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633B1 -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 - Google Patents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633B1
KR100563633B1 KR1020050085466A KR20050085466A KR100563633B1 KR 100563633 B1 KR100563633 B1 KR 100563633B1 KR 1020050085466 A KR1020050085466 A KR 1020050085466A KR 20050085466 A KR20050085466 A KR 20050085466A KR 100563633 B1 KR100563633 B1 KR 100563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toilet
grill
horizontal duc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석
Original Assignee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filed Critical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Priority to KR1020050085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실 내에 습기가 발생되는 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환기 시설물이 설치되고, 그로 인해 화장실 내벽에 설치된 거울 등에 습기에 의한 김서림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동 주택 또는 단독 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화장실에는, 사각형 형태로 수평 닥트가 천장 패널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수평 닥트의 일측 폭 방향에 하부로 2개의 수직 닥트가 화장실 내부에 설치되며, 그 수평 닥트와 수직 닥트의 배기 그릴이 설치된 내부에 환풍기를 설치하여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빠르게 처리함과 아울러, 화장실 내에 대한 물청소를 실시하는 경우에도 수직 닥트의 배기 그릴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는 환기 시설물이 제시된다.
건축물, 화장실(100), 환기

Description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VENTILATING APPARATUS OF WATER CLOSET FOR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실 환기 시설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화장실 환기 시설물의 하부 닥트 내의 상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화장실 환기 시설물이 설치된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화장실 120: 천장 패널
130: 수평 닥트 140: 수직 닥트
150: 고정대 159,186: 실링재
160,160',160": 배기 그릴 170: 환풍기
180: 배기구 300: 환기 시설물
본 발명은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실 내에 습기가 발생되는 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환기 시설물이 설치되고, 그로 인해 화 장실 내벽에 설치된 거울 등에 습기에 의한 김서림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화장실에는 천장 패널에 배기 그릴이 설치되고, 상기 배기 그릴이 설치된 상부 또는 측면에 환풍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환풍기(FAN)가 설치되어 화장실 내에서 발생된 습기, 악취 등을 제거한다.
부연 하자면, 화장실 내에 급기와 배기가 상호 조화를 이룬다면 팬을 이용한 강제 배기의 방식에 따라 원활한 공기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공동 주택의 화장실에는 배기를 위한 시스템만 구성될 뿐 급기에 해당되는 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형편이다.
그에 따라, 공동주택의 화장실은 적절한 급기와 배기 시스템을 혼용할 수 있는 환기 시설물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대형의 일반 건축물에는 중앙 집중 방식에 따른 급기, 환기 및 배기 시스템이 적절하게 설치되어 있어 공동 주택과 같은 문제점이 덜 발생된다 할 것이다.
하기에서는 종래의 일반적인 단독 주택 또는 공동 주택을 기준으로 화장실 내부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환기 시설물을 설명하기로 하겠다.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일반 건축물, 즉 공동주택 또는 단독 주택의 강제 환기 시스템을 도용하여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 빠른 환기를 통해 화장실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직 닥트의 하단에 새로운 그릴 구조를 가져 화장실에 대한 물청소를 하는 경우에도 물에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공동 주택 또는 단독 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화장실에는, 사각형 형태로 수평 닥트가 천장 패널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수평 닥트의 일측 폭 방향에 하부로 2개의 수직 닥트가 화장실 내부에 설치되며, 그 수평 닥트와 수직 닥트의 배기 그릴이 설치된 내부에 환풍기를 설치하여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빠르게 처리함과 아울러, 화장실 내에 대한 물청소를 실시하는 경우에도 수직 닥트의 배기 그릴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는 환기 시설물이 제시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실 환기 시설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화장실 환기 시설물의 하부 닥트 내의 상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화장실 환기 시설물이 설치된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동 주택 또는 단독 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화장실(100)에는, 사각형 형태로 수평 닥트(130)가 천장 패널(120)의 상부에 고정대(150)로 체결되고, 그 수평 닥트(130)의 일측 폭 방향에 하부로 2개의 수직 닥트(140)가 화장실(100) 내부에 설치되며, 그 수평 닥트(130)와 수직 닥트(140)의 배기 그릴(160)(160')이 설치된 내부에 환풍기(170)를 설치하여 화장실(100)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빠르게 처리함과 아울러, 화장실(100) 내에 대한 물청소를 실시하는 경우에도 수직 닥트(140)의 배기 그릴(160')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는 환기 시설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평 닥트(130)는 천장 슬래브에 고정대(150)의 상,하부판(152)(154)에 체결 볼트(155)가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수직 닥트(140)는 수평 닥트(130)의 모서리 하부에 일체로 고정된다.
