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4567B1 -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 - Google Patents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4567B1
KR100734567B1 KR1020060037580A KR20060037580A KR100734567B1 KR 100734567 B1 KR100734567 B1 KR 100734567B1 KR 1020060037580 A KR1020060037580 A KR 1020060037580A KR 20060037580 A KR20060037580 A KR 20060037580A KR 100734567 B1 KR100734567 B1 KR 100734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ble
steam
winding
winde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1020060037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567B1/ko
Priority to PCT/KR2006/002742 priority patent/WO2007123290A1/en
Priority to CNA2006101445741A priority patent/CN1947647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6Incorporation of wind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5Arrangements of batteries or cells; Electric power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케이블을 권취하는 권취기를 장착하고, 전원케이블을 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스팀청소기, 권취기, 전원케이블.

Description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 { STEAM CLEANER WITH DEVICE FOR WINDING ELECTRICCABLE }
도 1은 종래의 스팀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다른 방향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연결부의 구조를 확대한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스팀발생부의 구조를 확대한 분리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분리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홀더의 확대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완충부재의 장착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밀대부, 12 : 손잡이부, 14 : 제1완충부재,
20 : 연결부, 21 : 전면하우징, 21a : 삽입부,
22,26 : 힌지홈, 23,27 : 삽입가이드부, 23a: 후크돌기(58c),
24,28 : 전원케이블출입구, 25 : 후면하우징, 25b: 스토퍼,
29 : 조립캡, 29a : 장착홈, 30 : 스팀발생부,
31 : 커버하우징, 31a : 제1주입구, 31b : 표시부,
32 : 회전돌기, 33 : 데코바디, 34 : 바퀴부재,
34a : 끼움돌기부, 34b : 고정홈, 35 : 바닥판,
36 : 바퀴삽입홈, 37 : 고정부재, 40 : 물탱크,
41 : 수용부커버, 41a : 제2주입구, 41b : 유동방지편,
42,45 : 가스켓, 43 : 중간커버부재, 43a: 유동방지편관통공,
44 : 수용부본체, 44a: 히터장착공, 44b : 스팀배출부,
44c : 유동방지편, 46 : 히터, 46a : 플랜지,
47 : 방열판, 48 : 바이메탈, 50 : 권취기,
51 : 전원케이블, 52 : 권취버튼, 52a: 누름부,
52b : 가압부, 52c: 버튼회전돌기, 53 : 스프링클립,
54 : 전원버튼, 55 : 메인회로기판, 56 : 스위치,
57 : 제2완충부재, 57a: 고리부, 58 : 플러그홀더.
본 발명은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케이블을 권취하는 권취기 를 장착하고, 전원케이블을 측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스팀 청소기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고온의 스팀을 발생시켜 바닥의 살균과 함께 이물질을 제거하기에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팀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스팀청소기는 스팀발생부(1)와, 연결부(4)와, 밀대부(2)와 전원케이블(3)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팀발생부(1)는, 전열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켜 그 증기를 저면에 접촉된 바닥으로 토출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4)는, 하부가 상기 스팀발생부(1)에 힌지결합되고 상부는 상기 밀대부(2)에 장착된다.
상기 밀대부(2)는, 하부가 상기 연결부(4)에 장착되어 상기 스팀발생부(1)의 저면을 바닥에 대고 밀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밀대부(2)와 연결부(4)는 상기 스팀발생부(1)를 중심으로 일체로 선회할 수 있어 여러 각도에서 청소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원케이블(3)은 상기 스팀발생부(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팀발생부(1)는 상기 전원케이블(3)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아 그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물을 가열시켜 스팀을 발생하도록 한다.
이러한 스팀청소기는 청소를 하기 위해서 여러 위치로 이동되면서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전원케이블(3)은 비교적 길이가 길다.
