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7689B1 - 판재 투입기, 판재 적재기 및 이들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판재 투입기, 판재 적재기 및 이들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7689B1
KR100727689B1 KR1020050119321A KR20050119321A KR100727689B1 KR 100727689 B1 KR100727689 B1 KR 100727689B1 KR 1020050119321 A KR1020050119321 A KR 1020050119321A KR 20050119321 A KR20050119321 A KR 20050119321A KR 100727689 B1 KR100727689 B1 KR 100727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ad
actuator
bracket
plate
pa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to KR1020050119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7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7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7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16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4Suction grippers

Abstract

판재 투입기 및 판재 적재기의 구조 및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판재 투입기 및 판재 적재기는 메인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에 대해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과,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며 판재를 흡착할 수 있는 제 1 진공 패드와,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을 승하강하는 제 1 액튜에이터와,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과 분리되어 메인 프레임에 대해 승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과,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며 판재를 흡착할 수 있는 제 2 진공 패드와,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을 승하강하는 제 2 액튜에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액튜에이터와 제 2 액튜에이터를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판재 투입기 적재되어 있는 2 이상의 판재가 동시에 투입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판재 적재시, 스퀴즈 현상에 의해 판재가 불규칙하게 적재되는 것을 해소할 수 있다.
판재 투입기, 판재 적재기

Description

판재 투입기, 판재 적재기 및 이들의 제어방법{APPARATUS FOR BOARD INPUT AND CARRYING BOAR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도 1은 목재 가공용 설비를 위한 판재 투입기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의 투입기의 주요부의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판재 투입기의 주요부를 도시한 개념도로서, 투입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작동 순서에 따라서 도시한 개념도
그림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작동 순서에 따라서 도시한 개념도
도 6a 내지 도 6c는 판재 적재기의 일실시예를 작동순서에 따라 도시한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메인 프레임
28a, 38a, 48a, 58a: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
22a, 32a, 42a, 52a: 제 1 진공 패드
20a, 30a, 40a, 50a: 제 1 액튜에이터
28b, 38b, 48b, 58b: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
22b, 32b, 42b, 52b: 제 2 진공 패드
20b, 30b, 40b, 50b; 제 2 액튜에이터
본 발명은 판재 투입기 및 적재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가구 등의 가공에 사용되는 목재 판재의 투입기 및 적재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목재 가공용 설비를 위한 판재 투입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 가공용 설비(1)를 향해 적재된 목재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기(4) 및 이송 롤러(3)가 구비된다.
이송 롤러(3)는 투입기(4)로부터 투입된 자재를 목재 가공용 설비(1)로 이동시키는 설비이다.
투입기(4)는 투입기 프레임(5), 투입기 상부 가이드(6), 자재 리프터(7), 진공 패드 브라켓(8,9), 액튜에이터 마운팅 브라켓(11) 및 도시하지 않은 진공 패드 등으로 구성되며, 자재를 A위치에서 B위치로 1매씩 투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의 투입기의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 실린더 또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된 복수의 액튜에이터(10a, 10b)가 액츄에이트 마운팅 브라켓(11)에 고정된다. 진공패드 브라켓(8)은 액튜에이터(10a, 10b)의 이동 가능한 일단에 고정된다. 진공 패드 브 라켓(8)의 일면에는 복수의 진공 패드(12)가 결합한다.
