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223B1 - 하우징, 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하우징, 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5223B1 KR101445223B1 KR1020100104233A KR20100104233A KR101445223B1 KR 101445223 B1 KR101445223 B1 KR 101445223B1 KR 1020100104233 A KR1020100104233 A KR 1020100104233A KR 20100104233 A KR20100104233 A KR 20100104233A KR 101445223 B1 KR101445223 B1 KR 1014452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rel
- trap
- hollow portion
- width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하우징, 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하우징은, 배럴이 삽입되는 하우징에 있어서, 제1 너비를 가지는 제1 중공부가 형성되며, 먼지를 포집하도록 상기 배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하부인 그 하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트랩과, 먼지를 포집하도록 상기 배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서 그 상단부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부트랩을 구비하는 하부재; 및 상기 제1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2 너비를 가지는 제2 중공부가 상기 제1중공부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하우징, 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내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중공부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어 적외선을 차단하는 필터와, 중공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우징에 결합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와, 하우징의 내측벽에 광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배럴을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은 배럴과 이미지센서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피사체가 이미지센서에 선명하게 촬영되도록 자동초점(focusing) 기능을 가진다.
카메라 모듈이 자동초점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이미지센서에 촬영되는 피사체 상의 위치가 바뀌게 된다. 즉, 피사체와 배럴과의 거리에 따라 상이 형성되는 위치가 바뀐다. 이때, 이미지센서에 선명한 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배럴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배럴이 하우징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므로, 배럴과 하우징의 마찰이나 부딪힘을 방지하도록 배럴과 하우징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 사이로 이물질이 들어가 필터나 이미지센서로 유입되게 된다.
이에 의해, 이미지센서는 실제 촬영되는 피사체의 영상이 아닌 이물질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필터나 이미지센서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하우징, 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럴이 삽입되는 하우징에 있어서, 제1 너비를 가지는 제1 중공부가 형성되며, 먼지를 포집하도록 상기 배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하부인 그 하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트랩과, 먼지를 포집하도록 상기 배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서 그 상단부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부트랩을 구비하는 하부재; 및 상기 제1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2 너비를 가지는 제2 중공부가 상기 제1중공부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렌즈가 구비되는 하단부재; 및 상기 하단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며, 너비가 상기 하단부재의 너비보다 크며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단부재를 포함하는 배럴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렌즈가 구비되는 하단부재와, 상기 하단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며, 너비가 상기 하단부재의 너비보다 크며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단부재를 포함하는 배럴; 및 제1 너비를 가지는 제1 중공부가 형성되며, 먼지를 포집하도록 상기 배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서 그 상단부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부트랩을 구비하는 하부재와, 상기 제1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2 너비를 가지는 제2 중공부가 상기 제1중공부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하부트랩은 상기 제1 너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상부트랩은 상기 제2 너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트랩에 포집된 먼지가 상기 하부재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상부트랩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상부트랩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부재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게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재는 먼지를 포집하도록 상기 배럴과의 간극 사이의 하부인 그 하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트랩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상단부재의 외곽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나 이미지센서로 이물질이 유입되기 전 이물질을 부착시켜 이물질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사용빈도가 증가하여도 초기와 같이 깨끗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하부재(110) 및 상부재(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배럴 (도 6 참조: 200)이 삽입될 수 있다.
이해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부재(110)와 상부재(120)를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부재(110)와 상부재(120)는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하부재(110)와 상부재(120)는 외부가 하나의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육면체 내부의 중공부는 서로 너비가 다른 상하로 구분될 수 있다. 서로 너비가 다른 상하는 단턱을 이룰 수 있다.
하부재(110)에는 제1 너비를 가지는 제1 중공부(111)가 형성된다. 하부재(110)는 하부트랩(113)과 상부트랩(115)을 구비한다.
외부가 직육면체 형상인 하우징(100)은 내부가 상부재(120)에서 하부재(110)로 단턱지는 경우, 상부재(120)와 하부재(110)가 절곡되는 하부재(110)의 상단에 상부트랩(115)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재(110)의 하단은 배럴(200)을 지지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단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단턱으로 절곡되는 영역에 하부트랩(113)이 형성될 수 있다.
먼지가 유입되는 것이 금지되는 영역 일 예로, 필터(311)를 먼지유입금지영역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지유입금지영역으로 유입되기 전에 이물질이 부착되도록, 하부트랩(113)과 상부트랩(115)은 점착성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부트랩(113)과 상부트랩(115)은 접착성이 있는 필름지가 부착될 수 있다.
