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123B1 -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 - Google Patents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123B1
KR100735123B1 KR1020060077040A KR20060077040A KR100735123B1 KR 100735123 B1 KR100735123 B1 KR 100735123B1 KR 1020060077040 A KR1020060077040 A KR 1020060077040A KR 20060077040 A KR20060077040 A KR 20060077040A KR 100735123 B1 KR100735123 B1 KR 100735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illary
air
water removal
removal means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조천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7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6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with provision for intake from several sp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샘플링장치 및 분석장치의 흡착 트랩전단에 다수의 모세관이 내부에 형성된 금속재질의 수분제거수단을 장착하여 공기와 금속재질의 모세관 내벽면의 온도차에 의해 수분이 자연적으로 모세관의 내벽면에 응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시료의 샘플링이 가능하게 한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에어펌프가 구성되고, 유량계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단 소정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얇은 관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흡착부재가 내장된 흡착트랩이 요입되어, 악취가스 및 유해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샘플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트랩의 전단에 그 후단의 공기 유출관(34)이 결합되고, 내부에 수분을 응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이 형성되어진 육각면 함체(302)로 이루어지고, 그 함체의 전단에는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관(32)이 형성된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샘플링장치의 전단에 수분 제거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악취가스 및 유해가스 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게 되면 매우 정확한 시료의 샘플링이 가능하고, 그 시료의 분석시에도 수분으로 인한 부정확한 결과를 낳지 않게 되므로 효과적이며, 수분제거를 위해 액체질소 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고 취급이 간편하며 야외 샘플링시에도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별도의 에너지가 필요 하지도 않으므로 경제성이 더욱 높다.
휴대용 샘플링장치, 수분 제거장치.

Description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SAMPLING APPARATUS WITH A MOISTURE PRE-REMOVE MEANS}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샘플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분석장치의 전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의 모세관 내벽면에 수분이 응결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샘플링장치, 30: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
32:공기유입관, 34:공기유출관,
302:함체, 304a~304g:모세관,
306a~306g:투입구, 310:경사면.
본 발명은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샘플링장치 및 분석장치의 흡착 트랩전단에 다수의 모세관이 내부에 형성된 금속재질의 수분제거수단을 장착하여 공기와 금속재질의 모세관 내벽면의 온도차에 의해 수분이 자연적으로 모세관의 내벽면에 응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시료의 샘플링이 가능하게 한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현재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또는 악취물질 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해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장치를 이용하여, 공기중의 유해가스를 포집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유해가스 및 악취물질 포집장치를 통상 샘플링장치라고 칭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시료 채취용 샘플링 장치(2)에 대해 살펴보면, 먼저 시료 채취용 샘플링 장치(2)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그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4)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케이스(4)의 전방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힌지(10)에 의해 케이스(4)의 전면에서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그 상단에는 케이스(4)에 대해 고정되거나, 고정해제되는 고정부재(8)가 구비된 커버(6)가 제공된다.
또한, 시료 채취용 샘플링 장치(2)는 그 상면에 흡착트랩(16)을 삽입할 수 있는 흡착트랩 삽입구(12)가 내부로 연결되어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케이스(4)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흡착트랩 삽입구(12)의 하단에는 T-유니온(14)이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T-유니온(14)의 상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상단 포트가 상기 흡착트랩 삽입구(12)와 연결되어, 그 흡착트랩 삽입구(12)의 상단에 끼워진 흡착트랩(16)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게 되며, 그 측면에 형성된 다른 포트에는 별도의 분기튜브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하단 포트에는 다른 분기튜브(22)가 또 결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T-유니온(14)의 측면에 형성된 포트와 결합된 분기튜브(21)는 상기 T-유니온(14)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기압계(24)가 연결되어져 있으며, 상기 T-유니온(14)의 하단 포트에 결합된 분기튜브(22)를 통해서는 유량계(26: bubble flow meter)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유량계(26)에는 유량 조절레버(26a)가 구비되어져 있다.
