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915B1 -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915B1
KR100728915B1 KR1020060056062A KR20060056062A KR100728915B1 KR 100728915 B1 KR100728915 B1 KR 100728915B1 KR 1020060056062 A KR1020060056062 A KR 1020060056062A KR 20060056062 A KR20060056062 A KR 20060056062A KR 100728915 B1 KR100728915 B1 KR 100728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gas fuel
pipe
valve
liqui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업
이진욱
김창기
육승혁
강건용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성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성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56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33Details of actu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42Shut-off valves; Check valves; Safety valves;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96Manufacturing or assembly; Materials, e.g.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봄베와 레귤레이터유닛 사이의 외장형 연료펌프에 의해 가압된 봄베내의 액상 가스연료가 레귤레이터유닛을 거쳐 엔진으로 공급되고, 엔진에서 리턴되는 액상 가스연료가 레귤레이터유닛을 거쳐 봄베로 리턴되는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와 레귤레이터유닛 사이의 공급라인과 봄베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공급관내의 액상 가스연료를 봄베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과 공급관의 연결부상에 설치되고 공급된 액상 가스연료의 역류를 방지하며 공급관의 압력상승시 공급되는 액상 가스연료를 바이패스관을 통해 봄베로 바이패스시키는 밸브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액상 가스연료의 공급시 슬러지의 침적 등에 의해 공급관내의 압력이 연료의 공급압보다 더 높게 상승될 시 연료펌프측으로 공급관내의 액상 가스연료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봄베로 바이패스시켜 줌으로써 연료펌프 및 공급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액상, 가스연료, 외장형, 연료펌프, 밸브블럭, 바이패스관

Description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Gas Feeding Apparatus of Gas Fuel Vehicles}
도 1은 종래의 가스연료차량의 연료계통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펌프를 갖는 연료공급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블럭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봄베 110 : 공급관
200 : 연료펌프 300 : 밸브블럭
310 : 몸통 312 : 돌출부
320 : 체크밸브 330 : 릴리프밸브
400 : 바이패스관 500 : 레귤레이터유닛
600 : 리턴관 610 : 리턴밸브
700 : 멀티밸브 710 : 바이패스부
720 : 리턴부 800 : 엔진
본 발명은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장형 연료펌프에 의해 액상 가스연료의 공급시 공급관내의 압력이 연료의 공급압이 더 높게 상승될 때 연료펌프측으로 가스연료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봄베로 바이패스시켜 연료펌프 및 공급관의 파손을 방지토록 한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차량의 내연기관은 연소실로 흡입되는 혼합기를 연소시켜 이에 발생되는 폭발력으로 피스톤을 상하 직선 왕복운동시키고, 이의 직선 왕복운동을 크랭크 기구로서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회전동력을 얻는 것으로서, 주로 차량의 엔진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차량의 엔진은 LPG연료나 천연가스연료를 연료탱크인 봄베에 소정의 압력으로 액화시켜 저장하였다가 연료펌프에 의해 액상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고 인젝터에 의한 분사후, 엔진 작동시 기화시켜 공기와 함께 혼합기의 상태로 연소실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가스연료차량의 연료공급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68790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를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의 가스연료차량의 연료계통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액상의 가스연료가 저장되는 봄베(10)내에는 액상의 가스연료를 가압하여 엔진(50)으로 공급하는 연료펌프(20)가 설치된다.
