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610B1 - 다목적용 탈곡기 - Google Patents

다목적용 탈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610B1
KR100728610B1 KR1020060067320A KR20060067320A KR100728610B1 KR 100728610 B1 KR100728610 B1 KR 100728610B1 KR 1020060067320 A KR1020060067320 A KR 1020060067320A KR 20060067320 A KR20060067320 A KR 20060067320A KR 100728610 B1 KR100728610 B1 KR 100728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housing
water
crops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순
Original Assignee
박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순 filed Critical 박성순
Priority to KR1020060067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7/00Threshing apparatus
    • A01F7/02Threshing apparatus with 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01F12/184Clean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게시된 본 발명은 다목적용 탈곡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탈곡용회전드럼과; 구동부재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에 설치되어 농작물을 탈곡하거나 상토를 분쇄하는 타격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에 상호 구획되게 형성된 내용물 배출구 및 무거리 배출구;로 이루어진 다목적용 탈곡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물유입관과 물배수관이 구비된 펌프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펌프부의 상기 물배수관에서 배수되는 물을 사용하여 농작물을 세척하는 세척용회전드럼이 상기 탈곡용회전드럼과 선택적으로 교체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탈곡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농작물과 상토를 각각 탈곡 및 분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의 세척 또한 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보다 현저하게 상승됨은 물론 상기 세척용회전드럼의 내부 즉, 몸체드럼의 내부에 물분사부재 및 세척용회전브러쉬가 설치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농작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고, 더불어 농작물을 세척한 물은 유출드럼으로 이동되어 물받침판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상기 세척용회전드럼의 내부에서 농작물을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물받침판의 링크부재가 상기 물받침판의 저면에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물받침판을 분리한 후 상기 링크부재를 접은 채로 상기 물받침판을 보관할 수 있어 상기 물받침판의 보관 및 관리유지가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펌프부, 탈곡용회전드럼, 세척용회전드럼, 물분사부재, 세척용회전브러쉬, 물받침판

Description

다목적용 탈곡기{MULTI PURPOSE THRE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 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탈곡용회전드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용회전드럼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하우징에 세척용회전드럼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세척용회전드럼이 설치된 하우징에 물분사부재, 세척용회전브러쉬, 물받침판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세척용회전드럼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우징, 110; 무거리 배출부,
130; 제 1안내판, 135; 제 2안내판,
150; 흡입팬, 170; 컨베이어,
190; 고정바, 300; 탈곡용회전드럼,
303, 315; 스크류부재, 305; 타격부재,
305a; 제 1타격부, 305b; 제 2타격부,
310; 세척용회전드럼, 310a; 몸체드럼,
310b; 유출드럼, 330; 물분사부재,
350; 세척용회전브러쉬, 350a; 고정부,
370; 물받침판, 370a;제 1링크부재,
370b; 제 2링크부재, 370c; 배출구,
390; 수용용기, 500; 회전부,
500a; 롤러부재, 700; 구동부재,
900; 펌프부, 900a; 제어부,
910; 물유입관, 930; 물배수관.
본 발명은 농작물과 상토를 각각 탈곡 및 분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의 세척 또한 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보다 현저하게 상승됨은 물론 상기 세척용회전드럼의 내부 즉, 몸체드럼의 내부에 물분사부재 및 세척용회전브러쉬가 설치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농작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고, 더불어 농작물을 세척한 물은 유출드럼으로 이동되어 물받침판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상기 세척용회전드럼의 내부에서 농작물을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물받침판의 링크부재가 상기 물받침판의 저면에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물받침판을 분리한 후 상기 링크부재를 접은 채로 상기 물받침판을 보관할 수 있어 상기 물받침판의 보관 및 관리유지가 보다 용이해지는 다목적용 탈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곡기란 본체의 타공된 받이판 상부에 탈곡부재가 구비된 회전드럼을 설치하고, 일측에는 농작물 투입부를, 또 다른 일측에는 무거리 배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농작물 투입부에 농작물을 투입함으로써, 상기 회전드럼의 탈곡부재에 농작물이 탈곡되어 받이판의 타공부로 빠지도록 함과 동시에 농작물의 줄기 등의 무거리는 상기 무거리 배출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계를 의미한다.