따라서, 시료 채취용 샘플링 장치(2)는 흡착트랩(16)을 통해 대기물질을 샘플링할 때, 압력조건 및 유량조건을 검출하여 최적의 조건을 유지한 상태에서 샘플링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공기중에 수분이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시료 채취용 샘플링 장치(2)에서 포집된 악취물질에도 수분이 포함되어져 있게 되는 바, 수분(H2O)은 극성이 매우 큰 물질이어서 H2S 또는 (CH3)2CCl2 와 같은 극성이 큰 악취 또는 VOC 물질의 분석에 커다란 장애를 주게 된다. 따라서 시료채취 또는 분석 전에 수분을 처리하여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기존에는 이러한 수분을 제거하여 주기 위하여 U자관을 액체질소와 같은 냉매에 담가 놓거나 Nafion Dryer와 같은 재료를 쓰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U자관이 막히거나 수분제거의 효율 및 분석성분물질의 회수율이 떨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U자관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관의 형태를 직선형태로 하고 일정온도(-30℃)에서 공기의 일정 선속도에서 직선관(Tube)의 내부 직경크기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줌으로써 얼음 성에의 성장속도가 일정속도가 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샘플링장치 또는 분석장치의 전단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직선관이나 U자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관의 내벽에 수분이 응결될 수 있도록 별도의 액체질소를 사용하여야 하는 바, 그러한 액체질소는 고가이면서도 취급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안전상의 위험도가 매우 높으며, 야외에서 악취물질 및 유해가스를 샘플링하기 위해서는 액체질소를 휴대하여야 하지만, 휴대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샘플링장 치 및 분석장치의 흡착 트랩전단에 다수의 모세관이 내부에 형성된 금속재질의 수분제거수단을 장착하여 공기와 금속재질의 모세관 내벽면의 온도차에 의해 수분이 자연적으로 모세관의 내벽면에 응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시료의 샘플링이 가능하게 한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에어펌프가 구성되고, 유량계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단 소정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얇은 관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흡착부재가 내장된 흡착트랩이 요입되어, 악취가스 및 유해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샘플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트랩의 전단에 그 후단의 공기 유출관(34)이 결합되고, 내부에 수분을 응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이 형성되어진 육각면 함체(302)로 이루어지고, 그 함체의 전단에는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관(32)이 형성된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세관은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의 함체 내부에 양파 구조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격벽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모세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세관은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모세관에 비해, 그 중심에 형성된 모세관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 성되어, 공기의 유통거리에 따른 공기저항을 모세관의 직경에 반영하여 전체 모세관의 공기 유통량이 동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세관은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모세관에 비해, 그 중심에 형성된 모세관으로 갈수록 모세관의 투입구 직경이 작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세관은 그 후단에 일정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을 세워두면 응결된 수분이 액화되어 경사면을 따라 외부로 방출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분석장치의 전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는 샘플링장치 및 분석장치의 흡착 트랩전단에 다수의 모세관이 내부에 형성된 금속재질의 수분제거수단을 장착하여 공기와 금속재질의 모세관 내벽면의 온도차에 의해 수분이 자연적으로 모세관의 내벽면에 응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시료의 샘플링이 가능하게 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는 종래의 샘플링 장치(2)에 적용되는 장치인 바, 그 샘플링 장치(2)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그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4)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케이스(4)의 전방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힌지(10)에 의해 케이스(4)의 전면에서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그 상단에는 케이스(4)에 대해 고정되거나, 고정해제되는 고정부재(8)가 구비된 커버(6)가 제공된다.
또한, 시료 채취용 샘플링 장치(2)는 그 상면에 흡착트랩(16)을 삽입할 수 있는 흡착트랩 삽입구(12)가 내부로 연결되어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케이스(4)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흡착트랩 삽입구(12)의 하단에는 T-유니온(14)이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T-유니온(14)의 상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상단 포트가 상기 흡착트랩 삽입구(12)와 연결되어, 그 흡착트랩 삽입구(12)의 상단에 끼워진 흡착트랩(16)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게 되며, 그 측면에 형성된 다른 포트에는 별도의 분기튜브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하단 포트에는 다른 분기튜브(22)가 또 결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T-유니온(14)의 측면에 형성된 포트와 결합된 분기튜브(21)는 상기 T-유니온(14)을 통해 유입된 공기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기압계(24)가 연결되어져 있으며, 상기 T-유니온(14)의 하단 포트에 결합된 분기튜브(22)를 통해서는 유량계(26: bubble flow meter)가 결합되어져 있으며, 그 유량계(26)에는 유량 조절레버(26a)가 구비되어져 있다.