상기 연료펌프(20)에는 엔진(50)으로 공급되는 액상의 가스연료가 유동하는 공급관(30)이 설치되고, 이 공급관(30)에는 이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제 1, 2 개폐밸브(31)(41)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차량에 설치된 ECU(70)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상기 제 2 개폐밸브(41)는 레귤레이터유닛(40)에 구성되고, 상기 공급관(30)이 레귤레이터유닛(40)을 지나면서 제 2 개폐밸브(41)가 공급관(30)의 유로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레귤레이터유닛(40)에 의해 엔진(50)으로 공급되는 액상 가스연료의 공급압을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유닛(40)에는 엔진(50)과 봄베(10)를 연결하는 리턴관(60)이 연결되어, 엔진(50)의 연소실로 공급되지 못한 액상의 가스연료를 봄베(10)로 리턴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귤레이터유닛(40)을 지나는 리턴관(60)상에는 봄베(10)로 리턴되는 가스연료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42)와, 리턴되는 가스연료가 일정 압력 이상에서만 봄베(10)로 리턴되도록 리턴관(60)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조정기(43)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료공급장치는 ECU(70)에 의해 전반적으로 제어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가스연료차량의 연료공급은 엔진(50)의 구동시, ECU(70)에 의해서 봄베(10)내의 연료펌프(20)가 구동되어 봄베(10)내의 액상의 가스연료를 가압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관(30)을 통해 엔진(50)으로 공급한다.
이때, 공급관(30)상의 제 1,2 개폐밸브(31)(41)는 ECU(70)에 의해 제어되어 개방된 상태이고, 공급되는 액상의 가스연료는 봄베(10)압 대비 일정 차압 즉 대략 8bar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엔진(50)으로 공급된다.
한편, 공급관(30)을 통해 엔진(50)으로 공급되는 액상의 가스연료는 레귤레이터유닛(40)을 지나면서 엔진(50)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엔진(50)으로 공급되는 액상의 가스연료 중 일부는 인젝터를 통해 연소실로 공급되어 연소되고, 나머지는 엔진(50)에 연결된 리턴관(60)을 통해 레귤레이터유닛(40)의 압력센서(42)와 압력조정기(43), 리턴밸브(61)를 지나 봄베(10)로 재유입되어 저장된다.
이때, 리턴관(60)으로 유입된 액상의 가스연료는 고온의 엔진(50)을 지나면서 열전도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팽창됨으로써 이의 압력이 전술한 압력 즉 8bar 이상의 압력으로 상승되어 리턴관(60)을 폐쇄하고 있던 압력조정기(43)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개방된 리턴관(60)을 통해 리턴관(60) 말단의 리턴밸 브(61)를 개방시켜 봄베(10)로 재유입된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연료공급장치는, 연료펌프(20)가 봄베(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료펌프(20)의 수리 또는 교체 등과 같은 정비시에는 봄베(10)내의 가스연료를 모두 제거한 후에 봄베(10)로부터 연료펌프(20)를 분리시켜 꺼낸 후, 연료펌프(20)를 정비하게 되는데, 이러한 정비작업 전에 선행되는 가스연료의 제거작업시 이를 위한 별도의 특수한 장비와 특정 장소가 요구되므로 인해 이의 정비성 및 작업성이 저하되고, 봄베(10)에 충전되어 있는 가스연료를 모두 소진시켜 제거하므로 인한 불필요한 연료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료펌프를 봄베(10)로부터 분리시켜 봄베(10)와 레귤레이터유닛(40) 사이의 공급관(30)에 설치하여, 연료펌프의 수리나 교체 등의 정비작업을 용이케 하고, 정비작업시 발생되는 연료손실을 최소화하는 외장형 연료펌프(미도시)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외장형 연료펌프가 설치된 가스연료차량의 연료공급장치는, 연료펌프에 의한 액상 가스연료의 공급시 액상 가스연료 중의 섞여 있는 슬러지의 침적 등에 의해 연료펌프와 레귤레이터유닛(40) 사이의 공급관(30)이 막히거나 또는 레귤레이터유닛(40)의 유로가 막혀 오작동될 시는 액상 가스연료의 흐름이 원활치 못하게 되어 적체된 액상 가스연료에 의해 연료펌프와 레귤레이터유 