한편, 농작물의 탈곡 및 상토를 자동으로 분쇄하는 상토 분쇄겸용 콩탈곡기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56898호 등으로 제안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56898호(상토 분쇄겸용 콩탈곡기)는 지지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분쇄칼날과; 구동수단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내용물을 걸러내는 철망과; 지지틀 내에 상호 구획되게 형성된 내용물 배출구 및 무거리 배출구;로 구성되어 상기 철망의 내부로 콩 등의 농작물 또는 상토를 투입한 뒤 상기 분쇄칼날에 의해 농작물이 탈곡되거나 상토가 분쇄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상토 분쇄겸용 콩탈곡기는 농작물의 탈곡은 물론 못자리시 사용되는 상토를 자동으로 분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농작물을 세척할 수 없기 때문에 농작물에 부착된 농약 등의 이물질이 그대로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다목적용 탈곡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농작물과 상토를 각각 탈곡 및 분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의 세척 또한 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보다 현저하게 상승됨은 물론 상기 세척용회전드럼의 내부 즉, 몸체드럼의 내부에 물분사부재 및 세척용회전브러쉬가 설치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농작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고, 더불어 농작물을 세척한 물은 유출드럼으로 이동되어 물받침판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상기 세척용회전드럼의 내부에서 농작물을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물받침판의 링크부재가 상기 물받침판의 저면에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물받침판을 분리한 후 상기 링크부재를 접은 채로 상기 물받침판을 보관할 수 있어 상기 물받침판의 보관 및 관리유지가 보다 용이해지는 다목적용 탈곡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탈곡용회전드럼과; 구동부재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에 설치되어 농작물을 탈곡하거나 상토를 분쇄하는 타격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에 상호 구획되게 형성된 내용물 배출구 및 무거리 배출구;로 이루어진 다목적용 탈곡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물유입관과 물배수관이 구비된 펌프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펌프부의 상기 물배수관에서 배수되는 물을 사용하여 농작물을 세척하는 세척용회전드럼이 상기 탈곡용회전드럼과 선택적으로 교체되어 설치되는 다목적용 탈곡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용회전드럼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드럼과; 상기 몸체드럼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농작물을 세척한 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유출드럼과; 상기 몸체드럼과 상기 유출드럼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상의 스크류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펌프부의 상기 물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몸체드럼의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농작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세척용회전브러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유출드럼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유출드럼에 서 유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받침판;이 위치하고,
상기 물받침판에는 일단부가 상기 물받침판의 저면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유출드럼에서 유출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다목적용 탈곡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0), 탈곡용회전드럼(300), 세척용회전드럼(310), 회전부(500), 구동부재(700) 및 펌프부(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농작물에서 분리된 줄기 등의 무거리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무거리 배출부(110)와; 무거리가 제거된 농작물을 안내하는 하향경사진 제 1안내판(130)과; 상기 무거리 배출부(110)에서 미처 배출되지 못한 무거리를 흡입하여 외부로 다시 배출시키는 흡입팬(150)과; 상기 무거리 배출부(110) 및 상기 흡입팬(150)을 통해 무거리가 완전히 제거된 농작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내용물 배출구, 즉 컨베이어(17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무거리 배출부(110), 상기 제 1안내판(130), 상기 흡입팬(150), 상기 컨베이어(170)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00)에 상기 무거리 배출부(110), 상기 제 1안내판(130), 상기 흡입팬(150) 및 상기 컨베이어(170)가 설치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과 상기 세척용회전드럼(310)은 농작물과 상토를 탈곡 및 분쇄 그리고 농작물을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단, 설명의 편의상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을 먼저 설명하기로 하고, 상기 세척용회전드럼(310)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의 내부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의 일단부에 투입된 농작물 또는 상토가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의 타단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나선상의 스크류부재(303)와, 하기에서 상술할 타격부재(305)가 설치된다.