이렇게 길이가 긴 전원케이블(3)을 정리하기 위하여 종래의 스팀청소기에는 상기 밀대부(2)의 상부와 상기 연결부(4)와 하부에 각각 권취구(2a,4a)가 구비되고, 상기 권취구(2a,4a)에 사용자가 전원케이블(3)을 권취하거나 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원케이블(3)을 사용할 때마다 사용자가 상기 권취구(2a,4a)에 권취하고 푸는 작업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스팀청소기를 사용할 때에 상기 전원케이블(3)을 상기 권취구(2a,4a)에서 풀어 길게 늘어뜨려진 상태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전원케이블(3)에 의해 청소 작업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전원케이블(3)이 스팀발생부(1)의 후방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스팀발생부(1)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청소할 때에 상기 전원케이블(3)에 의해 청소 작업에 방해가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원케이블을 자동으로 권취할 수 있는 권취기를 장착하고, 상기 전원케이블이 스팀발생부의 후방이 아닌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전워케이블이 청소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는, 밀대부와;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부와; 상기 밀대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팀발생부와 힌지결합하는 연결부와; 상기 스팀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 블과; 상기 연결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케이블을 권취하는 권취기와; 상기 전원케이블이 인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전원케이블출입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원케이블출입구는 상기 연결부의 측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전면하우징부과 후면하우징부이 상기 권취기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권취기의 회전축은 상기 전면하우징부와 후면하우징부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는 상기 권취기를 작동시키는 권취버튼이 장착되되, 상기 권취버튼은,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하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권취기에 연결되는 가압부와, 상기 누름부의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회전돌기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권취버튼의 하부에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고정 결합되는 스프링클립이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전원케이블출입구에는, 상기 전원케이블에 장착된 플러그를 수납하는 플러그홀더가 장착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기의 다른 방향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연결부의 구조를 확대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스팀발생부의 구조를 확대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팀청소기는, 밀대부(10)와, 연결부(20)와, 스팀발생부(30)와, 전원케이블(51)과, 권취기(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대부(10)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에는 사용자가 쉽게 손으로 잡도록 하기 위해 손잡이부(12)가 장착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기 연결부(2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밀대부(10)는 종래의 공지기술을 이용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분리한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2)는, 제1핸들부(12a)와 제2핸들부(12c)가 상호 조립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핸들부(12a) 내측에는 체결돌기(12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핸들부(12c)의 내측에는 상기 체결돌기(12b)가 삽입되는 체결홈(12d)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핸들부의 끝단 측면에는 'ㄷ'자 형상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 고 상기 제1핸들부에는 상기 제2핸들부의 돌기에 대응되는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돌기(12b)를 상기 체결홈(12d)에 가조립하고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을 가조립한 상태에서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1핸들부(12a)와 제2핸들부(12c)를 체결하면 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용이하다.
상기 손잡이부(10)의 후방에는 상기 밀대부(10)가 후방으로 넘어졌을 때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제1완충부재(14)가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핸들부(12a)의 후방에는 장착돌기(12e)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완충부재(14)에는 상기 장착돌기(12e)에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돌기(12e)에 상기 제1완충부재의 관통공이 삽입되어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서, 상기 제1완충부재(14)가 상기 손잡이부(12)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장착돌기(12e)에는 상기 제2핸들부(12c)를 향하는 돌출편(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핸들부(12a)에는 상기 돌출편에 대응되는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핸들부(12a)와 제2핸들부(12c)를 조립하기가 더욱 용이하다.
상기 연결부(20)는, 전면하우징(21)부과 후면하우징(25)부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부는 상기 밀대부(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고, 하부는 상기 스팀발생부(30)와 힌지 결합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홈(22,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전면하우징(21)과 후면하우징(25)이 스크류 체결하 여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하우징(21)과 후면하우징(25)의 상부에 각각 상기 밀대부(10)에 접하는 삽입가이드부(23,27)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가이드부(23,27)를 감싸면서 끼워지는 중공 원통형상의 조립캡(29)을 장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립캡(29)과 상기 삽입가이드부(23,27)는 후크 결합되도록 하여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가이드부(23)에 후크돌기(58c)(23a)를 형성하고, 상기 조립캡(29)에 상기 후크돌기(58c)(23a)에 대응되는 장착홈(29a)을 형성하여 상기 조립캡(29)과 상기 삽입가이드부(23,27)가 결합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조립캡(29)을 장착함으로써, 전면하우징(21)과 후면하우징(25)의 스크류 체결이 없기 때문에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조립캡(29)과 상기 삽입가이드부(23,27)를 후크결합함으로써 스크류 등의 체결부(57a)재가 불필요하여 부품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조립캡(29)을 끼우기만 하면 되는바 조립이 더욱 용이하다.
