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3625B1 - 스트로를 구비한 압압변형가능한 종이팩용기 - Google Patents

스트로를 구비한 압압변형가능한 종이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3625B1
KR100733625B1 KR1020067002696A KR20067002696A KR100733625B1 KR 100733625 B1 KR100733625 B1 KR 100733625B1 KR 1020067002696 A KR1020067002696 A KR 1020067002696A KR 20067002696 A KR20067002696 A KR 20067002696A KR 100733625 B1 KR100733625 B1 KR 100733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container
folded
gold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5793A (ko
Inventor
도시야 다이쿄
도시유키 하마사키
유지 우다
지사토 다나이
노리히코 아카하네
기요히데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네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골드 팩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골드 팩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35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4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outwardly or adhered to the side or the top of the container
    • B65D5/065Rectangular containers having a body with gusset-flaps folded outwardly or adhered to the side or the top of the container with supplemental means facilitating the opening, e.g. tear lines, tear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4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압압해서 접어포개는 것이 가능한 종이팩용기(20)의 상부에 설치한 삽입부(36)에 스트로를 꽂아넣고, 해당 용기를 바깥쪽으로부터 압압해서 평탄형상으로 접어포개어 내용물을 밀어내어 음용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상하를 평탄하게 접어구부리고, 위쪽에 위치해서 좌우로 돌출된 삼각돌출부(21)를 아래쪽으로 접어구부려서 해당 용기의 측면부(25)에 가열가공에 의해 약하게 접착결합한다. 상기 용기의 양 측면부(25)의 아래쪽에는 저면부(24)를 밑변으로 해서 설치한 삼각면부의 역V형 접은금(27)과 해당 꼭대기부(28)로부터 위쪽으로 수직방향으로 세로접은금(29)을 설치하고, 해당 세로접은금(29) 및 역V형 접은금(27)을 접어포개어 해당 용기의 측면부(25)를 평탄형상으로 접어포갤 수 있다. 상기 전면부(30)의 아래쪽에는 제 1 수평접은금(31) 또는 위쪽에 제 2 수평접은금(34)을 설치하고, 상기 상면부의 바로앞측 절반 및 저면부의 바로앞측 절반을 전면부(30)상에 평탄형상으로 접어포갤 수 있도록 한다.
삼각돌출부, 테이퍼, 걸어고정부, 세로접은금, 수평접은금

Description

스트로를 구비한 압압변형가능한 종이팩용기{PAPER PACKAGE INCLUDING STRAW}
본 발명은 종이팩용기에 수용된 주스, 청량음료수, 특히 젤리식품 등의 내용물을 흡인력을 사용하지 않고 외부로부터의 압압으로 음용할 수 있는 압압변형가능한 종이팩용기 및 스트로에 관한 것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유, 청량음료, 주스 등의 각종 음료를 수용한 종이팩용기(1)는 내부의 각종 음료를 음용하기 위해 스트로(3)를 꽂아넣는 삽입부(2)를 용기의 상면부(9)에 설치하여, 해당 삽입부를 덮고 있는 밀봉막에 선단을 꽂아넣은 스토로의 상단으로부터 음료를 음용하고 있다. 스트로(3)는 삽입부(2)에 꽂아넣기 쉽게 하기 위해 선단을 경사형상으로 하고, 투명봉투(5)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용기(1)의 외면에 부착한 것이 일본국 특개2000-313435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스트로(3)는 종이팩용기(1)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해당 용기의 외측에 비스듬히 부착하고, 삽입부(2)에 삽입한 선단은 용기의 바닥부에 닿는 길이를 가지며, 내용물의 액면이 내려가도 스트로의 선단은 바닥부에 닿으므로 해당 용기를 기울여서 한쪽으로 치우진 내용물을 남기지 않고 마실 수 있다. 그러나, 삽입부(2)에 꽂아넣은 스트로를 입에 물고 흡인하면서 마시거나, 다른 포유병이나 컵에 옮겨 담을 경우,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면 용기 내는 서서히 감암해서 스트로 로부터 내용물이 나오지 않게 되기 때문에, 해당 용기를 외측으로부터 압압해서 내압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음용에 의해서 내용물이 감소한 용기를 거꾸로 하면, 스트로의 선단이 음료로부터 노출해서 내용물을 마실 수 없게 된다. 또, 스트로(3)는 단면이 동일형상으로 삽입부(2)에 단지 꽂아넣어져 있기 때문에, 잘못해서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 삽입부(2)로부터 간단히 빠져, 내용물이 용기로부터 유출해서 양복 등을 더럽힐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트로가 갖는 문제점을 감안해서 개선한 스트로가 일본국 특개2002-249172호나 일본국 특개2002-355161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압압변형가능한 용기(20)에 설치한 삽입부(36)에 삽입하는 개량형의 스트로(4a)는 해당 용기내에 일정이상 삽입하지 않는 바와 같은 대략 중간부에 임의형상의 걸어고정부(6)를 설치하여, 삽입부(36)에 걸어고정되어 있다. 걸어고정부(6)로부터 용기(20)를 형성하는 소재의 두께(W)와 대략 동일한 간격을 둔 위치에 통과구멍(7), 또 스트로 선단에 경사형상의 개구부(8)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통과구멍(7)은 1개이어도 복수이더라도 좋다. 이 용기내의 음료는 스트로의 개구부(8) 이외에, 통과구멍(7)으로부터 유출시켜 마실 수 있다.
삽입부(36)에 꽂아넣은 스트로(4a)로부터 내용물을 컵이나 포유병으로 옮겨담을 경우, 스트로의 걸어고정부(6)에 접근해서 1 또는 2 이상의 통과구멍(7)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20)내의 음료는 개구부(8) 또는 통과구멍(7)으로부터 받아들여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을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긴 스트로라면, 용기내 의 음료가 감소하면 스트로의 선단이 음료 외에 노출해서 내용물을 마실 수 없게 되지만, 도 1에 나타내는 스트로(4a)는 선단에 설치한 개구부(8) 이외에, 용기(20)의 벽면에 접근해서 통과구멍(7)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용기를 거꾸로 하면 내용물을 끝까지 마시거나, 옮겨 담을 수 있다(도 14).
