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793Y1 - 스팀 가습기능을 겸할 수 있는 스팀 청소기 - Google Patents

스팀 가습기능을 겸할 수 있는 스팀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793Y1
KR200282793Y1 KR2020020010171U KR20020010171U KR200282793Y1 KR 200282793 Y1 KR200282793 Y1 KR 200282793Y1 KR 2020020010171 U KR2020020010171 U KR 2020020010171U KR 20020010171 U KR20020010171 U KR 20020010171U KR 200282793 Y1 KR200282793 Y1 KR 200282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ose
steam generator
protruding
out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천
Original Assignee
신동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천 filed Critical 신동천
Priority to KR2020020010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793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팀 발생기를 이용하여 물걸레 청소와 함께 가습기로도 사용할 수 있는 스팀 가습기능을 겸하는 스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물을 가열하는 히터가 내장되는 내부 가열용기와, 상기 히터에 전원공급하는 부속부품들과 상기 내부 가열용기가 내장되는 외부 본체와, 상기 외부 본체의 상면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가열용기에 물을 주입시킬 수 있게 하는 마개와, 상기 외부 본체의 저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스팀 청소기의 스팀 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기의 외부 본체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는 돌출봉과; 상기 돌출봉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채 돌출봉에 나사조립되는 나사못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조립부와, 일측이 개구되어 스팀호스를 걸어줄 수 있는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호스걸이구와; 상기 외부 본체의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3개의 바퀴들 중 하나의 바퀴로 형성된 전륜을 기준하여 그 양측에 서로 대칭상으로 하향을 향해 돌출되는 한쌍의 지지돌기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스팀 가습기능을 겸할 수 있는 스팀 청소기{Steam cleaner enabling steam humidifier}
본 고안은 스팀 발생기를 이용하여 물걸레 청소와 함께 가습기로도 사용할 수 있는 스팀 가습기능을 겸할 수 있는 스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팀 청소기는 스팀이 물걸레에 충분한 습기를 공급하게 되어 물걸레질을 할 수 있고 특히 스팀의 고온을 이용하여 실내의 구석진 바닥이나 카페트에 서식하는 먼지진드기 등의 유해곤충을 살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스팀 청소기는 물을 가열하여 뜨거운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와,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이용하여 물걸레질을 하는 청소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스팀 발생기와 청소대는 분리된 상태에서 스팀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스팀 발생기와 청소대 각각에 스팀호스의 양단을 연결시킨 다음 청소대로 바닥을 닦으면서 이동하게 되면 스팀호스에 의해 연결된 스팀 발생기가 청소대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끌리어 따라다니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의 스팀 발생기는 청소대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잘 따라나닐 수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팀 발생기의 바닥에 비교적 큰 직경을 갖는 바퀴를 세개 내지 네개 부착하고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바닥을 닦기 위해 청소대를 이동시킬 때 스팀호스에 의해 연결된 스팀 발생기가 넘어지지 않고 청소대의 이동방향으로 잘 따라다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팀 발생기의 본체를 비교적 큰 규격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스팀 발생기의 규격이 크면 클수록 본체를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할 때 프라스틱 원료가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사출금형도 큰 규격으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스팀 발생기의 제작비가 비싸지는 되며, 이는 곧 스팀 청소기의 공급가가 비싸지게되어 소비자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을 주게 된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팀 청소기의 핵심구성 중의 하나인 스팀 발생기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스팀 청소기의 스팀 발생기 자체 규격을 축소시킴과 동시 중량도 경량화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스팀 발생기의 이동 및 운반할 때 힘이 덜 들도록 함과 동시 청소대로 바닥을 닦을 때 스팀호스에 연결된 채 이끌리는 스팀 발생기가 넘어지지 않고 잘 따라다닐 수 있도록 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으며, 또한 스팀을 이용하여 물걸레청소를 완료한 후에는 스팀 발생기에 남아있는 물을 전량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청소 후 장시간 동안 보관되는 스팀 