상기 스팀발생부(30)는, 커버하우징(31)과, 바닥판(35)과, 물탱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하우징(31)의 양측에는 회전돌기(3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부(20)의 힌지홈(22,26)이 삽입장착된다.
상기 바닥판(35)은 상기 커버하우징(31)의 저면과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고, 상기 물탱크(40)는 상기 바닥판(35)과 커버하우징(3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하우징(31)의 상부에는 물을 넣기 위한 제1주입구(31a)와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주입구(31a)와 표시부(31b)는 상기 연결부(20)와 스팀발생부(30)의 힌지결합부위보다 전방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청소시 상기 연결부(20) 및 밀대부(10)에 의해 상기 표시부(31b)가 가려져 사용자가 볼 수 없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표시부(31b)가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청소시에도 사용자가 다른 부품의 방해없이 쉽게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커버하우징(31)의 상부에는 다양한 색상과 다양한 형상을 갖는 데코바디(33)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여 사용자가 기호에 맞게 상기 데코바디(33)를 장착함으로써, 여러가지의 색상과 디자인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데코바디(33)의 저면에는 체결돌기(33a)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하우징에(31)는 상기 장착돌기(33a)에 대응되는 장착홈(31c)을 형성하여, 상기 데코바디(33)가 상기 커버하우징(31)에 가체결된 상태에서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1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조립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데코바디(33)는 상기 전방하우징(21)에도 장착하여 여러가지의 색상과 디자인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35)의 후방에는 바퀴부재(34)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35)의 후방에는 바퀴삽입홈(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퀴부재(34)의 전방에는 양측에 오목하게 고정홈(34b)이 형성된 끼움돌기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퀴부재(34)의 끼움돌기부(34a)를 상기 바퀴삽입홈(36)에 삽입하고 나서 고정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바퀴삽입홈(36) 내부에 안쪽으로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홈(34b)에 상기 돌출부가 끼워져 상기 바퀴부재(34)를 고정 장착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바닥판(35)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일반적으로 사출 등을 통해 제작하게 되는데, 상기 바퀴삽입홈(36) 내부에 안쪽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바닥판(35)을 하나의 부품으로 사출하여 제작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바닥판(35)을 상기 바퀴삽입홈(36)을 중심으로 상판과 하판으로 나누어 사출 제작하고, 상판과 하판에 각각 돌출부를 절반씩 형성하여 상판과 하판을 결합함으로써 바퀴삽입홈(36)과 돌출부를 완전하게 형성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바닥판(35)은 상판과 하판을 따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시간 및 비용이 두 배로 소모되고, 상기 바닥판(35)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스팀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켓 등을 장착하여야 하였으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물이 고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닥판(35)에 바퀴삽입홈(36)을 일체로 형성하여 제작하고, 다만 종래의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판(35)의 바퀴삽입홈(36)에 수직으로 고정부재(37)를 삽입 장착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7)는 양단이 절곡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바퀴삽입홈(36)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부재(37)의 양단이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재(37)의 양단이 상기 바퀴삽입홈(36)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끼움돌기부(34a)의 고정홈(34b)에 끼워져 상기 바퀴부재(34)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바닥판(35)이 하나로 이루어져 있어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고, 가스켓과 같은 부품이 불필요하여 부품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바닥판(35)에 물이 고이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40)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41,44)와, 상기 수용부(41,44)에 장착되어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46)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부는 수용부본체(44)와 수용부커버(41)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수용부본체(44)의 하부에는 상기 히터(46)가 장착되기 위한 히터장착공(44a)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로 스팀을 배출하기 위해 중공의 스팀배출부(44b)가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커버(41)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하우징(31)에 형성된 제1주입구(31a)에 대응되는 제2주입구(41a)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주입구(31a)와 제2주입구(41a)를 통해 상기 수용부 내로 유입된 물은 상기 히터(46)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으로 변환되고, 스팀은 상기 수용부에 형성된 스팀배출부(44b)를 따라 상기 바닥판(35)으로 분출된다.
