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330B1 - 일체형 에어컨 - Google Patents

일체형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330B1
KR100728330B1 KR1020050083630A KR20050083630A KR100728330B1 KR 100728330 B1 KR100728330 B1 KR 100728330B1 KR 1020050083630 A KR1020050083630 A KR 1020050083630A KR 20050083630 A KR20050083630 A KR 20050083630A KR 100728330 B1 KR100728330 B1 KR 100728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water
evaporator
condensed wate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8884A (ko
Inventor
문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083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330B1/ko
Publication of KR20070028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8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기와 응축기가 하나의 바디 안에 내장된 일체형 에어컨으로서, 증발기의 하부와 응축기의 상부를 연결하는 응축수받이를 겸한 연결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부가 증발기 하단에 연결되는 응축수받이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응축기 상단에 연결되어서 응축수를 분배하는 응축수 분배기로 이루어져서 냉방시 증발기 표면에 발생된 응축수를 모아서 응축기 상부로 흘려보내도록 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증발기의 하부에 응축수받이와 응축수 분배기를 겸하는 연결부재를 설치한 일체형 에어컨을 제공하고, 이 연결부재의 응축수 분배기에서는 응축수 유수 패널에 경사면을 두고 유수공의 크기를 차별화함으로써 응축기 상부에 응축수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뿌려지도록 하여 응축수의 완전 증발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종래와 같이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배수관이 필요치 않게 된다.
일체형 에어컨, 증발기, 응축기, 응축수, 냉방