상기 개량 스트로(4a)의 원리를 이용한 도 2∼도 4에 나타내는 다른 개량형 스트로(4b)의 선단은 용기에 설치한 삽입부(36)에 꽂아넣기 쉽게 하기 위해 테이퍼형상을 한 끝이 가늘어진 통(11)의 선단에 경사형상의 개구부(8a)를 설치하고, 중간부분에는 일정범위로 신축가능하고 접어구부림가능한 주름부(10)와 삽입부(36)에 꽂아넣은 스트로(4b)가 간단히 탈출하지 않도록 외경을 대략 테이퍼형상으로 해서 스토퍼기능을 갖는 걸어고정부(6a) 및 단부(6b)를 설치하고, 해당 걸어고정부에 접근해서 통과구멍(7a)을 설치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스트로는 걸어고정부(6a)의 최대 외경부에 연속해서 수직인 단부(6b)를 스트로 외주면에 설치하고 있고, 도 4에 나타내는 스트로는 걸어고정부(6a)의 최대외경에 연속한 보강기능을 갖는 통형상부(6c)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설치한 단부(6b)를 스트로 외주면의 베이스부(12)에 연속해서 설치하고 있다.
용기(20)의 내용물이 감소해서 스트로(4b) 선단의 개구부(8a)가 음료 외로 노출하면(도 14), 내용물은 통과구멍(7a)으로부터 스트로내로 진입한다. 즉, 해당 용기(20)의 바닥면부를 위쪽으로 해서 삽입부(36)에 꽂아넣은 스트로(4b)를 입에 물고 흡입하면 끝까지 음용할 수 있다. 또, 컵이나 포유병에 내용물을 옮겨 담는 경우에는 잔량이 줄어서 스트로의 개구부(8a)가 음료 외로 노출해도 통과구멍(7a) 으로부터 내용물을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을 수 있다.
종래의 종이팩용기(1)의 대표적인 것을 도 16에 도시하지만, 내면에 알루미늄박이나 폴리에틸렌수지 등의 내수박막(13)(도 14)을 설치한 두꺼운 종이재를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상하단가장자리를 밀착시켜 사각형상자형으로 접어구부리고, 양 측면부의 상하좌우로 각각 돌출시킨 삼각돌출부를 아래쪽으로 접어구부리며, 측면부 및 저면부에 접착결합하여 전체를 직사각형 상자형으로 조립하고 있다.
[발명의 개시]
종이팩용기(1)의 상면부(9)에 설치한 삽입부(2)를 밀봉하고 있는 내수막은 스트로(3)를 꽂아넣으면 해당 스트로의 외주면에 밀착해서 외부에 대해 밀봉하고, 해당 스트로를 입에 물고 흡인하면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용기(1)의 내부에 생기는 부압에 의해, 해당 용기는 바깥쪽으로부터 압압되어 변형된다. 그 후, 스트로(3)로부터 입을 떼면 해당 부압에 의해 외기를 내부에 받아들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고, 재차 스트로를 입에 물고 흡인하고, 이것을 반복하면서 내용물을 마시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내의 내용물은 스트로를 입에 물고 흡인력에 의해 음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청량음료 등과 같이 수용액이 아닌, 젤리음료와 같이 점도를 갖는 점성유체의 내용물인 경우에는 스트로로 음용하기 위해서는 강한 흡인력을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영유아나 환자나 노인 등 체력이 약하면 강한 흡입력을 낼 수 없으므로, 내용물을 음용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부드러운 수지부재,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알루미늄박 등의 유연 한 부재로 형성해서 수축가능한 용기를 손으로 유지해서 수축하면서 알맹이인 젤리음료를 밀어내는 용기도 있다. 이 경우, 흡인력은 필요하지 않지만, 수축한다고 하는 강한 힘을 필요로 하는데다가, 용기의 재료코스트가 들고, 또한 다 마신 후의 용기는 분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쓰레기처리에 시간이 걸리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압압변형가능한 종이팩용기의 외측으로부터 압압해서 접어 포개고, 흡입력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알맹이의 내용물을 끝까지 음용하고, 또한 다른 용기에 옮겨 담을 수 있는 종이팩용기 및 스트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면에 내수박막을 설치한 두꺼운 종이재를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상하단가장자리를 밀봉하며, 이것을 접어 구부려, 각각 대향하는 상면부(35) 및 저면부(24), 전면부(30) 및 후면부(38) 및, 1쌍의 측면부(25,25)를 형성하는 동시에, 위쪽에 위치해서 좌우로 돌출시킨 삼각돌출부(21,21)를 측면부(25,25)에 밀착하고, 아래쪽에 위치해서 좌우로 돌출시킨 삼각돌출부(22,22)를 저면부(24)에 밀착해서 사각형상자형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면부(35)에 스트로삽입용의 삽입부(36)를 설치한 종이팩용기로서, 상기 위쪽 삼각돌출부(21,21)를 측면부(25,25)에 가열가공에 의해 약하게 접착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삼각돌출부는 측면부에 약하게 접착되어 있으므로, 손톱을 손상시키지 않고 해당 측면부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으며, 해당 용기의 측면부의 위쪽부분을 용이하게 접어포개어 내용물을 밀어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내면에 내수박막을 설치한 두꺼운 종이재를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상하단가장자리를 밀봉하며, 이것을 접어 구부려, 각각 대향하는 상면부(35) 및 저면부(24), 전면부(30) 및 후면부(38), 및 1쌍의 측면부(25, 25)를 형성하는 동시에, 위쪽에 위치해서 좌우로 돌출시킨 삼각돌출부(21,21)를 측면부(25,25)에 밀착하고, 아래쪽에 위치해서 좌우로 돌출시킨 삼각돌출부(22,22)를 저면부(24)에 밀착해서 사각형상자형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면부(35)에 스트로삽입용의 삽입부(36)를 설치한 종이팩용기로서, 상기 위쪽 삼각돌출부(21,21)를 측면부(25,25)에 필름(40)으로 밀봉 포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필름을 찢는 것에 의해 삼각면부를 측면부로부터 떼어낼 수 있으므로, 해당 용기의 측면부의 위쪽부분을 접어포개어 내용물을 밀어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내면에 내수박막을 설치한 두꺼운 종이재를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상하단가장자리를 밀봉하며, 이것을 접어 구부려, 각각 대향하는 상면부(35) 및 저면부(24), 전면부(30) 및 후면부(38), 및 1쌍의 측면부(25, 25)를 형성하는 동시에, 위쪽에 위치해서 좌우로 돌출시킨 삼각돌출부(21,21)를 측면부(25, 25)에 밀착하고, 아래쪽에 위치해서 좌우로 돌출시킨 삼각돌출부(22,22)를 저면부(24)에 밀착해서 사각형상자형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면부(35)에 스트로삽입용의 삽입부(36)를 설치한 종이팩용기로서, 상기 1쌍의 측면부(25,25)에, 측면부(25,25)와 저면부(24)가 이루는 교선인 밑변부(26,26)를 밑변으로 한 이등변삼각형상의 삼각면부(27a,27a)를 획정하는 역V형 접은금(27,27)과, 삼각면부(27a,27a)의 꼭대기부(28,28)로부터 위쪽 삼각돌출부(21,21)의 꼭대기부(23,23)를 향해서 연장하는 세로접은금(29,2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하단가장자리를 밀봉한 사각형상자형의 쌍을 이루는 측면부에 설치한 세로접은금과, 아래쪽에 설치한 역V형 접은금의 꼭대기부를 연결해서 설치하고 있으므로, 측면부의 하부에 설치한 삼각면부를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해당 측면부를 2개 꺾어 평탄형상으로 