상기 히터(46)는 가장자리에 플랜지(46a)가 형성된 육면체의 블럭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히터장착공(44a)에 장착되어 스크류로 체결되고, 상기 히터(46)와 상기 수용부본체(44) 사이에는 가스켓(45)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히터(46)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46a)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히터(46)를 상기 히터장착공(44a)에 삽입시 상기 플랜지(46a)가 상기 히터장착공(44a)을 형성하는 상기 수용부본체(44)에 걸리게 되는바, 상기 히터(46)를 단순히 상기 히터장착공(44a)에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상기 히터(46)를 보다 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46)가 육면체의 블럭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히터장착공(44a)에 쉽게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46a)와 상기 히터장착공(44a)을 형성하는 상기 수용부본체(44)를 스크류로 체결하면 되기 때문에 상기 히터(46)를 상기 수용부본체(44) 및 히터장착공(44a)에 보다 쉽게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용부본체(44)와 수용부커버(41) 사이에도 가스켓(42)이 장착된다.
상기 히터(46)를 상기 수용부와 별도로 제작하여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기 때문에 상기 히터(46)가 고장난 경우에 상기 수용부의 교체없이 상기 히터(46)만 교체하면 되는바, 부품의 교체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 히터(46)의 하부에는 방열판(47)이 장착되어 다른 부품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이메탈(48)이 장착되어 히터(46)가 과열되었을 때에 자동으로 전기가 차단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바이메탈(48)이 상기 히터(46)의 저면에 삽입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히터(46)의 저면에는 도 9a에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메탈장착홈(46b)이 함몰되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상기 바이메탈(48)을 상기 히터(46)의 저면에 형성된 바이메탈장착홈(46b)에 삽입 장착함으로써, 상기 히터(46)의 온도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어 상기 히터(46)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본체(44)와 상기 수용부커버(41)에는 유동방지편(41b,44c)을 돌출 형성하여, 청소시 물탱크(40)가 흔들려도 상기 유동방지편(41b,44c)에 의해 물의 유동이 방해되어, 물탱크(40)에 수용된 물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물탱크(40) 외부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본체(44)의 상부에는 중간커버부재(43)를 씌우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상기 중간커버부재(43)는 상기 수용부본체(44)에 수용된 물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종래에는 상기 중간커버부재(43)가 여러 개로 분할되어 있었고, 이를 각각 상기 수용부본체(44)에 장착하였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아져 조립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용부본체(44)의 상부 전체를 덮는 중간커버부재(43)를 하나로 제작하고, 상기 중간커버부재(43)의 테두리에는 하향절곡된 절곡부(44b)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이로 인해,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상기 중간커버부재(43)만을 장착하기 만 하여 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상기 절곡부(44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용부본체(44)에 삽입 장착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삽입된 후에는 흔들림없이 지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절곡부(44b)는 상기 수용부본체(44)와 접하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중간커버부재(43)에는 상기 유동방지편(41b)이 관통하도록 유동방지편관통공(43a)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유동방지편(41b)이 상기 중간커버부재(43)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중간커버부재(43)는 상기 유동방지편(41b)에 의해 지지되어 쉽게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스팀발생부(30) 자세하게는 상기 히터(46)에는 전기가 공급되어야 하고, 이는 상기 전원케이블(51)을 통해 공급되어진다.
