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530B1 -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2530B1
KR100732530B1 KR1020010039480A KR20010039480A KR100732530B1 KR 100732530 B1 KR100732530 B1 KR 100732530B1 KR 1020010039480 A KR1020010039480 A KR 1020010039480A KR 20010039480 A KR20010039480 A KR 20010039480A KR 100732530 B1 KR100732530 B1 KR 100732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light emitting
light receiving
wafer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3567A (ko
Inventor
이종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2530B1/ko
Publication of KR20030003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2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2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01L21/67265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of substrates stored in a container, a magazine, a carrier, a boat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퍼의 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는 수광 센서의 감도 저하 또는 오동작이 발생된 경우, 웨이퍼의 수량이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웨이퍼 수량 감지가 완료된 이후에도 웨이퍼의 수량이 재측정되므로 이에 따른 생산성과 경제성 저하 및 제품 신뢰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는, 수광 센서의 오동작 및 고장을 미연에 파악하여 교체 및 수리함으로써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웨이퍼 수량 감지가 완료된 이후에 웨이퍼의 수량이 재검토되지 않으므로, 수량 재검토에 따른 생산성 및 경제성 저하가 방지된다.

Description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Counting apparatus for waf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의 펄스를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의 개략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의 펄스를 나타낸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 : 웨이퍼
100, 200 :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
110, 210 : 웨이퍼 카세트 120, 220 : 발광부
125, 225a, 225b : 발광 장치 127, 227a, 227b: 발광원
130, 230 : 수광부 135, 235a, 235b : 수광 센서
140, 240 : 중앙처리장치 145, 245 : 비교 분석부
150, 251a, 251b, 252a, 252b : 펄스
250a, 250b : 제 1, 2펄스 그룹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공정 중 웨이퍼의 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웨이퍼의 수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발광 장치와 그에 대응하는 수광 센서가 복수 개 구비된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공정은 패브리케이션(fabrication; FAB), 어셈블리(assembly), 및 테스트(test)로 구분되며, 특히 웨이퍼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동작되는 웨이퍼 상태의 반제품이 만들어지는 전 공정을 패브리케이션 공정이라 한다.
패브리케이션 공정은 크게 확산(diffusion), 사진(photo), 식각(etching), 박막(thin film) 공정으로 나뉘어지며, 웨이퍼는 이와 같은 단위 공정을 수차례 걸치면서 전기적으로 필요한 조건들이 구비된다. 단위 공정들을 진행하는 동안 웨이퍼들은 별도의 수납 용기에 소정의 개수로 이동되어 해당 단위 공정이 진행된다. 따라서 웨이퍼는 단위 공정 전후에 그 수량이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에 의해 세어진 후, 후속 공정으로 이동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의 펄스를 나타낸 도이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100)는 복수 개의 웨이퍼(1)가 수납된 웨이퍼 카세트(110), 발광부(120), 수광부(130) 및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 unit, CPU; 140)를 포함한다.
웨이퍼 카세트(110) 일측에 구비된 발광부(120)는, 웨이퍼(1)에 입사되는 발광원(127)이 구비되며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발광 장치(125)가 포함된다. 발광 장치(125)는 적외선과 같이 웨이퍼(1)에 손상을 주지 않고, 웨이퍼(1)를 통과 할 수 없는 저파장의 발광원(127)을 제공한다.
또한 수광부(130)는 웨이퍼 카세트(110)를 사이에 두고 발광부(120)와 대응되어 마주보도록 위치되며, 수광부(130)의 수광 센서(135)는 발광 장치(125)와 대응되어 상승 하강됨으로써, 펄스(pulse; 150)를 받아들여 그 신호를 중앙처리장치(140)로 이동시킨다. 발광원(127)의 펄스(150)는 웨이퍼(1)의 수량이 n장인 경우, 수광부(130)에 제공된 발광원(127)의 펄스는 n개의 오프(off) 상태를 나타내며, 웨이퍼(1)가 없는 경우 온(on) 상태로 나타난다.