즉, 상기 수평 닥트(130)와 수직 닥트(140)는, 사각 닥트가 이용되는 한편, 수평 닥트(130)의 길이방향 양측 중앙 하부에 배기 그릴(160)이 형성되고, 수직 닥트(140)의 길이방향 하단에 배기 그릴(160')이 형성되며, 수평 닥트(130)의 폭 방향 일측에 배기구(180)가 설치되어 배기 그릴(160)(160')을 통해 유입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배기구(18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건축물 외부 또는 옥상에 형성된 환풍기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배기구(180)는, 수평 닥트(130)의 폭 방향 측면으로 체결 볼트로 체결되는 한편, 원통(182)에 사각 플랜지(184)가 일체로 형성되고, 모서리에 체결 볼트가 체결되어 수평 닥트(130)에 체결된다.
부연 하자면, 상기 고정대(150)의 하부판(154)과 배기구(180)의 사각 플랜지(184)가 동일한 크기와 동일 형태로 형성되지만, 상호 분리하기 위해 다른 명칭을 부여하여 사용하며, 참조 번호도 다르게 부여한다.
상기 수평 닥트(130)에 체결되는 배기 그릴(160)은, 사각형 틀체의 내측에 다수개의 그릴이 일체로 형성된 부재로, 종래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사각형 그릴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수직 닥트(140)에 결합되는 배기 그릴(160')은, 직사각형 형태로, 내부에 그릴1,2(162)(166)가 다수개 형성되어 외측 케이스(161)에 고정되는 한편, 물청소시 그릴1(162)을 통과한 물은 그릴2(166)의 배수홀(16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기 그릴(160')은, 폭 방향 양측이 케이스에 일체된 그릴1(162)과 그릴2(166)가 형성되는 한편, 그릴1(162)은 경사판부(163)의 경사면 후방 하단에 물막이판부(164)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릴2(166)는 경사판부(167)의 경사면 상방 상단에 물막이판부(164)가 형성되고 후방 하단에 그릴1(162)과 같은 물막이판부(16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수직 닥트(140)에 설치된 배기 그릴(160')은, 그릴1(162)에서 물을 차단하고, 그릴1(162)에서 1차 차단되지 않은 물이 유입되는 경우 그릴2(166)에서 2차 차단하여 배수홀(169)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술한 구성과 같이, 상기 환기 시설물(300)은, 화장실(100) 내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구조로, 사각형 형태로 시공된 화장실(100)에 천장 패널(120) 내부 수평 닥트(130)가 설치되고, 수평 닥트(130)의 하부에 천장 패널(120)을 관통하는 수직 닥트(140)가 화장실(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직 닥트(140)와 천장 패널(120)이 밀착되는 위치에 사각 실링재(186)가 설치되어 천장 패널(120)과 사각 실링재(186)의 ㄷ홈(187)이 밀착되어 마감되어 누설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고정대(150)와 배기구(180)가 수평 닥트(130)에 체결되는 경우, 그 밀착면에 실링재(159)가 설치된 상태에서 체결된다.
특히, 상기 천장 패널(120)에는 수평 닥트(130)에 배기 그릴(160)(160')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한편, 상기 수평 닥트(130)에는 일반적인 사각형의 배기 그릴(160)과 원형의 배기 그릴(160")이 사용된다.
[실시예]
먼저, 공동주택 또는 단독 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화장실(100)에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수평 닥트(130)와 그 수평 닥트(130)의 폭 방향 하부로 수직 닥트(140)가 설치되며, 수평 닥트(130)와 천장 슬래브에는 그 사이에 고정대(150)가 위치되어 체결 볼트 및 앵커 볼트에 의해 천장 슬래브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평 닥트(130)와 수직 닥트(140)에는, 각각 배기 그릴(160)(160')이 설치될 후방에 함체가 위치되고 그 함체 내부에 팬이 설치된 환풍기(170)가 설치되고, 상기 환풍기(170)는 체결 볼트에 의해 함체가 수평 닥트(130)와 수직 닥트(140)에 체결된다.