닛(40) 사이의 공급관(30)의 압력이 연료펌프의 공급압보다 더 높게 상승되어 액상 가스연료가 연료펌프측으로 역류되고, 그로 인해 연료펌프에는 부하가 걸려 결국에는 연료펌프가 손상 및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에는 액상 가스연료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밸브가 봄베(10)에 설치된 멀티밸브의 리턴라인상에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액상 가스연료의 역류는 지속되고, 그로 인해 공급관(30)의 관압이 계속해서 높아지므로 인해 결국에는 공급관(30)이 파손되는 등의 더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장형 연료펌프에 의해 액상 가스연료의 공급시 슬러지의 침적 등에 의해 공급관내의 압력이 연료의 공급압보다 더 높게 상승될 때 연료펌프측으로 공급관내의 액상 가스연료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봄베로 바이패스시켜 연료펌프의 파손 및 공급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는, 봄베와 레귤레이터유닛 사이의 외장형 연료펌프에 의해 가압된 봄베내의 액상 가스연료가 레귤레이터유닛을 거쳐 엔진으로 공급되고, 엔진에서 리턴되는 액상 가스연료가 레귤레이터유닛을 거쳐 봄베로 리턴되는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 형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와 레귤레이터유닛 사이의 공급라인과 봄베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공급관내의 액상 가스연료를 봄베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과 공급관의 연결부상에 설치되고 공급된 액상 가스연료의 역류를 방지하며 공급관의 압력상승시 공급되는 액상 가스연료를 바이패스관을 통해 봄베로 바이패스시키는 밸브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블럭은 공급관이 연결되는 중공의 몸통과, 몸통의 일측에 돌출되어 바이패스관이 연결되는 중공의 돌출부로 형성되되, 상기 몸통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릴리프밸브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릴리프밸브는 체크밸브보다 큰 압력으로 개방되게 설계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펌프를 갖는 연료공급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블럭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봄베(100)와 레귤레이터유닛(500), 엔진(800)이 각각 공급관(110)과 리턴관(600)으로 연결되어, 봄베(100)내의 액상 가스연료가 레귤레이터유닛(500)을 거쳐 엔진(800)으로 공급되 고, 엔진(800)에서 리턴되는 액상 가스연료가 레귤레이터유닛(500)을 거쳐 봄베(100)로 리턴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봄베(100)와 레귤레이터유닛(500) 사이의 공급관(110)에는 봄베(100)내의 액상 가스연료를 가압하여 엔진(800)으로 공급하는 연료펌프(200)가 외장형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봄베(100)와 연료펌프(200) 사이의 공급관(110)에는 ECU(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공급관(110)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112)가 설치된다.
상기 연료펌프(200)와 레귤레이터유닛(500) 사이의 공급관(110)에는 레귤레이터유닛(500)측으로 공급된 액상 가스연료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블럭(300)이 설치된다.
상기 밸브블럭(300)은 공급관(110)과 연통되게 연결되는 중공의 몸통(310)과, 상기 몸통(310)의 외주면 일측에 수직하게 돌출된 중공의 돌출부(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블럭(300)의 돌출부(312)에는 밸브블럭(300)과 봄베(100)를 연결하는 바이패스관(400)이 설치되어, 상기 공급관(110)이 막히거나 또는 레귤레이터유닛(500)이 오작동될 때 연료펌프(200)에 의해 공급되는 액상 가스연료를 봄베(100)측으로 바이패스시켜 연료공급장치를 안정화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밸브블럭(300)에는 상기 공급관(110)이 연결되는 몸통(310)의 일측에 체크밸브(320)가 설치되고, 상기 바이패스관(400)이 연결되는 돌출부(312)에는 릴리프밸브(330)가 설치된다.
