다. 이때, 하우징(20)과 렌즈부(30)가 단순히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면, 외부로부터 충격이 인가될 때 렌즈부(30)가 미세하게 회전하게 되어 초점이 맞지 아니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초점 조절이 완료되면 본드(B) 등을 이용하여 하우징(20)과 렌즈부(30)를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초점이 흐트러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최근 고화소 카메라 모듈을 탑재한 휴대폰 시장이 커지면서, 카메라의 기능을 보다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부가 기능 구현이 필수적으로 자리 잡고 있는데, 이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이 자동 초점 기능이다.
이와 같은 자동 초점 기능은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예전부터 필수적이었지만 휴대폰에서는 최근 들어 고화소 카메라를 중심으로 채택이 늘고 있다.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를 보다 선명하게 촬영하기 위해 여러 개의 렌즈로 구성되는 렌즈 유닛이 구동 장치에 의해 이동되어 초점 거리를 맞추는 원리로, 기존의 단초점 카메라 모듈과 같이 렌즈부(30)가 일정 위치에 고정되는 단순한 구조와 달리 상당히 복잡한 구조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자동초점 카메라 모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자동초점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자동초점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초점 카메라 모듈은, FPC(10)에 마운팅되어 있는 하우징(20)과, 내측에 렌즈부(30)가 나사결합 구조로 체결되며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되는 홀더(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홀더(4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 홀더(40)에 결합된 렌즈부(30) 역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초점을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에는 홀더(40)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모터(50)를 포함한 여러 가지 구동장치들이 장착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성들에 이물질이 인입되지 아니하도록 커버(60)로 덮여진다. 이때 커버(60)의 상면에는 렌즈부(30)의 상면 중심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마련된다.
또한 자동초점 카메라 모듈은, 초점 변경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하더라도 렌즈부(30)의 이동거리가 무한하지 않고 기구에서 허용할 수 있는 한도에서 정해지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단초점 카메라 모듈과 마찬가지로 어느 하나의 기준점을 잡은 후 그 위치를 중심으로 특정 구간만큼의 이동 구간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준점은 흔히 광센서나 자기 센서 등을 사용하여 결정하게 되는 데, 렌즈부(30)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에 의한 편차, 센서 장착시의 조립 편차 등의 여러 가지 편차에 의해 제품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렌즈위치 조절작업 즉, 포커싱(Focusing) 작업이 자동 초점 모듈에서도 필요하게 된다.
렌즈위치 조절작업을 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0)를 덮고 렌즈부(30)를 회전시켜 기준점이 되는 지점을 설정한다. 기준점 설정이 완료되면 커버(60)를 벗기고 렌즈부(30)와 홀더(40) 사이에 본드(B)를 도포함으로써 렌즈부(30)를 홀더(40)에 고정 결합시킨 후(도 3 참조), 다시 커버(60)를 조립한다.
이때, 커버(60)의 개구부와 렌즈부(30)의 상면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어 카메라 모듈 내부로 이물질이 인입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개구부의 지름은 렌즈부(30)의 상면 지름부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60)를 덮은 상태에서는 렌즈부(30)와 홀더(40)의 결합부위가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본드(B) 도포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우므로, 본드(B)를 도포하여 렌즈부(30)와 홀더(40)를 결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60)를 벗긴 후 작업을 해야 하는데, 커버(60)를 벗기고 다시 장착시키는 동안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기준점 즉, 렌즈부(3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커버(60)의 탈착으로 인하여 제작시간이 길어지고 제작이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커버(60)가 벗겨진 상태에서 기준점을 설정하는 작업은 카메라 모듈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린룸(Clean-room)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제작 공정 및 라인이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커버(60)를 사용하는 경우 렌즈부(30)를 보수하거나 교체 하기 위해서는 커버(60) 전체를 분리시켜야하므로, 렌즈부(30) 보수 및 교체가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카메라 모듈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 포커싱 작업을 할 수 있고, 보다 용이하게 렌즈부와 홀더의 결합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으며, 렌즈부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 커버는,
렌즈부가 결합되는 홀더를 덮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상기 렌즈부와 홀더의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커버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 커버; 및
상기 커버 개구부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부의 광축 부위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캡 개구부가 형성되는 보조캡;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캡은, 저면 일부가 상기 커버 개구부의 가장자리 상면에 안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커버 개구부의 가장자리 상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커버는, 상기 체결돌기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 가능한 형상의 체결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홀은 상기 보조캡의 수직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홀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는 끝단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의 일단은 상기 체결돌기의 끝단이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의 타단은 상기 체결돌기의 끝단이 삽입 불가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는 렌즈부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홀더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메인 커버는 상기 구동장치를 덮도록 하우징에 결합된다.