진공 패드(12)는, 투입 자재(2)의 가장 상부에 위치한 자재(2c)를 흡착하여 들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그림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조는 복수의 진공 패드(12)가 동시에 작동하여, 진공 패드(12)와 투입 예정 자재(2c)가 밀착되고, 패드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되어 자재(2c)가 C위치에서 D위치로 들어 올려지면, 간헐적으로 자재(2c)와 하부의 자재(2d)가 동시에 들어 올려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자재가 1매씩 투입되지 않고, 2매씩 투입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자재(2c, 2d)가 동시에 들어 올려지는 원인은 크게 2가지로, 첫 번째는 표면 장력에 의한 것이고, 두 번째는 각종 색상과 무늬를 내는 표면재의 융착 현상에 의한 것이다. 두 번째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자재를 여러 겹 쌓아 놓은 상태에서 절단하는 경우에 자재 절단용 톱과 자재 사이의 마찰열이 발생한다. 자재 표면에 접착되어 있는 표면재는 이 마찰열에 의해 녹게 되며, 식는 과정에서 서로 일체로 접착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재(2d)가 표면 장력에 의해 자재(2c)와 붙어있다가 떨어지는 경우,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재(2d)의 떨어지는 위치가 불규칙하게 되어, 투입기 작동시 문제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적층된 판재를 1매씩 투입 혹은 적재할 수 있는 판재 투입기 및 적재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 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판재 투입기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 상기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며, 판재를 흡착할 수 있는 제 1 진공 패드; 상기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을 승하강하는 제 1 액튜에이터; 상기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과 분리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 상기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며, 판재를 흡착할 수 있는 제 2 진공 패드; 및 상기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을 승하강하는 제 2 액튜에이터;를 포함하는 판재 투입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은 상기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에 비해 작업하는 판재의 모서리 측에 치우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의 상기 제 1 액튜에이터 및 제 2 액튜에이터를 구동하여, 제 1 진공 패드 및 제 2 진공 패드를 판재의 표면에 흡착하는 단계; 상기 제 1 액튜에이터를 구동하여,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을 승강시키는 일부 승강 단계; 및 상기 일부 승강 단계 후, 상기 제 2 액튜에이터를 구동하여,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을 승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투입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판재 적재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판재 투입기와 동일하며, 그 제어 방법으로써, 상기 제 1 액튜에이터 및 제 2 액튜에이 터를 구동하여, 제 1 진공 패드 및 제 2 진공 패드를 판재의 표면에 흡착하는 단계; 판재를 흡착된 상태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액튜에이터를 구동하여,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을 하강시키는 일부 하강 단계; 상기 일부 하강 단계 후, 상기 제 1 액튜에이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을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진공 패드 및 상기 제 2 진공 패드로부터 판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적재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판재 투입기의 주요부를 도시한 개념도로서, 투입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판재 투입기는 판재 투입기의 메인 프레임에 결합된 액츄에이트 마운팅 브라켓(11)과, 마운팅 브라켓(11)에 고정부가 고정된 공압 실린더 또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된 복수의 액튜에이터(20a, 20b)와, 액튜에이터(20a, 20b)의 실린더에 고정된 진공패드 브라켓(28a, 28b)과, 진공 패드 브라켓(28a, 28b)의 일면에 결합된 복수의 진공 패드(22a, 22b)로 구성된다.
액튜에이터(20a, 20b)는 제 1 액튜에이터(20a)와, 제 1 액튜에이터(20a)와 별도로 구동되는 제 2 액튜에이터(20b)로 구성된다. 각각의 액튜에이터(20a, 20b)는 개별 액튜에이터(20a, 20b) 별로 호칭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동작을 하는 액튜에이터 별로 나누어서 호칭한다. 즉, 동시에 구동되는 수개의 액튜에이터가 제 1 액튜에이터(20a)로 호칭되면, 제 1 액튜에이터(20a)와 다르게 구동되는 수개의 액튜에이터(20b)는 제 2 액튜에이터(20b)로 호칭된다. 다만, 2개의 군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개의 군으로 묶어질 수 있다.
진공패드 브라켓(28a, 28b)은 제 1 액튜에이터(20a)의 롯드(Rod)에 결합되는 제 1 진공패드 브라켓(28a)과, 제 2 액튜에이터(20a)의 롯드(Rod)에 결합되는 제 2 진공패드 브라켓(28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28a)은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28b)에 비해 작업하는 판재의 모서리 측에 치우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 패드(22a, 22b) 또한 제 1 진공패드 브라켓(28a)에 고정되는 제 1 진공 패드(22a)와 제 2 진공패드 브라켓(28b)에 고정되는 제 2 진공 패드(22b)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패드 브라켓(28a, 28b)을 구동하는 액튜에이터(20a, 20b)를 동시에 구동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구동함으로써, 투입 예정 자재(2c, 2d)의 접착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판재 투입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상술하면, 판재 투입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 1 액튜에이터(20a) 및 제 2 액튜에이터(20b)를 구동하여, 제 1 진공 패드(22a) 및 제 2 진공 패드(22b)를 판재의 표면에 흡착하는 단계(도 3a)와, 제 1 액튜에이터(20a)를 구동하여,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28a)을 승강시키는 일부 승강 단계(도 3b)와, 제 2 액튜에이터(20a)를 구동하여,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28b)을 승강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즉,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28a)을 먼저 작동하여 자재(2c)의 일부분을 C 위치에서 D 위치로 들어올린 후(도 3b 참조),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28b)을 작동하여 자재(2c)의 나머지 부분을 흡착하여 C 위치에서 D 위치로 들어 올림으로써(도 3c 참조), 자재(2c)와 자재(2d)가 접착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투입기 작동시 발생하는 자재 접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작동 순서에 따라서 도시한 개념도이다.
