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270B1 -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270B1
KR100724270B1 KR1020050002945A KR20050002945A KR100724270B1 KR 100724270 B1 KR100724270 B1 KR 100724270B1 KR 1020050002945 A KR1020050002945 A KR 1020050002945A KR 20050002945 A KR20050002945 A KR 20050002945A KR 100724270 B1 KR100724270 B1 KR 100724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actuator
pwm signal
feedback
pw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447A (ko
Inventor
박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002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270B1/ko
Priority to US11/324,426 priority patent/US7235946B2/en
Priority to JP2006002706A priority patent/JP2006197796A/ja
Priority to EP06100309A priority patent/EP1681697B1/en
Priority to CNB2006100009374A priority patent/CN100446409C/zh
Priority to DE602006008835T priority patent/DE602006008835D1/de
Publication of KR20060082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22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for supplying energising current for relay coil
    • H01H47/32Energising current supplied by semiconductor device
    • H01H47/325Energising current supplied by semiconductor device by switching reg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액츄에이터에 흐르는 피드백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와,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산출된 목표전류와 피드백 전류의 오차 성분에 따라 PWM 듀티를 결정하여 PWM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PWM 신호에 의거하여 액츄에이터에 공급하는 전류를 제어하는 단계와, PWM 신호의 매 주기 내에서 반 주기 시간차로 피드백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평균 전류를 추정한 후 추정된 평균 전류에 의거하여 공급 전류 제어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액츄에이터 피드백 전류의 평균 전류를 측정함에 있어서 PWM 신호의 매 주기 내에서 반 주기 시간차로 피드백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평균 전류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채택함으로써, 저주파 통과 필터와 같은 디지털 필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액츄에이터내 인덕턴스에 의한 시간지연을 제외하고 여타의 시간지연은 발생하지 않아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제어 회로가 단순화되어 전자부품의 최소화로 인한 신뢰성이 확보되며, 시스템의 경제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방법{ACTUATOR CURRENT CONTROL METHOD}
도 1은 종래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전류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류 제어 장치의 액츄에이터에 인가되는 PWM 신호와 이에 상응하는 전류 패턴의 관계를 보인 파형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류 제어 장치의 액츄에이터에서 발생하는 전류 리플을 보인 그래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전류 제어 장치의 액츄에이터에서 발생하는 피드백 전류의 평균 전류 통과 시점을 보인 그래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전류 제어 장치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반 주기 모니터링에 의해 산출된 평균 전류를 보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액츄에이터 구동부 32 : 액츄에이터
32 : 전류 감지부 100 : 마이크로 컴퓨터
101 : PI 제어기 102 : 평균전류 추정기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례 제어 솔레노이드와 모터 등과 같이 인덕턴스 성분이 있는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라 인덕턴스 성분이 있는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기술은 도 1과 도 2의 전류 제어 장치가 대표된다.
도 1은 종래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마이크로 컴퓨터(10), D/A 변환기(21), 차동 적분기(22), PWM 펄스 발생부(23), 액츄에이터 구동부(31), 액츄에이터(32), 전류 감지부(41), 저주파 통과 필터(4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류 제어 장치는, 마이크로 컴퓨터(10)에서 입력신호에 의해 산출된 목표전류(Ic)가 D/A 변환기(21)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차동 적분기(22)는 이 신호를 전류 감지부(41)로부터 피드백되는 전류 신호와 비교하여 오차비 만큼 차동 적분한다.
차동 적분기(22)의 적분결과는 PWM 펄스 발생부(23)에 의해 PWM 신호로 변환되고, PWM 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 구동부(31)가 동작하여 액츄에이터(32)에 공급 하는 전류를 제어, 즉 액츄에이터(32)를 구동시킨다.
전류 감지부(41)는 액츄에이터(32)에 흐르는 전류, 즉 피드백 전류(Id)를 감지하며, 마이크로 컴퓨터(10)는 저주파 통과 필터(42)를 통과한 피드백 전류(Id)를 감시하여 전류 제어 장치의 고장 유무를 판단한다.
도 2는 종래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액츄에이터 구동부(31), 액츄에이터(32), 전류 감지부(41), 저주파 통과 필터(42), PI(Proportional Integral) 제어기(51)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류 제어 장치에서, 마이크로 컴퓨터(50)는 도 1에 도시된 전류 제어 장치의 D/A 변환기(21)와 차동 적분기(22) 및 PWM 펄스 발생부(23)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소프트웨어 피드백 방식이라 칭하기도 한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 컴퓨터(50)의 PI 제어기(51)에 의해 PWM 듀티(Duty)가 결정되고 이 PWM 신호는 액츄에이터(32)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한다.