하부트랩(113)은 먼지를 포집하도록 배럴(20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하부인 하부재(110)의 하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하부트랩(113)에는 오목한 둘레면을 따라 점착성 물질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트랩(113)은 하부재(110)가 원통형상일 경우 제1 너비의 둘레인 제1 내경(R1)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하부트랩(113)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먼지유입금지영역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사방에서 차폐할 수 있다. 하부트랩(113)의 형상은 링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링 형상 이외에 폐곡된 사각형의 테두리를 이루거나 타원형의 테두리를 이룰 수 있는 등 그 변형예는 다양하다.
상부트랩(115)은 먼지를 포집하도록 배럴(20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하부재(110) 상단부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부트랩(115)에는 오목한 둘레면을 따라 점착성 물질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트랩(115)은 하부재(110)가 원통형상일 경우 제2 너비의 둘레인 제2 내경(R2)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부트랩(115)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먼지유입금지영역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사방에서 차폐할 수 있다. 상부트랩(115)의 형상은 링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링 형상 이외에 폐곡된 사각형의 테두리를 이루거나 타원형의 테두리를 이룰 수 있는 등 그 변형예는 다양하다.
상부트랩(115)에 포집된 먼지가 하부재(110)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부트랩(115)에는 돌기(116)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116)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부재(120)는 제1 내경(R1)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2 내경(R2)을 가지는 제2 중공부(121)가 제1 중공부(111)와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하우징(100)의 내부는 제1 내경(R1)을 가지는 제1 중공부(111)가 하우징(100)의 하부에 형성되고 그 위에 연장되어 제2 내경(R2)을 가지는 제2 중공부(121)가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우징(1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럴(2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2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200)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배럴(200)은 하단부재(210) 및 상단부재(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200)은 하나 이상의 렌즈가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배럴(200)은 렌즈를 통한 광원이 후술되는 이미지센서로 입사되도록 한다. 먼지유입금지영역에 이물질이 유입되면 그림자가 생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먼지유입금지영역으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먼지유입금지영역으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럴(200)은 단차를 이룰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하단부재(210)는 내부에 렌즈를 구비한다. 하단부재(21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단부재(210)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 재질의 렌즈를 플라스틱 사출물이 외측에서 지지하는 형상일 수 있다.
상단부재(220)는 하단부재(2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단부재(220)는 너비가 하단부재(210)의 너비보다 크며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단부재(220)는 하단부재(210)와 단차를 형성하여 처마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단부재(220)의 상부에서 먼지가 유입시, 상단부재(220)와 하단부재(210)가 단차를 이루어 상단부재(220)의 외곽 내측 하부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단부재(220)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게 경사질 수 있다. 상단부재(220)는 외주면이 경사진 원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우징(100) 및 배럴(2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메라 모듈(3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3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30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하우징(100) 및 배럴(200)과 중복되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구성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300)은 필터(311), 배럴(200) 및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300)은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메인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는 이미지센서(미도시)가 와이어본딩 방식으로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과 이미지센서가 패키지화 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의 상부에는 필터(311)가 실장될 수 있다.
필터(311)는 이미지센서로 유입되는 광원 중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구성으로 렌즈로부터 이미지센서에 이르는 경로상에 구비되는 것이다. 필터(311)는 하우징(100)의 내측 하단부인 이미지센서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311)는 접착제 등에 의해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311)의 상부에는 배럴(200)이 배치된다. 배럴(200)은 하단부재(210)와 상단부재(220)를 포함한다. 상단부재(220)는 하단부재(210)와 단차를 형성하여 처마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단부재(220)의 상부에서 먼지가 유입시, 상단부재(220)와 하단부재(210)가 단차를 이루어 상단부재(220)의 외곽 내측 하부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측 하단부에는 필터(311), 이미지센서 및 인쇄회로기판이 실장되고, 하우징(100)의 상단부인 필터(311)의 상부에는 배럴(200)이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하부재(110) 및 상부재(120)를 포함한다. 하부재(110)는 제1 내경(R1)을 가지는 제1 중공부(111)가 형성된다. 상부재(120)는 제1 내경(R1)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2 내경(R2)을 가지는 제2 중공부(121)가 제1중공부와 단차지게 형성된다.
하부재(110) 및 상부재(120)의 내측에는 배럴(200)이 광축방향인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홀딩된다. 이는 배럴(200)의 초점이 이루어지도록 배럴(200)이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 이로써, 이미지센서에 입사되는 이미지가 흐리지 않고 또렷하도록 자동으로 초점이 맞추어진다.
