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187B1 -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 - Google Patents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187B1
KR100735187B1 KR1020050052920A KR20050052920A KR100735187B1 KR 100735187 B1 KR100735187 B1 KR 100735187B1 KR 1020050052920 A KR1020050052920 A KR 1020050052920A KR 20050052920 A KR20050052920 A KR 20050052920A KR 100735187 B1 KR100735187 B1 KR 100735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accessories
bent
packaging box
pack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3205A (ko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187B1/ko
Publication of KR20060133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65D5/5066Paper elements formed by folding or assembling two or more panels to create a central aperture extending in at least two planes in which the contents are loc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22Details
    • B65D65/24Tabs or other projections for locat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kitchen devices, including unspecified devices, e.g. Haushaltgeräte
    • B65D2585/68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kitchen devices, including unspecified devices, e.g. Haushaltgeräte cookers or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 제품에 포함되는 부속품을 포장하는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는, 조리기기의 악세사리(200,300)가 안착되는 제1면(120)과; 상기 제1면(120)의 양측에서 각각 절곡되며, 상기 악세사리(200,300)의 일부를 수용하여 유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제2면(140)과; 상기 각각의 제2면(140) 일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단부가 조리실(420)의 내측과 접하여 구속되는 제3면(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면(120)의 양측단에는 절곡된 상기 제2면(140)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편(12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재료비가 절감되고 작업공정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조리기기, 부속품, 일체, 포장박스, 절곡부, 절개부, 고정편

Description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 { A packing box for Accessories }
도 1 은 종래기술에 의한 부속품 포장용 박스의 전개도.
도 2 는 종래기술에 의한 부속품 포장용 박스에 부속품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종래기술에 의한 부속품 포장용 박스가 전자레인지의 조리실에 수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의 전개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가 절곡되어 형성된 포장박스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에 부속품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를 전자레인지의 조리실에 수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포장박스 120. 제1면
122. 제1절곡부 124. 절개부
126. 돌출편 128. 안착홈
140. 제2면 142. 제2절곡부
144. 수용홈 160. 제3면
180. 고정편 200. 만두찜통
300. 랙 400. 전자레인지
420. 조리실
본 발명은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기기 제품에 포함되는 부속품을 간단하게 포장하는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 제품(전자레인지, 전기오븐, 가스오븐 등)에는 조리의 특성상 조리에 부속되는 몇가지의 부속품(예컨대, 만두찜통, 랙, 구이판 등)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부속품은 비닐 등에 먼저 포장되고 다수개의 면으로 밀폐된 포장용 박스에 안착되어 조리기기 제품의 내부 공간에 수용됨으로써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도 1 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부속품 포장용 박스의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부속품 포장용 박스에 부속품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부속품 포장용 박스가 전자레인지의 조리실에 수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의한 포장용 박스(10)는 대략 육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부속품이 안착되도록 각 면이 서로 겹쳐지거나 결합됨으로써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즉, 부속품이 안착되는 받침면(11)을 중심으로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12)과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제1측면(13) 및 제2측면(14), 그리고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1면(15), 후2면(16), 후3면(17)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전면(12)의 양측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면고정홈(13a,14a)에 수용되는 전면고정부(12a)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대략 중앙부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전면통공(12b)이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12)의 후방에는 부속품이 안착되는 받침면(11)이 상기 전면(12)과 측면(13,14) 및 후면(15,16,17)에 대응되는 육면(六面)을 가지면서 형성된다. 상기 받침면(11)의 중앙부에는 상기 포장용 박스(10)가 조리기기 제품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때 포장용 박스(10)를 고정하는 안착홈(11a)이 형성되며, 양측단부에는 절개부(11b) 및 절곡부(F)를 가지면서 접어지는 상기 제1측면(13) 및 제2측면(14)이 형성된다.
상기 제1측면(13) 및 제2측면(14)의 전단부에는 상기 전면고정부(12a)가 수용되는 전면고정홈(13a,14a)이 관통 형성되고, 양측단부에는 연장되어 절곡되면서 포장용 박스(10)의 덮개를 형성하는 제1커버(18) 및 제2커버(19)가 형성된다.
