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063B1 -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063B1
KR100725063B1 KR1020070024416A KR20070024416A KR100725063B1 KR 100725063 B1 KR100725063 B1 KR 100725063B1 KR 1020070024416 A KR1020070024416 A KR 1020070024416A KR 20070024416 A KR20070024416 A KR 20070024416A KR 100725063 B1 KR100725063 B1 KR 100725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oupled
pipe
intake
scre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환
Original Assignee
(주)남곡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남곡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남곡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70024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발명은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의 모서리 사각지대에 천정에 형성된 흡기구와 연결되는 흡입관을 다수 형성하므로서, 화장실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내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으며, 환기시설에 발생되는 습기에 의한 수분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모터의 고장을 예방하여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기구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동력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팬이 내설되고, 하부에 천정의 흡기공 상부와 연통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부에 덕트와 연결되는 배기구가 형성된 배풍기로된,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구조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한 배풍기의 하부 흡입구에 나사결합되며 외주면에 패킹이 형성된 결합구를 갖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며 중간부에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여 상부의 흡입공간부와 하부의 조명장착부를 형성한 경사바닥판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흡입구와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간부의 바닥면 외측단에는 배수공을 개폐 단속하는 부구체가 삽입된 가이드봉이 수직형성되고 상기 조명장착부에는 상부면에 반사판과 조명등이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조명갓으로된 흡기구본체와;
상기 흡기구본체의 흡입구에 결합되며, "ㄱ"형으로 절곡되어 각각 중간부에 흡입관이 나사결합된 수평관과 수직관로된 중공관상의 다수 흡기관과;
상부에 "╋"형으로 절개되어 배수요홈이 형성된 나사산을 갖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결합돌기에 의해 흡입관의 수직관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배수캡으로 구성된 것이다.
화장실, 환기, 배풍기, 배출

Description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In the restroom ventilation improvement period for apartment houses}
도 1은 본 발명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의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풍기 2 : 동력모터
3 : 배기팬 4 : 흡입구
5 : 배기구 6 : 덕트
10 : 흡기구본체 20 : 덮개
21 : 결합구 22 : 패킹
30 : 몸체 31 : 경사바닥판
32 : 흡입공간부 33,33' : 흡입구
34 : 배수공 35 : 부구체
36 : 가이드봉 37 : 조명장착부
38 : 반사판 39 : 조명등
40 : 조명갓 50,50' : 흡기관
51 : 수평관 52 : 수직관
53,53' : 흡입관 54,54' : 가이드홈
55,55' : 가이드돌기 56 : 미끄럼방지돌기
57 : 개폐판 58,58' : 흡입공
60 : 배수캡 61 : 결합돌기
62 : 배수요홈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의 모서리 사각지대에 천정에 형성된 흡기구와 연결되는 흡입관을 다수 형성하므로서, 화장실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내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으며, 환기시설에 발생되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모터의 고장을 예방하여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공동주책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에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고 쾌적한 자연 또는 인공적으 로 유입 순환시켜 실내공기 상태를 생활하기 적합하게 하기 위한 환기 시설이 구축 및 설계에 반영되어 있따.
상기 환기 시설의 구축 및 설계 반영은 외기의 유입과 배출을 자연적으로 원활하게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내부 설계에 반영시키거나 이러한 자연적인 방법으로는 외기 유입과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화장실과 욕실 공간 내에 설치하여 동력을 이용한 오염된 공기의 배출을 가능토록 하는 시설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을 이용한 오염된 공기의 배출을 가능토록 하는 시설이라 함은 통상적으로 팬, 방향 절환밸브, 덕트 댐퍼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동력을 전달받은 팬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강제적으로 빨아들인 후 덕트 및 댐퍼를 경유시켜 주배기관으로 배기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을 말한다.
