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6313B1 -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6313B1
KR100726313B1 KR1020050039571A KR20050039571A KR100726313B1 KR 100726313 B1 KR100726313 B1 KR 100726313B1 KR 1020050039571 A KR1020050039571 A KR 1020050039571A KR 20050039571 A KR20050039571 A KR 20050039571A KR 100726313 B1 KR100726313 B1 KR 100726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vc
emergency
board
group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6946A (ko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9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6313B1/ko
Publication of KR20060116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6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6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의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의 인터페이스카드에서 이머젠시 PVC(Permanent Virtual Circuit)정보를 Node-B의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보드로 전송하는 이머젠시PVC 전송단계와, 상기 이머젠시PVC 전송단계 후에 Node-B의 각 인터페이스보드에 구비된 IMA(Inverse Multiplexing for ATM) 그룹상태감지부가 해당 보드의 IMA그룹상태값을 확인하는 IMA그룹상태 확인단계와, 상기 IMA그룹상태 확인단계후에 확인한 결과 현재 이머젠시 PVC를 가진 해당 그룹의 보드가 정상상태가 아닐 경우 현재 이머젠시 PVC를 가진 해당 그룹의 보드에서 그 수신한 이머젠시 PVC정보를 삭제시켜 절체된 또 다른보드에서 이머젠시 PVC기능을 정상적으로 실행시키는 이머젠시PVC 삭제단계로 이루어진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Node-B의 E1 인터페이스카드내에 IMA 그룹 상태감지부를 구비하고 주기적으로 인터페이스 카드의 IMA 그룹상태를 확인한다음 장애가 발생된 카드를 변경하여 이머젠시 PVC의 경로를 정상적으로 열어주기 때문에 호가 정상적으로 연결되므로 그에 따라 통화품질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RNC, Node-B, E1 인터페이스카드, 이머젠시 PVC, ATM셀, 그룹상태값

Description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emergency PVC control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도 1은 종래 이머젠시PVC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머젠시 PVC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RNC 2 : Node-B
3 : RNC 메인프로세서 4A-B: ATM셀 생성부
5A-B: E1 인터페이스카드 6A-B: E1 인터페이스보드
7 : 주프로세서 8A-B: ATM셀신호처리부
9A-B: PVC기록부 10A-B: PVC리퀘스트 요청부
11A-B: IMA그룹상태 감지부
본 발명은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Node-B의 E1 인터페이스카드내에 IMA(Inverse Multiplexing for ATM) 그룹 상태감지부를 구비하고 주기적으로 인터페이스 카드의 IMA 그룹상태를 확인한 다음 장애가 발생된 카드를 변경하여 이머젠시 PVC(Permanent Virtual Circuit)의 경로를 정상적으로 열어주도록 하는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망은 이동전화나 컴퓨터 사용자들이 전세계 어디에 있든지 간에 "제3 세대", 광대역 패킷 기반의 텍스트, 디지털화된 음성이나 비디오 그리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2 Mbps 이상의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일관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UMTS망은 컴퓨터와 전화 사용자들이 여행중에도 지속적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하며, 자신이 어느 곳을 여행중이든지 상관없이 동일한 성능을 가질수 있게 한다. 