접어포개어 내용물을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삼각면부(27a,27a)의 양 꼭대기부(28, 28)를 통과하고, 저면부(24)에 평행한 제 1 수평접은금(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때문에, 이 사각형상자형의 저면부의 바로앞부분을 제 1 수평접은금으로부터 전면부상에 평탄형상으로 접어포갤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 1 수평접은금(31)이 전면부(30) 및 후면부(38)의 적어도 한쪽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1 수평접은금(31)은 전면부(30)에 설치해도 좋고, 또 후면부(38)에 설치해도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 1 수평접은금(31)과 저면부(24) 사이의 거리(d1)가 저면부(24) 폭(w1)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때문에, 저면부(24)의 바로앞측 부분이 제 1 수평접은금(32)을 내측으로 해서 전면부(30)상에 평탄형상으로 접어포갤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 1 수평접은금(31)으로부터 저면부(24) 폭(w1)의 자연수배의 거리를 갖고, 또한 제 1 수평접은금(31)에 평행한 적어도 1개의 보조접은금(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대형의 용기의 경우에는 전면부(30)에 보조접은금(32)을 설치하면, 전면부(30)상에 평탄하게 접어포갠 저면부(24)를 차례로 접어 구부리면서 내용물을 위쪽으로 이동시켜 스트로로부터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위쪽 삼각돌출부(21, 21)의 양 꼭대기부(23, 23)를 통과하고, 상면부(35)에 평행한 제 2 수평접은금(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때문에, 위쪽의 삼각돌출부(21, 21)를 측면부(25, 25)로부터 떼어내지 않고 전면부에 설치한 제 2 수평접은금(34)을 내측으로 해서 상면부(35)의 바로앞측 절반을 해당 전면부(30)상에 평탄형상으로 접어포개어, 내용물을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 2 수평접은금(34)과 상면부(35) 사이의 거리(d2)가 상면부(35) 폭(W2)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때문에, 상면부(35)의 바로앞측부분이 제 2 수평접은금(34)을 내측으로 해서 전면부(30)상에 평탄형상으로 접어포갤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삽입부(36)는 상면부(35)의 후면부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수평접은금(34)은 전면부(30)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점도가 10mPa·s 이상의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량음료수 등인 경우에는 점도가 낮으므로 약한 흡인력으로도 흡인할 수 있지만, 점도가 큰 내용물 예를 들면 죽 등인 경우에는 강한 흡인력이 나오지 않으면, 흡인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강한 흡인력을 필요로 하는 예를 들면 10mPa·s 이상의 점도가 높은 내용물을 먹는 경우에도 흡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외부로부터의 압압력만으로 용이하게 먹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스트로삽입용의 삽입부(36)를 가진 압압변형가능한 용기(20)의 해당 삽입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트로(4b)로서, 원관형상의 베이스부(12)와, 상기 용기의 내면에 걸어고정하여 스트로의 탈출을 방지하는 걸어고정부(6a)와, 해당 걸어고정부에 인접한 적어도 1개의 통과구멍(7a)을 갖고, 해당 통과구멍의 개구면적의 합계가 베이스부의 직경방향 단면적과 동등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걸어고정부(6a)가 그 외경이 입을 대는 측으로부터 통과구멍측을 향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걸어고정부(6a)가 테이퍼부의 최대외경이 베이스부(12)의 외경과 스트로관벽 두께의 합보다 작고, 베이스부의 외경보다 크게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이다.
본 발명은 접어포개는 것이 가능한 용기와 점도유체로 이루어지는 내용물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는 종이팩용기 및 스트로로서, 압압변형가능한 용기의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 해당 용기의 삽입부에 꽂아넣은 스트로를 입으로 흡인하지 않아도, 또는 흡인할 수 없어도 이 용기를 평탄형상으로 접어포갤 수 있도록 안내용의 접은금을 설치하고, 해당 용기를 외측으로부터 압압해서 평탄형상으로 변형시켜 내용물을 스트로로부터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점도가 높은 유체로 이루어지는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서는 강한 흡입력을 필요로 하지만, 유아·소아나 노인이나 환자 등 체력이 없기 때문에 강한 흡인력을 낼 수 없는 사람이라도, 해당 용기를 바깥쪽으로부터의 압압력으로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시켜 음용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스트로의 단면도,
도 2는 제 2 스트로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스트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종이팩용기의 사시도,
도 6은 용기 위쪽의 삼각돌출부를 위쪽으로 되꺽은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스트로를 삽입부에 꽂아넣고 용기의 상면부를 이루는 전면부와 후면부를 각각 평탄하게 밀착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용기 저면부의 앞측절반을 제 1 수평접은금으로부터 바로앞측으로 접어포개어 평탄형상으로 한 상태의 평면도,
도 9는 보조접은금으로부터 저면부를 바로앞측 위쪽에 접어포개어 평탄형상으로 한 상태의 평면도,
도 10은 제 2 보조접은금으로부터 저면부를 바로앞측 위쪽에 접어포개어 평탄형상으로 한 상태의 평면도,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의 종이팩용기의 사시도,
도 12는 상기 용기를 평탄하게 접어포갠 상태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이면도,
도 14는 용기의 삽입부에 스트로를 꽂아넣은 상태의 단면도,
도 15는 종이팩용기를 3개 일괄해서 투명필름으로 포장한 상태의 측면도,
도 16은 종래의 종이팩용기의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압압변형가능한 용기(20)에 대해서 설명하면, 내면에 내수박막(13)(도 14)을 설치한 두꺼운 종이재를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상하단가장자리를 밀봉해서 접어 구부려 설치한 사각형상자형(15)의 쌍을 이루는 양 측면부(25, 25)와, 전면부(30) 및 후면부(38)를 설치하고, 해당 전면부 및 후면부의 상하를 평탄하게 접어 포개어 좌우로 돌출시켜 삼각면부(21, 21), (22, 22)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아래쪽의 삼각돌출부(22, 22)는 각각 아래쪽으로 접어 구부려 저면부(24)의 하면에 접착 결합시키고 있다(도 6). 또한, 위쪽의 삼각돌출부(21, 21)는 아래쪽으로 접어 구부려 측면부(25, 25)에 약하게 가열접착하고 있다(도 6).
