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032B1 -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032B1
KR100724032B1 KR1020050106873A KR20050106873A KR100724032B1 KR 100724032 B1 KR100724032 B1 KR 100724032B1 KR 1020050106873 A KR1020050106873 A KR 1020050106873A KR 20050106873 A KR20050106873 A KR 20050106873A KR 100724032 B1 KR100724032 B1 KR 100724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edia
movement
information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4826A (ko
Inventor
하루미 모리노
히데끼 가미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74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09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 G11B20/0011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wherein the record carrier stores a unique medium identif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6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e.g. music or software
    • G11B20/0018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e.g. music or software using a content identifier, e.g. an 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 [ISRC] or a digital object identifier [DOI]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8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devices recording or reproducing contents to/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19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devices recording or reproducing contents to/from a record carrier using a device identifier associated with the player or recorder, e.g. serial numbers of playback apparatuses or MAC addres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21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 G11B20/0024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wherein the key is obtained from a local device, e.g. device key initially stored by the player or by the record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42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opy protection scheme being related to a specific access protection standard
    • G11B20/00442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opy protection scheme being related to a specific access protection standard content protection for recordable media [CPR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47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wherein contents are decrypted and re-encrypted with a different key when being copied from/to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48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characterised by a specific kind of data which is encrypted and recorded on and/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 G11B20/00492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characterised by a specific kind of data which is encrypted and recorded on and/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wherein content or user data is encrypt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48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characterised by a specific kind of data which is encrypted and recorded on and/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 G11B20/00492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characterised by a specific kind of data which is encrypted and recorded on and/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wherein content or user data is encrypted
    • G11B20/0050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characterised by a specific kind of data which is encrypted and recorded on and/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wherein content or user data is encrypted wherein consecutive physical data units of the record carrier are encrypted with separate encryption keys, e.g. the key changes on a cluster or sector bas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66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step of erasing or nullifying data, e.g. data being overwritten with a random st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66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step of erasing or nullifying data, e.g. data being overwritten with a random string
    • G11B20/0067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step of erasing or nullifying data, e.g. data being overwritten with a random string wherein the erased or nullified data include a cryptographic ke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68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prevent a specific kind of data access
    • G11B20/0069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prevent a specific kind of data access said measures preventing that data are read from the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74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 G11B20/0075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copies that can be made, e.g. CGMS, SCMS, or CCI flag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0Public key, i.e. encryption algorithm being computationally infeasible to invert or user's encryption keys not requiring secre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5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64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being scramb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콘텐츠의 이동중에 장해가 발생하여 콘텐츠가 분할된 경우에도, 분할된 콘텐츠를 결합하여 복원한다.
제 1 기억부(18)에 저장된 콘텐츠를 제 2 기억부(19)로 이동하는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 2 기억부에 이동 완료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 1 기억부에 잔존하고 있는 콘텐츠를 재생 불능화하는 수단(20)과, 제 1 기억부 내의 콘텐츠 및 해당 제 2 기억부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이동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103)과, 장해가 발생했을 때, 콘텐츠의 이동의 계속 또는 제 1 기억부에서의 콘텐츠의 복원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13)과, 이동처의 제 2 기억부와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처의 제 2 기억부 및 콘텐츠의 검증을 행하는 수단(22)과, 콘텐츠의 이동의 계속 또는 콘텐츠의 복원을 행하는 범위를 결정하고, 콘텐츠의 이동의 계속 또는 콘텐츠의 복원을 행하는 수단(23)을 갖는다.
콘텐츠 복원 제어부, 이동처 콘텐츠 ID, 암호화 콘텐츠, 이동처 키 정보

Description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CONTROLLER TO MOVE COPYRIGHTED CONTEN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콘텐츠의 재생 불능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이동을 행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4는 장해 복귀의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5는 장해 복귀 처리의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이동을 계속하기 위한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7은 콘텐츠 복원 정보의 상세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콘텐츠를 복원하기 위한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9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원과 이동처에서 콘텐츠의 사이즈가 상이한 경우의 콘텐츠의 중복 부분 검출의 플로우 차트.
도 10은 제 3 실시 형태에 따른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제 4 실시 형태에 따른 콘텐츠 이동 제어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CPU 11 : 주 기억
12 : 표시부 13 : 입력 I/F부
14 : HDD I/F부 15 : 미디어 I/F부
16 : 로컬 암호.복호부 17 : 미디어 암호.복호부
18 : HDD 19 : 이동처 미디어
20 : 재생 불능화 제어부 21 : 미디어 판정부
22 : 이동처 미디어, 콘텐츠 검증부 23 : 콘텐츠 복원 제어부
31 : TV 튜너 32 : MPEG 인코더
41 : 네트워크 I/F부 50 : 분할처 단말기
101 : 암호화 콘텐츠 키 테이블 102 : 암호화 콘텐츠
103 : 이동 정보 111 : 이동원 콘텐츠 ID
112 : 이동처 미디어 ID 113 : 이동처 콘텐츠 특정 정보
114 : 이동 스테이터스 115 : 이동 위치 정보
116 : 이동처 키 정보 117 : 콘텐츠 복원 정보
121 : 미디어 ID 122 : 콘텐츠 특정 정보
123 : 암호화 콘텐츠 141 : 분할 플래그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3-101529호
본 출원은 2004년 12월 27일자로 출원된 일본 출원 P2004-375659호로부터 우선권 주장하며, 그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작권 보호가 필요한 콘텐츠를 축적 미디어로부터 별도의 축적 미디어로 이동하는 경우의, 장해 발생시의 콘텐츠의 이동 관리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나 디지털 방송 등의 통신 수단에 의해, 영화나 음악이라고 하는 콘텐츠를 배신(配信)하는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으로 다루어지는 데이터는 디지털화되어 있고, 복제가 용이하기 때문에,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배신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공통 키 암호 방식 등에 의해, 콘텐츠를 암호화하고, 이와 동시에 암호화된 콘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 키를 작성한다. 암호화된 콘텐츠는 대응하는 복호 키가 없으면 재생할 수 없기 때문에, 복호 키와 그 이용 조건을 쌍으로 한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콘텐츠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여, 콘텐츠 저작자들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에서는, 이용 조건으로서 카피 제어 정보가 있어, “카피 가능”, “1 세대만 카피 가능”, “카피 금지”라고 하는 이용 조건이 운용되고 있다. 또한, “1 세대만 카피 가능”, “카피 금지”라고 하는 카피가 제한되어 있는 콘텐츠는 보호의 대상으로 되어, 이 콘텐츠를 축적하는 경우에는, 로컬 암호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카피 금지”의 콘텐츠 의 축적은 일시 축적 허용 시간내로 제한되어 있다. 또한, “1세대만 카피 가능”을 축적하는 경우에는, “재카피 금지”로 하여 축적할 필요가 있고, “재카피 금지”의 콘텐츠로부터 카피를 하는 것은, 금지된다. 그러나, 축적 미디어에는 용량의 제한이 있어, 축적후의 카피 제어 정보가 “재카피 금지”의 콘텐츠는 이동이 가능하다. 이동에 있어서는, 이동 종료 후에는 이동원의 콘텐츠를 재생 불능으로 할 필요가 있고, 또한 이동 동작의 도중에도 이동원, 이동처의 쌍방에 동시에 1 분을 초과하는 길이의 콘텐츠가 재생 가능해서는 안된다(ARIB: Association of Radio Industries and Businesses의 운용 규정에 의함). 이와 같이, 이동할 때에는, 재생 가능한 콘텐츠가 증가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이동의 처리에 있어서 이동원의 콘텐츠를 재생 불능화시키는 방법으로서 몇가지가 고려된다. 제 1 방식으로서는, 이동 완료된 콘텐츠 데이터 자체를 차례차례 소거해 가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이동 완료된 콘텐츠의 영역을, 예를 들면 특정한 데이터로 덮어쓰기해 가는 방법이다. 제 2 방식으로서는, 콘텐츠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영역마다 암호화하는 키를 바꿔 보존해 놓고, 이동 완료된 영역에 대한 키만을 소거해 가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제 1 방식에 비하여, 소거할 데이터는 키뿐이기 때문에 처리의 부하로서는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제 3 방식으로서는,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 2003-10152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키(Key0∼5)를 저장하는 영역을 1개 설치 해 놓고, 키를 저장하는 영역에 저장된 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복호하고, 콘텐츠를 복호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복호 키를 생성하며, 새롭게 생성한 키를 이용하여 다음의 콘텐츠 영역의 콘텐츠를 복호화하는 것이다.