상기 권취기(50)는, 상기 전원케이블(51)을 자동으로 권취하기 위한 것으로써, 종래의 공지된 권취장치를 사용하면 충분하다.
상기 권취기(50)는 상기 스팀발생부(30)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상기 연결부(20)의 내부 즉 상기 전면하우징(21)과 후면하우징(25) 사이에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기(50)가 상기 연결부(20) 내부에 장착되면, 상기 연결부(20)에는 상기 전원케이블(51)이 인출되도록 하기 위해 전원케이블출입구(24,28)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원케이블출입구(24,28)는 상기 연결부(20)의 측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청소시 상기 스팀발생부(3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상기 전원케이블(51)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권취기(50)에 권취된 전원케이블(51)을 상기 연결부(20)의 측방향으로 빼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쉽게 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기(50)의 회전축은 상기 전면하우징(21)부와 후면하우징(25)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권취기(50)에 권취된 전원케이블(51)이 휘어짐 없이 곧바로 상기 전원케이블출입구(24,28)을 통해 입출되도록 하여 상기 전원케이블(51)이 보다 쉽게 귄취되거나 빠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기(50)의 회전축을 상기 전면하우징(21)부와 후면하우징(25)부에 수직하게 배치함으로써, 권취기(50)가 눕여져 있을 경우에 전원케이블(51)이 자중에 의해 아래방향으로만 감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케이블출입구(24,28)에는 전후방이 개방되고 상기 전원케이블(51)에 장착된 플러그를 수납되는 플러그홀더(58)가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홀더의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플러그홀더(58)는,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제작 및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홀더부재(58a)와 제2홀더부재(58b)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홀더부재(58a)와 제2홀더부재(58b)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제1홀더부재(58a)에 후크돌기(58c) 형성하고 상기 제2홀더부재(58b)에 상기 후크돌기(58c)가 삽입되는 후크수용부(58e)를 형성하여 상호 후크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홀더부재(58a)와 제2홀더부재(58b)를 한번에 보다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홀더부재(58a)에는 안내돌기(58d)를 형성하고, 상기 제2홀더부재(58b)에는 상기 안내돌기(58d)가 삽입되는 안내돌기수용부(58f)를 형성함이 바람직한데, 위와 같이 안내돌기(58d)와 안내돌기수용부(58f)를 형성함으로써, 후크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되도록 할 수 있고, 결합후에는 상기 제1홀더부재(58a)와 제2홀더부재(58b)의 상호 결합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홀더부재(58a) 및/또는 제2홀더부재(58b)의 후방에는 플러그스토퍼(58g)를 형성하여 상기 플러그가 걸리도록 한다.
상기 플러그스토퍼(58g)를 별도의 부재를 장착하거나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제1홀더부재(58a) 및/또는 제2홀더부재(58b)의 후방을 안쪽으로 절곡시켜 후방의 관통구의 크기를 전방의 관통구보다 축소시킴으로써 플러그스토퍼(58g)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홀더부재(58b)에는 외부로 돌출되되 내측에 홈이 형성된 안착돌기(58h)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홀더부재(58b)가 장착되는 전방하우징(21) 또는 후방하우 징(25)에는 상기 안착돌기(58h)의 홈에 삽입 안착되기 위한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홀더부재(58b)의 안착돌기(58h)를 상기 체결돌기에 가체결한 상태에서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제2홀더부재(58b)를 전방하우징(21) 또는 후방하우징(25)과 결합시키고, 상기 제1홀더부재(58a)를 상기 제2홀더부재(58b)에 후크결합시키며, 그 후에 상기 전방하우징(21)과 후방하우징(25)을 상호 결합시킨다.