상기 용기(20)를 구성하는 사각형상자형(15)에 설치한 쌍을 이루는 측면부(25, 25)의 아래쪽에는 저면부(24)의 단가장자리인 밑변부(26, 26)와, 해당 밑변부를 밑변으로 해서 직각이등변삼각형의 능선의 꼭대기부를 연결한 역V형 접은금(27, 27)으로 설치한 삼각면부(27a, 27a)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해당 역V형 접은금의 꼭대기부(28, 28)와 측면부의 중간부분에 상하방향으로 설치한 세로접은금(29, 29)을 연결하며, 세로접은금(29, 29)의 상단은 측면부의 상단까지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전면부(30)에는 아래쪽부터 차례로 제 1 수평접은금(31), 보조접은금(32), (33)을 저면부(24)와 각각 평행하게 형성하고, 또한 상면부(35)에는 스트로를 꽂아 넣는 삽입부(36)를 설치하고 있다.
압압변형가능한 용기(20)의 상면을 저면부(24)와 대략 평행한 평탄하게 한 상면부(35)의 좌우로 돌출된 삼각돌출부(21, 21)를 아래쪽으로 접어 구부려 양 측면부(25, 25)에 밀착시키거나, 또는 가열가공에 의해 해당 삼각돌출부(21, 21)를 해당 측면부에 약하게 접착시킨다. 즉, 가열온도 또는 가열시간을 조정하면 접착강도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체력이 약한 유아·소아나 환자라도 용이하게 삼각돌출부(21, 21)를 떼어낼 수 있도록, 접착강도를 바람직하게는 15N/15㎜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N/15㎜로 한다. 이 삼각돌출부(21, 21)는 아래쪽으로 접어 구부려서 측면부(25, 25)에 밀착시키고, 그 외측으로부터 예를 들면 투명한 필름(40)으로 밀봉포장해서, 상기 용기(20)의 위쪽에 위치하는 측면부(25, 25)를 보강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20)를 3개 투명한 필름(40)으로 포장해서 1팩에 일괄해서 취급하기 쉽게 하는 경우, 해당 필름으로 위쪽의 삼각돌출부(21, 21)를 각 측면부(25, 25)에 밀착해서 해당 측면부의 위쪽을 보강한다. 또, 상기 용기(20)가 1개이고, 해당 용기의 외측을 투명필름(40)으로 포장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삼각돌출부(21, 21)를 측면부(25, 25)에 가열가공에 의해 약하게 접착해서 측면부(25, 25)의 위쪽을 보강한다.
상기 용기(20)의 아래쪽에서 좌우로 돌출한 삼각돌출부(22, 22)는 저면부(24)의 하면에 접어 구부려서 일체로 접착하고 있으며, 해당 저면부의 단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밑변부(26, 26)에 의해서 측면부(25, 25)의 하부는 보강된다. 이와 같이 상하의 삼각돌출부(21, 21), (22, 22)에 의해서 용기(20)의 양 측면부(25, 25)는 보강되어, 사각형상자형(15)을 유지할 수 있다.
투명한 필름(40)을 찢어 측면부(25, 25)에 밀착되어 있는 위쪽의 삼각돌출부(21,21)를 떼어내거나, 또는 해당 측면부(25)에 약하게 접착되어 있는 위쪽의 삼각돌출부(21, 21)를 매니큐어 칠한 긴 손톱으로 벗기는 경우에는 약한 힘으로도 좋으므로, 매니큐어가 벗겨지거나, 긴 손톱이 깨지는 일은 없다. 해당 삼각돌출부(21, 21)를 위쪽으로 되꺾어 수평으로 하면(도 6), 해당 측면부(25)의 위쪽부분의 폭방향의 강도가 소실된다. 그 때문에, 용기의 상부 양 모서리부(A, A)(도 5)를 각각 바깥쪽으로부터 압압하면, 해당 측면부의 위쪽은 세로접은금(29, 29)을 바깥쪽으로 해서 2개 꺾어 접어포개어지고, 삼각돌출부(21,21)가 해소되어 전면부(30)와 후면부(38)는 세로접은금(29, 29)으로부터 2개 구부려져 평탄형상으로 되고, 바깥쪽으로부터 가해진 압압력에 의해서 용기의 위쪽부분은 평탄하게 변형되어, 내용물을 스트로(4b)로부터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도 7).
내용물은 청량음료와 같이 점도가 낮으면 흡인력이 약해도 흡인할 수 있지만, 죽과 같은 젤리형상 식품의 점도의 상한은 100만mPa·s이고, 그 하한은 10mPa·s이상인 것이 적당하다. 즉, 이와 같이 점도가 진한 내용물인 경우, 환자나 노인 등 강한 흡인력으로 스트로를 흡인하지 않으면 내용물을 먹을 수는 없지만, 본 발명에서는 흡인력은 필요 없으며, 용기를 외부로부터 압압하는 것에 의해 내용물을 밀어낼 수 있다. 그 때문에, 본인 이외의 시중을 드는 사람이 용기를 압압해서 내용물을 먹게 할 수도 있다.