이 제 3 방식에서는, 키를 저장하는 영역에는, 콘텐츠의 처음 영역을 복호화하는 키를 저장해 두면, 다음의 영역을 복호화하는 키는, 복호한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방식과 같이 콘텐츠의 영역마다 키를 저장해 둘 필요가 없다. 또한, 콘텐츠를 재생 불능화할 때에는, 새롭게 생성한 키를, 키를 저장하는 영역에 저장한다. 이에 의해, 그것보다 전의 콘텐츠를 복호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재생 불능화할 수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1 세대만 카피 가능”의 콘텐츠를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장치에 내장된 축적 장치에 녹화한 경우 “재 카피 금지”로 된다. 이 “재카피 금지”의 콘텐츠를 DVD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에 이동시키는 경우, 그 이동 동작의 도중에 정전이나 리무버블 미디어의 불량에 의해 이동의 동작이 중단되면, 저작권 보호적으로는, 이동원과 이동처에서 콘텐츠는 동시에 재생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문제는 없지만, 콘텐츠 자체는 이동처와 이동원의 2개로 분할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그 콘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면, 사용자는 이동처의 콘텐츠를 시청한 후에, 그 연속물을 보고자 하면 재차 이동원의 콘텐츠를 선택하지 않으면 안되어 불편하다. 또한, 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자는 이동원의 콘텐츠와 이동처의 콘텐츠의 대응을 잊어 버릴 가능성도 있어, 연속물의 콘텐츠를 찾는 데에 있어서, 다수의 콘텐츠를 조금씩 시청하는 등 찾지 않으면 안되어, 시간이 걸리고 불편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텐츠의 이동중에 장해가 발생하여 콘텐츠가 분할된 경우에도, 분할된 콘텐츠를 결합하여 복원할 수 있는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텐츠의 녹화시에 축적 미디어의 용량 등의 제한으로 분할된 콘텐츠를 뒤로부터 1개의 콘텐츠에 결합할 수 있는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 1 기억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제 2 기억부로 이동하는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 2 기억부에 이동 완료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제 1 기억부에 잔존하고 있는 콘텐츠를 재생 불능화하는 수단과, 제 1 기억부 내의 콘텐츠 및 제 2 기억부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이동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장해가 발생했을 때, 이동의 계속 또는 제 1 기억부에서의 콘텐츠의 복원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이동처의 제 2 기억부와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처의 제 2 기억부 및 콘텐츠의 검증을 행하는 수단과, 콘텐츠의 이동의 계속 또는 콘텐츠의 복원을 행하는 범위를 결정하고, 콘텐츠의 이동의 계속 또는 콘텐츠의 복원을 행하는 수단을 갖는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이다.
또한, 바람직한 예에서는, 또한, 이동처의 제 2 기억부가 형성된 미디어의 종류를 판정하는 수단과, 미디어의 종류를 판정하는 수단에 의한 판정의 결과, 콘텐츠의 재생 불능화를 할 수 없는 미디어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콘텐츠의 복원을 행하는 처리를 금지하는 수단을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콘텐츠의 이동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에 따라서, 선택 가능한 처리를 표시하는 수단과, 표시 수단에 표시된 처리 중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을 행하는 입력 수단을 갖고, 상기 선택 수단은,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에 따라, 처리를 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이동 관리 시스템은, 콘텐츠를 이동시켜 미디어에 축적하는 콘텐츠 이동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를 임의의 제 1 미디어에 축적하는 제 1 축적 수단과, 콘텐츠를 제 1 미디어에 축적할 때에, 콘텐츠의 분할된 콘텐츠를 제 2 미디어에 축적하는 제 2 축적 수단과, 적어도, 분할된 콘텐츠의 제 2 미디어에의 축적에 관한 정보와, 분할된 콘텐츠를 축적하는 제 2 미디어를 특정하는 정보와, 분할된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이동에 관한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과, 제 2 미디어와 분할된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미디어와 분할된 콘텐츠의 검증을 행하는 수단과, 제 1 미디어에 축적된 콘텐츠와, 제 2 미디어에 축적된 분할된 콘텐츠를 결합 처리하는 수단과, 결합 처리된 경우, 제 2 미디어에 축적된, 분할된 콘텐츠를 재생 불능화하는 수단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축적 수단은, 제 1 미디어의 기억 용량이 적어진 경우에, 그 후에 기억해야 할 분할된 콘텐츠를, 동일한 장치 내에 있는 상기 제 1 미디어와는 다른 미디어로서 구비된 상기 제 2 미디어에 축적한다. 또한, 상기 제 2 축적 수단은, 제 1 미디어의 기억 용량이 적어진 경우에, 그 후 기억해야 할 콘텐츠를 분할된 콘텐츠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2 미디어에 송신하여 축적하 고, 상기 저장 수단은, 분할되어 축적되어 있는 콘텐츠가 있는지의 여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와, 제 2 미디어를 특정하는 정보와, 분할된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결합 처리 수단은, 제 2 미디어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한 분할된 콘텐츠를 복원하며, 복원된 콘텐츠는 제 1 미디어에 축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디어간에 콘텐츠를 이동하는 콘텐츠 이동 관리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의 이동에 관한 관리를 위한 정보를 기억부에 저장하는 스텝과, 제 1 미디어에 기억된 콘텐츠를 판독하여 이동하여, 콘텐츠를 제 2 미디어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하는 콘텐츠의 이동 스텝과, 콘텐츠의 이동중에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체크하는 스텝과, 에러의 발생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해당 제 2 미디어에 이동 완료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해당 제 1 미디어에 존재하고 있는 해당 콘텐츠의 재생을 불능으로 하는 스텝과, 에러의 발생으로 판단되고, 또한 콘텐츠의 이동을 계속하는 경우,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제 2 미디어를 특정하는 정보 및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처의 제 2 미디어 및 콘텐츠의 검증을 행하는 스텝과, 제 2 미디어에의 콘텐츠의 이동이 완료된 위치를 파악하고, 계속해서 이동을 개시해야 할 콘텐츠의 위치를 파악하는 스텝과,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미디어에 기억된 콘텐츠를 판독하여, 콘텐츠를 제 2 미디어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하는 콘텐츠의 이동 스텝을 갖는다.