즉, 상기 스크류부재(30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의 일단 부에서 타단부로 이동되는 농작물 및 상토가 상기 타격부재(305)에 의해 타격되어 탈곡 및 분쇄되는 것이다.
단, 상기 타격부재(305)가 농작물을 탈곡할 시 발생되는 농작물의 무거리는 상기 무거리 배출부(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은 전체적인 형상을 망사형으로 제작하여 상기 타격부재(305)에 의해 타격되어 탈곡되는 농작물, 또는 분쇄된 상토가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의 하부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탈곡된 농작물은 상기 제 1안내판(130)으로 안내되어 상기 컨베이어(1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분쇄된 상토는 하기에서 상술할 제 2안내판(135)으로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5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재(700)의 구동으로 회전하여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과 상기 세척용회전드럼(3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회전부(500)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과 상기 세척용회전드럼을 보다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하여 원형 형상의 롤러부재(500a)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500)의 형상 및 구조 역시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 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과 상기 세척용회전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재(700)는 상기 회전부(500)를 회전시켜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과 상기 세척용회전드럼(310)이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재(700)는 상기 회전부(500) 뿐만 아니라 상기 타격부재(305)와 하기에서 상술할 세척용회전브러쉬(350) 역시 회전시키는데, 이로 인해 농작물이 탈곡되거나 상토가 분쇄 그리고 농작물이 세척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재(700)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설치 및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펌프부(900)는 상기 세척용회전드럼(310)의 내부로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펌프부(90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70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게 되고,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물유입관(910)과 물배수관(930)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펌프부(900)의 형상 및 구조 역시 도 1 및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세척용회전드럼(310)의 내부로 물을 유입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아울러, 상기 펌프부(9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900a)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900a)의 제어에 의해 상기 펌프부(900)가 상기 세척용회전드럼(310)의 내부로 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는 탈곡용회전드럼(3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작업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회전부(500)의 상측에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을 설치한 뒤 상기 타격부재(305)를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의 내부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타격부재(305)는 농작물과 상토를 탈곡 및 분쇄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구동부재(700)의 구동으로 회전한다. 단, 상기 타격부재(305)는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의 회전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타격부재(305)의 회전속도가 빠를수록 농작물의 탈곡속도 및 상토의 분쇄속도 또한 빨라져 보다 효율적으로 농작물을 탈곡하거나 상토를 분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는 베어링이 구비된 고정바(190)가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바(190)의 베어링 내측에는 상기 타격부재(305)의 일단부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고정바(190)의 상기 베어링에 대응하는 또 다른 베어링이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에 구비되는데,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베어링의 내측에는 상기 타격부재(305)의 타단부가 수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타격부재(305)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상기 고정바(190)의 베어링과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에 구비된 베어링의 내측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타격부재(305)는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의 내부에 흔들리지 않도록 보다 견고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타격부재(305)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상기 베어링의 내측에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타격부재(305)는 보다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격부재(305)의 외측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타격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타격부는 각각 제 1타격부(305a)와 제 2타격부(305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타격부(305a)는 농작물의 줄기 등의 무거리를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제 1타격부(305a)의 선단에는 날부가 형성된다.