발생기에 세균이 번식할 수 없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한 스팀을 이용하여 청소를 하고자 할 때 스팀 발생기를 온(on)조작하여히터가 충분히 가열되어 물을 끓여주는데 소요되는 시간 동안이나 또는 사용자가 스팀 발생기를 온조작한 후 청소 준비를 위한 볼 일이나 예기치 않은 다른 볼 일 에를 들면, 전화가 와서 전화통화를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동안에는 스팀 발생기에 연결된 스팀호스를 보조 가습용기에 연결해 놓는 수단으로 스팀 발생기를 온조작한 후 청소를 개시하기 전까지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스팀으로 실내를 가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물을 가열하는 히터가 내장되는 내부 가열용기와, 상기 히터에 전원공급하는 부속부품들과 상기 내부 가열용기가 내장되는 외부 본체와, 상기 외부 본체의 상면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가열용기에 물을 주입시킬 수 있게 하는 마개와, 상기 외부 본체의 저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스팀 발생기와 물걸레청소를 할 수 있는 청소대 및 상기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된 수팀을 청소대에 이송시키는 스팀호스로 구성되는 스팀 청소기에 있어서,
외부 본체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는 돌출봉과;
상기 돌출봉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채 돌출봉에 나사조립되는 나사못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조립부와, 일측이 개구되어 스팀호스를 걸어줄 수 있는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호스걸이구와;
상기 외부 본체의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3개의 바퀴들 중 하나의 바퀴로 형성된 전륜을 기준하여 그 양측에 서로 대칭상으로 하향을 향해 돌출되는 한쌍의 지지돌기;
를 구성하고 있는 스팀 발생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스팀 발생기는 그 외부 본체의 상면에 상향으로 돌출된 외부 돔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부 가열용기의 상면에도 상기의 외부 돔형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부 돔형부를 돌출 형성하며, 또한 상기 내부 돔형부 상부에는 외부 돔형부 상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채 스팀호스의 일단과 연결되는 호스연결구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스팀을 발생시키지 않을 때에는 외부 본체를 거꾸로 하여 내부 가열용기에 남아있는 물을 내부 돔형부를 통해 전량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스팀 발생기와는 별도로 제작되며, 내부 가열용기의 호스연결구에 일단이 연결되는 스팀호스의 타단이 연결되어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된 스팀이 내부로 유입되게 한 후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보조 가습용기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스팀 발생기의 평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스팀 발생기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스팀 발생기의 일부 단면한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스팀 청소기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호스걸이구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팀 발생기 2 : 외부 본체
3 : 내부 가열용기 4 : 호스걸이구
5 : 한쌍의 지지돌기 6 : 보조 가습용기
7 : 스팀호스 8 : 청소대
21 : 전륜 22 : 후륜
23 : 돌출봉 24 : 외부 돔형부
25 : 마개 26 : 스위치
31 : 내부 돔형부 32 : 호스연결구
41 : 부착부 42 : 고리부
43 : 나사못 61,85 : 연결구
81 : 손잡이자루 82 : 물걸레판
83 : 링고리 84 : 탄성압착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스팀 발생기의 평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스팀 발생기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스팀 발생기의 일부 단면한 정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스팀 청소기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호스걸이구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스팀 청소기의 스팀 발생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스팀 발생기(1)는 외부 본체(2)와 외부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가열용기(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가열용기(3)의 내저부에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도시 없음)가 내장되어 있으며, 또한 내부 가열용기(3)의 외저부에는 히터에 전원공급하는 부속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부 본체(2)의 저부에는 크기가 작은 3개의 바퀴가 외부로 노출된 채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데, 3개의 바퀴들 중 전륜(21)은 1개의 바퀴로 형성되어 있고 후륜(22)은 2개의 바퀴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외부 본체(2)에서 특징으로 하는 구성은, 외부 본체(2)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스팀호스(7)를 걸어주는 호스걸이구(4)를 회전가능하게 부착시킨 것과, 저면에는 1개의 바퀴로 된 전륜(21)을 기준하여 그 양측에 하향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지지돌기(5)를 대칭상으로 형성한 것에 있다.
