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210B1 - 오방전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 배치를 갖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오방전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 배치를 갖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210B1
KR100730210B1 KR1020060024294A KR20060024294A KR100730210B1 KR 100730210 B1 KR100730210 B1 KR 100730210B1 KR 1020060024294 A KR1020060024294 A KR 1020060024294A KR 20060024294 A KR20060024294 A KR 20060024294A KR 100730210 B1 KR100730210 B1 KR 100730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discharge
dumm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기
강태경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4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1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01J9/242Spacers between faceplate and back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8Dummy spacers, e.g. in a non display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2217/38Cold-cathode tubes
    • H01J2217/49Display panels, e.g. not making use of alternating current
    • H01J2217/492Details
    • H01J2217/49207Electrodes
    • H01J2217/4925Mounting, supporting, spa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25Spacing members
    • H01J2329/863Spac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오방전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 배치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셀을 형성하는 격벽 중 더미 영역의 가로 격벽을 구비하지 않는다. 격벽의 소성 공정에서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펜서가 그 위로 이동하면서 형광체가 두껍게 도포되어 높이가 더욱 높아질 수 있는 더미 영역의 가로 격벽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높은 격벽의 높이와 격벽 위의 두꺼운 형광체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오방전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방전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 배치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with barrier ribs arrangement for preventing error discharge and nosie}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더미 영역의 격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가로 격벽과 세로 격벽에 의해 형성된 방전셀의 매트릭스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의 배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의 배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가로 격벽 13 : 세로 격벽
15 : 방전셀 20 : 표시 영역
30 : 더미 영역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방전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격벽 배치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PDP)은 가스 방전 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박형화가 가능하고 넓은 시야각을 갖는 고화질의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어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통상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사용자 쪽에 배치되는 전면 기판 및 샤시 쪽에 배치된 배면 기판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기판과 상기 두 개의 기판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방전 전극 및 격벽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방전 전극 및 격벽은 방전셀을 한정하며, 상기 방전셀에는 각각 적색, 녹색, 청색의 색을 가지는 형광체가 도포되어 형광체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두 개의 기판이 봉착된 뒤에는 네온(Ne)이나 크세논(Xe) 등의 방전가스가 채워진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해 방전 전극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방전이 일어나 방전가스에서 자외선이 발생하고, 그 자외선은 상기 방전셀에 도포된 형광체층을 여기시켜 가시광을 방출한다.
상기 격벽(barrier ribs)은 화상을 구현하는 방전셀들을 한정하여 화상의 기본단위를 구성하고, 방전셀 간의 크로스 토크(cross talk)를 방지한다. 한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 자리에는 화상을 생성하지 않는 셀들을 한정하는 더미 격벽이 구비되는데, 상기 더미 격벽은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방전이 불균 일하게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격벽은 격벽재를 구비하는 페이스트를 배면 기판에 입히고 건조시킨 후, 샌드블래스터에서 분사되는 고속의 세라믹 입자에 의해 특정 부위의 격벽재가 식각 되도록 하여 소정의 패턴을 만들고, 이후 소성하여 완성한다. 소성공정 중에 격벽재에 포함되어 있던 휘발성 물질 등이 휘발되어 격벽은 소정의 수축률로 수축된다. 격벽이 수축하면 수축에 따른 압축응력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압축응력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부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게 되며 특히 최외곽부에 배치된 더미 격벽에서 최대가 된다. 수축응력이 집중되는 더미 격벽은 상기 응력으로 인하여 위로 돌출되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도 1에 더미 격벽의 일부를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어드레스 전극(미도시)과 그 위의 유전체막(미도시)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 기판(1) 위의 더미 격벽(2)은 외각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며(h1 > h2), 중앙의 표시 영역의 격벽보다 대략 10㎛ 정도 더 높게 형성된다. 더미 격벽의 높이가 높아지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곽부에서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의 결합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게 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시 방전셀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충격파가 더미 격벽에 전달되면, 기판 사이의 불안정한 결합에 의하여 발생한 틈 사이로 더미 격벽과 전면 기판이 주기적으로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한다. 또한, 패널 뒤의 구동 회로가 동작할 경우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도 더미 격벽이 전면 기판과 충돌하여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는 가로 격벽(3)과 세로 격벽(4)에 의해 형성된 방전셀(5)의 매트릭스의 일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펜서는 Y 방향으로 이동하며 가로 격벽(3)에 의해 구분되며 동일한 열에 있는 각 방전셀(5)에 동일한 형광체를 도포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열을 스캔하면서 열 내의 각 방전셀(5)에 파란색 형광체(B)를 도포하며, 그 옆의 열을 스캔하면서 열 내의 각 방전셀(5)에 녹색 형광체(G)를 도포한다. 이때 패널 가장자리의 더미 영역의 셀부터 형광체가 도포되는데, 도포를 시작할 때 디스펜서의 안정화가 덜 되어 도포되는 형광체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디스펜서가 통과하는 가로 격벽(3)의 상부에 형광체가 도포될 수도 있다.