바람직한 예에서는, 콘텐츠의 이동에 있어서, 콘텐츠의 암호화에 이용하는 키 정보를 생성하여, 키 정보를 상기 관리를 위한 정보의 1개로서 기억부에 저장하는 스텝과, 제 2 미디어에의 콘텐츠의 이동이 완료된 경우, 제 2 미디어에 키 정보 를 기입하는 스텝을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콘텐츠의 이동중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적어도 이동의 계속 또는 제 1 미디어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복원을 포함하는 처리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를 행하는 스텝을 갖고, 사용자에 의해 처리가 선택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콘텐츠의 복원이 선택된 경우,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제 2 미디어를 특정하는 정보 및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처의 제 2 미디어 및 콘텐츠의 검증을 행하는 스텝과, 제 1 미디어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위치를 파악하고, 복원을 개시해야 할 콘텐츠의 위치를 파악하는 스텝과,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미디어에 기억된 콘텐츠를 판독하여, 콘텐츠를 제 1 미디어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하는 콘텐츠의 복원 처리 스텝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CPU 상에서 처리되는 프로그램으로서도 파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의 이동중에 장해가 일어나 콘텐츠가 분할된 경우에도, 분할된 콘텐츠를 결합하여 복원할 수 있다. 또한, 장해 발생 이후에도 콘텐츠의 이동을 정확하게 계속하거나, 이동원으로 콘텐츠를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콘텐츠의 녹화시에 축적 미디어의 용량 등의 제한에 의해 분할된 콘텐츠를 뒤로부터 1개의 콘텐츠에 결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시스템 버스(24)에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해 소정의 동작을 행하는 CPU(10),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기 위한 워크 에리어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주기억(11), 액정 표시기나 텔레비전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 리모콘이나 마우스, 키보드 등 입력 기기가 접속되는 입력 I/F부(13), 콘텐츠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HDD의 I/F인 HDD I/F부(14), DVD나 HDD 등 리무버블 미디어의 I/F인 미디어 I/F부(15), HDD에 저장되는 콘텐츠의 암호나 복호를 행하는 로컬 암호·복호부(16), 미디어에 저장되는 콘텐츠의 암호나 복호를 행하는 미디어 암호·복호부(17)가 접속된다. 또한, HDD I/F부(14)에는 콘텐츠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HDD(18), 미디어 I/F부(15)에는 콘텐츠의 이동처로 되는 이동처 미디어(19)가 접속된다.
또한, 이동시에 있어서 이동원의 콘텐츠를 재생 불능화하는 재생 불능화 제어부(20), 미디어 I/F부에 접속되는 미디어의 종별 등을 판정하는 미디어 판정부(21), 이동처의 미디어나 콘텐츠를 검증하는 이동처 미디어·콘텐츠 검증부(22), 장해가 발생했을 때에 콘텐츠의 복원을 행하는 콘텐츠 복원 제어부(23)를 갖는다.
HDD(18)에는, HDD에 저장되는 암호화 콘텐츠를 복호하는 키를 생성하는 정보를 저장해 놓은 암호화 콘텐츠 키 테이블(101), 암호화 콘텐츠(102), 콘텐츠의 이동에 관하여 이용되는 관리 정보인 이동 정보(103)가 기억된다.
이동 정보(103)는 콘텐츠가 이동할 때마다 생성되는 관리 정보이다. 이 이동 정보에는, 이동원의 콘텐츠를 특정하는 이동원 콘텐츠 ID(111), 이동처의 미디어를 특정하는 이동처 미디어 ID(112), 이동처의 미디어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특정하는 이동처 콘텐츠 특정 정보(113)가 포함된다. 이동처 콘텐츠 특정 정보(113)에는 이동처 미디어에 의해 관리하고 있는 ID나 파일명이 포함된다. 또한 이동 동작의 스테이터스를 나타내는 이동 스테이터스(114)에는, “이동 개시전”, “이동중”, "이동처 미디어 기입 에러”, "이동 종료”, "복원중”, "복원원 미디어 기입 에러”, “복원 종료”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이동 위치 정보(115)는 이동 동작이 어디까지 진행하고 있는지를 나타내고, 예를 들면 콘텐츠의 파일의 위치, 또는 콘텐츠의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동처 키 정보(116)는 이동처의 콘텐츠를 암호화하기 위한 키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이고, 이동처의 콘텐츠를 암호화하기 위한 키 정보, 또는 키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콘텐츠 복원 정보(117)는 콘텐츠를 복원할 때에 필요한 정보이다.
이동처 미디어(19)에는, 미디어를 특정하기 위한 ID인 미디어 ID(121), 미디어 내에 있는 콘텐츠를 특정하는 콘텐츠 특정 정보(122), 미디어 내에 저장되는 암호화 콘텐츠(123)가 포함된다.
도 3은 콘텐츠의 이동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저작권 보호가 필요한 콘텐츠의 이동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이동을 행하는 콘텐츠의 선택과 이동처의 미디어를 선택한다(S101). 이것은, HDD(18)에 저장되어 있어 이동 가능한 콘텐츠의 일람을 표시부(12)에 표시하고, 입력 I/F부(13)를 통하여 키보드 등의 입력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또한 이동처의 미디어의 선택에서는, 이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에 의해 서포트되고 있는 미디어의 일람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시킨다. 또한, 이동처의 미디어가 1 종류밖에 없어, 미디어의 선택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이 미디어의 선택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여기서, 이동처의 미디어로서는, DVD-RW, DVD-RAM 등의 광 디스크나 리무버블 HDD, FLASH ROM을 이용한 실리콘 디스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미디어의 판정을 행한다(S102). 여기서는, 우선 미디어 I/F(15)에 사용자가 선택한 미디어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미디어 판정부(21)를 이용하여 검출한다. 미디어가 세트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표시부(12)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미디어의 세트를 재촉한다. 또한, 이동의 대상으로 되는 콘텐츠가 저작권 보호가 필요한 콘텐츠인 경우, 미디어가 저작권 보호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도 판정한다.
다음으로, CPU(10)에 의해 미디어 I/F부(15)를 통하여 미디어를 특정하는 정보인 미디어 ID(121)를 미디어 내에서 취득한다(S103). 그리고, 이동의 제어를 위해 및 이동 중의 장해 발생에 대비하여, 콘텐츠를 복원할 수 있도록 이동 정보(103)를 작성하고, 이것을 HDD(18) 내에 저장한다(S104).
이동 정보(103)로서 저장되는 정보에는 이하의 정보가 있다. 우선 이동원의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이동원 콘텐츠 ID(111)를 저장하고, S103에서 취득한 미디어 ID(121)를 이동처 미디어 ID(112)로서 저장한다. 또한, 이동처 미디어 ID로서 이동처의 미디어의 종류를 포함해도 무방하다. 이동처의 미디어 내에 복수의 콘텐츠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현재 이동의 대상으로 되고 있는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이동처 콘텐츠 특정 정보(113)를 저장한다. 또한, 이동처 콘텐츠 특정 정보(113)는 파일명이나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ID 등이며, 이 정보는 이동처 미디어로서 콘텐츠 저장 형식의 방식에 따라 상이하다.
다음으로, 이동 스테이터스(114)를 “이동 개시전”으로부터 “이동중”을 나타내는 상태로 설정한다. 이동 위치 정보(115)는, 이제부터 이동을 개시하기 위해, 이동 위치를 ‘0’으로 설정한다. 또한, 이동 위치 정보(115)는, 이동원과 이동처에서 콘텐츠의 파일 사이즈가 변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한 데이터의 사이즈를 이용하거나, 이동원과 이동처에서 콘텐츠의 파일 사이즈가 변하는 경우에는, 콘텐츠의 시간을 이용한다. 이동처 키 정보(116)는 이동처 미디어에 콘텐츠를 저장할 때에 암호화하는 키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 경우 암호화하는 키 그 자체의 값이 아니라, 키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의 일부나 암호화하기 위한 키를 장치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값을 저장하여도 무방하다. 콘텐츠 복원 정보(117)는 장해가 일어났을 때에 이동원의 콘텐츠의 재생 가능 위치나 복원할 때의 도중 상태를 저장하기 때문에, 초기값으로서는 이동원의 콘텐츠는 모두 재생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값을 저장한다.
스텝 S105 이후의 처리에서는, 실제로 콘텐츠의 이동 동작이 행하여진다. 우선, HDD(18)로부터 암호화 콘텐츠(102)를 판독하고(S105), 암호의 변환을 행한다(S106). 통상적으로, 콘텐츠는, 장치 내의 HDD에는 독자의 형식으로 암호화를 실 시하여(이하, 로컬 암호라고 칭함) 저장된다. 로컬 암호는 독자의 형식이며, 다른 장치에 카피했다고 하더라도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이동처의 미디어가 리무버블이며, 장치간에 호환성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그 암호화의 형식이나 암호 키의 관리 방법 등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암호의 변환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면, DVD-RW나 DVD-RAM에서 사용되는 저작권 보호의 방식으로서 CPRM이 이용된다.