상기 호스걸이구(4)는 외부 본체(2)의 상면에 돌출된 돌출봉(2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부착부(41)와 일측이 갈고리모양으로 개구되어 스팀호스()를 삽탈을 허용하면서 삽입된 스팀호스(7)가 빠지지 않게 붙잡아주는 고리부(42)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부착부(41)를 돌출봉(23)에 끼워준 다음 그 돌출봉(23)에 나사조립되는 나사못(43)에 의하여 상기 호스걸이구(4) 자체는 돌출봉(23)에서 이완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한쌍의 지지돌기(5)는 바닥에 직접 닿지 않고 전륜(21) 및 후륜(22)이 바닥에서 잘 굴러갈 수 있도록 바닥과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게 하는 한편, 스팀 발생기(1)를 이동시킬 때 전륜(21)을 기준하여 그 양측으로 스팀 발생기(1) 자체가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담당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다른 특징은, 외부 본체(2)의 상면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외부 돔형부(24)를 형성한 것과, 내부 가열용기(3)의 상면에도 내부 돔형부(31)를 형성하되, 상기 내부 돔형부(31)는 외부 돔형부(24) 내측에 장입된 상태로 구성한 것과, 또한 내부 돔형부(31)의 상부에 돌출된 호스 연결구(32)가 외부 돔형부(24)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한 것에 있다.
상기 내부 가열용기(3)의 상면에 형성된 내부 돔형부(31)가 외부 본체(2)의 상면에 돌출된 외부 돔형부(24)에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되게 하고 또 내부 돔형부(3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호스 연결구(32)를 외부 돔형부(24)의 상부로 돌출되게 한 이유는 스팀 발생기(1)를 사용하지 않을 때 내부 가열용기(3)에 잔존하는 물을 전량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내부 가열용기(3)에 남아있는 물을 배출시키고자 할 때에는 외부 본체(2) 자체를 거꾸로 뒤집어주게 되면 내부 가열용기(3)에 남아있는 물은 내부 돔형부(31)로 모이면서 호스 연결구(3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내부 돔형부(31)의 내면에는 후술하는 스팀호스(7)의 일단과 착탈되는 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스팀 발생기(1)와는 별도로 제작된 보조 가습용기(6)를 구비하여 스팀 발생기(1)에 발생된 스팀을 이용하여 실내를 가습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상기 보조 가습용기(6)는 외부 본체(2)의 외부 돔형부(24) 상부로 노출되는호스 연결구(32)에 일단이 연결되는 스팀호스(7)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구(61)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보조 가습용기(6)의 상단은 스팀을 배출시키는 스팀배출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팀 발생기(1)와 보조 가습용기(6)를 스팀호스(7)로 연결해 놓은 상태에서 스팀 발생기(1)를 작동시키게 되면 내부 가열용기(3)에서 발생된 스팀이 스팀호스(7)를 통해 보조 가습용기(6)로 유입된 후 스팀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서 상기 보조 가습용기(6)는 스팀 발생기(1)에 서 발생되는 스팀으로 실내를 가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가습용기(6) 내부에 쑥을 수납하여 주면 스팀 발생기(1)에 발생된 스팀이 스팀호스(7)를 통해 보조 가습용기(6) 내부로 유입되면서 쑥과 접촉한 후 배출되는 상태가 되어 쑥향기를 포함하는 스팀으로 실내를 가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팀 발생기(1)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이용하여 물걸레 청소를 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로 구성된 청소대(8)를 이용하는데, 상기 청소대(8)는 길이가 조절되는 손잡이자루(81)와 상기 손잡이자루(81) 하단에 연결되는 물걸레판(8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자루(81)의 하단부위에는 스팀호스(7)를 걸어주는 링고리(8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걸레판(82)의 상면 양측에는 강한 압착력으로 물걸레를 붙잡아주는 한쌍의 탄성압착구(84)가 탄력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물걸레판(82)의 상면 일측에는 스팀호스(7)의 타단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8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 아나하였지만 물걸레판(82) 저부에는 스팀을 배출시키는 스팀분출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스팀 청소기로 실내를 청소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스팀 발생기(1)의 외부 본체(2) 상면 일측에 형성된 마개(25)를 열고 적당량의 물을 주입하게 되면 물은 내부 가열용기(3)에 저장된다. 