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9563B1 - 초소형 정밀 커넥터 - Google Patents

초소형 정밀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563B1
KR100729563B1 KR1020050040404A KR20050040404A KR100729563B1 KR 100729563 B1 KR100729563 B1 KR 100729563B1 KR 1020050040404 A KR1020050040404 A KR 1020050040404A KR 20050040404 A KR20050040404 A KR 20050040404A KR 100729563 B1 KR100729563 B1 KR 100729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nnector
groove
main body
plu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7836A (ko
Inventor
노영백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40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563B1/ko
Publication of KR20060117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PDA 기타 각종 휴대용 전자 기구의 내부 회로 기판에 사용되는 초소형 정밀 커넥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을 별도의 납땜 없이 기판과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전선이 연결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어 접속되고, 일측은 기판에 결합되는 소켓 커넥터를 포함하는 소형 기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본체에 있어서, 상기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커버의 일방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전선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홀에 삽입되는 전선의 단부와 접촉하며,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숫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숫접촉단자는, 일 단부는 통공이 형성된 판 형태이며, 타 단부는 단부로부터 중앙에 이격된 홈이 소정 길이만큼 형성되어 중앙의 홈을 두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 단부의 통공과 상기 가압부의 홈이 마주보도록 일 단부와 타 단부의 연결 부분을 접어, 상기 통공과 상기 가압부의 홈이 상기 홀을 마주보며 위치하고,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의 접혀진 중앙 부분은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하부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의 모서리에는 장방형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에 상기 홈부가 끼워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숫접촉단자가 돌출되는 접촉면의 소정 위치에 상기 소켓 커넥터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삽입돌기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형의 회로 기판에 있어서, 전선을 기판 등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일단 접속된 커넥터가 외부의 충격과 진동에 의해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커넥터의 결합 방향이 잘못되는 경우 결합이 되지 않도록 하여, 결합 오류를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초소형 정밀 커넥터 { Miniature Precision Connector }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에 전선이 끼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측면, 저면,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가 결합되기 전과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에 삽입되는 숫접촉단자가 배열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가 접촉되는 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의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러그 커넥터 12 : 홀
14 : 결합부 15 : 돌기
16 : 홈부 18 : 단자홀
19 : 삽입홈 20 : 소켓커넥터
22 : 홀 24 : 가이드부
25 : 돌기 26 : 삽입돌기
30 : 전선 40 : 숫접촉단자
42 : 홀 44 : 컨택부
46 : 가압부 48 : 홈
50 : 암접촉단자 52 : 측방접촉부
본 발명은 휴대폰, PDA 기타 각종 휴대용 전자 기구의 내부 회로 기판에 사용되는 초소형 정밀 커넥터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을 별도의 납땜 없이 기판과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모듈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해서, 특히 일정 모듈로부터 전선으로 인출되는 단부와의 접속을 위해 각종의 컨넥팅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초소형 기계의 경우 내부의 부품, 소자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따라 부품간의 조립성, 호환성이 보장되어야만 제조가 용이한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인 납땜은 접속 정밀도가 떨어지고, 일단 땜한 후에는 분리가 불가능하여 호환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1~2개의 전선이 기판과 용이하게 결합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면서도, 일단 결합후에는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하고, 접속을 원할히 하기 위한 커넥팅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소형의 회로 기판에 있어서, 전선을 기판 등에 용이하게 접속시키기 위한 초소형 정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 접속된 커넥터가 외부의 충격과 진동에 의해서도 쉽게 분리되지 않는 초소형 정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전선이 연결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어 접속되고, 일측은 기판에 결합되는 소켓 커넥터를 포함하는 소형 기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본체에 있어서, 상기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커버의 일방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전선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홀에 삽입되는 전선의 단부와 접촉하며,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숫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숫접촉단자는, 일 단부는 통공이 형성된 판 형태이며, 타 단부는 단부로부터 중앙에 