상기 체크밸브(320)는 레귤레이터유닛(500)측으로 공급된 액상 가스연료의 역류를 방지하고, 상기 릴리프밸브(330)는 바이패스관(400)으로 유입된 액상 가스연료의 역류를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관(110)과 연결되는 밸브블럭(300)의 몸통(310)에는 반드시 체크밸브(320)와 같은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밸브가 구성되어야 한다. 이는, 액상 가스연료 중의 슬러지에 의해 밸브블럭(300)과 레귤레이터유닛(500) 사이의 공급관(110)이 막히거나 또는 레귤레이터유닛(500)이 오작동되어 액상 가스연료의 흐름이 원활치 못하게 되면, 밸브블럭(300)과 레귤레이터유닛(500) 사이의 공급관(110)의 압력이 연료펌프(200)의 압력보다 높게 상승되고, 이와 같이 공급관(110)의 압력이 상승되면 액상 가스연료가 연료펌프(200)측으로 역류되는데, 이와 같은 액상 가스연료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체크밸브(320)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이유 등으로 액상 가스연료의 흐름이 원활치 못할 때, 연료펌프(200)에 의해 계속해서 공급되는 액상 가스연료에 의해 연료펌프(200)와 레귤레이터유닛(500) 사이의 공급관(110)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상승되는 액상 가스연료의 압력이 일정 압력이상이 되면, 릴리프밸브(330)가 개방되어 공급관(110)내의 액상 가스연료를 봄베(100)측으로 바이패스시켜 저장한다.
한편, 상기 릴리프밸브(330)는 체크밸브(320)보다 큰 압력으로 개방되게 설계된다.
즉, 상기 연료펌프(200)에 의해 공급되는 액상 가스연료의 공급압이 8bar 이 므로 상기 체크밸브(320)는 8bar의 압력에서 개방되고, 상기 릴리프밸브(330)는 8bar를 초과하는 압력에서 개방되게 설계되어야 한다(대략 15bar 정도에서 개방됨).
이는, 상기 릴리프밸브(330)가 체크밸브(320)보다 작은 압력으로 개방되게 되면, 연료펌프(200)에서 가압되어 공급되는 액상 가스연료가 체크밸브(320)를 통하기 전에 릴리프밸브(330)를 통해 모두 바이패스관(400)으로 유입되어 봄베(100)로 재유입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상기 릴리프밸브(330)를 체크밸브(320)보다 큰 압력에서 개방되게 설계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관(400)과 리턴관(600)이 연결되는 봄베(100)에는 멀티밸브(700)가 설치되고, 상기 멀티밸브(700)에는 바이패스관(400)과 리턴관(600)이 연결되는 중공의 바이패스부(710)와 리턴부(720)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멀티밸브(700)의 리턴부(720)에 연결되는 리턴관(600)에는 리턴밸브(610)가 설치되고, 상기 리턴밸브(610)는 종래와 동일한 밸브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턴밸브(610)는 멀티밸브(700)의 하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에 구성된 공급관(110)과 리턴관(600)을 포함한 모든 배관이 20∼30bar 이상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배관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차량의 엔진(800) 구동시, ECU가 봄베(100)와 연료펌프(200) 사이의 공급관(110)에 설치된 개폐밸브(112)와, 레귤레이터유닛(500)에 설치된 개폐밸브(4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연료펌프(20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연료펌프(200)는 봄베(100)내의 액상 가스연료를 봄베(100)압 대비 일정 차압으로 더 가압하여 즉 봄베(100)내에서 3bar의 압력을 갖는 액상 가스연료에 5bar의 압력을 더 제공하여 액상 가스연료를 8bar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공급관(110)을 통해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액상 가스연료는 레귤레이터유닛(500)을 지나 엔진(800)으로 공급되어, 일부는 연소실에서 연소되고, 나머지는 엔진(800)으로부터 리턴관(600)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리턴관(600)으로 배출된 액상 가스연료는 레귤레이터유닛(500)을 지나 리턴밸브(610)를 개방시키면서 봄베(100)에 설치된 멀티밸브(700)의 리턴부(720)를 통해 봄베(100)내로 재유입되어 저장된다.