이어서 마개(25)를 닫고 외부 본체(2)의 저부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코드(도시 생략)를 전원콘센트에 연결시킨 다음 외부 본체(2)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26)를 온(on)조작하게 되면 내부 가열용기(3) 내저부에 장착되어 있는 히터가 가열되면서 물을 가열하게 되는데, 상기한 히터는 스위치(26)를 온조작하는 즉시로 가열되지 않고 충분한 시간(대략 2∼5분 정도)이 경과해야만 충분히 가열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위치(26)를 온조작한 후 히터가 충분히 가열되어 물을 끓여주는 시간 동안 잠시 기다리게 되며, 또한 물이 끓기 전에 스팀호스(7)의 일단을 호스 연결구(32)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물이 끓기 전에는 호스 연결구(32)로 스팀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스팀으로부터 위험을 느끼지 않고 안심하고 스팀호스(7)의 일단을 호스 연결구(32)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내부 가열용기(3)의 히터가 충분히 가열되는 동안에 발생되는 스팀은 저압상태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저압상태로 배출되는 스팀으로는 청소대(8)로 물걸레청소를 하기에는 미흡한 상태이므로 이때에는 스팀 발생기(1)의 호스연결구(32)에 일단이 연결된 스팀호스(7)의 타단을 미리 준비하고 있는 보조 가습용기(6)의 연결구(61)에 연결해놓게 되면 내부 가열용기(3)의 히터가 충분히 가열되는 동안발생되는 저압상태의 스팀은 보조 가습용기(6)로 이송되며, 상기 보조 가습용기(6)로 이송된 스팀은 그 상면에 형성된 스팀배출공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면서 가습기와 같은 작용으로 실내를 가습하게 되며, 또한 사용자가 보조 가습용기(6)에 쑥을 수납해 놓게 되면 보조 가습용기(6)로 이송 유입되는 스팀은 쑥과 접촉하면서 배출되는 상태가 되어 스팀배출공을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스팀에는 쑥향기를 함유하고 있게 되어 쑥이 함유된 스팀으로 실내를 가습하는 작용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스팀호스(7)를 보조 가습용기(6)에 연결해놓고 물이 끓기를 기다리는 동안 다른 볼 일을 보게 되더라도 스팀 빌생기(1)에서 발생되는 스팀은 보조 가습용기(6)에 의해 실내를 가습하는 상태가 되어 사용자는 안심하고 다른 볼 일을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 가열용기(3)의 히터가 충분하게 가열되어 고압상태의 스팀이 발생되는 상태가 되어 보조 가습용기(6)에 연결되어 있던 스팀호스(7)을 청소대(8)에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스팀 발생기(1)의 스위치(26)를 오프(off)조작한 상태에서 보조 가습용기(6)의 연결구(61)에서 스팀호스(7)를 빼내어 청소대(8)의 연결구(85)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스위치(26)를 일시적으로 오프하게 되면 히터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면서 스팀의 발생이 잠시 줄어들게 되므로서 보조 가습용기(6)의 연결구(61)에 스팀호스(7)를 분리시킬 때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는 량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사용자에게 스팀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스위치(26)를 오프조작한 상태에서 보조 가습용기(6)에 연결되어 있던 스팀호스(7)의 타단을 링고리(83)를 통과시켜서 청소대(8)의 연결구(85)에 연결시키는데, 이때 외부 본체(2)의 상면에 돌출된 외부 돔형부(31) 상방으로 노출된 호스 연결구(32)에 연결되어 있는 스팀호스(7)를 호스걸이구(4)의 고리부(42)에 삽입시켜서 걸어놓은 상태에서 청소대(8)를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바닥을 닦을 때 스팀호스(7)에 의해 이끌리게 되는 스팀 발생기(1) 자체는 외부 돔형부(24) 상부에서 이끌리는 상태가 되지 않고 그 외부 