자동초점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구동원으로 예를 들어 음성코일모터(Voice Coil Motor, VCM)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압전 액츄에이터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배럴(200)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배럴(200)을 수용하는 하우징(100)의 내측도 이에 대응하여 원형의 중공으로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100) 내측에서 배럴(200) 이동의 방해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 배럴(200)과 하우징(100)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갭인 간극을 통해 필터(311)나 이미지센서로 이물질이 들어가 실제 촬영되는 이미지에 이물질에 의한 그림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에 의한 그림자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00)은 이물질이 필터(311)나 이미지센서로 유입되기 전에 이물질을 부착시키도록 접착제가 형성되는 상부트랩(115) 및 하부트랩(113)을 포함한다.
상부트랩(115)은 먼지를 포집하도록 배럴(200)과 하부재(110)의 사이인 간극 에 형성되는데, 하부재(110)의 상단부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하부트랩(113)은 먼지를 포집하도록 배럴(200)과의 사이인 간극에 형성되는데, 하부재(110)의 하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부트랩(115)의 직경은 하부트랩(11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부에서 보면, 상부트랩(115)의 내측에 하부트랩(113)이 형성되는 것과 같다. 상부트랩(115)과 하부트랩(113)은 상하에 각각 배치되며, 그 좌우둘레의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먼지가 상부트랩(115)에서 하부트랩(113)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부트랩(115)이 하부트랩(113)보다 외측으로 형성되므로 상부트랩(115)에서 내측으로 꺾인 후 하부로 이동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먼지의 이동경로는 직선형이 아닌 꺾임을 가지는 "S"자처럼 절곡되는 형태를 가지게 되어 먼지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돌기(116)에 의해 먼지의 이동경로가 차단되기 때문에 더욱 용이하지 않다.
여기서, 돌기(116)는 상부트랩(115)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고, 배럴(200)방향인 상부트랩(115)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절곡될 수 있다. 돌기(116)는 상단부재(220)의 외곽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먼지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차단 되므로 먼지의 유입이 감소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외측 상단에는 하우징(100)을 커버하는 실드(S)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실드(S)는 배럴(200)으로 광원이 입사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실드(S) 내에 하우징(100)이 수용 및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센서로 이물질이 유입되기 전 상부트랩과 하부트랩에서 이물질을 부착시켜 이미지센서에 이물질에 의한 그림자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사용빈도가 증가하여도 사용초기와 같이 깨끗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0: 하우징
110: 하부재
111: 제1 중공부
113: 하부트랩
115: 상부트랩
120: 상부재
121: 제2 중공부
200: 배럴
210: 하단부재
220: 상단부재
300: 카메라 모듈
311: 필터
110: 하부재
111: 제1 중공부
113: 하부트랩
115: 상부트랩
120: 상부재
121: 제2 중공부
200: 배럴
210: 하단부재
220: 상단부재
300: 카메라 모듈
311: 필터
Claims (19)
- 배럴이 삽입되는 하우징에 있어서,
제1 너비를 가지는 제1 중공부가 형성되며, 먼지를 포집하도록 상기 배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하부인 그 하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트랩과, 먼지를 포집하도록 상기 배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서 그 상단부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부트랩을 구비하는 하부재; 및
상기 제1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2 너비를 가지는 제2 중공부가 상기 제1중공부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트랩은 상기 제1 너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상부트랩은 상기 제2 너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트랩에 포집된 먼지가 상기 하부재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상부트랩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상부트랩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 삭제
- 삭제
- 렌즈가 구비되는 하단부재와, 상기 하단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며, 너비가 상기 하단부재의 너비보다 크며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단부재를 포함하는 배럴; 및
제1 너비를 가지는 제1 중공부가 형성되며, 먼지를 포집하도록 상기 배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서 그 상단부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부트랩을 구비하는 하부재와, 상기 제1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2 너비를 가지는 제2 중공부가 상기 제1중공부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는 먼지를 포집하도록 상기 배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하부인 그 하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트랩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트랩은 상기 제1 너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상부트랩은 상기 제2 너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트랩에 포집된 먼지가 상기 하부재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상부트랩의 내측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상단부재의 외곽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재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게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 렌즈가 구비되는 배럴; 및
광축 방향으로 단턱진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에 상기 배럴이 삽입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배럴의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이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중공부의 단턱진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의 외주면 중 일부는 경사면인 카메라 모듈.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은 상기 홈이 구비되는 하단부재와, 상기 하단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재의 하면의 직경은 상기 상단부재의 상면의 직경보다 더 큰 카메라 모듈.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은 상기 홈을 기준으로 광축 방향 하측부분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부분에서 적어도 두 번 직경이 변하는 카메라 모듈.