위와 같이, 플러그홀더(58)에 안착돌기(58h)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플러그홀더(58)가 상기 전방하우징(21) 및 후방하우징(25)에 더욱 지지되고,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위와 같은 상기 플러그홀더(58)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전원케이블(51)의 플러그가 상기 플러그홀더(58)에 수용되기 때문에 플러그가 외부와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외관상 플러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깔끔한 이미지를 줄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러그홀더(58)는 상기 연결부(20)의 외부에 돌출됨이 없이 상기 연결부(20)의 내측으로 삽입장착되도록 하여 상기 플러그홀더(58)가 다른 물품과 부딪혀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0)의 상부에는 상기 권취기(50)를 작동시키는 권취버튼(52)과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버튼(54)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권취버튼(52)은,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부(52a)와, 상기 누름 부(52a)에 하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권취기(50)에 연결되는 가압부(52b)와, 상기 누름부(52a)의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버튼회전돌기(52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0)에는 상기 버튼회전돌기(52c)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권취버튼(52)의 하부에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20)에 고정 결합되는 스프링클립(53)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52a)를 누르면 상기 삽입부(21a)에 삽입된 버튼회전돌기(52c)가 힌지축이 되어 상기 누름부(52a)가 선회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가압부(52b)가 상기 권취기(50)를 눌러 상기 권취기(50)가 작동되며,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52a)를 놓으면 상기 스프링클립(5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부(52a)는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위와 같이 권취기(50)를 연결부(20) 내부에 장착함으로서, 전원케이블(51)을 쉽게 권취하여 보관할 수 있고, 상기 전원케이블출입구(24,28)를 연결부(20)의 측방향으로 형성함으로서, 전원케이블(51)이 스팀발생부(30)의 전후방향이 아닌 측방향을 배출되도록 할 수 있어 청소 작업을 함에 있어서 상기 전원케이블(51)이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전원버튼이 스팀발생부(30)의 후방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전원버튼을 손으로 누르기가 불편하였으며 이로 인해 발로 누르게 되었는데, 발을 이용하여 전원버튼을 누르다보니 전원버튼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물탱크에 물을 주입하면서 물이 흘러 전원버튼에 유입되어 문제 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권취버튼(52)과 전원버튼(54)을 상기 연결부(20)의 상부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손으로 버튼을 누를 수가 있다.
또한, 전원버튼(54)을 연결부(20)의 상부에 장착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원버튼(54)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원버튼(54)의 양측에는 상기 전원버튼(45)이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54a)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20)에는 상기 가이드홈(54a)이 끼워지는 가이드편(21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버튼(54)은 상기 가이드홈(54a)이 상기 가이드편(21b)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원버튼(54)이 흔들림없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0)에는 메인회로기판(55)과 스위치(56) 등이 장착되어 상기 전원케이블(51)과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메인회로기판(55)과 스위치(56)는 전선이 상기 커버하우징(31)의 회전돌기(32)를 관통하여 상기 히터(46)와 연결되고, 상기 전원버튼(54)의 하부에는 상기 스위치(56)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56)와 전원버튼(54) 사이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전원버튼(54)이 항상 위로 돌출된 상태로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메인회로기판(55), 스위치(56) 및 전원버튼(54)을 상기 스팀발생부(30)와 별도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부(20)에 장착하고 상기 전원케이블(51)과 상 기 연결부(20) 내부에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팀발생부(30)에서 발생되는 스팀에 의해 메인회로기판(55), 스위치(56) 및 전원케이블(51)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전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점검 및 수리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메인회로기판(55), 스위치(56) 및 전원버튼(54) 등을 연결부(20)에 장착하기 때문에 그만큼의 공간이 남아 상기 물탱크(40)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케이블(51)과 상기 히터(46)는 상기 연결부(20)와 스팀발생부(30)의 힌지결합부위를 관통하여 전선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후면하우징(25)의 외부에는 고무로 이루어진 제2완충부재(57)가 장착되는데, 상기 제2완충부재(57)는 상기 후면하우징(25)에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제2완충부재(57)를 임의로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완충부재(14)와 더불어 상기 밀대부(10)가 후방으로 넘어졌을 경우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완충부재의 장착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 제2완충부재(57)는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하우징(25)과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57a)와, 상기 체결부(57a)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전원케이블(51)을 끼워서 걸 수 있는 고리부(57b)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부(57a)는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상기 후면하우징(25)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때 체결부(57a)에는 철판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판(57c)을 장착하고 여기에 상기 스크류를 체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57c)을 상기 체결부(57a)에 장착함은, 상기 스크류를 고무로 이루어진 상기 체결부(57a)에 체결할 경우 상기 스크류가 상기 체결부(57a)를 기준치 이상으로 뚫고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판(57c)은 외주면이 상기 체결부(57a)에 감싸여지도록 장착되도록 하여 하나의 부품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57a)에는 체결관통공(57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하우징(25)에는 상기 체결부(57a)가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57a)의 외주면을 감싸는 외주안착부(25c)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주안착부(25c)의 중심에는 상기 체결관통공(57d)에 삽입되는 중앙돌기부(25d)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57a)를 상기 외주안착부(25c)와 중앙돌기부(25d)에 끼워 넣은 후,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판(57c)과 체결부(57a)를 상기 중앙돌기부(25d)에 체결시킨다.