용기의 측면부(25,25)의 아래쪽에 설치한 역V형 접은금(27,27)의 해당 꼭대기부(28,28)를 통과하는 수평선(S,S)과 전면부(30)와의 교점을 연결해서 저면부(24)와 평행한 제 1 수평접은금(31)을 전면부(30)의 아래쪽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의 저면부(24)의 바로앞측의 양 모서리부(B,B)를 비스듬히 위쪽으로 압압하면, 접은금(31)을 내측으로 해서 해당 저면부의 바로앞측 대략 절반은 전면부(30)상에 평탄하게 접어 포갤 수 있다(도 8). 제 1 수평접은금(31)을 내측으로 해서 저면부(24)의 폭(W1)의 바로앞 부분의 절반을 전면부(30)상에 접어포개면, 측면부(25,25)의 아래쪽부분은 역V형 접은금(27,27)이 접어포개어지고 바깥쪽으로 돌출된 꼭대기부(28,28)를 갖는 삼각면부(27a,27a)는 저면부(24)의 양측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저면부(24) 및 해당 저면부의 양측에 위치한 각 삼각면부(27a)는 해당 저면부(24)와 일체의 저면부분으로 되고, 제 1 수평접은금(31)을 내측으로 해서 접어포개어진 해당 저면부의 바로앞부분은 전면부(30)상에 평탄형상으로 접어포개어지고, 상기 꼭대기부(28,28)에 연결하는 세로접은금(29,29)은 바깥쪽으로 돌출하며, 측면부(25,25)는 2개 꺾어 접어포개어져 전면부(30)와 후면부(38)는 평탄하게 접어포개어지며, 내용물은 삽입구(36)에 삽입된 스트로로부터 외부로 유출된다.
저면부(24)와 평행하게 설치한 제 1 수평접은금(31)은 전면부(30)에 설치되며, 해당 접은금(31)과 저면부(24)의 거리는 저면부(24)의 횡폭(w1)의 절반의 길이(d1)의 거리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 1 수평접은금(31)을 내측으로 해서 접어포갠 저면부(24)의 바로앞측 절반은 전면부(30)상에 평탄형상으로 접어포개어진다(도 8).
상기 용기의 전면부(30)에 설치한 제 1 수평접은금(31)과 평행하고 또한 저면부(24)의 횡폭(w1)과 대략 동일한 거리에 보조접은금(32)을 설치하고, 또한 용기(20)가 긴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제 2 보조접은금(33)을 설치하며, 저면부(24)를 동일방향으로 차례로 접어포개어 용기내의 내용물을 밀어내도록 해도 좋다(도 10).
상기와 같이, 양 측면부(25,25)의 중간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세로접은금(29,29)과, 아래쪽의 역V형 접은금(27,27)의 꼭대기부(28,28)를 연결해서 설치하고 있으므로, 위쪽의 삼각돌출부(21,21)를 측면부(25,25)로부터 떨어뜨려 대략 수평으로 한 후(도 6), 위쪽의 양 측단 모서리부의 각 교점(A,A,A,A)을 바깥쪽으로부터 압압해서 접어포개고, 또 아래쪽의 바로앞측의 양 모서리부(B,B)를 비스듬히 위쪽으로 압압하면, 도 8에 도시한 제 1 수평접은금(31)을 내측으로 해서 저면부(24)는 평탄형상으로 접어포개어진다. 전면부(30)에는 아래쪽부터 각각 제 1 수평접은금(31), 보조접은금(32,33)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양 측면부(25)는 상기 세로접은금(29)을 바깥쪽으로 돌출해서 2개 꺾어 접어포개어 평탄하게 하는 동시에, 제 1 수평접은금(31)을 내측으로 해서 저면부(24)의 폭(w1)의 바로앞측 절반을 전면부(30)상에 평탄형상으로 접어포개어 내용물을 밀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 11에 따라서 설명하면, 용량이 100∼125㎖정도의 소형의 압압변형가능한 용기(20a)는 도 5와 대략 동일형상으로 접은금이 다소 상이하고, 통형상으로 형성한 두꺼운 종이재의 상하단을 밀봉해서 사각형상자형(15)으로 접어구부려 양 측면부(25,25)와 전면부(30)와 후면부(38)를 설치하며, 해 당 사각형상자형(15)의 상하를 평탄하게 형성하고 있다. 상기 용기(20a)의 상하를 좌우로 돌출해서 설치한 상하의 삼각돌출부(21,21) 및 (22,22)(도 8)를 각각 아래쪽으로 접어 구부리고, 위쪽의 삼각돌출부(21,21)는 측면부(25,25)에, 또 아래쪽의 삼각돌출부(22,22)는 저면부(24)의 하면에 각각 접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호와 동일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사각형상자형(15)의 아래쪽에는 저면부(24)의 단가장자리인 밑변부(26)를 밑변으로 한 직각이등변삼각형의 능선의 꼭대기부를 연결하는 역V형 접은금(27,27)의 꼭대기부(28,28)와, 측면부(25,25)의 중간에 위치해서 수직방향으로 설치한 세로접은금(29,29)을 연결하고 있다. 세로접은금(29,29)의 상부는 위쪽의 삼각돌출부(21,21)의 하부를 통과하는 수평선(T,T)의 일단과 연결하고, 해당 수평선(T,T)의 타단과 전면부(30)의 교점을 연결해서, 저면부(24)와 평행한 제 2 수평접은금(34)을 전면부(30)에 설치하고 있다. 또, 상기 역V형 접은금(27,27)의 꼭대기부(28,28)를 통과하는 수평선(S,S)과 전면부(30)의 교점을 연결하는 직선상에 설치한 제 1 수평접은금(31)을 전면부(30)의 아래쪽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면부(35)에 설치한 삽입부(36)는 도 5와 상이하게 용기 귀부(35a)를 갖는 측과 반대측에 형성하고, 용기 귀부(35a)의 바로앞측의 상면부(35)는 제 2 수평접은금(34)을 내측으로 해서 전면부(30)상에 접어포개어져도, 삽입구(36)를 갖는 측의 상면부는 해당 접은금(34)을 내측으로 해서 접어포개어지는 측은 아니므로, 해당 삽입구에 삽입한 스트로에 무리한 힘은 가해지지 않는다.