이격된 홈이 소정 길이만큼 형성되어 중앙의 홈을 두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 단부의 통공과 상기 가압부의 홈이 마주보도록 일 단부와 타 단부의 연결 부분을 접어, 상기 통공과 상기 가압부의 홈이 상기 홀을 마주보며 위치하고,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의 접혀진 중앙 부분은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하부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의 모서리에는 장방형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에 상기 홈부가 끼워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숫접촉단자가 돌출되는 접촉면의 소정 위치에 상기 소켓 커넥터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삽입돌기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선이 연결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어 접속되고, 일측은 기판에 결합되는 소켓 커넥터를 포함하는 소형 기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본체에 있어서, 상기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커버의 일방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전선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홀에 삽입되는 전선의 단부와 접촉하며,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숫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숫접촉단자는, 일 단부는 통공이 형성된 판 형태이며, 타 단부는 단부로부터 중앙에 이격된 홈이 소정 길이만큼 형성되어 중앙의 홈을 두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 단부의 통공과 상기 가압부의 홈이 마주보도록 일 단부와 타 단부의 연결 부분을 접어, 상기 통공과 상기 가압부의 홈이 상기 홀을 마주보며 위치하고,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의 접혀진 중앙 부분은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하부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의 모서리에는 장방형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에 상기 홈부가 끼워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숫접촉단자가 돌출되는 접촉면의 소정 위치에 상기 소켓 커넥터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삽입홈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삽입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소켓 커넥터는 본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숫접촉단자가 삽입되기 위한 홀을 일면에 형성하고,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숫접촉단자가 삽입되며, 상기 홀에 삽입되는 상기 숫접촉단자의 단부와 접촉하며,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 출되는 암접촉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접촉단자는 상기 홀에 의해 개방된 공간의 양측방에서 안쪽을 향해 마주보는 제1, 2측방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2측방 접촉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2측방 접촉부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홀이 형성된 일면의 모서리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하부 모서리에 형성된 장방형 홈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끼워지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홀이 형성되는 접촉면의 소정 위치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삽입돌기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홀이 형성되는 접촉면의 소정 위치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삽입홈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삽입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일 실시례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켓 커넥터(20)는 회로 기판 등에 장착되고 소켓 커넥터(20)의 상측으로 플러그 커넥터(10)가 안착된다. 소켓 커넥터(20)는 하면에 돌출된 암접촉단자(50)에 의해 기판(미도시)과 접촉되며, 소켓 커넥터(20)의 상면에는 플러그 커넥터(10)가 안착된다.
플러그 커넥터(10)가 소켓 커넥터(20)에 안착되면서, 플러그 커넥터(10)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숫접촉단자(40)가 소켓 커넥터(20)의 홀(22)을 관통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암접촉단자(50)와 접촉된다. 이러한 숫접촉단자(4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홀(12)을 통해 삽입되는 전선(미도시)의 단부와 접촉되므로, 결국 전선-숫접촉단자-암접촉단자-회로 기판의 순서대로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접속을 위해서는 전선과 플러그 커넥터(10)와의 결합, 숫접촉단자(40)와 암접촉단자(50)와의 접촉, 암접촉단자(50)와 회로 기판과의 연결이 중요한데, 상기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에서는 주로 전선과 플러그 커넥터(10)와의 결합, 숫접촉단자(40)와 암접촉단자(50)와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들이 포함되어 있다.
숫접촉단자(40)와 암접촉단자(50)의 결합이 용이하기 위해서는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의 결합이 간편하고 결합후에는 그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플러그 커넥터(10)에는 홈부(16)와 돌기(15)를 형성하고, 소켓 커넥터(20)에는 가이드부(24)와 돌기(25)를 형성한다.
플러그 커넥터(10)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이며, 하방을 향한 네 모서리에는 안쪽으로 삽입되는 홈부(16)가 형성된다. 홀(12)은 플러그 커넥터(10) 본체의 정면 에 두 개 형성되며, 두 개의 홀(12)에는 두 개의 전선(미도시) 단부가 삽입된다. 본체의 양 측면 쪽 모서리의 홈부(16) 사이에는 홈부(16)의 내측 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결합부(14)가 형성되며, 결합부(14)의 하단측에는 돌기(15)가 측방으로 돌출된다.
측방 모서리측 홈부(16)는 본체 모서리를 상하 장형으로 깎아낸 형상이며, 홈부(16)에는 하측의 소켓 커넥터(20)의 가이드부(24)가 안착된다. 특히 홈부(16)의 내측 형상과, 가이드부(24)의 형상을 대응시켜 상호 면접촉되도록 하면, 가이드부(24)가 홈부(16)에 끼워짐으로 인해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는 견고하게 결합된다.