따라서, 시료 채취용 샘플링 장치(2)는 흡착트랩(16)을 통해 대기물질을 샘플링할 때, 압력조건 및 유량조건을 검출하여 최적의 조건을 유지한 상태에서 샘플링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는 그 시료 샘플링 장치(2)의 전단에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이 장착되어 수분을 제거하는 바, 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은 그 전단부에 공기 유입관(32)이 마련되어져 있으며, 후단부에 공기 유출관(34)이 마련되어져 있으며, 그 공기 유출관(34)은 결합부재(36)를 매개하여 상기 시료 샘플링장치(2)에 삽입된 흡착트랩(16)과 연결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시료 샘플링장치(2)의 흡착트랩(16)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통경로는 반드시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을 통과하여야만 하며, 공기가 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을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이 제거되게 된 후, 건조된 공기가 상기 흡착트랩(16)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은 단지 시료 샘플링장치(2)의 전단에만 장착되는 것이 아니고, 직접 분석장치(50)와 결합되어 분석장치(50)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의 수분 제거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인 시료 채취용 샘플링 장치(2)에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을 적용하였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을 갖는 시료 채취용 샘플링 장치(2)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휴대용 샘플링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휴대용 샘플링 장치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중요한 것은, 어떤 구성을 갖는 휴대용 샘플링 장치에 적용된다는 것이 아니고, 각종 휴대용 샘플링 장치의 전단에,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은 본 발명에서 도시한 통상의 샘플링 장치(에어펌프 및 유량계를 갖는)의 전단에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고, 공지의 백 샘플링장치(Tedlar bag sampling apparatus) 및 캐니스터(Canister)의 전단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시료 공기의 습기 및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의 모세관 내벽면에 수분이 응결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평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은 내부에 다수의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이 형성되어져 있다. 즉,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은 외부에 판형으로 이루어진 육면 함체(302)가 구성되며, 그 내부에 다수의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을 형성하는 다수의 격벽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되어져 있으며, 그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을 포함한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공기 유입관(32)을 통해 유입된 공 기가 그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을 통과하는 과정중에 금속체와 공기와의 온도차에 의해 공기중의 수분이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의 벽면에 응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의 재질은 단지, 금속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분의 응결이 용이한 재질인 유리 및 석영 재질로의 구성도 역시 충분히 가능하다.
한편, 비록 도시하지는 않있지만,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의 내부이면서, 상기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의 하부 소정부에는 드라이 아이스를 수용하는 별도의 드라이 아이스함체(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의 온도를 일정하게 하강시켜 모세관 내벽면의 온도가 유통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낮게 유지하는 것이 수분의 응결에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에 구성된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은 수 ㎜단위의 매우 협소한 관이며,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에 걸리는 유압은 일정하므로 공기가 그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을 통과하는 유속이 증가되어 공기가 그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을 통과하는 도중, 수분은 분자량이 매우 작은 상태로 기화되게 된다. 그로인해, 수분 분자가 상기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에 더욱 잘 응결되게 된다.
한편,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에 구성된 다수의 모세 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중 제 1 모세관(304a)의 경로는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의 제일 가장자리에 위치되게 되고, 제 2 모세관(304b)은 제 1 모세관(304a)의 내측에 경로가 형성되게 되므로, 다수의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의 투입구인 제 1, 2...7 투입구(306a,306b,306c,306d,306e,306f,306g)는 갈수록 그 투입구의 직경이 작아지게 구성됨으로써, 모든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으로 동일한 공기량이 유통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다수의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은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의 내부에 양파와 같은 구조로 가장자리에 어느 한 모세관(304a)이 형성되어져 있고, 그 내측으로 갈수록 겹겹이 이웃하는 모세관들이 형성되어져 있다.
즉,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의 제 1 투입구(306a)의 내측에는 제 2 투입구(306b)가 직선방향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제 1 투입구(306a)와 제 2 투입구(306b)의 직경이 동일하다면, 제 1 투입구(306a)를 통과하는 대부분의 공기는 제 1 모세관(304a)을 통과하지 않고 제 2 투입구(306b)를 통과할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으로 통과하는 공기의 량이 모두 동일해질 수 있도록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의 내부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을 구성하는 투입구(306a,306b,306c,306d,306e,306f,306g)의 직경을 내부로 갈수록 작게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투입구(306a,306b,306c,306d,306e,306f,306g)에 적정한 공기저항이 발생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의 내부에 구성된 다수의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도 그 가장자리에서부터 내부 중심으로 갈수록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기의 이동거리가 먼 제 1 모세관(304a)의 공기 유통량이, 제 1 모세관(304a)보다 공기의 이동거리가 더 작은 제 2 모세관(304b)의 공기 유통량과 동일하게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의 내부에 구성된 다수의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이 모두 효율적으로 공기를 유통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의 내벽에 수분(308)을 응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을 통해 수분을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의 내벽면에 응결시킨 다음에, 시료의 포집이 이루어지게 되면, 그 시료를 포집한 흡착트랩(16)을 분석장치(50)에 투입하여 가스 분석을 실시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더 이상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내부의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에 응결된 수분을 외부로 방출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의 내부에 구성된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의 후단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면(310)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중 공기 유출관(34)측의 방향을 지면방향으로 향하게 세워두게 되면 내부에 응결된 수분이 상기 경사면(31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수분 배출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급적 실내에서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을 세워두는 것이 좋으며, 때에 따라서는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30)에 헤어드라이어(미도시)와 같은 뜨거운 바람을 불어주는 것이 응결된 수분 제거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를 통해서, 악취가스 및 유해가스 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게 되면 매우 정확한 시료의 샘플링이 가능하고, 그 시료의 분석시에도 수분으로 인한 부정확한 결과를 낳지 않게 되므로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는 샘플링장치의 전단에 수분 제거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악취가스 및 유해가스 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게 되면 매우 정확한 시료의 샘플링이 가능하고, 그 시료의 분석시에도 수분으로 인한 부정확한 결과를 낳지 않게 되므로 효과적이며, 수분제거를 위해 액체질소 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고 취급이 간편하며 야외 샘플링시에도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별도의 에너지가 필요하지도 않으므로 경제성이 더욱 높다.