즉, 상기 날부의 회전으로 인해 농작물의 줄기 등이 절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타격부(305b)는 상기 제 1타격부(305a)에서 절단된 농작물의 무거리를 회전력으로 타격하여 타격된 농작물의 무거리가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무거리 배출부(110)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무거리가 제거된 상기 농작물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하향경사진 상기 제 1안내판(130)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컨베이어(1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안내판(130)에 안내된 농작물은 상기 컨베이어(170)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흡입팬(150)으로 먼저 진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흡입팬(150)이 상기 무거리 배출부(110)를 통해 미처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 농작물의 무거리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상기 컨베이어(170)로 무거리가 완전히 제거된 농작물이 진입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타격부재(305)를 이용하여 못자리에 사용되는 상토를 분쇄할 경우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의 하부에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진 제 2안내판(135)를 설치하여 분쇄된 상토가 상기 제 2안내판(135)로 안내되어 외부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안내판(135)은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의 하부에서 지면으로 향할수록 하향 경사져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타격부재(305)의 형상 및 구조는 도 3 내지 도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타격부재(305)가 농작물과 상토를 탈곡 및 분쇄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척용회전드럼(310)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하우징(100)에 세척용회전드럼(310)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작업자는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 부에 설치된 상기 탈곡용회전드럼(300)을 상기 세척용회전드럼(310)으로 교체하여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용회전드럼(310)은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드럼(310a), 유출드럼(310b) 및 스크류부재(315)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드럼(310a)은 도 6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유출드럼(310b)은 상기 몸체드럼(310a)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농작물을 세척한 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부재(315)는 상기 몸체드럼(310a)과 상기 유출드럼(310b)의 내주면에 나선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세척용회전드럼(310)은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드럼(310a)와, 상기 몸체드럼(310a)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기 유출드럼(310b)으로 구성되나, 상기 세척용회전드럼(310)의 구성이 특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농작물을 세척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8 및 도 9는 세척용회전드럼(310)이 설치된 하우징(100)에 물분사부재(330), 세척용회전브러쉬(350), 물받침판(370)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상기 몸체드럼(310a)의 내부에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분사부재(330)와 세척용회전브러쉬(35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물분사부재(330)는 상기 몸체드럼(310a)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펌프부(900)의 상기 물배수관(930)과 연결되어 상기 몸체드럼(310a)의 내부에 설치된다.
단, 상기 물분사부재(3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8 및 도 9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물분사부재(330)가 상기 몸체드럼(310a)의 내부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드럼(310a)의 내부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 세척용회전브러쉬(350)는 상기 구동부재(70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농작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물분사부재(330)와 마찬가지로 상기 몸체드럼(310a)의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용회전브러쉬(350)의 일단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에 볼트 체결 등으로 인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350a)가 형성된다.
단, 상기 고정부(350a)의 내부에는 내측에 상기 세척용회전브러쉬(350)의 일단을 내측에 수용하는 베어링이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세척용회전브러쉬(350)가 보다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세척용회전브러쉬(350)는 상기 세척용회전드럼(310)의 회전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농작물에 부착된 이물질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세척용회전브러쉬(3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8 및 도 9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세척용회전브러쉬(350)가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으로 회전하여 농작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 즉 상기 유출드럼(310b)의 하부에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출드럼(310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농작물을 세척한 물)을 수용하는 소정 형상의 물받침판(370)이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물받침판(370)에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크부재(370a, 370b)와 배출구(370c)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부재(370a, 370b)는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에 상기 물받침판(370)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각각 제 1링크부재(370a)와 제 2링크부재(370b)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링크부재(370a)는 일단부가 상기 물받침판(370)의 저면부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에 선택적으로 걸림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링크부재(370a)의 타단부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에 선택적으로 걸림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 1링크부재(370a)의 상기 걸림홈이 걸리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링크부재(370b)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물받침판(37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에 선택적으 로 걸림고정된다.
물론, 상기 제 2링크부재(370b)의 타단부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에 형성된 슬릿에 선택적으로 걸림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물받침판(37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8 및 도 9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물받침판(370)이 상기 유출드럼(310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아울러, 상기 물받침판(370)이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에서 분리된 경우 작업자가 상기 제 1링크부재(370a)를 접은채로 상기 물받침판(370)을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물받침판(370)의 보관 및 관리유지가 보다 용이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370c)는 상기 물받침판(370)이 수용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물받침판(370)의 저면부 중앙에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물받침판(370)의 저면부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세척용회전드럼(31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즉 상기 몸체드럼(310a)의 타단부에 투입된 농작물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부재(315)에 의해 상기 유출드럼(310b)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물분사부재(330)에서 상기 몸체드럼(310a)의 내부로 물을 분사하 게 됨과 동시에 상기 세척용회전브러쉬(350)가 상기 구동부재(700)의 구동으로 회전하여 농작물을 세척하게 된다.
즉, 농작물에 부착된 농약 등의 이물질이 농작물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물분사부재(330)와 상기 세척용회전브러쉬(350)에 의해 세척되고, 상기 스크류부재(315)에 따라 상기 유출드럼(310b)로 이동된 농작물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출드럼(310b)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된 수용용기(390)의 내부로 수용된다.