먼저, 마이크로 컴퓨터(50)의 제어로직은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목표전류(Ic)를 산출하며, 전류 감지부(41)는 액츄에이터(32)에 흐르는 전류, 즉 피드백 전류(Id)를 감지한다.
PI 제어기(51)는 목표전류(Ic)와 피드백 전류(Id)가 입력되면 목표전류(Ic)와 피드백 전류(Id)의 오차 성분에 따라 PWM 듀티를 결정하여 PWM 포트를 통해 PWM 신호를 출력한다.
마이크로 컴퓨터(50)의 PWM 포트에 연결된 액츄에이터 구동부(31)는 PWM 신 호에 의해 동작하여 액츄에이터(32)에 공급하는 전류를 제어, 즉 액츄에이터(32)를 구동시킨다.
마이크로 컴퓨터(50)는 저주파 통과 필터(42)를 통과한 피드백 전류(Id)를 감시하여 전류 제어 장치의 고장 유무를 판단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장치들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는, 복잡한 아날로그 회로에 기인하여 신뢰성 및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회로가 복잡한 만큼 많은 전자부품이 사용되고, 이 많은 부품 중 신뢰성이 확보가 되지 않는 부품이 있을 경우 전체 회로의 성능에 상당한 문제를 야기시키는 단점이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류 제어 장치는, 소프트웨어 피드백 방식을 적용하여 신뢰성 및 경제성이 다소 향상되었으나, 피드백되는 평균 전류를 추정함에 있어 차단 주파수가 낮은 저주파 통과 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저주파 통과 필터는 액츄에이터의 인덕턴스에 의한 역기전력의 영향을 없애고 맥동하는 전류 파형을 평활화하기 위하여 캐피시턴스가 큰 RC 필터를 사용하는데, 이로써 현재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실제의 전류를 측정함에 있어 상당한 시간지연이 발생하여 시스템 제어 응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액츄에이터 피드백 전류의 평균 전류를 측정함에 있어서 PWM 신호의 매 주기 내에서 반 주기 시간차로 피드백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평균 전류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채택함으로써, 회로의 단순화 및 부품의 최소화로 인한 신뢰성 확보 및 경제성의 증대를 가져오면서도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방법은, 액츄에이터에 흐르는 피드백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와,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산출된 목표전류와 피드백 전류의 오차 성분에 따라 PWM 듀티를 결정하여 PWM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PWM 신호에 의거하여 액츄에이터에 공급하는 전류를 제어하는 단계와, PWM 신호의 매 주기 내에서 반 주기 시간차로 피드백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평균 전류를 추정한 후 추정된 평균 전류에 의거하여 공급 전류 제어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전류 제어 장치는 도 3의 블록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구동부(31), 액츄에이터(32), 전류 감지부(41), PI 제어기(101) 및 평균 전류 추정기(102)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00)로 구성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00)는 제어로직에 의해 입력신호에 따른 목표전류(Ic)를 산출하며, PI 제어기(101)는 전류 감지부(41)로부터 피드백 전류(Id)가 입력되면 목표전류(Ic)와 피드백 전류(Id)의 오차 성분에 따라 PWM 듀티를 결정하여 PWM 포트를 통해 PWM 신호를 출력하고, 평균 전류 추정기(102)는 PWM 신호의 매 주기 내에서 반 주기 시간차로 피드백 전류(Id)를 모니터링하여 평균 전류를 추정한 후 추정된 평균 전류에 의거하여 전류 제어 장치의 고장 유무를 판단한다.
전류 감지부(41)는 액츄에이터(32)에 흐르는 전류, 즉 피드백 전류(Id)를 감지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00)로 입력한다.
액츄에이터 구동부(31)는 마이크로 컴퓨터(100)의 PWM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PWM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액츄에이터(32)에 공급하는 전류를 제어, 즉 액츄에이터(32)를 구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전류 제어 방법에 의한 상세 동작 과정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마이크로 컴퓨터(100)의 제어로직은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목표전류(Ic)를 산출하며, 전류 감지부(41)는 액츄에이터(32)에 흐르는 전류, 즉 피드백 전류(Id)를 감지한다.