사용자들은 육상 무선과 인공위성 전송기술의 조합을 통해 이 UMTS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UMTS망에는 이동중인 단말기로부터 송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처리하게 위해 통상 네트워크형태로 구성되는 기지국(Node-B)과 기지국제어기(RNC:Radio Network Controller) 및 core network 등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RNC와 Node-B사이에는 호를 열기 위해 통상 이머젠시(emergency) PVC 정보 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머젠시 PVC제어를 위한 이동통신망시스템을 도 1을 참고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RNC(70)에는 PVC 경로제어를 실행하는 RNC 메인프로세서(71)와, 상기 RNC 메인 프로세서(71)로부터 이머젠시 PVC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Node-B(72)측으로 ATM(Asynchronous Transfer Node)신호 형태로 전송처리하는 ATM셀 생성부(73A-B)를 구비한 복수개의 E1 인터페이스 카드(74A-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 Node-B(72)에는 상기 복수개의 E1 인터페이스 카드(74A-B)에 각기 대응되는 복수개의 E1 인터페이스보드(75A-B)와 이 E1 인터페이스보드(75A-B)들을 제어하는 주프로세서(76)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E1 인터페이스보드(75A-B)에는 상기 E1 인터페이스 카드(74A-B)로부터 각기 대응되는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ATM셀형태의 이머젠시 PVC 메시지를 수신처리하는 ATM셀신호처리부(76A-B)와, 상기 ATM셀 신호처리부(76A-B)에 의해 신호처리된 이머젠시 PVC 메시지를 연결된 해당 디바이스 예컨대, CAM(Content-Addressable Memory) 디바이스에 기록(Write)하는 PVC기록부(77A-B)와, 상기 이머젠시 PVC 메시지에 따라 정상적인 로딩을 위한 PVC 리퀘스트(request)신호를 생성하여 주프로세서(76)로 전송하는 PVC리퀘스트 요청부(78A-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RNC(70)는 Node-B를 E1 정합규격으로 한 그룹으로 8개까지 묶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머젠시 PVC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RNC(70)는 하위의 특정 Node-B(72)에 대해 채널을 확보하기전에 이머젠시 PVC제어를 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 상기 RNC(70)의 RNC 메인프로세서(71)는 이머젠시 PVC메시지를 해당 인터페이스 카드 예컨대, E1 인터페이스카드(74A)의 ATM셀 생성부(73A)로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E1 인터페이스카드(74A)의 ATM셀 생성부(73A)는 수신한 이머젠시 PVC정보를 해당 카드에 대응되는 Node-B(72)의 E1 인터페이스보드(75A)의 ATM셀신호처리부(76A)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E1 인터페이스보드(75A)의 ATM셀신호처리부(76A)는 그 수신한 ATM셀형태의 이머젠시 PVC 메시지를 일정신호 처리하여 PVC기록부(77A)로 출력시킨다. 또한, 상기 PVC기록부(77A)는 상기 ATM셀 신호처리부(76A)에 의해 신호처리된 이머젠시 PVC 메시지를 연결된 해당 디바이스 예컨대, CAM 디바이스에 기록(Write)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중에 PVC리퀘스트 요청부(78A)는 상기 이머젠시 PVC 메시지에 따라 정상적인 로딩을 위한 PVC 리퀘스트(request)신호를 생성하여 주프로세서(76)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Node-B(72)의 주프로세서(76)는 상기 RNC(70)의 이머젠시 PVC 신호에 따라 이머젠시 PVC를 열게되므로 통상의 호를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머젠시 PVC제어방법은 