즉, 상기 환풍기(170)는 화장실(100) 벽체에 설치된 전기선을 이용하여 연결이 가능하며, 상기 수평 닥트(130)에는 일측에 배기구(180)가 설치되어 화장실(100) 벽면에 형성된 배기구에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 닥트(140)에는 천장 패널(120)이 밀착될 위치에 사각 실링재(186)를 결합 설치하여 수직 닥트(140)와 천장 패널(120)이 밀착되는 부분을 마감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 닥트(130)와 수직 닥트(140)에는, 외부에서 배기 그릴(160)(160')이 체결 볼트로 체결고정되고, 외부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를 통해 작동 상태를 점검한 후, 환기 시설물(300)에 대한 작업을 완료한다.
부연 하자면, 상기 수평 닥트(130)와 결합되는 배기 그릴(16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원형판(162')의 외주면에 인접하여 하부로 원형홈을 갖는 착탈부(164')가 원형판(162')의 하부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원형판(162')에 다수개의 환기홀(163')이 원형 형태로 형성되며, 그 환기홀(163')이 슬릿 형태로 라운딩되는 형상으로 형성시켜 천장 패널(120)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즉, 상기 배기 그릴(160")은, 원형판(162')과 착탈부(164')가 이루는 사이에 원형홈이 형성되어 천장 패널(120)에 삽입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닥트(130), 수직 닥트(140), 고정대(150) 및 배기구(180)는, 강판 재질로 제작하여 사용가능하며, 종래와 같은 아연도 재질의 강판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수직 닥트(140)는, 하부에 노출되는 바, 플라스틱 제품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수직 닥트(140)는 수평 닥트(130)와 이음되는 이음부를 천장 패널(120)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환풍기(170)를 고정하는 함체 또는 배기 그릴(160)(160')은, 플라스틱 제품을 이용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다른 배기 그릴(160")은 경질의 고무 재질로 제작하여 굽힘이 가능하도록 착,탈이 용이한 구조를 사용한다.
즉, 다른 배기 그릴(160")은, 작업자가 원형판(162')을 굽혀 천장 패널(120)에 간단하게 원형홈을 삽입시켜 고정하는 한편, 상기 실링재(155)와 사각 실링재(186)는, 고무 또는 가스켓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상술한 구성에 대한 효과를 하기에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화장실 내에 습기가 발생되는 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수평 닥트와 수직 닥트가 설치되고, 그 수평 닥트와 수직 닥트의 내부에 환풍기가 설치되며, 그 환풍기가 설치된 측으로 배기 그릴이 설치된 환기 시설물을 설치하여 화장실 바닥에서 발생되는 찬공기와 상부에서 발생되는 더운 공기를 동시에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화장실 내벽에 설치된 거울 등에 습기에 의한 김서림이 방지될 수 있는 환기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수직 닥트 내 환풍기가 설치된 전방에 배기 그릴이 설치되는데, 내부가 물청소에 따른 물의 유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내부로 유입된 물은 다시 배수홀을 통해 화장실 바닥으로 배출되는 그릴 구조를 가져 사용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공동 주택 또는 단독 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화장실의 천장 패널 내측에 사각형 형태로 수평 닥트가 상부 고정대로 천장 슬래브에 고정되고, 천장 패널에 배기 그릴이 수평 닥트와 결합되어 노출되며, 수평 닥트의 내측에 환풍기가 설치되어 화장실 내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배기처리하는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수평 닥트(130)를 천장 슬래브에 고정시키는 한편,
    상,하부판(152)(154)의 사이에 강봉(151)이 일체로 고정된 부재로, 체결 볼트(155)와 앵커 볼트에 의해 수평 닥트(130)와 천장 슬래브에 고정되는 고정대(150)와;
    상기 수평 닥트(130)의 폭 방향 측면으로 체결 볼트로 체결되는 한편,
    원통(182)에 사각 플랜지(184)가 일체로 형성되고, 모서리에 체결 볼트가 체결되며, 배기 그릴(160)(160')을 통해 유입한 공기를 건축물 외부 또는 옥상에 형성된 환풍기로 배출시키는 배기구(180)와;
    상기 수평 닥트(130)의 폭 방향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한편,
    양측으로 2개가 화장실 내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길이방향 하단에 환풍기(170)와 배기 그릴(160')이 형성되며, 천장 패널(120)과 밀착되는 위치에 사각 실링재(186)가 형성된 수직 닥트(140)와;
    상기 고정대(150)와 배기구(180)가 수평 닥트(130)에 체결되는 그 밀착면에 설치되는 실링재(159)와;