수광부(130)로부터 전달된 펄스(150)의 전기적 신호는 비교 분석부(145)에 전달되어 분석된다. 상세하게는, 작업자에 의해 중앙처리장치(140)에 입력된 웨이퍼(1)의 개수와 펄스(150)에 오프 상태로 나타난 웨이퍼(1)의 개수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후속 공정으로 이송되며, 동일하지 않은 경우 후속 공정으로 이송되지 않고 불량품으로 처리되어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지 않고 별도로 보관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100)에서의 수광 센서(135)는, 그 감도가 저하되거나 오동작되는 경우 웨이퍼(1)의 수량이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는다. 즉, 웨이퍼(1)가 정상 개수로 수납된 경우 웨이퍼(1)의 수량이 더 적게 인식되거나 많게 인식되면, 후속 공정으로 이송되지 않는다. 또한 웨이퍼(1)가 잘못된 개수로 수납된 경우 웨이퍼(1)의 개수가 정상으로 인식되면 후속 공정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웨이퍼(1) 수량 감지가 완료된 이후에도 그 수량이 정확하지 않으므로 웨이퍼(1) 수량의 재검토 작업이 불가피하고, 이에 따른 생산성 저하 및 경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소정의 수량으로 납품되는 경우 잘못된 수량으로 인해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확한 웨이퍼 개수 측정이 가능한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는, 소정의 개수의 웨이퍼가 수납된 웨이퍼 카세트;와 웨이퍼 카세트에 수납된 웨이퍼 전체가 인식되도록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둘 이상의 발광 장치가 포함되고, 웨이퍼 카세트 일측에 구비되는 발광부;와 웨이퍼 카세트를 사이에 두고 발광부와 마주보도록 대응되어 형성되며, 발광 장치와 대응되어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복수개의 수광 센서가 구비된 수광부; 및 수광부로부터 전달된 발광원의 펄스를 비교 분석하는 비교 분석부 및 인터록(interlock) 장치가 구비된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발광 장치는 두 개가 상하 또는 좌우로 배열된 것과, 발광 장치에 대응되도록 수광 센서는 두 개가 상하 또는 좌우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의 펄스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200)는, 소정의 개수의 웨이퍼(1)가 수납된 웨이퍼 카세트(210)와, 웨이퍼 카세트(210) 일측에 형성된 발광부(220)가 구비된다. 발광부(220)는 웨이퍼 카세트(210)에 수납된 웨이퍼(1) 전체가 인식되도록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둘 이상의 발광 장치(225a, 225b)를 포함한다. 발광 장치(225a, 225b)는 소정의 파장을 갖는 발광원(227a, 227b)을 구비하며, 두 개가 상하 또는 좌우로 배열되어 한쌍을 이룬다.
발광원(227a, 227b)은 적외선과 같이 웨이퍼(1)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웨이퍼(1)를 통과 할 수 없는 파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원(227a, 227b)의 입사 각도는 웨이퍼(1)에 대해 수평하게 입사되거나 두 장의 웨이퍼(1)에 동시에 입사되지 않는 소정의 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광부(230)는 웨이퍼 카세트(210)를 사이에 두고 발광부(220)와 마주보도록 대응되어 형성되며, 복수개의 발광 장치(225a, 225b)로부터 입사되는 발광원(227a, 227b)을 제공받는 복수개의 수광 센서(235a, 235b)가 구비된다.
도 4a 및 4b에서와 같이 수광 센서(235a, 235b)에 입사되는 발광원(227a, 227b)의 펄스(251a, 251b, 252a, 252b)는 발광 장치(225a, 225b)의 개수에 따라 복수개 구비되며 웨이퍼(1)가 감지된 부분은 오프 상태로 나타난다. 또한 수광부(230)의 수광 센서(235a, 235b)는 발광 장치(225a, 225b)에 대응되도록 두 개가 상하 또는 좌우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광부(230)로부터 전달된 복수개의 발광원(227)의 펄스(251a, 251b, 252a, 252b)의 전기적 신호는 중앙처리장치(240)의 비교 분석부(245)로 전달되어 각 펄스(251a, 251b, 252a, 252b)의 오프 상태의 수치가 비교된다. 만약, 제 1펄스 그룹(250a)과 같이 펄스(251a, 252a)의 오프 상태 개수가 동일하다면 웨이퍼(1)는 후속 공정으로 이송되고, 제 2펄스 그룹(250b)과 같이 펄스(251b, 252b)의 오프 상태 개수가 동일하지 않다면 인터록 장치로 신호가 전달되어 웨이퍼 수량 감지 장치(200)는 정지되고 알람이 울리도록 구비된다.
이 때, 제 2펄스 그룹(250b)과 같이 펄스(251b, 252b)의 오프 상태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작업자에 의해 파악된 웨이퍼(1) 수량과 동일하지 않도록 웨이퍼(1)의 개수가 측정된 수광 센서(235a, 235b)는 교체된다. 따라서 수광 센서(235a, 235b)의 오동작 및 고장을 미연에 파악하여 교체 및 수리함으로써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200)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웨이퍼의 개수 파악 이외에도 동일한 원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의 개수 파악 등과 같은 공정에 적용될 수 있 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를 따르면 수광 센서의 오동작 및 고장을 미연에 파악하여 교체 및 수리함으로써 웨이퍼 수량 파악 장치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더불어 웨이퍼 수량 감지가 완료된 이후에 웨이퍼의 수량이 재측정될 필요가 없으므로, 이에 따른 생산성 저하 및 경제성이 저하가 방지된다.