용기(20a)내의 내용물을 먹는 경우, 삽입부(36)에 스트로를 삽입하여, 해당 스트로의 단부를 입에 물고 해당 용기의 전면부(30)와 후면부(38)의 상부 양측을 아래쪽으로, 또 하부 바로앞측 양단을 위쪽으로 외측으로부터 압압하면, 측면부(25,25)는 그 중간에 설치한 세로접은금(29,29)이 바깥쪽으로 돌출해서 2개 꺾어 접어포개어져 평탄형상으로 되며, 내용물을 삽입부(36)에 삽입한 스트로로부터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용기(20a)는 전면부(30)의 위쪽에 설치한 제 2 수평접은금(34)과, 아래쪽에 설치한 제 1 수평접은금(31)을 각각 내측으로 해서 접어 포개면, 상면부(35) 및 저면부(24)는 전면부(30)상에 평탄형상으로 되어 용기를 외부로부터 압압해서 내용물을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용기(20a)는 도 12,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면부(24)와 상면부(35)는 평탄형상으로 되어 전면부(30)상에 접어포개어지며 용기의 내부는 좁혀진다. 이 경우, 전면부(30)와 후면부(38)를 바깥쪽으로부터 압압하면, 제 2 수평접은금(34)을 내측으로 해서 상면부(35)의 폭(W2)의 바로앞측 절반은 상면부(30)상에 접어포개어지고, 또 제 1 수평접은금(31)을 내측으로 해서 저면부(24)의 바로앞측 절반은 전면부(30)상에 접어포개어지며, 해당 용기(20a)는 평탄형상으로 접어포개어진다. 용기의 이면도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면부(38)는 평면형상으로 되고, 용기는 평탄형상으로 눌려찌부려져 흡인력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외부로부터의 압압에 의해서 스트로(4b)로부터 밀어낼 수 있다. 특히, 용기가 100㎖ 또는 125㎖정도의 소형인 경우에는 전면부(30)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접은금(32,33)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와 달리, 삼각돌출부(21,21)를 측면부(25)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없으므로, 손톱 등을 아프게 하는 일이 없으며, 손끝이 자유롭지 않은 환자, 노인, 유아 등에 있어서 편리하다.
이와 같이, 용기(20)를 외측으로부터 압압해서 평탄형상으로 접어포개는 것에 의해, 체력이 약한 환자나 노인이나 유아 등이 흡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점도가 높은 내용물을 스트로로부터 용기 외부로 밀어내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 여기서, 압압변형가능한 용기라는 것은 종이팩용기, 플라스틱용기 등으로 외부로부터 압압하는 것에 의해 평탄형상으로 접어포개어지는 부재로 형성한 용기 일반을 의미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스트로에 대해서 설명하면, 종이재나 합성수지재에 의해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스트로의 중간부에는 입을 대고 마시는 측으로부터 접어구부림가능한 주름부(10)와 선단측을 향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한 걸어고정부와, 걸어고정부(6a)에 접해서 설치한 통과구멍(7a)과, 끝이 가늘어진 통(11)과, 개구부(8a)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이 스트로의 선단에 설치한 끝이 가늘어진 통(11)은 삽입부(36)에 꽂아넣을 때에 중심으로부터 조금 어긋나게 꽂아넣어도 테이퍼부로 안내되어 정확하게 꽂아넣을 수 있다. 이 통과구멍(7a)은 스트로의 직경방향 단면적과 동등 이상의 개구면적을 갖고 있다. 여기서, 개구면적이라는 것은 스트로의 외주면을 전개한 평면상의 면적을 말한다. 즉, 스트로에 설치한 통과구멍의 개구면적의 크기가 해당 스트로의 단면적 미만인 경우에는 밀어냄에 요하는 힘이 과대로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 스트로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으로부터 통과구멍의 개구면적은 스트로의 단면적의 3배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로의 걸어고정부(6a)는 입을 대고 마시는 측으로부터 통과구멍(7a)측을 향해 외경을 끝이 가늘어진 형상으로 되는 바와 같은 테이퍼부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해당 걸어고정부의 최대외경은 스트로의 외경과 스트로의 관벽두께와의 합보다 작은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스트로의 외경은 6.3㎜이고, 그 관벽두께는 1㎜이며, 양자의 합인 그 최대외경의 치수는 7.3㎜이다. 그리고, 걸어고정부(6)의 최대외경이 수치 7.3㎜이상인 경우에는 스트로의 걸어고정부(6a)를 용기의 삽입부(36)에 꽂아넣을 수 없다는 제조상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 걸어고정부(6a)의 최소외경은 스트로 외경 6.3㎜보다 짧은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걸어고정부(6a)에 입을 대고 마시는 측으로부터 통과구멍측을 향해서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삽입부(36)에 삽입하기 쉬우며, 일단 삽입되면 잘 빠지지 않는다는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종이팩용기(20)의 내부에 점성유체를 30㎖ 채우고, 해당 용기에 일정한 압력 5kPa를 가하여, 30㎖의 내용물이 모두 유출하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하면, 이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여기서, 종래의 스트로의 단면외경은 5㎜ 또는 6㎜이고, 관벽두께는 1.0㎜이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스트로의 외경은 6.3㎜이다.
종래의 스트로 4초
본 발명의 스트로 2초
스트로를 이용해서 점성유체로 이루어지는 내용물을 음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 이용한 스트로(4b)는 종래의 스트로(3)에 비해 절반의 시간으로 단축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접어포개는 것이 가능한 용기와 점도유체로 이루어지는 내용물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는 종이팩용기 및 스트로로서, 압압변형가능한 용기의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 해당 용기의 삽입부에 꽂아넣은 스트로를 입으로 흡인하지 않아도, 또는 흡인할 수 없어도 이 용기를 평탄형상으로 접어포갤 수 있도록 안내용의 접은금을 설치하고, 해당 용기를 외측으로부터 압압해서 평탄형상으로 변형시켜 내용물을 스트로로부터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점도가 높은 유체로 이루어지는 내용물을 음용하기 위해서는 강한 흡입력을 필요로 하지만, 유아·소아나 노인이나 환자 등 체력이 없기 때문에 강한 흡인력을 낼 수 없는 사람이라도, 해당 용기를 바깥쪽으로부터의 압압력으로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시켜 음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내면에 내수박막을 설치한 두꺼운 종이재를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상하단가장자리를 밀봉하며, 이것을 접어 구부려, 각각 대향하는 상면부(35) 및 저면부(24), 전면부(30) 및 후면부(38), 및 1쌍의 측면부(25,25)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상면부(35)에 위치해서 좌우로 돌출시킨 삼각돌출부(21,21)를 측면부(25,25)에 밀착하고, 상기 저면부(24)에 위치해서 좌우로 돌출시킨 삼각돌출부(22,22)를 저면부(24)에 밀착해서 사각형상자형으로 성형하며, 상기 상면부(35)에 스트로삽입용의 삽입부(36)를 설치한 용기(20)로서,
    상기 스트로삽입용의 삽입부(36)를 가진 상기 용기(20)의 해당 삽입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트로(4b)는 원관형상의 베이스부(12)와, 상기 용기의 내면에 걸어고정하여 스트로의 탈출을 방지하는 요소의 외경이 입을 대는 측으로부터 통과구멍측을 향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갖고 또한 테이퍼부의 최대외경이 베이스부(12)의 외경과 스트로관벽의 두께의 합보다 작으며, 베이스부의 외경보다 크게 설치되어 있는 걸어고정부(6a)와, 해당 걸어고정부에 인접한 적어도 1개의 통과구멍(7a)을 갖고, 해당 통과구멍의 개구면적의 합계가 베이스부의 직경방향 단면적과 동등 이상인 개구면적을 갖고, 삼각면부(27a, 27a)의 양 꼭대기부(28, 28)를 통과하며, 저면부(24)에 평행한 제 1 수평접은금(31)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수평접은금(31)으로부터 저면부(24)의 폭(W1)의 자연수배의 거리를 갖고 또한 제 1 수평접은금(31)에 평행한 적어도 1개의 보조접은금(32)을 구비하고, 상기 삼각돌츨부(21, 21)의 양 꼭대기부(23, 23)를 통과하며, 상면부(35)에 평행한 제 2 수평접은금(34)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삼각돌출부(21,21)를 측면부(25,25)에 가열가공에 의해 약하게 접착결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압압변형 가능한 종이팩용기.