이러한 종래의 환기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천정의 중앙 또는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의 상부로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팬이 형성된 배풍기가 형성되고, 상기 배풍기에는 덕트가 연결되며, 상기 덕트는 주배기관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에 동력이 발생되어 팬의 회전과 동시에 천정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화장실의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이고, 흡입된 공기는 팬을 통해 덕트로 배기되며, 다시 덕트를 통해 주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환기시설은, 그 흡기구가 천정의 중앙 또는 일측에 형성된 것인바, 흡기구 주위의 오염된 공기의 배출은 용이하나, 화장실 전체 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 및 배출 시키기에는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인한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까지 가져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습기가 많은 화장실의 특성상 모터에 의한 동력전달에 의해 환기가 이루어 지므로 장기간 사용시 모터가 습기에 의한 수분의 영향으로 쉽게 고장이 발생하는 등 수명단축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장실의 모서리 사각지대에 천정에 형성된 흡기구와 연결되는 흡입관을 다수 형성하므로서, 화장실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내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환기시설에 발생되는 습기에 의한 수분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모터의 고장을 예방하여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 공동주택용 환기 개선기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으로는:
내측에 동력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팬이 내설되고, 하부에 천정의 흡기공 상부와 연통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부에 덕트와 연결되는 배기구가 형성된 배풍기로된,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구조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한 배풍기의 하부 흡입구에 나사결합되며 외주면에 패킹이 형성 된 결합구를 갖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며 중간부에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여 상부의 흡입공간부와 하부의 조명장착부를 형성한 경사바닥판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흡입구와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간부의 바닥면 외측단에는 배수공을 개폐 단속하는 부구체가 삽입된 가이드봉이 수직형성되고 상기 조명장착부에는 상부면에 반사판과 조명등이 설치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조명갓으로된 흡기구본체와;
상기 흡기구본체의 흡입구에 결합되며, "ㄱ"형으로 절곡되어 각각 중간부에 흡입관이 나사결합된 수평관과 수직관로된 중공관상의 다수 흡기관과;
상부에 "╋"형으로 절개되어 배수요홈이 형성된 나사산을 갖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결합돌기에 의해 흡입관의 수직관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배수캡으로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는 전원에 의 해 작동되는 배풍기(1)와, 상기 배풍기(1)의 하부에 장착되는 흡기구본체(10)와, 상기 흡기구본체(10)에 결합되는 다수의 흡기관(50)(50')과, 상기 흡기관(50)(5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배수캡(6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배풍기(1)는, 통상적으로 화장실 천정(1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오염된 공기의 흡배기를 단속하는 것으로,
내부에 동력모터(2)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팬(3)이 내설되고, 하부에 천정(100)의 흡기공(110)과 연통되어 천정(100) 상부에 결합되는 흡입구(4)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덕트(6)와 연결되는 배기구(5)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흡기구본체(10)는, 상기한 배풍기(1)의 하부 흡입구()에 결합되는 것으로,
배풍기(1)에 결합되는 덮개(20)와, 상기 덮개(20)의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30)와, 상기 몸체(30)의 하부에 결합되는 조명갓(40)으로 구성된 것으로,
덮개(20)는 합성주지재의 원형 판상형으로 외주면이 소정 하향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부에 외주면에 패킹(22)이 형성된 관상의 결합구(2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21)에 의해 전기한 배풍기(1)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4)에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결합구(21)의 외주면에 형성된 패킹(22)은 견고한 결합력 및 습기의 누수를 방지 하기 위한 것이다.
몸체(30)는, 외주면에 의해 상기한 덮개(20)의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는 합성주지재의 원형 관상으로, 중간부에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여 상부의 흡입공간부(32) 와 하부의 조명장착부(37)를 형성하는 중앙으로 부터 외측으로 이르는 하향 경사형 경사바닥판(31)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흡입공간부(32)의 외주면 중간부에는 내측과 관통된 관상의 흡입구(33)(33')가 다수 형성되고, 하부 외주면에는 경사바닥판(31)과 연결되는 다수의 배수공(34)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바닥판(31)의 상부면 외측단에는 상기한 배수공(34)을 상,하 개폐 단속하는 부구체(35)가 삽입된 가이드봉(36)이 수직 형성된 것으로, 상기 부구체(35)는 몸체(30)에 습기가 발생시 부구체(35)의 상승과 함께 배수공(34)을 통해 습기에 의한 수분의 배수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이때, 흡입공간부(32)의 외주면에 형성된 흡입구(33)(33')는 화장실이나 욕실의 벽체 모서리 사각부의 수량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명장착부(37)에는 상부면에 반사판(38)과 조명등(39)이 설치된 것이다.