스텝 S106에서는, 우선 CPU(10)가 S105에서 판독된 암호화 콘텐츠에 대응하는 키를 암호화 콘텐츠 키 테이블(101)로부터 판독하여, 로컬 암호·복호부(16)에 설정한다. 그리고 시스템 버스(24)를 통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로컬 암호·복호부(16)에 전송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복호한다.
다음으로, CPU(10)는 이동처 미디어(19)에 저장하기 위해, 이동처 미디어의 저작권 보호 방식에 대응한 암호화하기 위한 키를 미디어 암호·복호부(17)에 설정하고, 로컬 암호·복호부(16)에서 복호한 콘텐츠를 미디어 암호·복호부(17)에 입력하여 암호화를 행한다. 이 때 복호한 콘텐츠는 시스템 버스(24)를 통하여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로컬 암호·복호부(16)로부터 미디어 암호·복호부(17)에 직접 입력한다. 이것은, 시스템 버스(24)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액세스할 수 있는 경우에 필요한 처리이며, 버스를 모니터함으로써, 암호화되어 있지 않는 콘텐츠의 추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DVD-RW나 DVD-RAM에서 사용되는 저작권 보호 방식인 CPRM 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콘텐츠의 암호화에 이용하는 키를 생성한다. 우선, 장치측에서 유지하고 있는 디바이스 키를 이용하여, DVD의 리드 인 영역이라고 불리는 리드만 가능한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키 블록을 사용하여 미디어 키를 생성한다. 이 미디어 키와 미디어 ID를 이용하여 난수를 생성하고, 이 난수로 타이틀 키를 암호화하여 미디어에 보존한다. 타이틀 키와 카피 제어 정보와 콘텐츠에 다중되어 있는 타이틀 키 변환 데이터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키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미디어 키를 생성하기 위해 미디어 ID를 이용하기 때문에 콘텐츠의 데이터를 비트마다 다른 미디어에 보존해도 콘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키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에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다.
CPRM을 이용하는 경우, 이동처 키 정보(116)로서 암호화한 타이틀 키를 보존해 놓고, 미디어 암호·복호부(17)에서는, 콘텐츠에 다중되는 타이틀 키 변환 데이터와 암호화 타이틀 키를 복호한 타이틀 키로부터 생성한 키를 암호화하기 위한 키로서 설정한다.
다음으로, 암호화된 콘텐츠를 미디어에 기입한다(S107). 그리고, 기입에 에러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S108), 만약 에러가 있으면 이동 정보(103)의 이동 스테이터스(114)를 “이동처 미디어 기입 에러”에 대응한 값으로 설정하고, 처리를 종료한다(S114).
한편, 미디어에의 기입이 성공하면, 재생 불능화 제어부(20)를 이용하여 이동원의 콘텐츠의 재생 불능화를 행하고(S109), 콘텐츠 복원 정보(117)에 재생 가능한 위치 정보를 설정한다. 암호화 콘텐츠 키 테이블(101)이 콘텐츠를 복수의 영역에 나누어, 각각의 영역에 대응한 콘텐츠 키를 복수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대응 하는 영역의 콘텐츠 키를 소거한다. 이 때, 이동처와 이동원에서 재생 가능한 콘텐츠가 1분 이상 중복하여 존재하지 않도록 콘텐츠 키를 소거한다. 그리고, 기입이 종료된 위치의 값에, 이동 정보(103)의 이동 위치 정보(115)를 설정한다(S110).
다음으로, 콘텐츠의 이동이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11). 만약 그 이동이 종료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105의 처리로 되돌아가서 이동 동작을 계속한다. 이에 대하여, 콘텐츠의 이동이 종료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처 미디어에 키 정보를 기입하고, 이동 정보(103)의 이동 스테이터스를 “이동 종료”를 나타내는 값으로 갱신한다(S112). 그리고, 이동의 처리가 종료된 것을 확인하여, 이동 정보(103)를 삭제하여, 처리를 종료한다(S113).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장해가 발생했을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장해 복귀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5는 장해 복귀의 처리를 선택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이동처의 미디어의 종류를 판정한다(S150). 그리고, 장해가 발생한 경우의 처리를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부(12)에 표시한다(S151).
도 5에 장해 처리의 선택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복귀를 위한 처리로서 “이동을 계속” “콘텐츠를 복원” “콘텐츠를 삭제”를 제시하고 있다. “이동을 계속”의 경우에는, 장해가 발생했을 때에 행하고 있던 이동의 처리를 도중부터 계속한다. “콘텐츠를 복원”에서는, 장해가 발생했을 때에 행하고 있던 이동의 처리를 정지하고 이미 이동이 끝난 콘텐츠를 이동원으로 복귀시켜 콘텐츠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한다. “콘텐츠를 삭제”는, 장해가 발생했을 때에 행 하고 있던 이동의 처리를 정지하고, 이동의 대상으로 되어 있던 콘텐츠를 삭제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화면의 예와 같이, 사용자에게 복귀 처리를 선택시키기 위한 정보로서 에러의 원인을 표시해도 무방하다. 또한, 스텝 S150에서 판정한 이동처의 미디어의 종류가 재생 불능화할 수 없는 미디어인 경우에는, “콘텐츠를 복원”을 제시하지 않도록 한다. 이것은, 재생 불능화할 수 없는 미디어인 경우에는, 이동처의 미디어로부터 이동원의 미디어에는 콘텐츠를 이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장해의 요인으로서는, 이동 동작중의 정전 등에 의한 전원의 차단, 미디어의 불량 등에 의한 기입 에러, 미디어의 용량 제한에 의한 기입 에러 등이 고려된다. 전원의 차단의 경우에는, 전원이 복귀하여 장치가 기동했을 때에 이동 정보(103)의 이동 스테이터스(114)를 확인하여, 이동을 행하고 있었는지의 여부를 검증한다. 이동을 행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통상의 시퀀스로 장치를 기동한다.
이동 스테이터스(114)의 값이 “이동중”인 경우에는, 전원이 차단된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도 4의 처리를 행한다. 또한, 미디어의 불량이나 용량 오버에 의한 기입 에러가 발생한 경우나, 장치를 기동했을 때에 이동 정보(103)의 이동 스테이터스(114)를 확인하여 “이동처 미디어 기입 에러”의 경우에도, 도 4의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미디어에의 기입은 에러로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도 5에 도시하는 “이동을 계속”은 표시하지 않고 “콘텐츠를 복원”과 “콘텐츠를 삭제”만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동 정보(103)에 이동 리트라이 횟수를 추가하여, “이동을 계속”의 처리를 행한 횟수를 보존해 놓고, 임의의 일정한 횟수 이상으로 “이동의 계속”을 행하여도 에러가 일어나는 경우에, 도 5의 “이동을 계속”을 표시하지 않고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도 4에 되돌아가서, 선택 화면에서의 처리 선택에서는, 사용자가 키보드 등의 입력 기기를 이용하여 처리를 선택한다(S152). “이동을 계속”을 선택한 경우에는, 장해가 발생한 부분부터 이동 처리를 계속한다(S153). “콘텐츠를 복원”을 선택한 경우에는, 이동원의 콘텐츠를 원래로 복귀시키는 처리를 행한다(S154). “콘텐츠를 삭제”를 선택한 경우에는, 콘텐츠의 삭제 처리를 행한다(S155).