Claims (5)

  1. 내부에 에어펌프가 구성되고, 유량계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단 소정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얇은 관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흡착부재가 내장된 흡착트랩이 요입되어, 악취가스 및 유해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샘플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트랩의 전단에 그 후단의 공기 유출관(34)이 결합되고, 내부에 수분을 응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모세관(304a,304b,304c,304d,304e,304f,304g)이 형성되어진 육각면 함체(302)로 이루어지고, 그 함체의 전단에는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관(32)이 형성된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은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의 함체 내부에 양파 구조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격벽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모세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은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모세관에 비해, 그 중심에 형성된 모세관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되어, 공기의 유통거리에 따른 공기저항을 모세관의 직경에 반영하여 전체 모세관의 공기 유통량이 동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은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모세관에 비해, 그 중심에 형성된 모세관으로 갈수록 모세관의 투입구 직경이 작아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은 그 후단에 일정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을 세워두면 응결된 수분이 액화되어 경사면을 따라 외부로 방출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
KR1020060077040A 2006-08-16 2006-08-16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 KR100735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040A KR100735123B1 (ko) 2006-08-16 2006-08-16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7040A KR100735123B1 (ko) 2006-08-16 2006-08-16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866U Division KR200429775Y1 (ko) 2006-08-16 2006-08-16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123B1 true KR100735123B1 (ko) 2007-07-06

Family

ID=3850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7040A KR100735123B1 (ko) 2006-08-16 2006-08-16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1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7621A (ja) 1983-02-10 1984-08-24 Hisamoto Suzuki 圧縮空気の除湿装置
JPS63311200A (ja) 1987-06-15 1988-12-19 Hitachi Ltd 原子力発電所の気体廃棄物処理設備
KR970048422A (ko) * 1995-12-29 1997-07-29 전성원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배기가스 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7621A (ja) 1983-02-10 1984-08-24 Hisamoto Suzuki 圧縮空気の除湿装置
JPS63311200A (ja) 1987-06-15 1988-12-19 Hitachi Ltd 原子力発電所の気体廃棄物処理設備
KR970048422A (ko) * 1995-12-29 1997-07-29 전성원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배기가스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1477B1 (ko) 대기오염 분석을 위한 수분 전처리 수단이 구비된 시료포집장치
CN101545838B (zh) 本安型样气处理系统
KR200429775Y1 (ko)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
CN105617823A (zh) 一种半导体冷却降湿除水装置及应用
KR100735123B1 (ko) 모세관형 수분제거수단이 장착된 샘플링장치
RU2011150209A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каналом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давления
KR101320566B1 (ko) 미스트 포집장치
KR100836393B1 (ko) 자동차 배출가스 측정장치의 수분 분리기 구조
KR100757923B1 (ko) 상대습도 센싱을 통한 수분제거용 샘플링장치
KR102036142B1 (ko) 에어드라이어
CN212110821U (zh) 一种工业废气检测用采样器
KR100569724B1 (ko) Voc 포집장치
KR100556547B1 (ko) 굴뚝용 시료 가스 채취 프로브 장치
KR100371345B1 (ko)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
RU2653918C1 (ru) Очиститель воздух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H11520A (ja) 水分排出装置
CN216745520U (zh) 一种冷凝室模组及其便于维护的冷凝除水模块
KR102593663B1 (ko) 포집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기오염물질 분석장치
CN213790849U (zh) 用于挥发性有机物检测的除湿装置
CN207610476U (zh) 干燥箱
CN212819028U (zh) 一种烟尘干燥瓶
CN207516135U (zh) 气体进样除湿装置
JPH0994425A (ja) 水分除去装置
CN105092315A (zh) 排气采样机构和排气分析装置
TWM597397U (zh) 氣體除水前濃縮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