상기 보조캡은 상기 메인 커버와 접촉되는 면이 밀폐되도록 접착제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은,
렌즈부가 결합되는 홀더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메인 커버를 상기 렌즈부 및 홀더가 덮이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보조캡을 상기 메인 커버에 가고정하는 단계;
상기 렌즈부와 상기 홀더의 결합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렌즈부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메인 커버로부터 상기 보조캡을 분리시킨 후 상기 렌즈부와 홀더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보조캡을 상기 메인 커버에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렌즈부와 홀더를 결합시키는 단계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부와 홀더 사이의 접촉면을 밀폐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 커버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 커버의 보조캡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 커버는, FPC(100)에 마운팅되어 있는 하우징(200)과, 내측에 렌즈부(300)가 나사결합 구조로 체결되며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홀더(400)와, 상기 홀더(40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모터(500)를 포함한 각종 구동장치를 덮는 메인 커버(610) 및 보조캡(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메인 커버(610) 및 보조캡(620)에 의해 덮여지는 FPC(100), 하우징(200), 렌즈부(300), 홀더(400) 및 모터(500)는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부품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인 커버(610)는 종래 커버에 형성되는 개구부(도 4 참조)에 비해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어 적어도 상기 렌즈부(300)와 홀더(400)의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시키는 커버 개구부(61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커버 개구부(612)가 크게 형성되는 이유는, 렌즈부(300)와 홀더(400)의 결합부위를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렌즈부(300)와 홀더(400)의 결합부위에 접착제(B)를 도포하기 위함이다. 렌즈부(300)와 홀더(400)의 결합부위에 접착제(B)를 도포하는 작업에 대해서는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보조캡(620)은, 상기 커버 개구부(612)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렌즈부(300)의 광축 부위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커버 개구부(612)보다 작은 크기의 캡 개구부(622)가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캡(620)은 메인 커버(610)에 결합되었을 때 커버 개구부(612)의 가장자리 부위를 덮음으로써 커버 개구부(612)를 통해 메인 커버(610)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외부의 화상은 캡 개구부(622)를 통해 렌즈부(300)로 입사되므로, 입사되는 화상이 보조캡(620)에 간섭되지 아니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캡(62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캡(62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내부에 캡 개구부(622)가 형성되며 메인 커버(610)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보조캡(620)은 저면 일부가 커버 개구부(612)의 가장자리 상면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며 커버 개구부(612)의 가장자리 상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624)가 형성되고, 메인 커버(610)는 상기 체결돌기(624)와 대응되는 부위에 체결돌기(624)가 삽입 가능하며 상기 보조캡(620)의 수직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갖는 호 형상의 체결홀(6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624)는 끝단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614)의 일단은 상기 체결돌기(624)의 끝단이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614)의 타단은 상기 체결돌기(624)의 끝단이 삽입 불가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체결돌기(624)를 체결홀(614)의 일단을 통해 삽입시킨 후 체결돌기(624)가 체결홀(614)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체결홀(614)의 타단에 위치되도록 보조캡(620)을 회전시키면, 체결돌기(624)의 끝단이 체결홀(614)의 타단에 간섭되어 체결홀(614)로부터 인출되지 아니하므로 보조캡(620)이 메인 커버(610)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가고정된다.
또한, 보조캡(620)과 메인 커버(610)의 접촉면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캡(620)과 메인 커버(610)의 접촉면은 포커싱 조정이 완료된 이후 접착제(B)에 의해 밀폐되도록 결합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 커버가 결합된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 커버 중 메인 커버만 결합된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렌즈부(300)의 기준점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렌즈부(300)가 결합되는 홀더(400) 와, 모터(500) 등의 구동장치를 하우징(200)에 장착시킨 후, 하우징(200) 및 상기 하우징(200)에 장착된 각종 부품을 덮도록 메인 커버(610)를 하우징(200)에 결합하고, 보조캡(620)을 메인 커버(610)에 가고정시킨다.