다음으로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이동을 계속하는 처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의 계속 처리에서는, 우선 이동처의 미디어 ID(121)를 취득한다(S201). 그리고, 이동 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처 미디어 ID(112)와, 취득한 미디어 ID(121)를 비교하여, 미디어 ID를 검증한다(S202). 이 비교의 결과, 미디어 ID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에러로서 처리를 중지한다.
한편, 미디어 ID가 일치한 경우에는, 이동처 미디어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 도중의 콘텐츠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증한다(S203). 이 때, 이동 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처 콘텐츠 특정 정보(113)의 콘텐츠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증한다. 검증의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202와 마찬가지로 에러로서 처리를 중지한다. 이에 대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다음의 처리로 진행한다. 이들의 처리는, 전원 차단 등으로 이동이 중단한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미디어가 교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검증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미디어에의 기입 에러 에 의해 연속하여 이동의 계속 처리를 행할 경우로서 미디어의 교환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에는, 이들의 처리는 필요 없다.
다음으로, 이동처의 미디어에 콘텐츠가 어디까지 기입되어 있는지 기입 완료 위치의 취득을 행한다(S204). 실제의 기입은 미디어 I/F부(15) 등에서 콘텐츠의 데이터가 버퍼링될 가능성이 있어, 실제로 미디어의 어디까지 데이터가 기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기입 완료 위치를 취득하여, 이하의 처리에 의해 이 위치로부터의 이동을 개시한다.
우선, HDD(18)로부터 이동원의 암호화 콘텐츠(102)를 판독하여(S205), 암호의 변환을 행한다(S206). 즉 스텝 S206에서는, CPU(10)가, 판독된 암호화 콘텐츠(102)에 대응하는 키를 암호화 콘텐츠 키 테이블(101)로부터 판독하여, 로컬 암호·복호부(16)에 설정한다. 그리고 암호화 콘텐츠(102)를, 시스템 버스(24)를 통하여 로컬 암호·복호부(16)에 전송하여 암호화 콘텐츠를 복호한다. 다음으로, CPU(10)는 이동처 미디어(19)에 저장하기 위해, 이동처 미디어의 저작권 보호 방식에 대응한 암호화하기 위한 키를 미디어 암호·복호부(17)에 설정하고, 로컬 암호·복호부(16)에서 복호한 콘텐츠를 미디어 암호·복호부(17)에 입력하여 암호화를 행한다.
다음으로, 암호화된 콘텐츠를 미디어에 기입한다(S207). 그리고 기입에 에러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208). 이 체크의 결과 에러가 있으면, 이동 정보(103)의 이동 스테이터스(114)를 “이동처 미디어 기입 에러”에 대응한 값으로 설정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기입이 성공하면, 재생 불능화 제어부(20)를 이용하여 이동원의 콘텐츠의 재생 불능화를 행하고(S209), 콘텐츠 복원 정보(117)에 재생 가능한 위치 정보를 설정한다. 암호화 콘텐츠 키 테이블이 콘텐츠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영역에 대응한 콘텐츠 키를 복수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영역의 콘텐츠 키를 소거한다. 그리고, 이동 정보(103)의 이동 위치 정보(115)를 기입이 종료된 위치의 값으로 설정한다(S210).
그 후, 콘텐츠의 이동이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11). 판정의 결과, 종료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205의 처리로 되돌아가서 이동 동작을 계속한다. 한편, 콘텐츠의 이동이 종료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처 미디어에 키 정보를 기입하고, 이동 정보(103)의 이동 스테이터스를 “이동 종료”를 나타내는 값으로 갱신한다(S212). 다음으로, 이동의 처리가 종료된 것을 확인하여 이동 정보(103)를 삭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S213).
다음으로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콘텐츠를 복원할 때의 상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콘텐츠 복원 정보의 상세 내용을 나타내고, 도 8은 콘텐츠를 복원할 때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도 7에서, 참조부호(131)는 이동원 콘텐츠의 재생 가능한 선두의 위치를 나타내는 생성 가능 선두 위치, 참조부호(132)는 복원을 행하는 종료의 위치를 나타내는 이동 복원 종료 위치, 참조부호(133)는 어디까지 복원을 행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이동 복원 위치이다.
도 8에서, 콘텐츠의 복원 처리에서는, 우선 이동처의 미디어 ID(121)를 취득한다(S251). 그리고 이동 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처 미디어 ID(112)와 취득한 미디어 ID(121)를 비교함으로써 미디어 ID의 검증을 행한다(S252). 검증의 결과, 미디어 ID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에러로서 처리를 중지한다. 한편, 미디어 ID가 일치한 경우에는, 이동처 미디어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 도중의 콘텐츠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이동처 미디어, 콘텐츠 검증부(22)에서 검증한다(S253).
이 때, 이동 정보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처 콘텐츠 특정 정보(113)의 콘텐츠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증한다.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S252와 마찬가지로 에러로서 처리를 중지한다. 이에 대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처리로 진행한다. 이들의 처리는, 전원 차단 등으로 이동이 중단한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 미디어가 교환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검증을 행한다. 또한, 미디어에의 기입 에러에 의해 연속하여 콘텐츠의 복원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미디어의 교환이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에는, 이들의 처리는 필요 없다.
또한, 이동처가 DVD-RW나 DVD-RAM에 의해 CPRM을 이용하여 이동한 경우, 이미 타이틀 키가 기입되어 있을 때에는, 콘텐츠의 복원 처리 전에 DVD로부터 다른 미디어에 백업을 취하여 두고 DVD로부터 HDD로 이동을 행한 후 다시 HDD로부터 DVD로 콘텐츠를 다시 카피하면 DVD로부터도 재생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미 타이틀 키가 DVD의 미디어에 기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콘텐츠의 복원은 할 수 없도록 제어한다. 미디어로부터의 복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미디어에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 콘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키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논리적으로 사용자가 판독할 수 없는 구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미디어에 타이틀 키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도 검증하여,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이동원의 콘텐츠가 어디부터 재생 가능한지를 이동 정보(103)의 콘텐츠 복원 정보(117)의 재생 가능 선두 위치(131)에서부터 판독하여, 이것을 이동 복원 종료 위치(132)에 저장한다(S254). 이에 의해, 콘텐츠의 선두로부터 어느 위치까지 콘텐츠를 원래로 복귀시킬지를 결정한다.
다음으로, 이동처의 미디어로부터 암호화 콘텐츠(123)를 판독하여(S255), S256에서는 암호 변환을 행한다. CPU(10)는 이동처 미디어의 저작권 보호 방식에 대응한 암호 콘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한 키를 이동 정보(103)의 이동처 키 정보 등을 이용하여 생성하여 미디어 암호·복호부(17)에 설정하고, 암호화 콘텐츠(123)를 미디어 암호·복호부(17)에 전송하여 암호화 콘텐츠 복호한다(S256). 다음으로, HDD에 저장하기 위한 로컬 암호의 키를 생성하여 로컬 암호·복호부(16)에 설정한다. 그리고 미디어 암호·복호부(17)에서 복호한 콘텐츠를 로컬 암호·복호부(16)에서 암호화를 행한다.
다음으로, 이동원인 HDD에 로컬 암호화된 콘텐츠를 기입하고(S257), 기입한 콘텐츠에 대응한 키를 암호화 키 테이블에 추가한다(S258). 그리고, 기입에 에러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259). 체크의 결과 에러가 있으면, 이동 정보(103)의 이동 스테이터스(114)를 “이동원 미디어 기입 에러”에 대응한 값으로 설정하고 처리를 종료한다(S264). 한편 기입이 성공하면, 재생 불능화 제어부(20)를 이용하여 이동처의 콘텐츠의 재생 불능화를 행한다(S260).