  2. 내면에 내수박막을 설치한 두꺼운 종이재를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상하단가장자리를 밀봉하며, 이것을 접어 구부려, 각각 대향하는 상면부(35) 및 저면부(24), 전면부(30) 및 후면부(38), 및 1쌍의 측면부(25,25)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상면부(35)에 위치해서 좌우로 돌출시킨 삼각돌출부(21,21)를 측면부(25,25)에 밀착하고, 상기 저면부(24)에 위치해서 좌우로 돌출시킨 삼각돌출부(22,22)를 저면부(24)에 밀착해서 사각형상자형으로 성형하며, 상기 상면부(35)에 스트로삽입용의 삽입부(36)를 설치한 용기(20)로서,
    상기 스트로삽입용의 삽입부(36)를 가진 상기 용기(20)의 해당 삽입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트로(4b)는 원관형상의 베이스부(12)와, 상기 용기의 내면에 걸어고정하여 스트로의 탈출을 방지하는 요소의 외경이 입을 대는 측으로부터 통과구멍측을 향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갖고 또한 테이퍼부의 최대외경이 베이스부(12)의 외경과 스트로관벽의 두께의 합보다 작으며, 베이스부의 외경보다 크게 설치되어 있는 걸어고정부(6a)와, 해당 걸어고정부에 인접한 적어도 1개의 통과구멍(7a)을 갖고, 해당 통과구멍의 개구면적의 합계가 베이스부의 직경방향 단면적과 동등 이상인 개구면적을 갖고, 삼각면부(27a, 27a)의 양 꼭대기부(28, 28)를 통과하며, 저면부(24)에 평행한 제 1 수평접은금(31)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수평접은금(31)으로부터 저면부(24)의 폭(W1)의 자연수배의 거리를 갖고 또한 제 1 수평접은금(31)에 평행한 적어도 1개의 보조접은금(32)을 구비하고, 상기 삼각돌츨부(21, 21)의 양 꼭대기부(23, 23)를 통과하며, 상면부(35)에 평행한 제 2 수평접은금(34)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위쪽 삼각돌출부(21,21)를 측면부(25,25)에 필름(40)으로 밀봉 포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압압변형 가능한종이팩용기.
  3. 내면에 내수박막을 설치한 두꺼운 종이재를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상하단가장자리를 밀봉하며, 이것을 접어 구부려, 각각 대향하는 상면부(35) 및 저면부(24), 전면부(30) 및 후면부(38), 및 1쌍의 측면부(25,25)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상면부(35)에 위치해서 좌우로 돌출시킨 삼각돌출부(21,21)를 측면부(25,25)에 밀착하고, 상기 저면부(24)에 위치해서 좌우로 돌출시킨 삼각돌출부(22, 22)를 저면부(24)에 밀착해서 사각형상자형으로 성형하며, 상기 상면부(35)에 스트로삽입용의 삽입부(36)를 설치한 용기(20)로서,
    상기 스트로삽입용의 삽입부(36)를 가진 상기 용기(20)의 해당 삽입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트로(4b)는 원관형상의 베이스부(12)와, 상기 용기의 내면에 걸어고정하여 스트로의 탈출을 방지하는 그 외경이 입을 대는 측으로부터 통과구멍측을 향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갖고 또한 테이퍼부의 최대외경이 베이스부(12)의 외경과 스트로관벽의 두께의 합보다 작으며, 베이스부의 외경보다 크게 설치한 걸어고정부(6a)와, 해당 걸어고정부에 인접한 적어도 1개의 통과구멍(7a)을 갖고, 해당 통과구멍의 개구면적의 합계가 베이스부의 직경방향 단면적과 동등 이상인 개구면적을 갖고, 삼각면부(27a, 27a)의 양 꼭대기부(28, 28)를 통과하고, 저면부(24)에 평행한 제 1 수평접은금(31)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수평접은금(31)으로부터 저면부(24)의 폭(W1)의 자연수배의 거리를 갖고 또한 제 1 수평접은금(31)에 평행한 적어도 1개의 보조접은금(32)을 구비하고, 상기 삼각돌츨부(21, 21)의 양 꼭대기부(23, 23)를 통과하며, 상면부(35)에 평행한 제 2 수평접은금(34)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1쌍의 측면부(25, 25)에, 측면부(25, 25)와 저면부(24)가 이루는 교선인 밑변부(26, 26)를 밑변으로 한 이등변삼각형상의 삼각면부(27a, 27a)를 획정하는 역V형 접은금(27, 27)과, 삼각면부(27a, 27a)의 정점(28, 28)으로부터 위쪽 삼각돌출부(21, 21)의 꼭대기부(23, 23)를 향해서 연장하는 세로접은금(29, 29)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를 구비한 압압변형 가능한 종이팩용기.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접은금(31)은 전면부(30) 및 후면부(38)의 적어도 한쪽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팩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접은금(31)과 저면부(24)의 사이의 거리(d1)가 저면부(24)의 폭(W1)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팩용기.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평접은금(34)과 상면부(35)의 사이의 거리(d2)가 상면부(35) 폭(W2)의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팩용기.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36)는 상면부(35)의 후면부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수평접은금(34)은 전면부(30)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팩용기.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점도가 10mPa·s 이상인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팩용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67002696A 2003-08-11 2004-08-06 스트로를 구비한 압압변형가능한 종이팩용기 KR100733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91777 2003-08-11
JP2003291777 2003-08-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793A KR20060035793A (ko) 2006-04-26
KR100733625B1 true KR100733625B1 (ko) 2007-06-28

Family

ID=34131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696A KR100733625B1 (ko) 2003-08-11 2004-08-06 스트로를 구비한 압압변형가능한 종이팩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08259A1 (ko)
JP (1) JP4436325B2 (ko)
KR (1) KR100733625B1 (ko)
CN (1) CN100497125C (ko)
WO (1) WO20050144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6597A (ja) * 2006-06-27 2007-07-12 Solo Cup Japan:Kk 飲料用ストロー付飲料容器及び飲料用ストロー
JP5817326B2 (ja) * 2011-08-19 2015-11-18 凸版印刷株式会社 紙容器の成形方法
JP2013144566A (ja) * 2012-01-16 2013-07-25 Toyo Cap Manufacturing Ltd ストロー包装体及びストロー付き容器