한편, 리턴관(600)으로 유입된 액상의 가스연료는 고온의 엔진(800)을 지나면서 열전도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팽창됨으로써 이의 압력이 전술한 가스연료의 압력 즉 8bar 이상의 압력으로 상승되어 리턴관(600)을 폐쇄하고 있던 레귤레이터유닛(500)의 압력조정기(43)와 리턴관(600)상의 리턴밸브(610)를 순차적으로 개방시키면서 봄베(100)내로 재유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된 연료펌프(200)의 고장시는, 봄베(100)와 연료펌프(200) 사이의 공급관(110)에 설치된 개폐밸브(112)를 닫아 봄베(100)를 차단한 상태에서, 공급관(110)에서 연료펌프(200)만을 분리시켜 내어 연료펌프(200)를 수리하거나 또는 교체하게 됨으로써 이의 정비작업이 종래와 같이 특수 장비나 특정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봄베(100)내의 가스연료를 모두 배출시켜 소진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해 정비작업시 불필요한 연료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료공급과정 중에 액상 가스연료에 슬러지가 혼합되어 공급되다가 슬러지에 의해 연료펌프(200)와 레귤레이터유닛(500) 사이의 공급관(110)이 막히거나 또는 레귤레이터유닛(500)이 오작동되는 경우는, 유로의 막힘으로 인해 레귤레이터유닛(500)측으로 공급된 공급관(110)의 압력이 연료펌프(200)의 압력보다 더 높게 상승되어도 체크밸브(320)가 이미 공급된 액상 가스연료의 역류를 방지하여 연료펌프(200)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료펌프(200)에 의해 액상 가스연료가 계속해서 공급되어 이의 압력이 릴리프밸브(330)의 설정압력 이상으로 대략 15bar 이상으로 상승되면, 릴리프밸브(330)가 개방되어 공급관(110)내의 액상 가스연료를 바이패스관(400)과 멀티밸브(700)의 바이패스부(710)를 통해 봄베(100)내로 바이패스시켜 저장함으로써 기관의 안정화를 꾀한다.
이때, 액상 가스연료가 상기와 같은 압력으로 작용되어도 본 발명의 연료공급장치에 구성된 모든 배관이 20∼30bar 이상의 압력을 견딜 수 있기에, 배관에는 무리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에 따르면, 액상 가스연료의 공급시 슬러지의 침적 등에 의해 공급관내의 압력이 연료의 공급압보다 더 높게 상승될 시는 체크밸브에 의해 연료펌프측으로 공급관내의 액상 가스연료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고, 공급관내의 압력이 계속해서 더 상승되면 릴레이밸브가 개방되어 공급관내의 액상 가스연료를 봄베로 바이패스시켜 줌으로써 연료펌프 및 공급관의 파손을 방지하여 연료공급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연료펌프를 봄베로부터 분리한 외장형으로 구성하여, 연료펌프의 수리나 교체 등의 정비작업시 개폐밸브를 통해 봄베 및 공급관을 차단시킨 후, 공급관으로부터 연료펌프만을 분리시켜 정비함으로써 정비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이의 정비성 및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연료펌프의 정비작업시 개폐밸브에 의해 공급관을 차단시킴으로써 봄베내의 가스연료를 모두 소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연료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삭제
  2. 봄베와 레귤레이터유닛 사이의 외장형 연료펌프에 의해 가압된 봄베내의 액상 가스연료가 레귤레이터유닛을 거쳐 엔진으로 공급되고, 엔진에서 리턴되는 액상 가스연료가 레귤레이터유닛을 거쳐 봄베로 리턴되는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펌프와 레귤레이터유닛 사이의 공급라인과 봄베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공급관내의 액상 가스연료를 봄베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과 공급관의 연결부상에 설치되고 공급된 액상 가스연료의 역류를 방지하며 공급관의 압력상승시 공급되는 액상 가스연료를 바이패스관을 통해 봄베로 바이패스시키는 밸브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블럭은 공급관이 연결되는 중공의 몸통과, 몸통의 일측에 돌출되어 바이패스관이 연결되는 중공의 돌출부로 형성되되, 상기 몸통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릴리프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밸브는 체크밸브보다 큰 압력으로 개방되게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
KR1020060056062A 2006-06-21 2006-06-21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 KR100728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062A KR100728915B1 (ko) 2006-06-21 2006-06-21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6062A KR100728915B1 (ko) 2006-06-21 2006-06-21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915B1 true KR100728915B1 (ko) 2007-06-14