임의의 IMA 인터페이스 카드(74A)의 ATM셀 생성부(73A)가 RNC(70)의 RNC 메인프로세서(71)에서 PVC 정보를 전달받은후 ATM Cell 을 이용하여 Node-B(72)의 그에 대응되는 IMA 인터페이스보드(75A)에게 ATM Cell을 이용하여 PVC 임을 알려주고, 이때, 상기 Node-B(72)의 인터페이스보드(75A)의 ATM셀신호처리부(76A)에서 PVC Group 임을 인식하고 이머젠시 PVC를 열게되는데, 여기서, 만약 이머젠시 PVC를 열어 놓은 Node-B(72)의 해당 IMA 인터페이스보드(75A)의 Group 이 정상이 아닐경우, 그에 대응하는 RNC(70)의 IMA 인터페이스 카드(74A)의 PVC 정보는 RNC 메인프로세서(71)에 의해서 다른 IMA 인터페이스카드(74B)로 PVC 를 넘겨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RNC 에서 넘겨진 PVC 정보는 Node-B(72)에 있는 또다른 IMA 인터페이스보드(75B)에게 ATM Cell 을 이용하여 PVC 임을 알려주고 Node-B(72)의 ATM셀신호처리부(76B)에서 PVC Group 임을 인식한 다음 이머젠시 PVC를 열게되는데, 이때, 상기 Node-B(72)에 있는 비정상적인 인터페이스보드(75A)도 이머젠시 PVC 를 열게 된다. 그러므로, 이런 경우 Node-B의 양 인터페이스보드(75A-B) 모두가 connection 을 요구하기 때문에 Node-B(72)의 주 프로세서는 어떤 인터페이스보드가 PVC를 가지고 있는지를 구분하지못하기 때문에 Node-B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가 없으므로 그에 따라 호의 연결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Node-B내에서 장애가 발생되지 않은 인터페이스 카드로 절체하여 이머젠시 PVC의 경로를 정상적으로 열기 때문에 호가 정상적으로 연결되므로 그에 따라 통화품질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인터페이스 카드의 장애에 무관하게 Node-B의 로딩패스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안정성도 상당히 향상되는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E1 인터페이스 카드를 각각 구비하는 RNC와 Node-B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기 Node-B의 E1 인터페이스보드의 각각에는 상기 RNC의 E1 인터페이스 카드로부터 각기 대응되는 경로를 통해 전송된 ATM셀로부터 해당 그룹의 이머젠시 PVC 메시지를 확인처리하는 ATM셀 신호처리부와, 상기 ATM셀 신호처리부에 의해 신호처리된 이머젠시 PVC 메시지를 연결된 해당 디바이스에 기록(Write)하는 PVC기록부와, 상기 이머젠시 PVC 메시지에 따라 정상적인 로딩을 위한 PVC 리퀘스트(request) 신호를 생성하여 주프로세서로 전송하는 PVC리퀘스트 요청부와, 상기 E1 인터페이스보드에 각기 구비되어 해당 보드의 IMA 그룹상태값을 확인한 다음 비정상일 경우 이머젠시 PVC를 삭제하는 IMA그룹 상태감지부를 포함하는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의 RNC의 인터페이스카드에서 이머젠시 PVC정보를 Node-B의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보드로 전송하는 이머젠시PVC 전송단계와, 상기 이머젠시PVC 전송단계후에 Node-B의 각 인터페이스보드에 구비된 IMA그룹상태감지부가 해당보드의 IMA그룹상태값을 확인하는 IMA그룹상태 확인단계와, 상기 IMA그룹상태 확인단계후에 현재 이머젠시 PVC를 가진 해당 그룹의 보드가 정상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그룹상태 정상확인단계와, 상기 그룹상태 정상확인단계중에 확인한 결과 현재 이머젠시 PVC를 가진 해당 그룹의 보드가 정상상태에 있을 경우 현재 수신된 Node-B의 인터페이스보드에서 절체없이 이머젠시 PVC기능을 실행시키는 정상 이머젠시PVC 처리단계와, 상기 그룹상태 정상확인단계중에 확인한 결과 현재 이머젠시 PVC를 가진 해당 그룹의 보드가 정상상태가 아닐 경우 현재 이머젠시 PVC를 가진 해당 그룹의 보드에서 그 수신한 이머젠시 PVC정보를 삭제시켜 절체된 또 다른보드에서 이머젠시 PVC기능을 정상적으로 실행시키는 이머젠시PVC 삭제단계로 이루어진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RNC(1)와 Node-B(2)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RNC(1)에는 PVC 경로제어를 실행하는 RNC 메인프로세서(3)와, 상기 RNC 메인프로세서(3)로부터 이머젠시 PVC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Node-B(2)측으로 