상기 제1커버(18)와 제2커버(19)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면통공(18a,19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19)의 우측단에는 제2커버(19)가 고정되는 제2커버고정부(19b)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커버(18)의 우측단부에는 상기 제2 커버고정부(19b)가 수용되는 제2커버고정홈(18b)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받침면(11)의 후방으로는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3개의 후면(15,16,17)이 중앙과 양측방으로 형성된다. 즉, 후1면(15)과 후2면(16) 및 후3면(17)이 형성되는데, 각 후면(15,16,17)의 중앙부에는 접어지는 절곡부(F)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후2면(16)과 후3면(17)의 하단부와 상기 제1측면(13)과 제2측면(14) 사이에는 후2면(16) 및 후3면(17)을 보강하는 제2후2면보강부(16') 및 제2후3면보강부(17')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2면(16)과 후3면(17)의 단부에는 후2면(16)과 후3면(17)이 접어지면서 고정되는 후2면고정부(16a) 및 후3면고정부(17a)가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후2면고정부(16a) 및 후3면고정부(17a)의 대응되는 방향의 단부에는 이들을 수용하는 후2면고정홈(16b) 및 후3면고정홈(17b)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상기 후2면(16)과 후3면(17)의 사이에는 후1면(15)이 형성되는데, 상기 후1면(15)의 상반부에는 그 중앙부가 절곡부(F)를 중심으로 2부분으로 접어져서 상기 후2면(16)및 후3면(17)을 보강하는 제1후2면보강부(15a) 및 제1후3면보강부(15b)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포장용 박스(10)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후2면보강부(15a) 및 제1후3면보강부(15b)를 절곡부(F)를 중심으로 접고 상기 후2면(16) 및 후3면(17)의 전방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제2후2면보강부(16') 및 제2후3면보강부(17')를 상기 제1후2면보강부(15a) 및 제1후3 면보강부(15b)와 같이 상기 후2면(16) 및 후3면(17)의 전방에 위치하게 한 다음, 상기 후2면고정부(16a) 및 후3면고정부(17a)를 후2면고정홈(16b)과 후3면고정홈(17b)에 수용되도록 상기 후2면(16)과 후3면(17)을 접음으로써 후면(15,16,17)이 형성되게 한다.
이어서 상기 전면(12)과 상기 제1측면(13) 및 제2측면(14)을 절곡부(F)를 중심으로 후방과 측방으로 접음으로써 전면(12) 및 측면(13,14)을 형성하게 한 다음, 상기 전면고정부(12a)를 상기 전면고정홈(13a,14a)에 수용되도록 하여 전면(12)과 측면(13,14)을 고정하게 되면 부속품을 내부에 안착시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리기기에 포함되는 부속품을 안착시키게 되는데, 여기에서는 전자레인지(40)에 포함되는 만두찜통(20) 및 랙(30)을 포장하는 모습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커버(18)와 제2커버(19)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포장용 박스(10)의 받침면(11) 상부에 비닐로 1차적으로 포장된 만두찜통(20)을 올려 놓고, 상기 만두찜통(20)의 상단에 원통형의 랙(30)을 올려 놓게 되면 포장용 박스(10)에 부속품의 안착이 완료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1커버(18)와 제2커버(19)를 덮게 되는데, 상기 제1커버(18)를 먼저 우측방으로 덮은 다음 상기 제2커버(19)의 제2커버고정부(19b)를 제1커버(18)의 제2커버고정홈(18b)에 삽입함으로써 포장용 박스(10)를 밀봉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40)의 조리실(42)에 상기 포 장용 박스(10)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전자레인지(40)의 부속품의 포장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포장용 박스(10)는 육각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면을 형성하는 전면(12)과 측면(13,14) 및 후면(15,16,17), 그리고 받침면(11)과 커버(18,19)가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밀폐됨으로써 재료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포장용 박스(10)의 각 면을 이루는 전면(12)과 측면(13,14) 및 후면(15,16,17)이 각 절곡부(F)를 중심으로 여러 번 접도록 되어 있고, 또한 후면(15,16,17)에 보강부(15a,15b,16',17')가 서로 겹쳐지도록 하여 결합됨으로써 작업공정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재료가 절감되는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공정이 줄어 드는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는, 조리기기의 악세사리가 안착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양측에서 각각 절곡되며, 상기 악세사리의 일부를 수용하여 유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제2면과; 상기 각각의 제2면 일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단부가 조리실의 내측과 접하여 구속되는 제3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면의 양측단에는 절곡된 상기 제2면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편은 상기 악세사리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악세사리의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면의 일측에는 상기 악세사리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수용홈이 더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을 관통하도록 수용된 상기 악세사리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면의 외측에서 상기 악세사리를 관통하는 고정판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판의 일단은 상기 돌출편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3면은 조리실 내측 상부의 좌우측 모서리에 접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재료비가 절감되고 작업공정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의 전개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가 절곡되어 형성된 포장박스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골판지로 이루어져 다수회가 절곡됨으로써 조리기기 제품의 부속품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포장박스(100)로 형성된다.