    상기 수평 닥트(130)와 수직 닥트(140)에 설치되는 배기 그릴(160)(160')(1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그릴(160')은, 폭 방향 양측이 케이스에 일체된 그릴1(162)과 그릴2(166)가 형성되는 한편,
    그릴1(162)은 경사판부(163)의 경사면 후방 하단에 물막이판부(164)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릴2(166)는 경사판부(167)의 경사면 상방 상단에 물막이판부(164)가 형성되고 후방 하단에 그릴1(162)과 같은 물막이판부(164)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 그릴(160")은, 원형판(162')과 착탈부(164')가 이루는 사이에 원형홈이 형성되어 천장 패널(120)에 삽입고정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
KR1020050085466A 2005-09-13 2005-09-13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 KR100563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466A KR100563633B1 (ko) 2005-09-13 2005-09-13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466A KR100563633B1 (ko) 2005-09-13 2005-09-13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3633B1 true KR100563633B1 (ko) 2006-03-24

Family

ID=37179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466A KR100563633B1 (ko) 2005-09-13 2005-09-13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6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109B1 (ko) 2006-08-14 2007-04-18 (주) 에이엔에스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 배기구조
KR100725063B1 (ko) * 2007-03-13 2007-06-08 (주)남곡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
NL2033105A (en) * 2021-12-02 2022-11-16 Univ Chongqing Sci & Tech Intelligent and efficient ventilation system for bathroom space
KR20230053346A (ko) 2021-10-14 2023-04-21 권우현 공용 시공성이 확보된 화장실 환기 시스템용 배관 연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109B1 (ko) 2006-08-14 2007-04-18 (주) 에이엔에스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 배기구조
KR100725063B1 (ko) * 2007-03-13 2007-06-08 (주)남곡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기구
KR20230053346A (ko) 2021-10-14 2023-04-21 권우현 공용 시공성이 확보된 화장실 환기 시스템용 배관 연결구
NL2033105A (en) * 2021-12-02 2022-11-16 Univ Chongqing Sci & Tech Intelligent and efficient ventilation system for bathroom sp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74464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assembling, and moving modular washrooms
KR100563633B1 (ko) 건축물 화장실 환기 시설물
KR20180134090A (ko) 지하 차수벽 구조
US20130025044A1 (en) Doorless Shower Enclosure System
KR101802814B1 (ko) 좌우 호환 설치형 직배기 환기장치 및 직배기 환기 시스템 시공방법
KR100615856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의 환기시설물
CN210976055U (zh) 用水组合式房间的止水构造
JP2008202929A (ja) 建物用吸排気装置
JP6562360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JP4016887B2 (ja) 同時給排換気装置
JP3418791B2 (ja) ユニットバス周りの換気構造
JP7065326B2 (ja) 室内機、空気調和装置
KR20110121289A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입상덕트 고정구조
WO2007086640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7063553B2 (ja) トイレ用床パネル
KR20180027926A (ko) 서포트 일체형 빔 구조 지하 차수벽
JPH0347157Y2 (ko)
JPH08312171A (ja) 浴室用防水パン
JPH08327119A (ja) 水回り設備物の換気扇付き点検口用蓋
JPS647170Y2 (ko)
DK177469B1 (en) Toilet Modul
JPH0540148Y2 (ko)
JP2004143926A (ja) 吸気管の室内取付け構造及び排気管の室内取付け構造
JPH01244032A (ja) 掃除用流し装置
JPH063322Y2 (ja) 配管ユニットを用いた排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