위와 같이, 외주안착부(25c)와 중앙돌기부(25d)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완충부재(57)를 체결위치에 쉽게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체결시 체결위치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리부(57b)는, 상기 체결부(57a)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밀대부(10)가 후방으로 넘어졌을 경우 밀대부(10) 및 체결부(57a)보다 먼저 바닥과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리부(57b)는 중앙에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상기 전원 케이블(51)을 끼우도록 한다.
위와 같이 고무로 이루어진 고리부(57b)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밀대부(10)가 후방으로 넘어졌을 경우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전원케이블(51)을 끼워서 걸어 전원케이블(51)의 위치를 임의로 고정시킬 수 있는바 하나의 부품으로 두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주안착부(25c)의 하부에는 상기 제2완충부재(57)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완충부재(57)의 고리부(57b)의 양측을 고정시키는 스토퍼(25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인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권취기를 연결부 내부에 장착함으로서, 전원케이블을 쉽게 권취하여 보관할 수 있고, 상기 전원케이블출입구를 연결부의 측방향으로 형성함으로서, 전원케이블이 스팀발생부의 전후방향이 아닌 측방향을 배출되도록 할 수 있어 청소 작업을 함에 있어서 상기 전원케이블이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둘째, 권취기의 회전축을 상기 전면하우징부와 후면하우징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권취기에 권취된 전원케이블이 휘어짐 없이 곧바로 상기 연결부의 측방향으로 형성된 전원케이블출입구을 통해 입출되도록 하여 상기 전원 케이블이 보다 쉽게 귄취되거나 빠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기의 회전축을 상기 전면하우징부와 후면하우징부에 수직하게 배치함으로써, 권취기가 눕여져 있을 경우에 전원케이블이 자중에 의해 아래방향으로만 감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권취버튼을 연결부의 상부에 장착함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쉽게 권취버튼을 누를 수 있다.