Claims (2)

  1. 적어도 하나의 웨이퍼(1)가 수납된 웨이퍼 카세트(210)와;
    상기 웨이퍼 카세트(210)에 수납된 웨이퍼(1) 전체가 인식되도록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복수 개의 발광 장치(225a,225b)가 포함되고, 상기 웨이퍼 카세트(210) 일측에 구비되는 발광부(220)와;
    상기 웨이퍼 카세트(2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발광부(220)와 마주보도록 대응되어 형성되며, 상기 발광 장치(225a,225b)와 대응되어 실린더 구동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복수개의 수광 센서(235a,235b)가 구비된 수광부(230); 및
    상기 수광부(230)로부터 전달된 발광원의 펄스(pulse)를 비교 분석하는 비교 분석부 및 인터록(interlock) 장치가 구비된 중앙처리장치(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발광 장치(225a,225b)는 두 개가 상하 또는 좌우로 배열되고 상기 발광 장치(225a,225b)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광 센서(235a,235b) 두 개가 상하 또는 좌우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
KR1020010039480A 2001-07-03 2001-07-03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 KR100732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480A KR100732530B1 (ko) 2001-07-03 2001-07-03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480A KR100732530B1 (ko) 2001-07-03 2001-07-03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567A KR20030003567A (ko) 2003-01-10
KR100732530B1 true KR100732530B1 (ko) 2007-06-27

Family

ID=2771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480A KR100732530B1 (ko) 2001-07-03 2001-07-03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2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421B1 (ko) * 2018-04-11 2019-09-26 주식회사 오라컴 플렉시블 회로기판 오버랩 검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0379A1 (en) * 2005-10-06 2007-04-12 Jinoid Co., Ltd. Apparatus for sensing glass substrates in a cassette
KR100892610B1 (ko) * 2005-10-06 2009-04-08 주식회사 지노이드 카세트내의 기판 유무 검사 장치
US20220351996A1 (en) * 2021-04-29 2022-11-03 Changxin Memory Technologies, Inc. Front opening unified pod, wafer transfer system and wafer transfer method
CN113192872B (zh) * 2021-04-29 2022-05-27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晶圆盒、晶圆传送系统及晶圆传送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5270A (ja) * 1994-03-07 1995-09-19 Shinko Electric Co Ltd ウェ−ハ取り残し検知システムを有するcvd装置
JP2688554B2 (ja) * 1992-01-22 1997-1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ウェハ異常検知装置及びウェハ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8554B2 (ja) * 1992-01-22 1997-1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ウェハ異常検知装置及びウェハ検査方法
JPH07245270A (ja) * 1994-03-07 1995-09-19 Shinko Electric Co Ltd ウェ−ハ取り残し検知システムを有するcvd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421B1 (ko) * 2018-04-11 2019-09-26 주식회사 오라컴 플렉시블 회로기판 오버랩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567A (ko) 200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97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light-emitting device
US8902428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crystal fraction of crystalline silicon casted mono wafers
US3814946A (en) Method of detecting defects in transparent and semitransparent bodies
KR100863140B1 (ko) 반도체 웨이퍼의 이물 검사 및 리페어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732530B1 (ko) 웨이퍼 수량 검사 장치
US3479514A (en) Method and means for inspecting glass articles
US73791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hard glass inspection
KR20100074345A (ko) 웨이퍼 휨 변형 검지장치 및 그 방법
US6992499B2 (en) Test method and test apparatus for semiconductor device
US7350406B2 (en) Sensor chip breaking strength inspection apparatus and sensor chip breaking strength inspection method
KR20190020589A (ko) 다중 방식의 제품 검사시스템
US8389926B2 (en) Testing apparatus for light-emitting devices with a design for a removable sensing module
US63427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nitride residue on semiconductor wafers
KR20090066964A (ko) 웨이퍼 결함 검출 장치 및 이의 방법
KR20220126944A (ko) 진공용 박막 두께 측정 장치
CN112229857A (zh) 半导体检测装置及检测方法
US119275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cleanliness in cavity of target device
KR100715982B1 (ko) 기판 처리 장치
JPS62136041A (ja) ウエハプロ−バ
KR970003750A (ko) 반도체의 생산 방법 및 그 제조설비
KR100953341B1 (ko) 반도체 제조용 웨이퍼 검사장치
JPH06147848A (ja) 外観検査装置
JPS58744A (ja) 瓶類の検査方法
KR19980039352A (ko) 반도체 제조공정용 웨이퍼장착 감지장치
CN103645692A (zh) 晶圆作业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