ATM신호 형태로 전송처리하는 ATM셀 생성부(4A-B)를 구비한 복수개의 E1 인터페이스카드(5A-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 Node-B(2)에는 상기 복수개의 E1 인터페이스카드(5A-B)에 각기 대응되는 복수개의 E1 인터페이스보드(6A-B)와 이 E1 인터페이스보드(6A-B)들을 제어하는 주프로세서(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E1 인터페이스보드(6A-B)의 각각에는 상기 E1 인터페이스카드(5A-B)로부터 각기 대응되는 경로를 통해 전송된 ATM셀로부터 해당 그룹의 이머젠시 PVC 메시지를 확인처리하는 ATM셀신호처리부(8A-B)와, 상기 ATM셀신호처리부(8A-B)에 의해 신호처리된 이머젠시 PVC 메시지를 연결된 해당 디바이스 예컨대, CAM디바이스에 기록(Write)하는 PVC기록부(9A-B)와, 상기 이머젠시 PVC 메시지에 따라 정상적인 로딩을 위한 PVC 리퀘스트(request) 신호를 생성하여 주프로세서(7)로 전송하는 PVC리퀘스트 요청부(10A-B)와, 상기 E1 인터페이스보드(6A-B)에 각기 구비되어 해당 보드의 IMA그룹의 정상여부 즉, IMA 그룹상태값을 주기적으로 확인한 다음 비정상일 경우 이머젠시 PVC를 삭제하는 IMA그룹상태 감지부(11A-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RNC(1)는 Node-B를 E1 정합규격으로 한 그룹으로 8개까지 묶을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장치에 적용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상태(S1)에서 이머젠시PVC 전송단계(S2)로 진행하여 RNC의 인터페이스카드에서 이머젠시 PVC정보를 Node-B의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보드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이머젠시PVC 전송단계(S2)후에 IMA그룹상태 확인단계(S3)로 진행하여 Node-B의 각 인터페이스보드에 구비된 IMA그룹상태감지부가 해당보드의 IMA그룹상태값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IMA그룹상태 확인단계(S3)후에 그룹상태 정상확인단계(S4)로 진행하여 현재 이머젠시 PVC를 가진 해당 그룹의 보드가 정상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그룹상태 정상확인단계(S4)중에 확인한 결과 현재 이머젠시 PVC를 가진 해당 그룹의 보드가 정상상태에 있을 경우 정상 이머젠시PVC 처리단계(S5)로 진행하여 현재 수신된 Node-B의 인터페이스보드에서 절체없이 이머젠시 PVC기능을 실행시킨다.
그러나, 상기 그룹상태 정상확인단계(S4)중에 확인한 결과 현재 이머젠시 PVC를 가진 해당 그룹의 보드가 정상상태가 아닐 경우 이머젠시PVC 삭제단계(S6)로 진행하여 현재 이머젠시 PVC를 가진 해당 그룹의 보드에서 그 수신한 이머젠시 PVC정보를 삭제시켜 절체된 또 다른보드에서 이머젠시 PVC기능을 정상적으로 실행시킨다.
즉, 상기 본발명의 RNC(1)가 하위의 특정 Node-B(2)에 대해 채널을 확보하기전에 이머젠시 PVC제어를 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 상기 RNC(1)의 RNC 메인프로세서(3)는 이머젠시 PVC메시지를 해당 인터페이스 카드 예컨대, E1 인터페이스카드(5A)의 ATM셀 생성부(4A)로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E1 인터페이스카드(5A)의 ATM셀 생성부(4A)는 수신한 이머젠시 PVC정보를 해당 카드에 대응되는 Node-B(2)의 E1 인터페이스보드(6A)의 ATM셀신호처리부(8A)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E1 인터페이스보드(6A)의 ATM셀신호처리부(8A)는 그 수신한 ATM셀형태의 이머젠시 PVC 메시지를 일정신호 처리하여 PVC기록부(9A)로 출력시킨다. 또한, 상기 PVC기록부(9A)는 상기 ATM셀신호처리부(8A)에 의해 신호처리된 이머젠시 PVC 메시지를 연결된 해당 디바이스 예컨대, CAM디바이스에 기록(Write)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중에 PVC리퀘스트 요청부(10A)는 상기 이머젠시 PVC 메시지에 따라 정상적인 로딩을 위한 PVC 리퀘스트(request) 신호를 생성하여 주프로세서(7)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Node-B(2)의 주프로세서(7)는 상기 RNC(1)의 이머젠시 PVC 신호에 따라 이머젠시 PVC를 열게 되므로 통상의 호를 위한 준비를 하게된다.