넷째, 스프링클립을 장착함으로서, 사용자가 권취버튼을 누르고 있다가 놓으면 상기 권취버튼이 자동으로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다섯째, 플러그홀더를 장착함으로써, 전원케이블에 장착된 플러그를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어 외관상 좋을 뿐만 아니라 플러그가 다른 물체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밀대부와;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부와;
    상기 밀대부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팀발생부와 힌지결합하는 연결부와;
    상기 스팀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과;
    상기 연결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전원케이블을 권취하는 권취기와;
    상기 전원케이블이 인출되도록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전원케이블출입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원케이블출입구는 상기 연결부의 측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전면하우징부과 후면하우징부이 상기 권취기를 사이에 두고 상호 결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권취기의 회전축은 상기 전면하우징부와 후면하우징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는 상기 권취기를 작동시키는 권취버튼이 장착되되,
    상기 권취버튼은,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하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권취기에 연결되는 가압부와,
    상기 누름부의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회전돌기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버튼의 하부에는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고정 결합되는 스프링클립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케이블출입구에는,
    상기 전원케이블에 장착된 플러그를 수납하는 플러그홀더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
KR1020060037580A 2006-04-26 2006-04-26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 KR100734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580A KR100734567B1 (ko) 2006-04-26 2006-04-26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
PCT/KR2006/002742 WO2007123290A1 (en) 2006-04-26 2006-07-12 Steam cleaner with device for winding electric cable
CNA2006101445741A CN1947647A (zh) 2006-04-26 2006-11-06 具有卷线装置的蒸汽清扫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7580A KR100734567B1 (ko) 2006-04-26 2006-04-26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4567B1 true KR100734567B1 (ko) 2007-07-02

Family

ID=3801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7580A KR100734567B1 (ko) 2006-04-26 2006-04-26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34567B1 (ko)
CN (1) CN1947647A (ko)
WO (1) WO20071232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300B1 (ko) 2008-03-26 2010-03-09 한경희 스팀청소기용 하우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95999B (zh) * 2015-01-02 2018-01-30 鲁杨 一种新型蒸汽吸尘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795Y1 (ko) 2003-07-24 2003-11-01 주식회사 우남 스팀청소기
KR200359231Y1 (ko) 2004-05-18 2004-08-16 박항로 물걸레 스팀청소기
KR200398141Y1 (ko) 2005-07-22 2005-10-11 광동정밀 주식회사 전원 케이블 권취장치가 구비된 스팀 청소기
KR200401868Y1 (ko) 2005-08-22 2005-11-22 (주)한국하비비 업라이트형 진공스팀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090Y2 (ja) * 1992-12-08 1995-03-15 任宏 木村 コードリール
JP2005185342A (ja) * 2003-12-24 2005-07-14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795Y1 (ko) 2003-07-24 2003-11-01 주식회사 우남 스팀청소기
KR200359231Y1 (ko) 2004-05-18 2004-08-16 박항로 물걸레 스팀청소기
KR200398141Y1 (ko) 2005-07-22 2005-10-11 광동정밀 주식회사 전원 케이블 권취장치가 구비된 스팀 청소기
KR200401868Y1 (ko) 2005-08-22 2005-11-22 (주)한국하비비 업라이트형 진공스팀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300B1 (ko) 2008-03-26 2010-03-09 한경희 스팀청소기용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47647A (zh) 2007-04-18
WO2007123290A1 (en)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569B1 (ko) 완충부재가 장착된 스팀청소기
KR100734567B1 (ko) 권취기가 장착된 스팀청소기
KR100734568B1 (ko) 스팀청소기의 물탱크 및 이를 이용한 스팀청소기
KR101351049B1 (ko) 가열식 헤어 브러시
KR20120026794A (ko) 스팀청소기
WO2009146640A1 (zh) 一种带毛刷的蒸汽式电熨斗
KR20070077007A (ko) 청소기의 걸레판
RU2414165C2 (ru)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алфетки пылесос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430994B1 (ko) 청소기용 스팀분사장치
CN109625546A (zh) 一种烫衣机的收纳盒
KR20120026793A (ko) 스팀청소기
RU2298272C2 (ru) При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редств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в электроприборе
CN106319845B (zh) 分洗洗衣机的箱体以及分洗洗衣机
JPH0788011A (ja) スチームヘアーブラシ
KR200395279Y1 (ko) 봉형 전기 청소기의 전선 권선장치
KR200455283Y1 (ko) 휴대용 칫솔 살균기
KR101082089B1 (ko) 진동우산
KR200415416Y1 (ko) 스팀청소기에 설치되는 스팀 다리미 세트
EP1934394A1 (en) Wireless flatiron custody box
CN215737462U (zh) 一种伸缩型牙刷
KR20160083162A (ko) 비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CN104315792B (zh) 冰箱饮水机
CN220876675U (zh) 一种洗地机手柄组件
KR102495584B1 (ko) 웨트 티슈 워머
KR200282793Y1 (ko) 스팀 가습기능을 겸할 수 있는 스팀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