PI 제어기(101)는 목표전류(Ic)와 피드백 전류(Id)가 입력되면 목표전류(Ic)와 피드백 전류(Id)의 오차 성분에 따라 PWM 듀티를 결정하여 PWM 포트를 통해 PWM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PI 제어기(101)는 피드백 전류(Id)의 오차 성분이 양(+)일 경우에는 PWM 듀티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PWM 신호를 출력하며, 피드백 전류(Id)의 오차 성분이 음(-)일 경우에는 PWM 듀티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PWM 신호를 출력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00)의 PWM 포트에 연결된 액츄에이터 구동부(31)는 상기 PWM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액츄에이터(32)에 공급하는 전류를 제어, 즉 액츄에이터(32)를 구동시킨다.
마이크로 컴퓨터(100)의 평균 전류 추정기(102)는 PWM 신호의 매 주기 내에서 반 주기 시간차로 전류 감지부(41)를 통하여 감지된 피드백 전류(Id)를 모니터링하여 평균 전류를 추정하며, 추정된 평균 전류에 의거하여 전류 제어 장치의 고장 유무를 판단한다. 즉 PWM 신호에 의거하여 액츄에이터(32)에 공급하는 전류의 제어 과정에 대한 오류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은 평균 전류 추정기(102)에 의한 평균 전류 추정 방법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검증하기로 한다.
도 4는 액츄에이터에 주기가
Figure 112005001767741-pat00001
인 PWM 신호를 인가할 때 PWM 신호와 이에 상응하는 전류 패턴의 관계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4에서 PWM 하이 레벨 시 임의의 시점
Figure 112005001767741-pat00002
에서의 액츄에이터 전류는 아래의 수학식 1로 근사화 된다.
Figure 112005001767741-pat00003
(여기서, E는 배터리 전압, R은 액츄에이터 내부저항,
Figure 112005001767741-pat00004
는 액츄에이터 초기 전류, L은 액츄에이터 인덕턴스)
따라서, 피크에서의 전류는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05001767741-pat00005
또한, PWM 로우 레벨에서의 전류 변화와 보텀에서의 전류는 각각 아래의 수학식 3과 수학식 4와 같이 수식화 된다.
Figure 112005001767741-pat00006
Figure 112005001767741-pat00007
일정 듀티로 액츄에이터를 계속 구동하게 되면 열에 의해 액츄에이터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액츄에이터 전류는 점점 감소하게 되나 결국 일정 전류로 포화(saturation)된다. 이때, 피크에서의 전류는 수학식 2의
Figure 112005001767741-pat00008
가 보텀에서의 전류가 되므로
Figure 112005001767741-pat00009
에 수학식 4를 대입하여 전개하면 다음의 수학식 5와 같이 급수 형태가 된다.
Figure 112005001767741-pat00010
수학식 5를 정리하면 아래의 수학식 6이 나온다.
Figure 112005001767741-pat00011
또한, 보텀에서의 전류는 수학식 4와 수학식 6에 의해서 아래의 수학식 7이 된다.
Figure 112005001767741-pat00012
따라서,
Figure 112005001767741-pat00013
만큼의 일정 듀티에서의 피크 투 피크(Peak to Peak) 전류는 수학식 6과 수학식 7에 의해서 다음의 수학식 8과 같은 수식이 된다.
Figure 112005001767741-pat00014
액츄에이터 전류 리플 해석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전기적인 사양을 예로 든다.
R = 6.5Ω(액츄에이터 포화 저항 + 션트 저항)
L = 9.9mH at 1㎑
이때, 수학식 8에 의해서 배터리 전압이 16V일 때 리플을 구하면 도 5와 같이 나타난다. 여기서, 도 5는 액츄에이터의 한 예로, 솔레노이드에서 발생하는 전류 리플을 보인 그래프이다.
평균 전류는 두 피크 전류의 산술평균값이 되며, 저주파 필터를 거치지 않 고, PWM 주기내의 어느 한 지점에서 전류 검출을 하게 되면, 전류 오차는 피크 투 피크의 반에 해당하는 만큼의 오차가 발생한다.
PWM 하이 및 로우 레벨에서의 평균 전류
Figure 112005001767741-pat00015
Figure 112005001767741-pat00016
는 각 시간 구간에서 수학식 1 및 수학식 3을 적분하고 각 시간 값을 나누어주면 다음의 수학식 9와 수학식 10과 같은 수식이 된다.
Figure 112005001767741-pat00017
Figure 112005001767741-pat00018
전류가 포화될 때,
Figure 112005001767741-pat00019
는 수학식 7이 되고,
Figure 112005001767741-pat00020
는 수학식 6이 되는 데, 이를 대입하여 다시 정리하면 아래의 수학식 11과 수학식 12와 같이 된다.