단, 상기 수용용기(39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출드럼(310b)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농작물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그리고, 농작물을 세척하는데 사용되었던 물 역시 상기 스크류부재(315)를 따라 상기 유출드럼(310b)로 이동되어 상기 유출드럼(310b)의 하부에 위치된 상기 물받침판(370)의 내부로 수용된다.
이때, 상기 물받침판(370)의 저면부 중앙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370c)를 통해 농작물을 세척한 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370c)에 호스 등을 연결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곳으로 농작물을 세척한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이로써, 상기 세척용회전드럼(310)의 내부에서 세척된 농작물과 농작물을 세척한 물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세척용회전드럼(3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10에서는 고추가 상기 세척용회전드럼(310)의 내부로 투입되어 세척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특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콩, 가지 등의 여러 농작물 또한 상기 세척용회전드럼(310)의 내부로 투입되어 세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다목적용 탈곡기는 상기 하우징(100)에 각각 탈곡용회전드럼(300)과 세척용회전드럼(310)이 선택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작업자가 편의에 따라 농작물과 상토를 각각 탈곡 및 분쇄할 수 있음은 물론 농작물의 세척 또한 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탈곡기에 비해 그 활용도가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에 각각 탈곡용회전드럼과 세척용회전드럼이 선택적으로 설치됨으로써, 작업자가 편의에 따라 농작물과 상토를 각각 탈곡 및 분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의 세척 또한 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 비해 그 활용도가 극대화 되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보다 현저하게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용회전드럼의 내부 즉, 상기 몸체드럼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세척용회전브러쉬가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농작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깨끗하게 농작물을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농작물을 세척한 물 역시 상기 스크류부재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물받침판의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상기 세척용회전드럼의 내부에서 농작물을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물받침판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부가 상기 물받침판의 저면에 힌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물받침판을 분리한 후 상기 링크부재를 접은 채로 상기 물받침판을 보관할 수 있어 상기 물받침판의 보관 및 관리유지가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 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3)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탈곡용회전드럼과;
    구동부재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에 설치되어 농작물을 탈곡하거나 상토를 분쇄하는 타격부재와;
    상기 하우징 내에 상호 구획되게 형성된 내용물 배출부 및 무거리 배출부;로 이루어진 다목적용 탈곡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물유입관과 물배수관이 구비된 펌프부가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펌프부의 상기 물배수관에서 배수되는 물을 사용하여 농작물을 세척하는 세척용회전드럼이 상기 탈곡용회전드럼과 선택적으로 교체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탈곡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용회전드럼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드럼과; 상기 몸체드럼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농작물을 세척한 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유출드럼과; 상기 몸체드럼과 상기 유출드럼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상의 스크류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드럼의 내부에는 상기 펌프부의 상기 물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몸체드럼의 내부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농작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세척용회전브러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탈곡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드럼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유출드럼에서 유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받침판;이 위치하고,
    상기 물받침판에는 일단부가 상기 물받침판의 저면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유출드럼에서 유출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용 탈곡기.