조명갓(40)은, 외주면이 돌출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재의 합성수지재로 상기한 몸체(3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조명등(39)을 보호키 위한 것이다.
상기 흡기관(50)(50')은, 상기한 흡기구본체(10)의 흡입구(33)(33')에 결합되며, "ㄱ"형으로 절곡되어 수평관(51)과 수직관(52)으로된 합성수지재의 중공관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한 수평관(51)과 수직관(52)의 중간부에는 중공관상의 흡입관(53)(53')이 형성되며, 수평관(51)의 단부가 상기한 흡입구(33)(33')에 억지끼움되어 결합되고, 수직관(52)의 하단부에는 상부에 "╋"형으로 절개되어 배수요홈(62)이 형성된 나사산을 갖는 결합돌기(61)가 형성되어 그 결합돌기(61)에 의해 수직관(52)의 하단부 내측에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흡입관(53)(53')은 중공관상으로, 상기한 수평관(51)과 수직관(52)의 중간부를 각각 분할 형성하되, 그 흡입관(53)(53')의 양측이 분할된 각각의 수평관(51)과 수직관(52)에 나사결합되어 연결되는 것으로, 중간부 양측 둘레에는 가이드홈(54)(5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54)(54')에는 양측에 가이드돌기(55)(55')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돌기(56)가 형성된 반원관상의 개폐판(57)이 삽입되어 그 외주면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부 외주면 둘레이는 180°를 이루는 다수의 흡입공(58)(58')이 형성되어 상기한 개폐판(57)의 회동에 의해 계폐단속되게 구성된 것이다.
한편, 흡기관(50)(50')은 다수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한 흡기구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흡기구(33)(33')에 각각 결합되게 구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의 설치상태와 이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는 화장실이나 욕실의 실내에 설치도어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신속히 외부로 배출키 위한 것으로, 먼저 그 설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를 설치키 위해서는 먼저, 천정의 상부에 배풍기(1)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한 배풍 기(1)는 그 하부에 형성된 흡기구(4)에 의해 천정(100)에 형성된 흡기공(110)과 연통되게 결합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풍기(1)가 결합된 상태에서 흡기구본체(10)가 설치되는 것으로,
흡기구본체(10)는 덮개(20)와 몸체(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덮개(2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구(21)에 의해 천정(100)의 하부로 부터 흡기공(110)을 통해 배풍기(1)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4)에 나사결합하면 되는 것이며, 몸체(30)의 하부에는 조명등(39)이 장착된 상태에서 조명갓(40)이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흡기구본체(10)가 결합된 상태에서 흡기관(50)(50')이 결합되는 것으로, 흡기관(50)(50')은 수평관(51)과 수직관(52)에 흡입관(53)(53')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의 수평관(51)의 단부가 상기한 흡기구본체(10)의 흡입구(33)(33')에 억지끼움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흡기구본체(10)의 흡입구(33)(33')에 결합되는 흡기관(50)(50')은 화장실이나 욕실의 모서리를 따라 설치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설치과정에 의해 설치된 본 발명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키 위해서는 통상적인 작동방법과 같이 별도 구비되는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스위치에 의해 동력모터(2)에 전원을 인가하면 동력모터(2)의 작동과 함께 배기팬(3)이 작동하는 것으로,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오염된 공기는 각각의 흡기관(50)(50')의 수평관(51)과 수직관(52) 에 결합된 흡입관(53)(53')의 흡입공(58)(58')을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흡기관(50)(50')을따라 수평관(51)이 결합된 흡입구(33)(33')를 통해 흡기구본체(10)의 흡입공간부(32)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배풍기(1)의 흡입구(4) 및 배기팬(3)을 통해 배기구(5) 및 덕트(6)를 따라 주배기관(도면중 미도시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배출되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는 실내의 모서리부에 설치된 다수의 흡기관(50)(50')을 통해 유입 및 배출되므로 그 