제 1 실시예와 차이점은, 액튜에이터(30a, 30b, 30c)와, 진공 패드 브라켓(38a, 38b, 38c)과, 진공 패드(32a, 32b, 32c)가 3개로 구분되어, 각각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투입 예정 자재(2c, 2d)의 접착을 방지한다.
즉, 액튜에이터(30a, 30b, 30c)는 제 1 액튜에이터(30a)와, 제 2 액튜에이터(30b)와, 제 3 액튜에이터(30c)로 구분되며, 각각은 별도로 구동될 수 있다.
진공 패드 브라켓(38a, 38b, 38c)은 제 1 액튜에이터(30a)와 결합된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38a)과, 제 2 액튜에이터(30b)와 결합된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38b)과, 제 3 액튜에이터(30c)와 결합된 제 3 진공 패드 브라켓(38c)으로 구성된다.
진공 패드(42a, 42b, 42c) 역시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38a)에 결합된 제 1 진공 패드(42a)와,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38b)에 결합된 제 2 진공 패드(42b)와, 제 3 진공 패드 브라켓(38c)에 결합된 제 3 진공 패드(42c)로 구성된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림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작동 순서에 따라서 도시한 개념도이다.
제 3 실시예는 제 1 진공 패드(42a)가 한 개의 소량 진공 패드로 구성된 것 이외에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 3 실시예는 1개 또는 소량의 진공 패드(42a)로 자재(2c)의 일부분을 먼저 들어 올린 후, 자재(2c)의 나머지 부분을 순차적 또는 동시에 들어 올리는 구조로서, 자재가 플렉시블(flexible)한 경우에 특히 효과가 있다.
진공 패드의 작동 단계를 2단계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은, 자재의 접착 특성이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해서 결정해야 한다. 또한 자재를 완전히 들어올린 후에 한 번 더 진공 패드를 단계별로 작동시키면 더욱 확실한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판재 적재기의 일실시예를 작동순서에 따라 도시한 개념도이다.
판재 적재기의 구조는 제 1 실시예의 판재 투입기의 구조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판재 적재기의 제어 방법은 아래와 같다.
제 1 액튜에이터(50a) 및 제 2 액튜에이터(50b)를 구동하여, 제 1 진공 패드(52a) 및 제 2 진공 패드(52b)를 판재의 표면에 흡착하는 단계와, 판재를 흡착된 상태로 이송하는 단계와, 제 2 액튜에이터(50b)를 구동하여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58b)을 하강시키는 일부 하강 단계(도 6b)와, 제 1 액튜에이터(50a)를 구동하 여,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58a)을 하강시키는 단계와, 제 1 진공 패드(52a) 및 제 2 진공 패드(52b)로부터 판재를 분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적재시 적재될 자재를 순차적으로 내려놓음으로써, 스퀴즈(squeeze) 효과에 의한 자재의 미끄러짐이나, 진공 패드와의 흡착에 의한 자재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투입기는 가공용 목재가 1매씩 투입되도록 한다. 더 상세하게는 자재를 흡착하여 들어올리는 작용을 하는 복수의 진공 패드를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접착 상태에 있는 자재들을 분리하여 1매씩 투입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적재기는 적재될 판재를 순차적으로 내려놓음으로써, 스퀴즈 효과에 의한 자재의 미끄러짐에 의해서 자재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판재 투입기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
    상기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며, 판재를 흡착할 수 있는 제 1 진공 패드;
    상기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을 승하강하는 제 1 액튜에이터;
    상기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과 분리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
    상기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며, 판재를 흡착할 수 있는 제 2 진공 패드; 및
    상기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을 승하강하는 제 2 액튜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은 상기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에 비해 작업하는 판재의 모서리 측에 치우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투입기.
  3. 제 2 항의 판재 투입기의 제어 방법으로써,
    상기 제 1 액튜에이터 및 제 2 액튜에이터를 구동하여, 제 1 진공 패드 및 제 2 진공 패드를 판재의 표면에 흡착하는 단계;
    상기 제 1 액튜에이터를 구동하여,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을 승강시키는 일부 승강 단계; 및
    상기 일부 승강 단계 후, 상기 제 2 액튜에이터를 구동하여,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을 승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투입기 제어 방법.
  4. 삭제
  5. 판재 적재기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
    상기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며, 판재를 흡착할 수 있는 제 1 진공 패드;
    상기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을 승하강하는 제 1 액튜에이터;
    상기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과 분리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대해 승하강 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
    상기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의 하부에 설치되며, 판재를 흡착할 수 있는 제 2 진공 패드; 및
    상기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을 승하강하는 제 2 액튜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은 상기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에 비해 작업하는 판재의 모서리 측에 치우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적재기.