DE102016209236A1 (de) * 2016-05-27 2017-11-30 Sig Technology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Verpackung umhüllend Behältervorläufer, insbesondere jeweils für einen einzelnen formstabilen Nahrungsmittelbehälter, mit Umfalten des Behältervorläufers
DE102016209235A1 (de) * 2016-05-27 2017-11-30 Sig Technology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hältervorläufers, insbesondere für einen einzelnen formstabilen Nahrungsmittelbehälter, ohne Umfalten des Behältervorläufers
WO2019127583A1 (zh) * 2017-12-30 2019-07-04 厉彦明 一种用于制造液体包装容器的胚料及其包装容器
ES2716910B2 (es) * 2019-03-19 2020-02-10 Controlpack Systems S L Maquina para el cierre de cajas de carton
CN110817190A (zh) * 2019-11-14 2020-02-21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协和医院 一种桌面垃圾盒及其使用方法
CN111703742A (zh) * 2020-06-22 2020-09-25 姜迪彬 液体盛装盒
EP3987983A1 (en) * 2020-10-20 2022-04-27 Capri Sun AG Paper drinking straw for a beverage container and beverage contai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8124U (ja) 1984-05-23 1985-12-13 凸版印刷株式会社 密封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899A (en) * 1888-12-04 Knockdown packing-vessel
US1722931A (en) * 1928-06-09 1929-07-30 Arthur M Maloney Laundry bag
US2176584A (en) * 1933-05-06 1939-10-17 Utility Packages Inc Method of forming a seam
US2374793A (en) * 1940-06-20 1945-05-01 Harry F Waters Method of fluid-tight packaging
US2896839A (en) * 1955-07-26 1959-07-28 Foil Process Corp Package for drink-forming powders
US2930517A (en) * 1956-03-01 1960-03-29 Mensing Hans-Jurgen Folded carton type pack
US3067923A (en) * 1960-11-15 1962-12-11 Minnesota Mining & Mfg Carton
US3366308A (en) * 1966-04-11 1968-01-30 Archer Products Inc Collapsible container
SE424175B (sv) * 1978-11-21 1982-07-05 Tetra Pak Int Forpackningsbehallare samt emne for dess tillverkning
US4550826A (en) * 1984-02-17 1985-11-05 International Paper Company Semi-rigid container with a bottom of improved stability
US4714173A (en) * 1986-05-12 1987-12-22 Ruiz Guillermo E Leak-proof closures
US4858766A (en) * 1988-12-14 1989-08-22 Tsai Wen S Sucking hole structure for an aluminium foil beverage container
JPH02105776U (ko) * 1989-02-07 1990-08-22
US5782404A (en) * 1991-03-04 1998-07-21 Combibloc, Inc. Package opening
DE19819574A1 (de) * 1998-04-30 1999-11-04 Sisi Werke Gmbh Entnahmevorrichtung für Flüssigkeit in einer flexiblen Verpackung und flexible Verpackung zur Aufnahme von Flüssigkeit
CN2428410Y (zh) * 2000-03-06 2001-05-02 李东远 易拉软包装
CN1254417C (zh) * 2000-12-20 2006-05-03 三协制药工业株式会社 饮料包装适配器以及饮料供给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8124U (ja) 1984-05-23 1985-12-13 凸版印刷株式会社 密封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35876A (zh) 2006-09-20
US20070108259A1 (en) 2007-05-17
JPWO2005014430A1 (ja) 2006-10-05
KR20060035793A (ko) 2006-04-26
JP4436325B2 (ja) 2010-03-24
WO2005014430A1 (ja) 2005-02-17
CN100497125C (zh)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81097C2 (ru) Устойчивый гибкий пакет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5378065A (en) Container
KR100994113B1 (ko) 완전히 접합된 음료관 또는 분출관을 구비한 액체 밀봉 봉지.
US8210381B2 (en) Folding eating utensil integrated or attachable to food cover
US20020050514A1 (en) Spill-proof disposable cup with integral sealing flap
US8231272B2 (en) Stand-up, easy-open and easy-close package of flexible material, particularly for liquid, viscous, pasty, granular or powdered products
KR100733625B1 (ko) 스트로를 구비한 압압변형가능한 종이팩용기
BG62801B1 (bg) Херметизиран контейнер и метод за изработването му
GB2253605A (en) Bags
JPS6251818B2 (ko)
US20120261413A1 (en) Packaging unit comprising a packaging pouch and outer packaging
EP0327244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rinking straws
JP5776057B2 (ja) パウチ包装体
US20140138382A1 (en) Holder with an interior space for accommodating a fluid material
US4832188A (en) Flexible film package for carry-out meal items
GB2306101A (en) Integrally formed paper cup and straw
JP7141831B2 (ja) ゲーブルトップ型容器
JPH111250A (ja) 口栓付きパウチ容器
CN108778947B (zh) 可重密封式打开装置以及包括这样的打开装置的包装物
JP3731948B2 (ja) 自立性容器
KR200319892Y1 (ko) 휴대용 음료봉지의 포장 구조
JPS6025405Y2 (ja) 差し込み開口部を有する密封包装袋
JP2023149594A (ja) 紙容器
JPH0356503Y2 (ko)
JP2002179053A (ja) 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