배출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기한 흡기관(50)(50')의 수평관(51) 및 수직관(52)에 형성된 흡입관(53)(53')은 그 개폐판(57)에 의해 흡기공(110)의 개폐가 가능한 것으로, 전기한 바와 같이 개폐판(57)은 반원관상으로 이루어지고, 흡입공(58)(58')은 외주면에 180°부위에 형성된 것으로, 개폐판(57)의 회동에 따라 흡입공(58)(58')의 완전한 닫힘 및 부분 개방이 가능하며, 개폐판(57)은 흡입관(53)(53')에 형성된 가이드홈(54)(54')과 개폐판(57)에 형성된 가이드돌기(55)(55')에 의해 회동 가능한 것이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의 수평관(51) 및 수직관(52)에 형성된 흡입관(53)(53')의 흡입공(58)(58')의 개방 여부를 조절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흡기구본체(10)의 흡입공간부(32)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34)은 화장실이나 욕실의 특성상 많은양의 습기가 발생되므로 흡기구본체(10)내에 습기에 의한 수분이 발생시 그 수분이 경사바닥판(31)을 따라 외측단으로 흘러내려가 며, 그 외측단에 이르면 부력에 의해 부구체(35)를 상승시키고, 배수공(3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흡기관(50)(50')에서 습기에 의한 수분이 발생시에는 수직관(52)의 하단부에 결합된 배수캡(60)의 조임력을 해제하면 결합돌기(61)에 형성된 배수요홈(62)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는 화장실이나 욕실의 오염된 공기를 다수 형성된 흡기관(50)(50')에 의해 신속하고 완전하게 배출이 가능한 것이며, 배수기기에 발생되는 습기에 의한 수분 발생을 최소와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화장실의 모서리 사각지대에 천정에 형성된 흡기구와 연결되는 흡입관을 다수 형성하므로서, 화장실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내부 공기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환기시설에 발생되는 습기에 의한 수분을 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어 모터의 고장을 예방하여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내측에 동력모터(2)에 의해 작동되는 배기팬(3)이 내설되고, 하부에 천정(100)의 흡기공(110) 상부와 연통되는 흡입구(4)가 형성되며, 상부에 덕트(6)와 연결되는 배기구(5)가 형성된 배풍기(1)로된,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구조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한 배풍기(1)의 하부 흡입구(4)에 나사결합되며 외주면에 패킹(22)이 형성된 결합구(21)를 갖는 덮개(20)와, 상기 덮개(2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며 중간부에 상부와 하부를 구획하여 상부의 흡입공간부(32)와 하부의 조명장착부(37)를 형성한 경사바닥판(3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흡입구(33)(33')와 배수공(34)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간부(32)의 바닥면 외측단에는 배수공(34)을 개폐 단속하는 부구체(35)가 삽입된 가이드봉(36)이 수직형성되고 상기 조명장착부(37)에는 상부면에 반사판(38)과 조명등(39)이 설치된 몸체(30)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조명갓(40)으로된 흡기구본체(10)와;
    상기 흡기구본체(10)의 흡입구(33)(33')에 결합되며, "ㄱ"형으로 절곡되어 각각 중간부에 흡입관(53)(53')이 나사결합된 수평관(51)과 수직관(52)로된 중공관상의 다수 흡기관(50)(50')과;
    상부에 "╋"형으로 절개되어 배수요홈(62)이 형성된 나사산을 갖는 결합돌기(61)가 형성되어 결합돌기(61)에 의해 흡입관(53)(53')의 수직관(52) 하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배수캡(6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 선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흡입관(53)(53')은, 양단이 수평관(51)과 수직관(52)의 중간부에 나사결합되는 관상으로 구성되며, 중간부 양측 둘레에는 가이드홈(54)(5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54)(54')에는 양측에 가이드돌기(55)(55')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돌기(56)가 형성된 반원관상의 개폐판(57)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부 외주면 둘레에는 다수의 흡입공(58)(58')이 개폐판(57)에 의해 단속가능하게 형성된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
KR1020070024416A 2007-03-13 2007-03-13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 KR100725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416A KR100725063B1 (ko) 2007-03-13 2007-03-13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416A KR100725063B1 (ko) 2007-03-13 2007-03-13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5063B1 true KR100725063B1 (ko) 2007-06-08