상기 포장박스(10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3등분으로 나누어져 그 중앙부에 부속품이 안착되는 제1면(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면(120)의 양측단으로 접어지는 제1절곡부(122)가 형성되어 제2면(140)이 형성되며, 상기 제2면(140)의 단부에 다시 한번 더 접어지는 제2절곡부(142)가 형성되어 제3면(16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포장박스(100)는 상기 제1절곡부(122)와 제2절곡부(142)를 절곡하여 접어지게 되면 전방과 후방 및 상방이 개구된 대략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1면(120)의 중심에는 상기 포장박스(100)가 조리기기 제품의 내부공간(예컨대 조리실)에 수용될 때 조리기기 제품의 턴테이블 샤프트(도시되지 않음) 등에 고정되어 안착되는 안착홈(128)이 관통 형성되고, 양측단 전후방에는 접어지는 제1절곡부(122)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절곡부(122)가 형성되는 상기 제1면(120)의 양측 선단 중앙부에는 좌측으로 대략 '⊂', 우측으로 대략 '⊃'형상의 절개된 절개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24)에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면(140)을 세로로 접었을 때 포장박스(100)의 양측방으로 돌출되는 돌출편(126)이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편(126)은 상기 포장박스(100)가 조리기기 제품의 내부공간에 수용될 때 포장박스 (10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1절곡부(122)의 양측방에는 상기 제1면(12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세로로 접어지는 제2면(140)이 형성된다. 상기 제2면(140)은 상기 제1면(120)의 양측면을 형성하며 제1면(120)에 안착되는 부속품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2면(140)의 상반부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제품의 부속품(예컨대 그릴랙) 테두리가 수용되는 수용홈(14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44)은 대략 가로가 긴 사각형상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144)의 상측에는 다시 접어지는 제2절곡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제2절곡부(142)의 일측방에는 상기 제2면(14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3면(160)이 형성된다. 상기 제3면(160)은 상기 제2절곡부(142)를 중심으로 상기 제2면(140)과는 반대방향 즉 상기 포장박스(100)의 외측으로 접어지게 되며, 부속품이 수용되는 조리기기 제품의 내부공간 내측면 좌우측 상단 모서리에 각각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장박스(100)의 제2면(140)과 제품 내부공간의 내측벽과의 거리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원형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제품의 부속품 테두리가 내부공간에 접촉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3면(160)의 길이는 상기 돌출편(126)의 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돌출편(126)은 제품의 내부공간 내측면 즉 양측면에 접촉되지만 상기 제3면(160)은 상기 내부공간의 양측면 상단 모서리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그 길이가 다소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면(140)의 수용홈(144) 외측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부속품의 테두리를 수용홈(144)에 고정하는 고정편(18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편(180)은 대략 사각형상의 골판지로 상기 수용홈(144)에 수용되는 원형 부속품의 테두리가 수용홈(144)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면(120)과 제2면(140) 사이의 제1절곡부(122)의 외면에는 상기 제2면(140)을 세로로 접었을 때 상기 제1절곡부(122)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재(122a)가 부착된다. 상기 보강부재(122a)는 상기 포장박스(100)가 골판지로 이루어지므로 투명하면서 다소 면적이 넓은 스카치테이프를 사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가 절곡되어 포장박스로 형성되는 과정과 포장박스에 부속품이 안착되어 조리기기 제품에 수용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에 부속품이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를 전자레인지의 조리실에 수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박스(100)는 상기 제1면(120)을 바닥면으로 하고 상기 제1절곡부(122)를 중심으로 상기 제2면(140)을 상방으로 수직하게 접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절개부(124)가 갈라지면서 상기 제1면(120)의 양측방으로 상기 돌출편(126)이 돌출하게 되며, 상기 제2면(140)이 직립되어 상기 포장박스(100)의 양측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면(140)이 접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2절곡부(142)를 중심으로 상기 제3면(160)을 외측방으로 접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절곡부(122) 및 제2절곡부(142)를 중심으로 제2면(140) 및 제3면(160)을 접는 과정을 간단히 거치게 되면 상기 포장박스(100)의 형태가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6 과 같이 조리기기의 부속품을 안착시키게 된다. 여기에서는 조리기기 제품 중에서 전자레인지의 만두찜통(200)과 랙(300)을 포장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박스(100)가 접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면(120)의 상면에 비닐에 의해 1차적으로 포장된 만두찜통(200)을 올리고, 이어서 상기 랙(300)을 상기 만두찜통(200)의 상단에 올려 포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랙(300)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테두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포장박스(100)의 수용홈(144)에 그 테두리가 수용되도록 안착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고정편(180)을 상기 수용홈(14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면(140)의 양측방으로 튀어나온 테두리와 수용홈(144) 사이에 끼워 넣게 되면 상기 랙(300)의 