Description

일체형 에어컨{Air conditioner incorporated Evaporator and Condenser in one body}
도 1은 종래 일체형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에어컨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일체형 에어컨에서 증발기와 응축기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일체형 에어컨에서 연결부재를 통한 응축수의 흐름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증발기 12 : 응축기
20 : 연결부재 21 : 응축수받이
22 : 응축수 분배기 23 : 유로
24 : 경사면 25 : 통공
26 : 유수 패널 26a : 유수공
본 발명은 일체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응축수를 완전 증발시켜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배수관이 필요치 않게 되는 구성이 간단한 일체형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체형 에어컨은 실외기를 설치하는 대신에 벽에 2개의 홀을 뚫어 덕트 형태를 구성하여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2개의 덕트 중 하나는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응축기를 식히고 응축과정에서 데워진 공기는 다른 덕트를 통해서 실외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일체형 에어컨은 실외기가 없기 때문에 별도의 배관작업이 필요없고 외관상 보기에도 나쁘지 않은 장점이 있어 유럽 등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체형 에어컨의 구성에 있어서, 증발기는 통상 응축기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에어컨의 내측 상부에 위치한 증발기는 냉방시 실내측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이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를 지나면서 냉각되어 에어컨 상부에 위치된 토출부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이때, 증발기에서는 열교환으로 인한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의 일체형 에어컨에서는 냉방과정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별도의 배수관을 설치하였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이러한 종래 일체형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종래에는 증발기에 배수관(5)을 연결하여 이를 에어컨 외부로 인출하거나, 또는 도 1에 도시하는 같이 증발기 하부에 설치된 응축수받이(1)를 이용하여 응축수를 받을 수 있는 형태가 주로 이용되어 왔다. 도 1에서 미설명된 부호 '3'은 '압축기'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이들과 같은 구조에서는 에어컨의 내부에 여유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다소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제상수받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상수가 가득차게 되면 일일이 비워주어야 하며, 이 경우 차가운 응축수를 그대로 내다 버리게 되므로 에너지 효율면에서 낭비적인 요소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증발기의 하부에 응축수받이와 응축수 분배기를 겸하는 연결부재를 설치하여 응축기 상부에 응축수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뿌려지도록 함으로써 응축수의 완전 증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일체형 에어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증발기와 응축기가 하나의 바디 안에 내장된 일체형 에어컨으로서, 증발기의 하부와 응축기의 상부를 연결하는 응축수받이를 겸한 연결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부가 증발기 하단에 연결되는 응축수받이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응축기 상단에 연결되어서 응축수를 분배하는 응축수 분배기로 이루어져서 냉방시 증발기 표면에 발생된 응축수를 모아서 응축기 상부로 흘려보내도록 한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일체형 에어컨은 응축수받이와 응축수 분배기는 유로를 통해 연결되고, 응축수받이는 증발기의 하단 전체를 커버하며 흘러내린 응축수를 한곳으로 집결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요부 형태를 가지며, 그 내부 바닥은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되, 응축수받이의 바닥면 일측에 형성된 통공이 유로 안으로 연장하여 응축수 분배기의 내부로 이어진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응축수 분배기는 내부에 유로를 통해 하강한 응축수를 흘러보내기 위한 유수 패널이 구비되고, 유수 패널의 표면에는 다수의 유수공이 패널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되, 유수 패널은 응축기의 상면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유수공은 유수 패널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향할수록 점차 커지는 형태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에어컨을 도시한 것으로, 도 2는 에어컨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증발기와 응축기의 연결관계를 분해상태로 도시하였으며, 도 4는 도 2의 에어컨에서 소정의 연결부재를 통한 응축수의 흐름상태를 단면도로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체형 에어컨에서 증발기는 응축기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같은 구성으로부터 본 발명의 일체형 에어컨은 냉방시 증발기(11) 표면에 발생된 응축수를 모아서 응축기(12) 상부로 흘려보내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에어컨은 증발기(11) 하부에 응축수를 받을 수 있는 응축수받이를 겸한 연결부재(20)를 구비한다. 이 연결부재(20)는 증발기(11)와 응축기(12)를 상하 연결하는 것으로, 상부는 증발기 하단에 연결되는 응축수받이(21)로 이루어지고, 하부는 응축기 상단에 연결되어서 응축수를 분배하는 응축수 분배기(22)로 이루어진다.
응축수받이(21)는 증발기의 하단 전체를 커버하며 흘러내린 응축수를 한곳으로 집결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요부 형태를 가지며, 그 내부 바닥은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24)으로 이루어진다.
응축수받이와 응축수 분배기는 유로(23)를 통해 연결되며, 응축수받이의 바닥면 일측에 형성된 통공(25)이 유로(23) 안으로 연장되어 응축수 분배기(22)의 내부로 이어진다.
응축수 분배기(22)는 내부에 유로를 통해 하강한 응축수를 흘러보내기 위한 유수 패널(26)이 구비된다. 이 유수 패널(26)의 표면에는 다수의 유수공(26a)이 패널의 전면에 걸쳐 형성된다. 또한, 유수 패널(26)은 응축기(12)의 상면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유수공(26a)은 유수 패널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향할수록 점차 커지는 형태로 배열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유수 패널(26)의 상단으로 하강한 응축수가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중력가속도에 구애받지 않고 응축기(12) 상면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수 패널(26)은 응축기(12)의 상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응축수받이(21)와 응축수 분배기(22)를 일체로 구성하여 증발기(11)와 응축기(12)를 연결하도록 한 본 발명은 증발기에 발생된 차가운 응축수를 아래로 흘려보내 응축기 표면을 고르게 식혀줌으로써 응축기 자체의 냉방효율을 높 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응축기 상부에 균일하게 흘러내린 응축수는 응축기 표면의 고열에 의해 모두 증발되므로 종래와 같이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배수관이 필요치 않게 된다. 이때 증발된 응축수는 송풍팬(14)에 의해 자연스럽게 실외측으로 모두 빠져나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 실시하는 정도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증발기의 하부에 응축수받이와 응축수 분배기를 겸하는 연결부재를 설치한 일체형 에어컨을 제공하고, 이 연결부재의 응축수 분배기에서는 응축수 유수 패널에 경사면을 두고 유수공의 크기를 차별화함으로써 응축기 상부에 응축수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뿌려지도록 하여 응축수의 완전 증발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종래와 같이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별도의 배수관이 필요치 않게 된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증발기와 응축기가 하나의 바디 안에 상하로 설치된 일체형 에어컨으로서,
    상기 증발기의 하단에 연결되고,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과 하부로 소통되는 통공을 갖는 바닥을 가지며, 증발기의 하단 전체를 커버하여 흘러내린 응축수를 한 곳으로 집결시킬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요부 형태로 형성되는 응축수받이; 상기 응축기의 상단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분배하고, 내부에 상기 응축수받이로부터 하강한 응축수를 흘러보내기 위한 유수 패널을 구비하는 응축수 분배기; 및 상기 응축수받이와 상기 응축수 분배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응축수받이와 상기 응축수 분배기를 연결하고, 상기 통공을 통해 하강하는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분배기로 안내하는 유로;로 구성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유수 패널은 전면에 걸쳐 다수의 유수공이 형성되고 응축기의 상면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유수공은 유수 패널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향할수록 점차 커지는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에어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패널은 응축기의 상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에어컨.
KR1020050083630A 2005-09-08 2005-09-08 일체형 에어컨 KR100728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630A KR100728330B1 (ko) 2005-09-08 2005-09-08 일체형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630A KR100728330B1 (ko) 2005-09-08 2005-09-08 일체형 에어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884A KR20070028884A (ko) 2007-03-13
KR100728330B1 true KR100728330B1 (ko) 2007-06-13