Family

ID=3835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416A KR100725063B1 (ko) 2007-03-13 2007-03-13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50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562B1 (ko) 2013-12-31 2014-05-20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터널 내 습기지역의 배기장치
KR200474888Y1 (ko) 2014-07-08 2014-10-24 권우득 다기능 환기 시스템
CN105952007A (zh) * 2016-06-27 2016-09-21 中铁十九局集团电务工程有限公司 一种通风管道自动排水装置
KR102244560B1 (ko) * 2020-04-02 2021-04-26 주식회사 아이에스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633B1 (ko) * 2005-09-13 2006-03-24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
KR100709109B1 (ko) * 2006-08-14 2007-04-18 (주) 에이엔에스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 배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633B1 (ko) * 2005-09-13 2006-03-24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
KR100709109B1 (ko) * 2006-08-14 2007-04-18 (주) 에이엔에스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 배기구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 100563633
등록특허 100709109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562B1 (ko) 2013-12-31 2014-05-20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터널 내 습기지역의 배기장치
KR200474888Y1 (ko) 2014-07-08 2014-10-24 권우득 다기능 환기 시스템
WO2016006809A1 (ko) * 2014-07-08 2016-01-14 권우득 다기능 환기 시스템
GB2542074A (en) * 2014-07-08 2017-03-08 Duk Kwon Woo Multi-functional ventilation system
CN105952007A (zh) * 2016-06-27 2016-09-21 中铁十九局集团电务工程有限公司 一种通风管道自动排水装置
KR102244560B1 (ko) * 2020-04-02 2021-04-26 주식회사 아이에스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2347B2 (ja) 吹出口の風向制御機構およびダクトレス換気システム
US20070186334A1 (en) Ventilating apparatus for a toilet
KR100725063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
KR102218578B1 (ko) 공동주택 욕실용 역류방지 환풍시스템
US20140090160A1 (en) Odor Removing Toilet
KR101658430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의 환기시설
JP4790529B2 (ja) 窓用換気扇装置
JP2006258362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KR20180089028A (ko) 역풍방지용 후드캡
JP4502851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KR100893073B1 (ko) 발코니 결로 방지 기능이 통합된 욕실 환기 시스템
KR100867305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구조
RU214061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здушной вентиляции, содержащее осветительный прибор для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нагрева подаваемого воздуха
KR100681847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확장형 벽면에 설치되는 환기창틀
KR102649717B1 (ko) 환기창이 없는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개선장치
KR100627978B1 (ko) 공동주택 및 일반건축물용 화장실 팬 구조
KR100648384B1 (ko) 역류 방지 댐퍼
JP4043736B2 (ja) 住宅の換気システム
KR200372503Y1 (ko) 주방 및 화장실 송풍팬 및 환기구용 역풍차단기
KR20230126492A (ko) 저소음 양압 발생기
KR102457986B1 (ko) 욕실환기장치
KR200369127Y1 (ko) 주방 및 화장실 송풍팬 및 환기구 역풍차단기
KR200353916Y1 (ko) 소음기가 내재된 욕실등을 겸하는 환풍기
KR200365796Y1 (ko) 주방 및 화장실 환기구용 역풍차단기
KR100535446B1 (ko) 욕실용 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