그리고, 이동 정보(103)의 이동 복원 위치(133)를 기입이 종료된 위치의 값으로 설정한다(S261). 그리고 콘텐츠의 복원이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이동 복원 종료 위치(132)를 확인함으로써 판정한다(S262). 그 판정의 결과, 종료되어 있지 않으면 S255의 처리로 되돌아가서 이동 동작을 계속한다. 한편, 콘텐츠의 이동이 종료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처 미디어에 키 정보를 기입 이동 정보(103)의 이동 스테이터스를 “복원 종료”를 나타내는 값으로 갱신하여, 콘텐츠를 결합한다. 그리고 복원의 처리가 종료된 것을 확인하여 이동 정보(103)를 삭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S263).
<실시예 2>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이동원과 이동처에서 콘텐츠의 형식이 상이하고, 이동원과 이동처에서 콘텐츠의 사이즈가 상이한 경우의 콘텐츠의 중복 부분 검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처의 미디어나 저작권 보호의 방식에 의해 콘텐츠의 포맷이 상이한 경우가 있고, 이동원의 콘텐츠와 사이즈가 상이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복호하기 위한 키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콘텐츠의 데이터에 다중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때는 이동처의 콘텐츠가 이동원의 콘텐츠보다 커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을 계속하는 경우나 콘텐츠를 복원할 때에 콘텐츠의 사이즈만 합쳐서 결합하면 화상이 결합 부분에서 흐트러질 가능성이 있다. 그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처리를 행하여 콘텐츠의 결합의 개시 위치를 결정한다. 여기서는, 콘텐츠를 복원하는 경우로서, 콘텐츠의 압축은 MPEG2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이동 정보(103)의 콘텐츠 복원 정보(117)의 재생 가능 선두 위치(131)를 판독하고, HDD에 있는 이동원의 콘텐츠의 재생 가능 선두 위치로부터 GOP의 선두를 검색한다(S301). 다음으로, 스텝 S301에서 취득한 GOP의 선두의 타임 스탬프 (프리젠테이션 타임)를 취득한다(S302).
다음으로, 이동처의 콘텐츠 S302에서 취득한 타임 스탬프로부터 시작되는 GOP를 검색한다(S303). 그 검색 결과로부터 동일한 타임 스탬프로부터 시작되는 GOP가 발견되면, 해당 타임 스탬프에 의해 시작되는 GOP의 개시 직전까지의 위치를 이동 복원 종료 위치로서 기록한다(S304).
한편, 검색의 결과로부터 동일한 타임 스탬프로부터 시작되는 GOP가 발견되지 않으면, 기록 완료된 이동처 콘텐츠의 최후부터 완전한 GOP(도중에 데이터가 끊어져 있지 않음)를 검색한다(S305). 그리고 검색한 완전한 GOP의 종료 위치를 이동 복원 종료 위치로서 기록한다(S306). 단, 동일한 타임 스탬프로부터 시작되는 GOP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는, 콘텐츠의 일부가 소실된다. 이와 같이 처리함으로써, 콘텐츠의 저장 형식이 다른 경우에도 콘텐츠를 어느 위치까지 원래로 복귀시킬지를 특정할 수 있어, 콘텐츠 복원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3>
도 10은 녹화시에 콘텐츠를 분할하여 저장한 경우에, 뒤로부터 콘텐츠를 결합하는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구성과 상이한 부분에 관해서는, 참조부호(31)는 TV 방송을 수신하는 TV 튜너, 참조부호(32)는 수신한 방송을 MPEG로 압축하는 MPEG 인코더, 참조부호(140)는 분할을 행하기 위한 정보인 분할 정보, 참조부호(141)는 녹화시에 콘텐츠를 분할하여 저장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 플래그이다.
이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콘텐츠를 녹화할 때에는, TV 튜너(31)에 의해 수신한 TV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MPEG 인코더(31)로 압축하고, 로컬 암호·복호부(16)에서 로컬 암호화하여 HDD I/F부(14)를 통하여 HDD(18) 내에 저장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의 경우에는, 튜너에 의해 수신하는 것은 이미 압축된 데이터이기 때문에, MPEG 인코더(32)를 통할 필요는 없고 직접 로컬 암호·복호부(16)에 입력하면 된다.
다음으로, 프로그램의 연장 등으로 녹화를 행하고 있을 때에 HDD(18)의 용량이 가득차게 되어 그 이상 콘텐츠를 저장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이동처 미디어에 그 이후의 콘텐츠를 저장한다. 이 동작은 다음과 같이 된다. 즉, HDD(18)에 이 이상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없다고 CPU(10)가 판단하면, 분할할 때의 정보를 나타내는 이동 정보(103)를 HDD(18) 내에 생성한다. 이동 정보(103)로서 이하의 정보를 저장한다.
우선, 콘텐츠가 분할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분할 유”의 값을 분할 플래그(141)에 세트하고, 분할원인 현재 HDD(18)에 저장되어 있던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해 이동원 콘텐츠 ID(111)를 저장하고, 이제부터 콘텐츠를 저장할 분할처의 미디어인 이동처 미디어(19)를 특정하는 이동처 미디어 ID(121)를 저장한다. 이 때, 분할처의 미디어의 종류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분할처의 미디어 내에 복수의 콘텐츠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분할처의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이동처 콘텐츠 특정 정보(113)를 저장한다. 이동처 콘텐츠 특정 정보(113)는 파일명이나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ID나 파일명 등이며, 이 정보는 분할처의 미디어의 콘텐츠 저장 형식에 따라 상이하다.
또한 이동 위치 정보(115)는, 분할을 행하는 시점에 분할원의 HDD(18)에 저장되어 있는 최후의 위치의 정보를 설정한다. 이동 위치 정보(115)에 저장하는 정보는, 콘텐츠의 파일의 위치나 시간을 설정한다. 이동처 키 정보(116)는 이동처 미디어(19)에 콘텐츠를 저장할 때에 암호화하는 키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이 경우 암호화에 사용하는 키 그 자체의 값이 아니라, 키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의 일부나 암호화에 사용하는 키를 장치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값을 저장하여도 무방하다. 콘텐츠 복원 정보(117)는 콘텐츠를 뒤로부터 결합할 때의 상태를 저장하기 때문에, 초기값으로서, 분할 위치 정보와 동일한 값을 저장한다. 콘텐츠의 이동 정보(103)를 저장한 후에, 이후의 콘텐츠는 이동처 미디어(19)에 저장해 간다.
이 때 콘텐츠는, TV 튜너(31)로부터 MPEG 인코더(32)에 입력되어 데이터를 압축한 후, 로컬 암호·복호부(16)를 통하여 미디어 암호·복호부(17)에 입력되고 미디어의 저작권 보호 방식에 적합한 암호화를 실시하여 미디어 I/F부(15)를 통하여 이동처 미디어(19)에 저장한다. 이 경우, 로컬 암호는 필요 없기 때문에, 직접 미디어 암호·복호부(17)에 입력하여 암호화를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렇게 하여, HDD(18)의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도 상이한 미디어에 콘텐츠를 분할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콘텐츠의 녹화가 끝난 후에, 분할된 콘텐츠를 복원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이동 정보(103)에 저장되어 있는 분할 플래그(141)를 확인 하여, “분할 유”의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분할 유”가 아닌 경우, 분할된 콘텐츠는 없기 때문에 처리를 종료한다. “분할 유”의 경우, 우선 분할처의 이동처 미디어 ID(121)를 취득한다. 그리고, 그것과 이동 정보(103)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처 미디어 ID(112)와 비교한다. 비교의 결과, 미디어 ID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에러로서 처리를 중지한다. 한 편 미디어 ID가 일치한 경우에는, 이동처 미디어에 저장되어 있는 분할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이동처 미디어, 콘텐츠 검증부(22)에서 검증한다. 이 때, 이동 정보(103)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처 콘텐츠 특정 정보(113)의 콘텐츠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증한다.