여기서, 상기 과정중에 상기 복수개의 E1 인터페이스보드(6A-B)의 각각에 구비된 IMA그룹상태 감지부(11A-B)가 해당보드의 IMA그룹상태값을 확인하여 현재 이머젠시 PVC를 가진 해당 그룹의 보드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는지 확인하게 된다. 이때, 만약, 상기 IMA그룹상태 감지부(11A)가 판단한 결과 해당보드의 그룹상태가 정상적이 아닐 경우 그 수신한 Emergency PVC 정보를 자체적으로 delete시킨다. 물론, 상기와 같이 비정상적으로 동작되던 E1 인터페이스보드(6A)가 다시 정상적인 IMA Group이 되었을 경우에는 처음처럼 RNC(1)에서 보내주는 ATM cell의 정보에 의해서 PVC 정보를 기록(write)하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머젠시 PVC를 연후에 특정보드(6A)가 정상이 아닐 경우 해당 보드의 이머젠시 PVC를 삭제시켰기 때문에 RNC(1)에서는 현재 카드이외에 또다른 카드(5B)로 절체시켜 이머젠시 PVC정보를 넘겨주어도 정상적으로 동작되게 된다. 즉, 상기 절체된 E1 인터페이스카드(5B)는 이머젠시 PVC정보를 자신에게 대응되는 Node-B(2)의 E1 인터페이스보드(6B)로 전송하게되는데, 이때 그룹상태가 정상이 아닌 이전의 E1 인터페이스보드(6A)는 이미 이머젠시 PVC정보가 지워진 상태에 있기 때문에 또다른 E1 인터페이스보드(6B)가 그 수신한 이머젠시 PVC를 열어 Node-B(2)의 주프로세서(7)를 통해 통상의 이머젠시 PVC기능을 처리하므로 필요한 채널을 열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Node-B의 E1 인터페이스카드내에 IMA 그룹 상태감지부를 구비하고 주기적으로 인터페이스 카드의 IMA 그룹상태를 확인한 다음 장애가 발생된 카드를 변경하여 이머젠시 PVC의 경로를 정상적으로 열어주도록 하므로써, Node-B내에서 장애가 발생되지 않은 인터페이스 카드로 절체하여 이머젠시 PVC의 경로를 정상적으로 열기 때문에 호가 정상적으로 연결되므로 그에 따라 통화품질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페이스 카드의 장애에 무관하게 Node-B의 로딩패스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안정성도 상당히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복수개의 E1 인터페이스 카드를 각각 구비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Node-B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Node-B의 E1 인터페이스보드의 각각에는 상기 RNC의 E1 인터페이스 카드로부터 각기 대응되는 경로를 통해 전송된 ATM(Asynchronous Transfer Node)셀로부터 해당 그룹의 이머젠시 PVC(Permanent Virtual Circuit) 메시지를 확인처리하는 ATM셀 신호처리부와, 상기 ATM셀 신호처리부에 의해 신호처리된 이머젠시 PVC 메시지를 연결된 해당 디바이스에 기록(Write)하는 PVC기록부와, 상기 이머젠시 PVC 메시지에 따라 정상적인 로딩을 위한 PVC 리퀘스트(request) 신호를 생성하여 주프로세서로 전송하는 PVC리퀘스트 요청부와, 상기 E1 인터페이스보드에 각기 구비되어 해당 보드의 IMA(Inverse Multiplexing for ATM) 그룹상태값을 확인한 다음 비정상일 경우 이머젠시 PVC를 삭제하는 IMA그룹 상태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MA그룹 상태감지부는 해당 보드의 IMA 그룹상태값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보드의 정상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3. 이동통신시스템의 RNC의 인터페이스카드에서 이머젠시 PVC정보를 Node-B의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보드로 전송하는 이머젠시PVC 전송단계와, 상기 이머젠시PVC 전송단계후에 Node-B의 각 인터페이스보드에 구비된 IMA그룹상태감지부가 해당보드의 IMA그룹상태값을 확인하는 IMA그룹상태 확인단계와, 상기 IMA그룹상태 확인단계후에 현재 이머젠시 PVC를 가진 해당 그룹의 보드가 정상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그룹상태 정상확인단계와, 상기 그룹상태 정상확인단계중에 확인한 결과 현재 이머젠시 PVC를 가진 해당 그룹의 보드가 정상상태에 있을 경우 현재 수신된 Node-B의 인터페이스보드에서 절체없이 이머젠시 PVC기능을 실행시키는 정상 이머젠시PVC 처리단계와, 상기 그룹상태 정상확인단계중에 확인한 결과 현재 이머젠시 PVC를 가진 해당 그룹의 보드가 정상상태가 아닐 경우 현재 이머젠시 PVC를 가진 해당 그룹의 보드에서 그 수신한 이머젠시 PVC정보를 삭제시켜 절체된 또 다른보드에서 이머젠시 PVC기능을 정상적으로 실행시키는 이머젠시PVC 삭제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50039571A 2005-05-12 2005-05-12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100726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571A KR100726313B1 (ko) 2005-05-12 2005-05-12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571A KR100726313B1 (ko) 2005-05-12 2005-05-12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946A KR20060116946A (ko) 2006-11-16