  6. 제 5 항의 판재 적재기의 제어 방법으로써,
    상기 제 1 액튜에이터 및 제 2 액튜에이터를 구동하여, 제 1 진공 패드 및 제 2 진공 패드를 판재의 표면에 흡착하는 단계;
    판재를 흡착된 상태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액튜에이터를 구동하여, 제 2 진공 패드 브라켓을 하강시키는 일부 하강 단계;
    상기 일부 하강 단계 후, 상기 제 1 액튜에이터를 구동하여, 상기 제 1 진공 패드 브라켓을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진공 패드 및 상기 제 2 진공 패드로 부터 판재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적재기 제어 방법.
KR1020050119321A 2005-12-08 2005-12-08 판재 투입기, 판재 적재기 및 이들의 제어방법 KR100727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321A KR100727689B1 (ko) 2005-12-08 2005-12-08 판재 투입기, 판재 적재기 및 이들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321A KR100727689B1 (ko) 2005-12-08 2005-12-08 판재 투입기, 판재 적재기 및 이들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7689B1 true KR100727689B1 (ko) 2007-06-13

Family

ID=38359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321A KR100727689B1 (ko) 2005-12-08 2005-12-08 판재 투입기, 판재 적재기 및 이들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7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083A (ko)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리제로 적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9529A (ja) * 1990-06-26 1992-02-26 Fujitsu Ltd ピッキング装置
JPH04286556A (ja) * 1991-03-14 1992-10-12 Natl House Ind Co Ltd ワーク搬出装置
JPH0577948A (ja) * 1991-08-12 1993-03-30 Miyoudou Kinzoku Kk スタツクされた金属板の分離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215502A (ja) * 1994-01-26 1995-08-15 Showa Matsutaka Kk 金属板の吸引移替え装置
KR20190000900U (ko) * 2019-03-07 2019-04-10 문병승 주름 노루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9529A (ja) * 1990-06-26 1992-02-26 Fujitsu Ltd ピッキング装置
JPH04286556A (ja) * 1991-03-14 1992-10-12 Natl House Ind Co Ltd ワーク搬出装置
JPH0577948A (ja) * 1991-08-12 1993-03-30 Miyoudou Kinzoku Kk スタツクされた金属板の分離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215502A (ja) * 1994-01-26 1995-08-15 Showa Matsutaka Kk 金属板の吸引移替え装置
KR20190000900U (ko) * 2019-03-07 2019-04-10 문병승 주름 노루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083A (ko)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리제로 적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8432B2 (ja) ワーク収納装置
JP2010208641A (ja) パネル梱包方法、パネル開梱方法、パネル梱包装置、パネル開梱装置およびパネル梱包用合紙
KR100727689B1 (ko) 판재 투입기, 판재 적재기 및 이들의 제어방법
JP2001048350A (ja) ワークの移送ミス防止装置
CN111601757B (zh) 产品搬运装置以及产品搬运系统
JP2009046260A (ja) シート材の送り出し装置
JP2678583B2 (ja) プリント基板の汎用投入機
TWI791873B (zh) 薄膜取出裝置以及柔性印刷電路板的製造方法
KR20220068009A (ko) 코팅 또는 시트가 형성된 보드용 회전장치
KR20180000045A (ko) 다공성 용지가 적용되는 옵쇄 인쇄장치
KR19980061504U (ko) 포장보조장치
JP7103517B2 (ja) 搬送装置
JP6836112B2 (ja) 枚葉紙持ち上げ装置および枚葉紙持ち上げ方法
KR101027389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케이스의 댐퍼 접착장치
JPH06192Y2 (ja) ディスタックフィーダのブランクピックアップ装置
CN1826275A (zh) 基片处理系统
JP7410538B2 (ja) ベニヤ単板の分離装置
JP2019041001A (ja) 搬送装置及びプリント配線板の搬送方法
KR102603737B1 (ko) 간지 이송이 가능한 레이저 가공기 및 이를 이용한 간지 이송 방법
JP6827448B2 (ja) バルクパレタイザー、及びバルクパレタイザーにおけるセパレートシートの貼り付き防止方法
JPS6219631Y2 (ko)
JP2008091593A (ja) プリント基板の支持方法及び装置
JP5575460B2 (ja) 基板供給装置及び基板供給方法
JP2020092173A (ja) 基板保持装置および基板保持方法
JP2022059394A (ja) シート把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