돔형부(24)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호스걸이구(4)에서 이끌리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호스걸이구(4)의 고리부(42)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늘어진 상태로 걸어진 스팀호스(7)는 외부 본체(2) 측방에서 이끌어주는 상태가 되어 청소대(8)를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물걸레청소를 할 때 스팀호스(7)에 이끌리면서 청소대(8)를 따라다니게 되는 스팀 발생기(1)가 넘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외부 본체(2)의 저부에 설치된 전륜(21)과 후륜(22)을 구성하고 있는 3개의 바퀴는 직경이 작은 소형 바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본체(2)의 저부가 전,후륜(21)(22)이 닿고 있는 바닥에 근접한 상태이고 또 1개의 바퀴로 된 전륜(21)의 양측에 대칭상으로 돌출된 한쌍의 지지돌기(5)가 바닥에 거의 닿는 상태로 돌출되어 스팀 발생기(1) 자체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청소대(8)로 물걸레청소를 할 때 스팀 발생기(1) 자체는 넘어지지 않고 스팀호스(7)에 이끌리면서 청소대(8)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따라다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청소대(8)의 물걸레판(82)에 부착된 물걸레는 스팀분출공에서 분출되는 스팀에 의해 뜨거운 상태이므로 바닥을 닦을 때 먼지진드기를 살균시키는 작용을 기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물걸레판(82)에서 물걸레를 분리시킨 상태로 스팀분출공으로 스팀이 분출되게 하는 방법으로 카폐트에 스팀을 분출시키게 되면 카페트에 서식하는 먼지진드기의 살균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팀을 이용하여 물걸레청소를 완료한 후 스팀 발생기(1)를 장시간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스위치(26)를 오프조작함과 동시 전원코드를 빼내고, 또한 스팀호스(7)를 호스연결구(32)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스팀 발생기(1) 자체를 거꾸로 뒤집어주게 되면 내부 가열용기(3)에 남아있는 물은 내부 돔형부(31)에 모이게 되면서 호스연결구(32)를 통해 배출되게 되므로서 내부 가열용기(3)에 잔존하는 물을 전량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 스팀 발생기(1)를 보다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스팀 발생기의 생산원가를 줄이기 위해 스팀 발생기 자체를 소형화시킴과 동시 경량화하여 제작하게 되더라도 청소대를 이동시키면서 스팀 발생기를 끌고다닐 때 스팀 발생기가 넘어지는 사례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스팀 발생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이용하여 실내를 가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습시 쑥향기를 함유한 스팀으로 가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스팀 발생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스팀 발생기 내부에 남아있는 물을 전량 배출 제거할 수 있어 다음에 사용할 때 보다 위생적인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하는 등의 효과를 가져다줄 수 있으며, 특히 스팀 발생의 생산원가를 줄여 소비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지 않고 스팀 청소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하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3)

  1. 물을 가열하는 히터가 내장되는 내부 가열용기와, 상기 히터에 전원공급하는 부속부품들과 상기 내부 가열용기가 내장되는 외부 본체와, 상기 외부 본체의 상면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가열용기에 물을 주입시킬 수 있게 하는 마개와, 상기 외부 본체의 저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바퀴가 형성되어 있는 스팀 발생기와 물걸레청소를 할 수 있는 청소대 및 상기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된 수팀을 청소대에 이송시키는 스팀호스로 구성되는 스팀 청소기에 있어서,
    외부 본체의 상면 일측에 돌출되는 돌출봉과;