KR1020060067320A 2006-07-19 2006-07-19 다목적용 탈곡기 KR100728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320A KR100728610B1 (ko) 2006-07-19 2006-07-19 다목적용 탈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320A KR100728610B1 (ko) 2006-07-19 2006-07-19 다목적용 탈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610B1 true KR100728610B1 (ko) 2007-06-14

Family

ID=3835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320A KR100728610B1 (ko) 2006-07-19 2006-07-19 다목적용 탈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61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87771A (zh) * 2011-03-28 2011-09-21 湖州思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侧窗的纵向轴流脱粒装置
CN102577764A (zh) * 2012-02-18 2012-07-18 张春平 麦稻大豆玉米脱粒箱
CN104904428A (zh) * 2015-05-26 2015-09-16 陆聪 一种打谷机
CN106385987A (zh) * 2016-12-07 2017-02-15 广西大学 一种打谷机
CN106612987A (zh) * 2016-11-11 2017-05-10 苏怀 一种玉米脱粒机
CN109156169A (zh) * 2018-08-10 2019-01-08 合肥集民科技有限公司 一种防尘脱粒机
CN109258121A (zh) * 2018-07-04 2019-01-25 盐城亿之诺机械有限公司 一种打瓜取种装置
KR20200070860A (ko) 2018-12-10 2020-06-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회전속도를 제어 가능한 탈곡장치
CN113348878A (zh) * 2021-07-17 2021-09-07 徐州久顺食品有限公司 一种农业玉米的剥粒处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9642A (ja) * 2000-05-09 2002-01-11 Alcatel 無線トランシーバ送信機部分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対応する無線トランシーバ
JP2002034693A (ja) * 2000-07-31 2002-02-05 Saburo Ogiwara イーゼル用テーブ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9642A (ja) * 2000-05-09 2002-01-11 Alcatel 無線トランシーバ送信機部分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対応する無線トランシーバ
JP2002034693A (ja) * 2000-07-31 2002-02-05 Saburo Ogiwara イーゼル用テーブル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09642
200234693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87771A (zh) * 2011-03-28 2011-09-21 湖州思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侧窗的纵向轴流脱粒装置
CN102187771B (zh) * 2011-03-28 2015-04-08 湖州思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侧窗的纵向轴流脱粒装置
CN102577764A (zh) * 2012-02-18 2012-07-18 张春平 麦稻大豆玉米脱粒箱
CN104904428A (zh) * 2015-05-26 2015-09-16 陆聪 一种打谷机
CN106612987A (zh) * 2016-11-11 2017-05-10 苏怀 一种玉米脱粒机
CN106385987A (zh) * 2016-12-07 2017-02-15 广西大学 一种打谷机
CN109258121A (zh) * 2018-07-04 2019-01-25 盐城亿之诺机械有限公司 一种打瓜取种装置
CN109258121B (zh) * 2018-07-04 2021-10-19 盐城亿之诺机械有限公司 一种打瓜取种装置
CN109156169A (zh) * 2018-08-10 2019-01-08 合肥集民科技有限公司 一种防尘脱粒机
KR20200070860A (ko) 2018-12-10 2020-06-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회전속도를 제어 가능한 탈곡장치
CN113348878A (zh) * 2021-07-17 2021-09-07 徐州久顺食品有限公司 一种农业玉米的剥粒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610B1 (ko) 다목적용 탈곡기
RU2416697C2 (ru) Фрезерный рыхлитель и землесосный снаряд
US6699121B2 (en) Comminuting device in an agricultural harvesting machine
DE60200967T2 (de) Geschirrspülmaschine mit Abfallzerkleinerungsvorrichtung
KR102422001B1 (ko) 잔디깎이 로봇 및 그 제어방법
JP2008504920A (ja) 粉砕装置を備えた食器洗浄機
KR100660143B1 (ko) 고추 세척/절단장치
CN106419786A (zh) 用于水槽的排水、排渣结构
BR102013017720B1 (pt) Montagem distribuidora para uma ceifadeira combinada que tem discos distribuidores independentemente posicionáveis
AU2018329970B2 (en) Weed seed destruction
US20200236850A1 (en) Weed Seed Destruction
JP2015000059A (ja) 脱穀装置
KR101689855B1 (ko) 다목적 제초장치
KR102188048B1 (ko) 해태원초의 이물질 분리장치
WO2013188863A1 (en) Waste and brush collection and processing system
JP4650940B2 (ja) コンバイン
KR101728226B1 (ko) 팥 세척장치
KR102065313B1 (ko) 다용도 공기방울 세척기
US20100175357A1 (en) Arrangement for handling recovered waste
JP5498418B2 (ja) 排ワラ細断装置
CN210929539U (zh) 一种用于大棚蔬菜加工用清洗装置
KR200331682Y1 (ko) 채밀기
KR200377285Y1 (ko) 두류 탈곡기의 줄기 절단장치
JP6942529B2 (ja) コンバイン
JP7018837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