가이드부(24)는 홈부(16)에 끼워져 홈부(16) 사이의 결합부(14)를 물고 있는 상태가 되며, 이러한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되도록 결합부(14)와 가이드부(24)에 서로 마주보며 돌출되도록 돌기(15)(25)를 형성한다. 소켓 커넥터(20)의 가이드부(24)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 재질이므로, 탄성 범위 내에서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하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10)를 수직 하방으로 누르게 되면, 상호 돌출된 돌기(15)(25)끼리 맞닿게 되면서 가이드부(24)가 약간 벌어지게 되고, 플러그 커넥터(10)의 돌기(15)가 가이드부(24)의 돌기(25)를 지나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결합이 완성된다. 가이드부(24)의 돌기(25)는 결합부(14)의 돌기(15)를 하방으로 가압, 고정시키면서, 플러그 커넥터(10)는 소켓 커넥터(20)에 대해 견고히 결합된다.
소켓 커넥터(20)는 대략 직육면 형태의 각 모서리 부분에 상방으로 가이드부 (24)가 수직 형성되는 외관 형상이며, 본체의 상면에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숫접촉단자(40)와 대응되는 위치에 두 개의 홀(22)이 형성된다. 홀(22)의 내측에는 숫접촉단자(40)와 접촉하기 위한 암접촉단자(50)가 구비되며, 암접촉단자(50)는 하방으로 연장형성된다. 네 모서리에 상방으로 돌출된 가이드부(24)는 상단부의 단면적이 더 크도록 돌기(15)를 형성하며 측방으로 돌출된다. 소켓 커넥터(20)의 가이드부(24)의 형상과 플러그 커넥터(10)의 홈부(16) 형상은 상호 대응되어 수직 방향으로 미끌어지면서 결합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에 전선이 끼워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 측면, 저면,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저면도, (d)는 정면도이며, 두 개의 전선(30)이 플러그 커넥터(10)를 관통하며 끼워지고, 전선(30)의 단부(A)가 반대쪽으로 돌출되도록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10)의 크기는 너비가 3mm 정도이며, 두께 및 높이는 1mm남짓되는 정도의 초소형으로서 휴대폰과 같은 소형 기기에 사용된다.
전선(30)은 플러그 커넥터(10)의 홀(12)에 삽입되면서, 홀(12)의 내측에 위치하는 숫접촉단자(40)의 상단부와 접촉된다. 숫접촉단자(40)의 상단부는 판형이며, 그 중앙에는 전선(30)이 관통하며 접촉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숫접촉단자(40)의 하단부는 본체의 하방 외측으로 길게 노출된다. 숫접촉단자(40)의 하단부는 소켓 커넥터(20)의 상면 홀(22)로 삽입된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10)는 전선(30)과 접속되는 동시에 소켓 커넥터(20)와 결합되는데, 전선(30)과 연결되는 숫접촉단자(40)는 소켓 커넥터(20)의 암접촉단자(50)와 접촉되고, 암접촉단자(50)는 회로 기판 등에 연결, 접촉되므로, 별도의 땜이 없이도 전선(30)이 기판과 접속된다.
(c)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10)의 하면은 사방 모서리 부분에 홈부(16)가 형성되어 십자의 형상이며, 각 모서리의 홈부(16)에는 소켓 커넥터(20)의 가이드부(24)가 삽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커넥터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켓 커넥터(20)의 상방에 플러그 커넥터(10)가 위치하며 결합되고, 소켓 커넥터(20)의 가이드부(24)가 홈부(16)에 끼워지는 동시에 숫접촉단자(40)는 소켓 커넥터(20)의 본체 내부로 삽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커넥터가 결합되기 전과 후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10)의 결합부(14) 하단에 형성된 돌기(15)는 소켓 커넥터(20)의 돌기(25)와 맞물리면서 견고하게 결합되고, 결합부(14)가 가이드부(2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결합부(14)의 돌기(15)는 하단부에 위치하며 양 측방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이며, 가이드부(24)의 돌기(25)는 상단부에 안쪽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이다. 홈부(16)의 형상과 가이드부(24)의 형상, 각 돌기(15)(25)의 높이, 형상, 위치는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가 안착된 위치에서 상호 이동되지 않도록 대응되는 위치를 설정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에 삽입되는 숫접촉단자가 배열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체인 금속 재질의 숫접촉단자(40)는 다수의 단자가 나란히 붙어 있는 형태로 제작되며, 이 중 필요한 수만큼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면상으로는 홀(42)이 형성된 상단 판재부, 중앙의 컨택부(44), 하측의 가압부(46)로 구성되는데, 컨택부(44)를 중심으로 가압부(46)를 상측으로 접어 올려, 가압부(46)의 홈(48)이 홀(42)과 마주보며 대응되도록 한다.