Family

ID=3810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630A KR100728330B1 (ko) 2005-09-08 2005-09-08 일체형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872B1 (ko) * 2013-05-10 2020-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407655B1 (ko) * 2013-05-10 202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CN111895518A (zh) 2014-06-05 2020-11-06 三星电子株式会社 一体式空调机
KR102095486B1 (ko) * 2019-10-04 2020-04-01 (주)대성마리프 응축수를 이용하여 냉각 효율이 향상된 축사 전용 냉방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023U (ja) * 1984-07-24 1986-02-18 松下冷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S6387432U (ko) * 1986-11-28 1988-06-07
KR19980028546U (ko) * 1996-11-22 1998-08-05 오상수 포터블 에어컨
KR19980059806U (ko) * 1997-03-04 1998-11-05 구자홍 공기조화기 냉방사이클의 드라이어 체결구조
KR100212914B1 (ko) * 1996-12-28 1999-08-02 구자홍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KR20020020337A (ko) * 2000-09-08 2002-03-15 구자홍 소형 공기조화기용 응축수 제거장치
KR20020056040A (ko) * 2000-12-29 2002-07-10 구자홍 이동형 에어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023U (ja) * 1984-07-24 1986-02-18 松下冷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S6387432U (ko) * 1986-11-28 1988-06-07
KR19980028546U (ko) * 1996-11-22 1998-08-05 오상수 포터블 에어컨
KR100212914B1 (ko) * 1996-12-28 1999-08-02 구자홍 분리형 에어컨의 응축수 처리장치
KR19980059806U (ko) * 1997-03-04 1998-11-05 구자홍 공기조화기 냉방사이클의 드라이어 체결구조
KR20020020337A (ko) * 2000-09-08 2002-03-15 구자홍 소형 공기조화기용 응축수 제거장치
KR20020056040A (ko) * 2000-12-29 2002-07-10 구자홍 이동형 에어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8884A (ko)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5539A (en) Condensate disposal system for an air cooled air conditioning unit with a propeller fan
KR20100046386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728330B1 (ko) 일체형 에어컨
CN207268499U (zh) 空调室内机
JP2018035946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100306266B1 (ko) 실내기 내부에서 물과 공기로 냉매를 냉각시키도록 된 에어컨
KR20040078945A (ko) 자동차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구조
CN106087365A (zh) 热泵干衣机或热泵洗干一体机
JPWO2020017549A1 (ja) 除湿乾燥ユニットおよび洗濯乾燥機
KR100487778B1 (ko) 공기조화기용 물받이구조
ITTO990105A1 (it) Vaschetta di scarico per condizionatore d'aria.
CN219283600U (zh) 一种降压装置及空调
JPS601023A (ja) 車両用冷房装置
KR102330606B1 (ko)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CN214009669U (zh) 冷柜
CN211575286U (zh) 立式空调器的风道总成和立式空调器
KR200241490Y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의응축수받이구조
KR20090069993A (ko) 에어컨의 응축수 누수 방지 장치
KR20040003676A (ko) 에어컨의 실외기 응축수 배출장치
KR10038942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배수구조
KR100243083B1 (ko) 일체형에어컨
KR20060111138A (ko) 공기조화기
KR101072114B1 (ko) 공기조화기의 패널형 실내유니트
KR100291872B1 (ko) 룸에어콘용실내기의배수장치
WO2020083592A1 (en) A heat pump dishwasher with improved evaporator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