유동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의 부속품이 안착된 포장박스(100)는 도 7 에서와 같이 상기 제2면(140)의 수용홈(144)으로부터 돌출된 랙(300)의 테두리와 제3면(160)을 작업자가 파지하여 전자레인지(400)의 조리실(420)에 수용되도록 하면, 전자레인지의 부속품 포장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조리기기 제품 중에 전자레인지에 포함되는 부속품을 포장하는 모습을 실시예로 예시하였으나, 전자레인지 외에 조리기기 제품 전반에 걸쳐서 이에 포함되는 부속품의 포장에도 적용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에서는, 일체로 형성되어 부속품이 안착되는 제1면과 제1면과 연장되어 세로로 접어지면서 부속품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는 제2면 및 제2면과 연장되어 외측으로 접어지면서 부속품이 수용되는 제품의 내부공간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는 제3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전방과 후방 및 상방이 개구된 형상의 포장박스가 형성됨으로써 종래 육각통상으로 밀폐되는 포장박스에 비해 재료비가 절반 이상 절감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종래의 포장박스와 같이 내부공간을 밀폐시키기 위한 접촉면과 덮개가 없이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를 중심으로 접어 주기만 하면 포장박스가 간단히 형성되므로 작업공정이 월등히 줄어드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6)

  1. 조리기기의 악세사리가 안착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양측에서 각각 절곡되며, 상기 악세사리의 일부를 수용하여 유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는 제2면과;
    상기 각각의 제2면 일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단부가 조리실의 내측과 접하여 구속되는 제3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면의 양측단에는 절곡된 상기 제2면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은 상기 악세사리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악세사리의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의 일측에는 상기 악세사리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되는 수용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을 관통하도록 수용된 상기 악세사리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면의 외측에서 상기 악세사리를 관통하는 고정판에 의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일단은 상기 돌출편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면은 조리실 내측 상부의 좌우측 모서리에 접하도록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
KR1020050052920A 2005-06-20 2005-06-20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 KR100735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920A KR100735187B1 (ko) 2005-06-20 2005-06-20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920A KR100735187B1 (ko) 2005-06-20 2005-06-20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205A KR20060133205A (ko) 2006-12-26
KR100735187B1 true KR100735187B1 (ko) 2007-07-03

Family

ID=3781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920A KR100735187B1 (ko) 2005-06-20 2005-06-20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372A (ko) * 2016-06-09 2017-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킹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31090B (zh) * 2022-09-19 2022-12-09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薄膜包装组件及薄膜包装套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8872A (en) * 1980-03-13 1981-10-08 Sumitomo Metal Ind Application of reinforcing bar frame
KR20190000930A (ko) * 2014-05-28 2019-01-03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8872A (en) * 1980-03-13 1981-10-08 Sumitomo Metal Ind Application of reinforcing bar frame
KR20190000930A (ko) * 2014-05-28 2019-01-03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9372A (ko) * 2016-06-09 2017-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킹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622713B1 (ko) 2016-06-09 2024-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킹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205A (ko) 200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236B1 (ko) 냉장고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59779B1 (ko) 포장상자
WO2016035583A1 (ja) 加熱調理器用梱包構造
KR100735187B1 (ko) 부속품의 일체형 포장용 박스
JP2009241937A (ja) 梱包装置
KR200453733Y1 (ko) 일회용 식품 포장용기
JP3111978U (ja) 包装箱
JP7188734B2 (ja) ガスコンロの梱包部材
KR200367531Y1 (ko) 포장용 상자
WO2022176775A1 (ja) 梱包材及び梱包体
JP6143728B2 (ja) 梱包構造
KR101476706B1 (ko) 비접착방식의 포장용 상자
JP7269628B2 (ja) 加熱調理器の梱包部材
KR20170140991A (ko) 트레이 용기 구조체
JPH043985Y2 (ko)
JP3581656B2 (ja) 配電盤キャビネット用のパッケージ
JP6945220B2 (ja) ガスコンロ
JP2021104847A (ja) 食品包装容器
JP6157168B2 (ja) 冷却貯蔵庫の梱包装置
KR200486876Y1 (ko) 포장용 박스
KR0122801Y1 (ko) 전자렌지용 부속물 포장재
KR200304996Y1 (ko) 포장상자
JP3130657U (ja) 連結式包装体
JP5116033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の収納ケース
KR200210767Y1 (ko) 포장용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