Figure 112005001767741-pat00021
Figure 112005001767741-pat00022
이때 평균 전류를 지나치는 시점은 다음의 수학식 13과 수학식 14와 같은 방정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5001767741-pat00023
Figure 112005001767741-pat00024
수학식 13과 수학식 14는 아래의 수학식 15와 수학식 16과 같이 정리된다.
Figure 112005001767741-pat00025
Figure 112005001767741-pat00026
결국, 한 주기의 평균 전류는 아래의 수학식 17과 같다.
Figure 112005001767741-pat00027
따라서,
Figure 112005001767741-pat00028
Figure 112005001767741-pat00029
시점에서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수학식 17에 의해 평균 전류를 산출하면 되지만, 정확히 해당 시점에서 전류를 모니터링해야 하는 방식은 고성능의 프로세서가 요구된다.
이러한 액츄에이터 제어 조건에서의 평균 전류 통과 시점은 도 6과 같이 나타난다.
도 6에서 전류의 상승(rising)과 하강(falling)에서의 각 평균 전류를 지나치는 시점의 시간차는 PWM 반 주기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PWM 한 주기 내에서 반 주기 시간차로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평균 전류를 구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의 수학식 18과 같다.
Figure 112005001767741-pat00030
이를 적용하면 도 7과 같이 근사화된 평균 전류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 피드백 전류의 평균 전류를 측정함에 있어서 PWM 신호의 매 주기 내에서 반 주기 시간차로 피드백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평균 전류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채택함으로써, 저주파 통과 필터와 같은 디지털 필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액츄에이터내 인덕턴스에 의한 시간지연을 제외하고 여타의 시간지연은 발생하지 않아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제어 회로가 단순화되어 전자부품의 최소화로 인한 신뢰성이 확보되며, 시스템의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인덕턴스 성분이 있는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액츄에이터에 흐르는 피드팩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와;
    (b) 입력신호에 의거하여 산출된 목표전류와 상기 피드백 전류의 오차 성분에 따라 PWM 듀티를 결정하여 PWM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PWM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공급하는 전류를 제어하는 단계와;
    (d) 상기 PWM 신호의 매 주기 내에서 그 매 주기의 반 주기 시간차로 상기 피드백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평균 전류를 추정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에서 추정된 상기 평균 전류에 의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에 대한 공급 전류 제어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방법.
KR1020050002945A 2005-01-12 2005-01-12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방법 KR100724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945A KR100724270B1 (ko) 2005-01-12 2005-01-12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방법
US11/324,426 US7235946B2 (en) 2005-01-12 2006-01-03 Actuator current control method
JP2006002706A JP2006197796A (ja) 2005-01-12 2006-01-10 アクチュエータの電流制御方法
EP06100309A EP1681697B1 (en) 2005-01-12 2006-01-12 Actuator current control method
CNB2006100009374A CN100446409C (zh) 2005-01-12 2006-01-12 致动器电流控制方法
DE602006008835T DE602006008835D1 (ko) 2005-01-12 2006-01-1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945A KR100724270B1 (ko) 2005-01-12 2005-01-12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447A KR20060082447A (ko) 2006-07-18
KR100724270B1 true KR100724270B1 (ko) 2007-05-31

Family

ID=3614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945A KR100724270B1 (ko) 2005-01-12 2005-01-12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35946B2 (ko)
EP (1) EP1681697B1 (ko)
JP (1) JP2006197796A (ko)
KR (1) KR100724270B1 (ko)
CN (1) CN100446409C (ko)
DE (1) DE60200600883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21896B (en) * 2006-09-26 2010-03-11 Sunplus Technology Co Ltd Torque compensation method and system for dc brushless motor
GB0704877D0 (en) 2007-03-14 2007-04-18 Trw Ltd Determining average current drawn by a motor
TWI396956B (zh) * 2009-09-18 2013-05-21 Richtek Technology Corp 平均電流調節器及其驅動電路與平均電流調節方法
KR101509805B1 (ko) * 2009-11-27 2015-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전류 제어 회로
KR101249367B1 (ko) * 2010-07-07 2013-04-01 주식회사 만도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JP5915054B2 (ja) * 2011-09-26 2016-05-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ソレノイドの通電制御装置
JP6273933B2 (ja) * 2014-03-14 2018-02-0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ソレノイド電流制御装置及びソレノイド電流制御方法