다음으로, 분할처의 미디어로부터 암호화 콘텐츠(123)를 판독한다. CPU(10)는 분할처 미디어(34)의 저작권 보호 방식에 대응한 암호 콘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한 키를, 이동 정보(103)의 이동처 키 정보(116) 등을 이용하여 생성하여 미디어 암호·복호부(17)에 설정하고, 암호화 콘텐츠(123)를 미디어 암호·복호부(17)에 전송하여 암호화 콘텐츠 복호한다. 다음으로 HDD(18)에 저장하기 위한 로컬 암호의 키를 생성하여 로컬 암호·복호부(16)에 설정한다. 그리고 미디어 암호·복호부(17)에서 복호한 콘텐츠를 로컬 암호·복호부(16)에서 암호화를 행한다.
다음으로 분할원인 HDD(18)에 로컬 암호화된 콘텐츠를 기입하고, 기입한 콘텐츠에 대응한 키를 암호화 키 테이블(101)에 추가한다. 그리고, 재생 불능화 제어부(20)를 이용하여 분할처의 콘텐츠를 소거하여 콘텐츠의 재생 불능화를 행한다. 그리고, 이동 정보(103)의 콘텐츠 복원 정보(117)를 기입이 종료된 위치의 값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들의 처리를 분할처의 콘텐츠가 모두 끝날 때까지 반복하여 행하고, 분할처의 콘텐츠의 이동이 끝나면, 이동 정보(103)를 삭제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처리함으로써, 녹화시에 분할된 콘텐츠를 녹화가 끝나고, 다른 콘텐츠를 삭제하는 등으로 하여, HDD의 빈 용량이 증가한 후에, 복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4>
도 11은, 녹화시에 콘텐츠를 분할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단말기에 저장하고, 뒤로부터 콘텐츠를 결합하는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참조부호(40)는 단말기(50)가 접속되는 네트워크, 참조부호(41)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는 네트워크 I/F부, 참조부호(42)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 송수신을 행할 때에 암호나 복호를 행하는 네트워크 암호·복호부, 참조부호(50)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분할처 단말기, 참조부호(141)는 녹화시에 콘텐츠를 분할하여 저장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 플래그이다. 이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콘텐츠를 녹화할 때에는, TV 튜너(31)에 의해 수신한 TV 프로그램의 콘텐츠를 MPEG 인코더(31)로 압축하여 로컬 암호·복호부(16)에서 로컬 암호화하여 HDD I/F부(14)를 통하여 HDD(18) 내에 저장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의 경우에는, 튜너에 의해 수신하는 것은 이미 압축된 데이터이기 때문에 MPEG 인코더(32)를 통할 필요는 없고 직접 로컬 암호·복호부(16)에 입력하면 된다.
다음으로, 프로그램의 연장 등으로 녹화를 행하고 있을 때에 HDD(18)의 용량 이 가득차서 그 이상 콘텐츠를 저장할 수 없게 된 경우에, 네트워크에 접속된 분할처 단말기(50)에 그 이후의 콘텐츠를 다음과 같이 하여 저장한다. 용량 부족 등에 의해 HDD(18)에 이 이상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없다고 CPU(10)가 판단하면, 분할할 때의 정보를 나타내는 이동 정보(103)를 HDD(18) 내에 저장한다.
이동 정보(103)로서 이하의 정보를 저장한다. 우선, 콘텐츠가 분할되어 저장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분할 유”의 값을 분할 플래그(141)에 세트하고, 분할원인 현재 HDD(18)에 저장되어 있던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이동원 콘텐츠 ID(111)를 저장하며, 이제부터 콘텐츠를 저장하는 분할처 단말기(50)를 특정하는 분할처 단말기 ID를 이동처 미디어 ID(112)에 저장한다. 이 때, 분할처의 단말기를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ID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I/F에 이용되는 MAC 어드레스를 이용할 수 있다.
분할처의 단말기 내에 복수의 콘텐츠가 저장되는 경우에는 이동처의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인 이동처 콘텐츠 특정 정보(113)를 저장한다. 이동처 콘텐츠 특정 정보(113)는 파일명이나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한 ID 등이며, 이 정보는 분할처 단말기(50)의 콘텐츠의 저장 형식이나 관리 방식에 따라 상이하다. 또한 이동 위치 정보(115)는, 분할을 행하는 시점에 분할원의 HDD(18)에 저장되어 있는 최후의 위치의 정보를 설정한다. 이동처 위치 정보(115)에 저장하는 정보는, 콘텐츠의 파일의 위치나 시간을 설정한다. 콘텐츠 복원 정보(117)는 콘텐츠를 뒤로부터 복원할 때의 상태를 저장하기 때문에, 초기값으로서, 분할 위치 정보와 동일한 값을 저장한다.
콘텐츠의 이동 정보(103)를 저장한 후에, 이후의 콘텐츠는 분할처 단말기(50)에 전송한다. 이 때 콘텐츠는, TV 튜너(31)로부터 MPEG 인코더(32)에 입력되어 데이터를 압축한 후, 로컬 암호·복호부(16)를 통하여 네트워크 암호·복호부(42)에 입력되고 네트워크에 콘텐츠를 전송할 때의 저작권 보호 방식에 적합한 암호화를 실시하여 네트워크 I/F부(41)를 통하여 네트워크(40)에 전송되며, 분할처 단말기(50)에 전송한다. 이 때, 로컬 암호는 필요 없기 때문에, 직접 네트워크 암호·복호부(42)에 입력하여 암호화를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렇게 하여, HDD의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도 네트워크(40)에 접속된, 다른 상이한 단말기에 콘텐츠를 분할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콘텐츠의 녹화가 끝난 후에, 분할된 콘텐츠를 복원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이동 정보(103)에 저장되어 있는 분할 플래그(141)를 확인하여, “분할 유”의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분할 유”가 아닌 경우, 분할된 콘텐츠는 없기 때문에 처리를 종료한다. 판정의 결과 “분할 유”의 경우, 우선 분할처 단말기(50)로부터 단말기를 특정하기 위한 ID를 취득한다. 그리고, 이동 정보(103)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처 미디어 ID(112)로부터 분할처 단말기를 특정하는 ID와 비교한다. 비교의 결과 ID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에러로서 처리를 중지한다. 그리고, 분할처 단말기(50)에 액세스를 하여, 이동 정보(103)에 저장되어 있는 이동처 콘텐츠 특정 정보(113)의 콘텐츠의 전송을 요구한다. 이 때, 콘텐츠는 이동의 모드에서의 전송을 요구한다. 그 결과, 이동의 모드에 의해 전송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저작권 보호가 필요한 콘텐츠는, 결합할 수 없기 때문에 처 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CPU(10)는 네트워크 전송의 저작권 보호 방식에 대응한 암호 콘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한 키를 분할처 단말기(50) 사이에서 인증을 행하여 공유하고, 네트워크 암호·복호부(42)에 설정한다. 그리고, 분할처 단말기(50)로부터 암호화 콘텐츠를 네트워크 I/F부(41)에 의해 수신하고, 암호화 콘텐츠를 네트워크 암호·복호부(42)에 전송하여 암호화 콘텐츠 복호한다. 다음으로 HDD에 저장하기 위한 로컬 암호의 키를 생성하여 로컬 암호·복호부(16)에 설정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암호·복호부(42)에서 복호한 콘텐츠를 로컬 암호·복호부(16)에서 암호화를 행한다. 또한, 분할처 단말기(50)에서는 이동 모드에 의해 전송을 행하기 때문에, 전송한 분의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재생 불능화를 행한다. 다음으로 분할원인 HDD(18)에 로컬 암호화된 콘텐츠를 기입하고, 기입한 콘텐츠에 대응한 키를 암호화 키 테이블(101)에 추가한다. 그리고, 단말기간 분할 정보(150)의 콘텐츠 복원 정보(117)를 기입이 종료된 위치의 값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들의 처리를 분할처의 콘텐츠가 모두 끝날 때까지 반복하여 행하고, 분할처의 콘텐츠의 이동이 끝나면, 이동 정보(103)를 삭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처리함으로써, 녹화가 끝나고 다른 콘텐츠를 삭제하는 등으로 하여, HDD의 빈 용량을 확보한 후에, 녹화시에 분할된 콘텐츠를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된 단말기간에 분할된 콘텐츠와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콘텐츠의 이동중에 장해가 일어나 콘텐츠가 분할되더라도, 그 후 정규로 콘텐츠의 이동을 계속하거나, 이동원에 콘텐츠를 복귀시킬 수 있다. 콘텐츠가 분할된 채로의 경우에 비하여, 사용자는 분할된 콘텐츠의 대응을 기억해 놓을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한다.