Family

ID=3835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062A KR100728915B1 (ko) 2006-06-21 2006-06-21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979A (ko) * 2016-03-11 2017-09-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가스 공급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527A (ko) * 2001-03-29 2002-10-11 (주)모토닉 펌프 외장형 가스연료 공급장치
KR20030048603A (ko) * 2001-12-12 2003-06-25 (주)모토닉 가스연료차량의 연료공급장치
KR20030090430A (ko) * 2002-05-23 2003-11-28 (주)모토닉 가스연료차량의 연료공급장치 및 제어방법
JP2004044503A (ja) * 2002-07-12 2004-02-1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2004270560A (ja) 2003-03-10 2004-09-30 Nikki Co Ltd 燃料噴射装置
JP2005090392A (ja) 2003-09-18 2005-04-07 Nissan Diesel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527A (ko) * 2001-03-29 2002-10-11 (주)모토닉 펌프 외장형 가스연료 공급장치
KR20030048603A (ko) * 2001-12-12 2003-06-25 (주)모토닉 가스연료차량의 연료공급장치
KR20030090430A (ko) * 2002-05-23 2003-11-28 (주)모토닉 가스연료차량의 연료공급장치 및 제어방법
JP2004044503A (ja) * 2002-07-12 2004-02-12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2004270560A (ja) 2003-03-10 2004-09-30 Nikki Co Ltd 燃料噴射装置
JP2005090392A (ja) 2003-09-18 2005-04-07 Nissan Diesel Motor Co Ltd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979A (ko) * 2016-03-11 2017-09-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가스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879160A (zh) 用于涡轮压裂车组的吹扫系统、吹扫方法和涡轮压裂车组
CA2441641C (en) A high pressure gaseous fuel supply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method of sealing connections between components to prevent leakage of a high pressure gaseous fuel
US5992139A (en) Turbine engine with turbocompressor for supplying atomizing fluid to turbine engine fuel system
JP6285715B2 (ja) 船舶の燃料供給システム
JP5345152B2 (ja) 燃料ポンプシステム、燃料ポンプシステムの動作方法及び燃料ポンプシステムを含む燃料噴射システム
JP4707156B2 (ja) 内燃機関の液化ガス燃料供給装置
RU2670642C9 (ru)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топливным гидроаккумулятором вблизи сопла
US7293551B2 (en) Liquefied gas-fuel supply device for diesel engine
KR100444384B1 (ko) 가스 연료 차량
KR100728915B1 (ko) 가스연료차량의 펌프 외장형 연료공급장치
US20070272212A1 (en) Fuel Supply Device
JP2002364474A (ja) 内燃機関のための燃料を供給するための燃料システムならびに内燃機関
CN214741684U (zh) 用于涡轮压裂车组的吹扫系统和涡轮压裂车组
JP3966734B2 (ja) 液化ガス燃料供給システム
JP3966749B2 (ja) 液化ガス燃料供給システム
JP3966733B2 (ja) 液化ガス燃料供給システム
JP4209864B2 (ja) 燃料系統システム
US12006057B2 (en) Fuel system with ecology function
US20230079646A1 (en) Fuel system with ecology function
KR100482934B1 (ko) 가스연료차량의 연료 회수장치 및 방법
KR20010055346A (ko) 터보챠저의 열화 방지 장치
CN110685823B (zh) 用于低温燃料的燃料输送装置
KR20070100427A (ko) 내연 기관용 액상 가스 연료 분사 장치 및 방법
CN112805471B (zh) 注水泵
KR102195859B1 (ko) 엘피디아이 시스템을 위한 고압연료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