IT201700034070A1 (it) * 2017-03-28 2018-09-28 St Microelectronics Srl Circuito di controllo della corrente in carichi induttivi e relativo metodo di controllo
JP7078367B2 (ja) * 2017-09-06 2022-05-31 コマツ産機株式会社 プレス装置およびプレス装置の制御方法
KR102163765B1 (ko) * 2019-11-28 2020-10-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부하 전류 추정 기능을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드라이버 장치 및 그것의 부하 전류 추정 방법
CN112688603B (zh) * 2020-12-24 2022-05-31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三研究所 一种有刷电机电流环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820B1 (ko) * 1995-12-29 1998-10-15 정몽원 능동형 현가 시스템의 전자 제어장치
KR0181429B1 (ko) * 1996-06-29 1999-04-01 양재신 피드백시스템의 히스테리시스 동작특성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7299A (en) 1973-07-25 1975-04-15 Clayton Manufacturing Co Brake pedal actuator
FR2648584B1 (fr) * 1989-06-16 1991-10-11 Rexroth Sigma Procede et systeme de regulation du courant moyen traversant une charge, et dispositif de telecommande electrique du type manipulateur en faisant application
JPH06291379A (ja) 1993-04-05 1994-10-18 Toyo Tire & Rubber Co Ltd 制御電源装置
US5491429A (en) * 1994-09-16 1996-02-13 At&T Global Information Solutions Company Apparatus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a CMOS inverter circuit
CN2211082Y (zh) * 1994-12-14 1995-10-25 张光坦 脉宽控制式自动交流稳压器
AUPN558295A0 (en) * 1995-09-22 1995-10-19 Borle, Lawrence Joseph Switching regulator, method, and control circuit therefor
DE69728388D1 (de) * 1997-08-11 2004-05-06 St Microelectronics Srl Stromüberwachung in einer durch eine Brückenstufe pulsbreitengesteuerten induktiven Last
JP4275314B2 (ja) * 1997-11-21 2009-06-10 コンティネンタル・テーベス・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ウント・コンパニー・オッフェネ・ハンデルスゲゼルシヤフト 直流アクチュエータのためのパルス幅変調操作信号を発生する方法と回路装置
JP2002272179A (ja) 2001-03-05 2002-09-20 Unisia Jecs Corp アクチュエータ制御装置
JP4401084B2 (ja) 2003-01-27 2010-01-20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装置
JP2004296427A (ja) * 2003-03-13 2004-10-21 Ushio Inc 超高圧水銀ランプ発光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820B1 (ko) * 1995-12-29 1998-10-15 정몽원 능동형 현가 시스템의 전자 제어장치
KR0181429B1 (ko) * 1996-06-29 1999-04-01 양재신 피드백시스템의 히스테리시스 동작특성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447A (ko) 2006-07-18
CN1808891A (zh) 2006-07-26
DE602006008835D1 (ko) 2009-10-15
JP2006197796A (ja) 2006-07-27
EP1681697A2 (en) 2006-07-19
CN100446409C (zh) 2008-12-24
EP1681697A3 (en) 2007-07-18
EP1681697B1 (en) 2009-09-02
US20060152185A1 (en) 2006-07-13
US7235946B2 (en) 200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270B1 (ko)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방법
CN106324465B (zh) 半导体装置和故障检测方法
US7952310B2 (en) Controller of multi-phase electric motor
EP2546989B1 (en) Control device of electromagnetic inductive load
JP5161641B2 (ja) 温度検出回路
US20160065073A1 (en) Voltage converter control apparatus
US928540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current in a polyphase machine
US20220365143A1 (en) Circuit and method for monitoring a dc link capacitor
JP2000354380A (ja) モータ制御装置
JPWO2018110134A1 (ja) 車載制御装置
JP3951975B2 (ja) 交流電動機の制御装置,交流電動機の制御方法及びモジュール
JP2010110139A (ja) インバータ装置の回生電力処理方法
KR101119771B1 (ko) 스위칭 전원 장치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방법
JP5297408B2 (ja) 電磁弁の制御装置
JP2003284352A (ja) インバータのデッドタイム最適化方法および装置
KR20140018489A (ko) 단상 디씨/디씨 벅 컨버터의 인덕터 전류 추정 장치 및 방법
US10514421B2 (en) Method for detecting an error in a generator unit
JP2012527209A (ja) 電気的に整流される電動モータの障害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
TWI757851B (zh) 用於制動迴路的功率開關故障偵測方法及其偵測電路
KR100724269B1 (ko) 액츄에이터 전류 제어 장치
CN115280663A (zh) 电力变换装置的劣化推断装置及劣化推断程序
JP4882148B2 (ja) 誘導性負荷の電流制御装置
JP2006280140A (ja) インバータ模擬装置及びモータシミュレータ
JP4697579B2 (ja) 電力変換装置と欠相検出方法
JP6988300B2 (ja) 三相インバ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825

Effective date: 200704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