- 렌즈가 구비되는 배럴; 및
서로 다른 너비를 가지는 제1 중공부와 제2 중공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상기 배럴이 삽입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배럴의 외주면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배럴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단차진 부분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중공부와 상기 제2 중공부 사이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 렌즈가 구비되는 배럴; 및
광축 방향으로 단턱진 중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부에 상기 배럴이 삽입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배럴의 외주면에는 광축 방향 양측으로 각각 단차가 구비되어 상기 배럴의 직경이 증가하는 카메라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4233A KR101445223B1 (ko) | 2010-10-25 | 2010-10-25 | 하우징, 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4233A KR101445223B1 (ko) | 2010-10-25 | 2010-10-25 | 하우징, 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8150A Division KR20140061331A (ko) | 2014-03-31 | 2014-03-31 | 하우징, 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2517A KR20120042517A (ko) | 2012-05-03 |
KR101445223B1 true KR101445223B1 (ko) | 2014-09-29 |
Family
ID=4626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4233A KR101445223B1 (ko) | 2010-10-25 | 2010-10-25 | 하우징, 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522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0412B1 (ko) * | 2012-05-09 | 2018-12-2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보이스 코일 모터 |
KR102021412B1 (ko) * | 2012-05-09 | 2019-09-1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보이스 코일 모터 |
CN104280981B (zh) * | 2013-07-09 | 2017-09-01 | 三星电机株式会社 | 相机模块 |
US9063389B2 (en) | 2013-07-09 | 2015-06-23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Camera module |
KR102107017B1 (ko) * | 2013-07-29 | 2020-05-0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KR102117094B1 (ko) * | 2013-09-06 | 2020-05-2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WO2015016586A1 (ko) * | 2013-07-29 | 2015-02-0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GB2537628B (en) * | 2015-04-21 | 2019-05-15 | Qioptiq Ltd | Low stress mounting configuration for optical component |
KR20240085019A (ko) * | 2022-12-07 | 2024-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카메라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46630A (ja) * | 2006-08-17 | 2008-02-28 | Samsung Electro Mech Co Ltd | カメラモジュールの組立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
US20090303591A1 (en) | 2008-06-10 | 2009-12-10 | Guoji Zhang | Lens module |
-
2010
- 2010-10-25 KR KR1020100104233A patent/KR1014452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046630A (ja) * | 2006-08-17 | 2008-02-28 | Samsung Electro Mech Co Ltd | カメラモジュールの組立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
US20090303591A1 (en) | 2008-06-10 | 2009-12-10 | Guoji Zhang | Lens mod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2517A (ko) | 2012-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5223B1 (ko) | 하우징, 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 |
US8858100B2 (en) | Auto focus-zoom actuator or camera module contamination reduction feature with integrated protective membrane | |
CN109581785B (zh) | 减少杂散光的摄像模组及其感光组件 | |
US9531933B2 (en) | Camera module | |
TWI667508B (zh) | 鏡頭驅動裝置、相機模組以及相機搭載裝置 | |
CN211206923U (zh) | 光学组件驱动机构 | |
JP2012098429A (ja) | 光学系レンズユニット及びその接着方法 | |
KR20160077916A (ko) | 하우징,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 |
KR102137567B1 (ko) | 카메라 모듈 | |
JP2007264115A (ja) | カメラモジュール | |
KR20140061331A (ko) | 하우징, 배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 |
KR102197306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1469897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521649B1 (ko) | 카메라 모듈 | |
KR20150033077A (ko) | 카메라 모듈 | |
KR101268983B1 (ko) | 경통 모듈 | |
JP4492085B2 (ja) |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 |
KR20130057263A (ko) | 카메라 모듈 | |
JP2007147729A (ja) | カメラモジュール | |
JP4517623B2 (ja) |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 |
KR20130051771A (ko) | 카메라 모듈 | |
US20140198385A1 (en) | LarView Technologies Corporation | |
CN111965920A (zh) | 摄影装置 | |
KR101754737B1 (ko) | 칩 온 보드 센서 부착용 렌즈 스탠드 오프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
JP2005010401A (ja) | レンズ鏡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