KR100726313B1 true KR100726313B1 (ko) 2007-06-11

Family

ID=3770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571A KR100726313B1 (ko) 2005-05-12 2005-05-12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63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276A (ko) * 1999-07-27 2001-02-15 서평원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방법
KR20030052813A (ko) * 2001-12-21 2003-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망에서의 소프트 핸드오버 경로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276A (ko) * 1999-07-27 2001-02-15 서평원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 서비스 방법
KR20030052813A (ko) * 2001-12-21 2003-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망에서의 소프트 핸드오버 경로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10011276 A
1020030052813 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946A (ko) 200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22507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software updating
JPS5866448A (ja) パケット交換における誤り検出方式
WO19990418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ment of dynamic escon connections from fibre channel frames
JPH05268257A (ja) バーチャルパス運用情報トレース方法とその装置
US6091727A (en) Methods for performing origination and termination processes to control reserved semi-permanent virtual path connections in asynchronous transfer mode virtual path switching system
US5661722A (en) Usage parameter control and performance monitoring apparatus used for cell stream in ATM network
WO19830043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rough-connection testing in a digital telecommunication network
JPH0630031A (ja) プロセッサのリセット方式
KR100726313B1 (ko) 이머젠시 피브이시 제어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US20040146005A1 (en) Protection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node group in ring ATM system
JP3003779B2 (ja) 通信システム
JP2763394B2 (ja) 通信制御装置
JP3239138B2 (ja) 通信網の転送データ誤り検出方法
JPH05191434A (ja) Atmマルチリンク通信方式
JP2972601B2 (ja) 無線通信アダプタ装置
JP2989668B2 (ja) メモリ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6898178B2 (en) ATM device, subscriber system, communication system and backup method
US6956817B1 (en) Communication system
KR100260900B1 (ko) 비동기식 전송모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세그멘테이션장치 및방법
CN101505196B (zh) 保护倒换的方法、系统
KR100639244B1 (ko) 변환모듈 진단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H05235951A (ja) 情報分配方式
JPH09331344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の2重化伝送制御方法
KR100197431B1 (ko) 에이티엠 가상 채널 교환기의 다중 프로토콜 구현방법
CN101489324B (zh) 建立链路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