더미 영역의 가로 격벽(3) 위에 형광체가 도포되면 가로 격벽의 높이는 소성 공정에 의하여 높아진 것보다 수 ㎛ 이상 더 높아지게 되어 진동에 의한 소음이 더 심해지게 된다. 한편, 더미 영역의 가로 격벽 위에 형광체가 두껍게 도포되면 방전이 격벽을 타고 인접한 표시 영역의 방전셀까지 일어나는 오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시 소음과 오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X축 방향으로 신장된 복수의 가로 격벽 라인과 Y축 방향으로 신장된 복수의 세로 격벽 라인에 의하여 복수의 방전셀이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상기 방전셀 매트릭스는 화 상을 형성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화상을 형성하지 않는 더미 영역으로 나뉘며, 상기 더미 영역에는 상기 가로 격벽 라인 없이 상기 세로 격벽 라인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트릭스에서 상기 Y축 방향의 열 단위로 동일한 열 내의 방전셀에는 동일한 형광체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전셀의 상기 형광체는 디스펜서 공법에 의하여 도포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더미 영역에 인접한 상기 표시 영역의 일부에 상기 가로 격벽 라인 없이 상기 세로 격벽 라인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더미 영역에 인접한 상기 표시 영역 중 상기 가로 격벽 라인 없이 상기 세로 격벽 라인만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방전셀 라인의 갯수는 1개에서 5개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의 배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15)은 도면에 나타낸 점선 아래의 표시 영역(20)과 점선 위의 더미 영역(30)으로 나뉜다. 표시 영역(20)안의 방전셀(15)은 디스플레이의 화상을 구성하지만 더미 영역(30)의 방전셀(15)은 화상을 구성하지 않는다. 표시 영역(20) 내에서는 가로 격벽(11)과 세로 격벽(13)에 의하여 방전셀(15)이 각각 분리되지만 더미 영역(30)에서는 가로 격벽(11)이 존재하지 않는다.
격벽(11,13)의 소성 공정시 패널 외각부의 더미 영역(30)에서는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격벽(11,13)의 수축에 의한 응력이 패널 안쪽의 표시 영역(20)보다 강하게 작용하여 격벽(11,13)이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에 의한 형광체 도포시 디스펜서가 그 위로 가로질러 이동하는 가로 격벽(11)의 상부에 형광체가 두껍게 도포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작동시 위에서 설명한 바에 의하여 오방전과 소음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표시 영역(20)의 격벽(11,13)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는 더미 영역(30)의 격벽(11,13) 중 디스펜서가 이동하면서 형광체가 그 위로 두껍게 도포될 수 있는 가로 격벽(11)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오방전과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더미 영역(30)은 디스플레이 화상을 구성하지 않으므로 가로 격벽(11)을 제거하여도 디스플레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의 배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더미 영역(30) 뿐만 아니라 더미 영역(30)에 인접한 표시 영역(20)의 일부 가로 격벽(11)도 존재하지 않는다. 디스펜서가 방전셀(15)의 열을 따라 이동하면서 더미 영역(30)을 지나 더미 영역(30)에 인접한 표시 영역(20)의 방전셀(15)에 형광체를 도포할 때 디스펜서가 완전히 안정화되어 있지 않아서 가로 격벽(11) 위에 형광체를 두껍게 도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가로 격벽(11)을 따라 위에서 설명한 바에 의하여 오방전 또는 소음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더미 영역(30)에 인접한 표시 영역(20) 가장자리의 가로 격벽(11)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오방전 또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가로 격벽(1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방전셀(15)들의 구분이 없어지지 만 특정한 방전셀(15)의 방전은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에 존재하는 전극들에 의하여 일어나므로 방전셀(15)을 구분하여 방전할 수 있다. 또한, 더미 영역(30)에 인접한 표시 영역(20)의 방전셀(15)들은 화상 중 시야에 노출되지 않는 가장자리 부분을 구성하므로 가로 격벽(11)이 삭제되어도 시야에 노출되는 화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중 패널 외각쪽의 더미 영역의 가로 격벽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형광체가 격벽 위에 두껍게 도포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오방전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더미 영역과 함께 더미 영역에 인접한 표시 영역의 가로 격벽의 일부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형광체가 격벽 위에 두껍게 도포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오방전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X축 방향으로 신장된 복수의 가로 격벽 라인과 Y축 방향으로 신장된 복수의 세로 격벽 라인에 의하여 복수의 방전셀이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상기 방전셀 매트릭스는 화상을 형성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화상을 형성하지 않는 더미 영역으로 나뉘며, 상기 더미 영역에는 상기 가로 격벽 라인과 상기 세로 격벽 라인 중 상기 세로 격벽 라인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에서 상기 Y축 방향의 열 단위로 상기 방전셀에 동일한 형광체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의 상기 형광체는 디스펜서 공법에 의하여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 중 상기 더미 영역에 인접한 부분에 상기 가로 격벽 라인과 상기 세로 격벽 라인 중 상기 세로 격벽 라인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영역에 인접한 상기 표시 영역 중 상기 세로 격벽 라인만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방전셀 라인의 갯수는 1개에서 5개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60024294A 2006-03-16 2006-03-16 오방전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 배치를 갖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0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294A KR100730210B1 (ko) 2006-03-16 2006-03-16 오방전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 배치를 갖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294A KR100730210B1 (ko) 2006-03-16 2006-03-16 오방전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 배치를 갖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0210B1 true KR100730210B1 (ko) 2007-06-19

Family

ID=3837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294A KR100730210B1 (ko) 2006-03-16 2006-03-16 오방전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 배치를 갖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2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5943A (ja) * 2001-02-21 2002-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5943A (ja) * 2001-02-21 2002-08-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0305B2 (en) Plasma display panel with dielectric layer extending in non-display area
KR10069209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JP4325244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730210B1 (ko) 오방전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 배치를 갖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28217B1 (ko) 전자파 차폐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US20080117124A1 (en) Plasma display panel (PDP)
KR100481322B1 (ko)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및제조방법
KR100612356B1 (ko) 배기효율이 개선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10901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그의 제조방법
KR2006009005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그의 제조방법
KR10062735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20090015517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9208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그의 제조방법
JP200533993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背面基板
KR100269362B1 (ko) 최대격벽높이를갖는칼라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
KR10057888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089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338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1014084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7195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1010333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0782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0433534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2006005743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후면판 제조방법
JP200707348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