홀(42)은 전선이 관통되는 부분이며, 홀(42)과 마주보는 위치로 접혀진 가압부(46)도 홈(48)을 통해 전선이 끼워져 고정된다. 가압부(46)는 단부부터 중앙측을 절개한 형상의 홈(48)이 형성되고, 홈(48)은 중앙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홀(42)을 관통한 전선이 홈(48)을 관통하며 홈(48)에 끼워지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가압부(46)가 없이 상단부에 홀(42)을 형성하고 하단부로는 암접촉단자(50)와 결합하기 위해 길게 연장된 컨택부(44)만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가 접촉되는 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측은 플러그 커넥터(10)의 하면이며, 하측은 소켓 커넥터(20)의 상면이다. 플러그 커넥터(10) 하면으로는 단자홀(18)을 통해 숫접촉단자(40)가 돌출되며, 숫접촉단자(40)는 소켓 커넥터(20) 상면의 홀(22)을 통해 삽입되어 내측의 암접촉단자(50)와 접촉된다.
이 때 숫접촉단자(40)와 암접촉단자(50)의 극성이나 접촉 방향이 중요한 경 우에는 플러그 커넥터(10)가 반대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켓 커넥터(20)의 상면 및 플러그 커넥터(10)의 하면에 상호 맞물리는 홈, 돌기를 형성하여 편심 위치에 형성하도록 한다. 도면과 같이 소켓 커넥터(20)의 상면 좌측에 돌출되는 삽입돌기(26)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하면 좌측에 삽입홈(19)을 형성하여 삽입돌기(26)와 삽입홈(19)이 상호 대응되어 맞물리는 경우에만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의 결합이 완성되도록 한다. 만약, 플러그 커넥터(10)의 좌우가 바뀌어 위치된 경우에는 삽입돌기(26)가 플러그 커넥터(10)의 평평한 하면을 밀어내게 되므로, 결합이 완성되지 않게 된다. 이로서 초소형의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의 결합에 있어서, 상호 반대 방향으로 결합될 가능성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의 단면도(도 6의 A-A'선 기준) 및 저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소켓 커넥터(20)는 상방으로는 숫접촉단자(40)가 삽입되는 홀(22)이 형성되고, 홀(22)의 바로 하방에는 암접촉단자(50)가 위치한다. 암접촉단자(50)는 상단부가 수평하게 마주보는 구조로 측방접촉부(52)를 구성하여 수직으로 절곡되어 하단부는 회로 기판 등에 접속될 수 있도록 외부로 연장 돌출된다.
측방접촉부(52)는 제1측방접촉부(52a)와 제2측방접촉부(52b)가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마주보는 제1측방접촉부(52a)와 제2측방접촉부(52b)의 사이에 숫접촉단자(40)의 컨택부(44)가 위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측방접촉부(52a)와 제2측방접촉부(52b) 사이의 간격은 숫접촉단자(40)의 컨택부(44) 두께보다 작도록 하여 야 한다. 또한 제1측방접촉부(52a)와 제2측방접촉부(52b)에 상호 마주보며 돌출되는 돌기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홈부와 가이드부를 통해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한 번 결합된 상태에서는 스스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또한 방향이 잘못된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로써 전선과 기판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접촉하면서도 쉽게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여러 위치에 호환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소형의 회로 기판에 있어서, 전선을 기판 등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 접속된 커넥터가 외부의 충격과 진동에 의해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의 결합 방향이 잘못되는 경우 결합이 되지 않도록 하여, 결합 오류를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전선이 연결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어 접속되고, 일측은 기판에 결합되는 소켓 커넥터를 포함하는 소형 기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본체에 있어서,
    상기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커버의 일방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전선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홀에 삽입되는 전선의 단부와 접촉하며,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숫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숫접촉단자는,
    일 단부는 통공이 형성된 판 형태이며, 타 단부는 단부로부터 중앙에 이격된 홈이 소정 길이만큼 형성되어 중앙의 홈을 두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 단부의 통공과 상기 가압부의 홈이 마주보도록 일 단부와 타 단부의 연결 부분을 접어,
    상기 통공과 상기 가압부의 홈이 상기 홀을 마주보며 위치하고,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의 접혀진 중앙 부분은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하부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의 모서리에는 장방형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에 상기 홈부가 끼워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숫접촉단자가 돌출되는 접촉면의 소정 위치에 상기 소켓 커넥터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삽입돌기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정밀 커넥터.