    상기 돌출봉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채 돌출봉에 나사조립되는 나사못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조립부와, 일측이 개구되어 스팀호스를 걸어줄 수 있는 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호스걸이구와;
    상기 외부 본체의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3개의 바퀴들 중 하나의 바퀴로 형성된 전륜을 기준하여 그 양측에 서로 대칭상으로 하향을 향해 돌출되는 한쌍의 지지돌기;
    를 구성하고 있는 스팀 발생기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가습기능을 겸할 수 있는 스팀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기는 그 외부 본체의 상면에 상향으로 돌출된 외부 돔형부를형성하고, 상기 내부 가열용기의 상면에도 상기의 외부 돔형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내부 돔형부를 돌출 형성하며, 또한 상기 내부 돔형부 상부에는 외부 돔형부 상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채 스팀호스의 일단과 연결되는 호스연결구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스팀을 발생시키지 않을 때에는 외부 본체를 거꾸로 하여 내부 가열용기에 남아있는 물을 내부 돔형부를 통해 전량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가습기능을 겸할 수 있는 스팀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기와는 별도로 제작되며, 내부 가열용기의 호스연결구에 일단이 연결되는 스팀호스의 타단이 연결되어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된 스팀이 내부로 유입되게 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보조 가습용기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가습기능을 겸할 수 있는 스팀 청소기.
KR2020020010171U 2002-04-04 2002-04-04 스팀 가습기능을 겸할 수 있는 스팀 청소기 KR200282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71U KR200282793Y1 (ko) 2002-04-04 2002-04-04 스팀 가습기능을 겸할 수 있는 스팀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171U KR200282793Y1 (ko) 2002-04-04 2002-04-04 스팀 가습기능을 겸할 수 있는 스팀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793Y1 true KR200282793Y1 (ko) 2002-07-23

Family

ID=7312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171U KR200282793Y1 (ko) 2002-04-04 2002-04-04 스팀 가습기능을 겸할 수 있는 스팀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7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162B1 (ko) 2007-02-08 2009-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162B1 (ko) 2007-02-08 2009-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6216B1 (en) Steam mop with replaceable steam fabric pocket
US8205293B2 (en) Steam mop
CA2146843C (en) Humidifier with exposed spaced bottles
KR100645947B1 (ko) 다기능 청소기
CN104207730A (zh) 立式多功能地面清洁吹干器
US20240138644A1 (en) Cleaner
CN203407997U (zh) 立式多功能地面清洁吹干器
KR200282793Y1 (ko) 스팀 가습기능을 겸할 수 있는 스팀 청소기
CN203506626U (zh) 立式多功能地面清洁吹干器
KR100430994B1 (ko) 청소기용 스팀분사장치
KR100881020B1 (ko) 다이어트 걸레
KR100419119B1 (ko) 증기를 토출하는 물걸레 청소기
CN203506625U (zh) 立式多功能地面清洁吹干器
CN203506627U (zh) 立式多功能地面清洁吹干器
KR100754248B1 (ko) 스팀진공청소기
CN104207739A (zh) 立式多功能地面清洁吹干器
CN106264321A (zh) 一种拖吸一体的吸尘器
KR100821727B1 (ko) 청소기의 청소노즐
US7987549B2 (en) Vacuum cleaner with a massage head
CN209252718U (zh) 一种表面清洁装置
CN214760920U (zh) 一种多功能地面清洁器底座
CN215648754U (zh) 宠物拉毛梳
KR100800185B1 (ko) 청소기
JPH023815Y2 (ko)
CN204743003U (zh) 易洁香氛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