사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커버(610) 및 보조캡(620)이 결합된 상태에서 렌즈부(300)와 상기 홀더(400)의 결합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렌즈부(300)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작업 즉, 포커싱 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하우징(200)에 안착된 각 부품들은 상기와 같이 메인 커버(610) 및 보조캡(620)으로 덮여 있으므로, 포커싱 작업 중 이물질이 하우징(200)에 안착된 각종 부품 사이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포커싱 작업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커버(610)로부터 상기 보조캡(620)을 분리시킨 후 접착제(B)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부(300)와 홀더(400)를 결합시킨다.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커버(6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개구부가 렌즈부(30)의 상면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 렌즈부(30)와 홀더(40) 사이의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접착제(B)를 이용하여 렌즈부(30)와 홀더(40)를 결합시키는 작업이 매우 난해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메인 커버 (610)를 사용하면, 렌즈부(300)와 홀더(400) 사이의 결합부위가 커버 개구부(6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므로 접착제(B)를 이용하여 렌즈부(300)와 홀더(400)를 결합시키는 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 커버(610)와 보조캡(62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접착제(B)로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렌즈부(300)와 홀더(400)의 결합이 완료되면, 보조캡(620)을 커버 개구부(612)에 결합시켜 카메라 모듈의 제조를 완료한다. 이때 보조캡(620)이 본체 커버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접착제(B) 등을 이용하여 보조캡(620)을 메인 커버(610)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부(300)를 교체하거나 수리를 하고자 하는 경우, 메인 커버(610) 전체를 분리시키지 아니하고 보조캡(620)만을 분리함으로써 렌즈부(300)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을 사용하면, 카메라 모듈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면서 포커싱 작업을 할 수 있고, 보다 간편하게 렌즈부와 홀더의 결합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으며, 렌즈부 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렌즈부(300)가 결합되는 홀더(400)를 덮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상기 렌즈부(300)와 홀더(400)의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커버 개구부(612)가 형성되는 메인 커버(610); 및
    상기 커버 개구부(612)에 결합되며, 상기 렌즈부(300)의 광축 부위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캡 개구부(622)가 형성되는 보조캡(6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캡(620)은,
    저면 일부가 상기 커버 개구부(612)의 가장자리 상면에 안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커버 개구부(612)의 가장자리 상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624)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커버(610)는,
    상기 체결돌기(624)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체결돌기(624)가 삽입 가능한 형상의 체결홀(6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614)은 상기 보조캡(620)의 수직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624)는 상기 체결홀(6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홀(61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624)는 끝단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614)의 일단은 상기 체결돌기(624) 끝단의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체결돌기(624)의 끝단이 삽입 불가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커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400)는 렌즈부(300)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하우징(200)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200)에는 상기 홀더(4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장착되며,
    상기 메인 커버(610)는 상기 구동장치를 덮도록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커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캡(620)은 상기 메인 커버(610)와 접촉되는 면이 밀폐되도록 접착제(B)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커버.
  7. 렌즈부(300)가 결합되는 홀더(400)를 하우징(200)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메인 커버(610)를 상기 렌즈부(300) 및 홀더(400)가 덮이도록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하고,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구조로 구성되는 보조캡(620)을 상기 메인 커버(610)에 가고정하는 단계;
    상기 렌즈부(300)와 상기 홀더(400)의 결합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렌즈부(300)의 기준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메인 커버(610)로부터 상기 보조캡(620)을 분리시킨 후 상기 렌즈부(300)와 홀더(400)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보조캡(620)을 상기 메인 커버(610)에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300)와 홀더(400)를 결합시키는 단계는,
    접착제(B)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부(300)와 홀더(400) 사이의 접촉면을 밀폐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KR1020050109041A 2005-11-15 2005-11-15 카메라 모듈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KR100735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041A KR100735456B1 (ko) 2005-11-15 2005-11-15 카메라 모듈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041A KR100735456B1 (ko) 2005-11-15 2005-11-15 카메라 모듈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454A KR20070051454A (ko) 2007-05-18
KR100735456B1 true KR100735456B1 (ko) 2007-07-04

Family

ID=3827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041A KR100735456B1 (ko) 2005-11-15 2005-11-15 카메라 모듈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5026B (zh) * 2017-02-27 2024-03-01 广东弘景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摄像模组精准辅助安装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4465A (ja) * 2002-04-05 2004-01-08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カメラ付携帯通信端末
KR20040100457A (ko) * 2003-05-23 2004-12-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56695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 커버장치
KR20050079123A (ko) * 2004-02-04 2005-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US20050237415A1 (en) * 2004-04-26 2005-10-27 Yung-Cheol Kong Image sensor module having auto-aligned len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focus of le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4465A (ja) * 2002-04-05 2004-01-08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カメラ付携帯通信端末
KR20040100457A (ko) * 2003-05-23 2004-12-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초점거리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56695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 커버장치
KR20050079123A (ko) * 2004-02-04 2005-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US20050237415A1 (en) * 2004-04-26 2005-10-27 Yung-Cheol Kong Image sensor module having auto-aligned len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nd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focus of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454A (ko) 200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5070B1 (ko) 디지털 카메라 모듈, 그 조립장치 및 방법
WO2018035944A1 (zh) 具有镜头和棱镜装置的潜望式摄像模组
JP2008197313A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07006475A (ja) 移動通信装置のカメラモジュール
JP5463651B2 (ja) カメラ、カメラ用アクセサリ
JP2008191423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該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撮像装置
US7513704B2 (en) Electronic image pickup apparatus
KR101092124B1 (ko) 촬상 장치, 상기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 및 촬상장치의 제조 방법
US7990634B2 (en) Lens module with grooved barrel
CN111983767A (zh) 潜望式镜头模组及移动终端
JP2012098429A (ja) 光学系レンズユニット及びその接着方法
KR101445223B1 (ko) 하우징, 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JP4259504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8020523A (ja) 撮像装置
KR100735456B1 (ko) 카메라 모듈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CN101210988A (zh) 镜头模组及相机模组
US8947798B2 (en) Lens cap unit
JP2007041141A (ja) レンズ保持構造体、レンズ位置調整方法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3075707A (ja) 鏡枠装置及びこれを使用する電子カメラ
US7321726B2 (en)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camera module
CN115774312A (zh) 光学镜头及其组装方法以及摄像模组
JP2007147729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5141052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2008304815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13168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ユニッ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