  8. 전선이 연결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어 접속되고, 일측은 기판에 결합되는 소켓 커넥터를 포함하는 소형 기기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본체에 있어서,
    상기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커버의 일방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통해 전선의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홀에 삽입되는 전선의 단부와 접촉하며,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숫접촉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숫접촉단자는,
    일 단부는 통공이 형성된 판 형태이며, 타 단부는 단부로부터 중앙에 이격된 홈이 소정 길이만큼 형성되어 중앙의 홈을 두고 양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 단부의 통공과 상기 가압부의 홈이 마주보도록 일 단부와 타 단부의 연결 부분을 접어,
    상기 통공과 상기 가압부의 홈이 상기 홀을 마주보며 위치하고,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의 접혀진 중앙 부분은 상기 본체의 하방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하부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의 모서리에는 장방형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에 상기 홈부가 끼워지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숫접촉단자가 돌출되는 접촉면의 소정 위치에 상기 소켓 커넥터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삽입홈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삽입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정밀 커넥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는:
    본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숫접촉단자가 삽입되기 위한 홀을 일면에 형성하고,
    상기 홀을 통해 상기 숫접촉단자가 삽입되며,
    상기 홀에 삽입되는 상기 숫접촉단자의 단부와 접촉하며,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암접촉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정밀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암접촉단자는:
    상기 홀에 의해 개방된 공간의 양측방에서 안쪽을 향해 마주보는 제1, 2측방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2측방 접촉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2측방 접촉부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정밀 커넥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홀이 형성된 일면의 모서리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하부 모서리에 형성된 장방형 홈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정밀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정밀 커넥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홀이 형성되는 접촉면의 소정 위치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삽입돌기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정밀 커넥터.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홀이 형성되는 접촉면의 소정 위치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면에 형성되는 삽입홈과 대응되어 결합되는 삽입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정밀 커넥터.
KR1020050040404A 2005-05-14 2005-05-14 초소형 정밀 커넥터 KR100729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404A KR100729563B1 (ko) 2005-05-14 2005-05-14 초소형 정밀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404A KR100729563B1 (ko) 2005-05-14 2005-05-14 초소형 정밀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836A KR20060117836A (ko) 2006-11-17
KR100729563B1 true KR100729563B1 (ko) 2007-06-18

Family

ID=3770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404A KR100729563B1 (ko) 2005-05-14 2005-05-14 초소형 정밀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2832B (zh) * 2018-08-29 2024-04-30 中兵航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断路器固定端用小型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465U (ko) * 1996-09-23 1998-07-06 유기범 분리 결합이 용이한 콘넥터
KR0143772B1 (ko) * 1989-03-21 1998-08-17 제이 엘. 사이칙 케이블 종단용 커버 지지시스템과 변형방지부재를 가지는 전기 코넥터
JP2002260748A (ja) * 2001-03-01 2002-09-13 Nichifu Co Ltd 防水分岐コネクタ
KR200294601Y1 (ko) * 2002-08-16 2002-11-08 거영산업 주식회사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3772B1 (ko) * 1989-03-21 1998-08-17 제이 엘. 사이칙 케이블 종단용 커버 지지시스템과 변형방지부재를 가지는 전기 코넥터
KR19980017465U (ko) * 1996-09-23 1998-07-06 유기범 분리 결합이 용이한 콘넥터
JP2002260748A (ja) * 2001-03-01 2002-09-13 Nichifu Co Ltd 防水分岐コネクタ
KR200294601Y1 (ko) * 2002-08-16 2002-11-08 거영산업 주식회사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836A (ko) 200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00169B (zh) 电连接器装置
JP6407391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TWI587581B (zh) 連接器總成
US896121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component,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CN100399637C (zh) 电连接器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11164840A (zh) 连接器
US7338303B1 (en) Card connector assembly having carriage component
US787129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986020B2 (en) Inter-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US2008021406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TW201519521A (zh) 配線基板連結裝置
JP6517655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2243600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444284B2 (ja) 電気コネクタ
US8500459B2 (en) Receptacle with a cavity for receiving a plug with a recess for receiving a component
JP4133431B2 (ja) 電気接続プラグ
JP5444283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0729563B1 (ko) 초소형 정밀 커넥터
JP2016058399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14063629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TWI519004B (zh) 電連接器
JP5369207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6035942A (ja) プラグコネクタ
JP2015028953A (ja) 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