또한, HDD 등의 축적 미디어의 용량이 부족하여 콘텐츠의 녹화를 계속하여 행할 수 없는 경우, 단말기 내의 미디어나 네트워크에 의해 접속된 단말기에 콘텐츠를 분할하여 녹화할 수 있다. 또한 분할원과 분할처의 콘텐츠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불필요한 콘텐츠를 삭제하는 등으로 하여 HDD의 빈 용량을 확보한 후에, 이들의 분할된 콘텐츠를 결합 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콘텐츠의 이동중에 장해가 일어나 콘텐츠가 분할된 경우에도, 분할된 콘텐츠를 결합하여 복원할 수 있으며, 장해 발생 이후에도 콘텐츠의 이동을 정확하게 계속하거나, 이동원으로 콘텐츠를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콘텐츠의 녹화시에 축적 미디어의 용량 등의 제한에 의해 분할된 콘텐츠를 뒤로부터 1개의 콘텐츠에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제 1 기억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제 2 기억부로 이동하는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 2 기억부에 이동 완료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기억부에 잔존하고 있는 콘텐츠를 재생 불능화하는 수단과,
    상기 제 1 기억부 내의 콘텐츠 및 상기 제 2 기억부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이동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과,
    장해가 발생했을 때, 이동의 계속 또는 상기 제 1 기억부에서의 콘텐츠의 복원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이동처의 상기 제 2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의 이동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처의 그 제 2 기억부 및 그 콘텐츠의 검증을 행하는 수단과,
    상기 콘텐츠의 이동의 계속 또는 콘텐츠의 복원을 행하는 범위를 결정하여, 그 콘텐츠의 이동의 계속 또는 콘텐츠의 복원을 행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처의 상기 제 2 기억부가 형성된 미디어의 종류를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미디어의 종류를 판정하는 수단에 의한 판정의 결과, 콘텐츠의 재생 불능화를 할 수 없는 미디어라고 판정된 경우에, 그 콘텐츠의 복원을 행하는 처리를 금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이동에 관한 정보에 따라서, 선택 가능한 처리를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선택 가능한 처리를 표시하는 수단에 표시된 처리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을 행하는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원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에 따라 그 처리를 행하는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
  4. 콘텐츠를 이동시켜 미디어에 축적하는 콘텐츠 이동 관리 시스템으로서,
    콘텐츠를 임의의 제 1 미디어에 축적하는 제 1 축적 수단과,
    상기 콘텐츠를 상기 제 1 미디어에 축적함에 있어서, 그 콘텐츠의 분할된 콘텐츠를 제 2 미디어에 축적하는 제 2 축적 수단과,
    적어도, 상기 분할된 콘텐츠의 상기 제 2 미디어에의 축적에 관한 정보와, 그 분할된 콘텐츠를 축적하는 그 제 2 미디어를 특정하는 정보와, 그 분할된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의 이동에 관한 관리 정보를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제 2 미디어와 상기 분할된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미디어와 그 분할된 콘텐츠의 검증을 행하는 수단과,
    상기 제 1 미디어에 축적된 콘텐츠와, 상기 제 2 미디어에 축적된 상기 분할된 콘텐츠를 결합 처리하는 수단과,
    상기 결합 처리된 경우, 상기 제 2 미디어에 축적된, 상기 분할된 콘텐츠를 재생 불능화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콘텐츠 이동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축적 수단은, 상기 제 1 미디어의 기억 용량이 적어진 경우에, 그 후에 기억해야 할 상기 분할된 콘텐츠를, 동일한 장치 내에 있는 상기 제 1 미디어와는 다른 미디어로서 구비된 상기 제 2 미디어에 축적하는 콘텐츠 이동 관리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축적 수단은, 상기 제 1 미디어의 기억 용량이 적어진 경우에, 그 후 기억해야 할 콘텐츠를 분할된 콘텐츠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제 2 미디어에 송신하여 축적하고,
    상기 저장하는 수단은, 분할되어 축적되어 있는 콘텐츠가 있는지의 여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 2 미디어를 특정하는 정보와, 그 분할된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결합 처리하는 수단은, 상기 제 2 미디어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한 상기 분할된 콘텐츠를 복원하고, 그 복원된 콘텐츠는 상기 제 1 미디어에 축적되는 콘텐츠 이동 관리 시스템.
  7. 미디어간에 콘텐츠를 이동하는 콘텐츠 이동 관리 방법으로서,
    콘텐츠의 이동에 관한 관리를 위한 정보를 기억부에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제 1 미디어에 기억된 콘텐츠를 판독하여 이동하고, 그 콘텐츠를 제 2 미디어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하는, 콘텐츠를 이동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콘텐츠의 이동중에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체크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에러의 발생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미디어에 이동 완료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미디어에 존재하고 있는 그 콘텐츠의 재생을 불능으로 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에러의 발생으로 판단되고, 또한 상기 콘텐츠의 이동을 계속하는 경우, 상기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그 제 2 미디어를 특정하는 정보 및 그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처의 그 제 2 미디어 및 그 콘텐츠의 검증을 행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2 미디어에의 상기 콘텐츠의 이동이 완료된 위치를 파악하고, 계속해서 이동을 개시해야 할 그 콘텐츠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미디어에 기억된 콘텐츠를 판독하여, 그 콘텐츠를 제 2 미디어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하는 콘텐츠를 이동시키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이동 관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이동에 있어서, 그 콘텐츠의 암호화에 이용하는 키 정보를 생성하여, 그 키 정보를 상기 관리를 위한 정보의 1개로서 상기 기억부에 저장하는 제 8 단계와,
    상기 제 2 미디어에의 상기 콘텐츠의 이동이 완료된 경우, 그 제 2 미디어에 상기 키 정보를 기입하는 제 9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이동 관리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제 7 단계에 있어서의 상기 콘텐츠의 이동중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적어도 이동의 계속 또는 상기 제 1 미디어에 있어서의 콘텐츠의 복원을 포함하는 처리를 선택하기 위한 표시를 행하는 제 8 단계를 갖고, 사용자에 의해 그 처리가 선택되는 콘텐츠 이동 관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의 복원이 선택된 경우, 상기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그 제 2 미디어를 특정하는 정보 및 그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처의 상기 제 2 미디어 및 상기 콘텐츠의 검증을 행하는 제 9 단계와,
    상기 제 1 미디어에 있어서의 그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위치를 파악하고, 복원을 개시해야 할 그 콘텐츠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 10 단계와,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미디어에 기억된 콘텐츠를 판독하여, 그 콘텐츠를 제 1 미디어에 기입하는, 콘텐츠의 복원 처리를 행하는 제 11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이동 관리 방법.
  11. 미디어간에 콘텐츠를 이동하는 콘텐츠 이동 관리 방법으로서,
    콘텐츠의 이동에 관한 관리를 위한 정보를 기억부에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제 1 미디어에 기억된 콘텐츠를 판독하여 이동하고, 그 콘텐츠를 제 2 미디어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하는, 콘텐츠를 이동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콘텐츠의 이동중에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체크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에러의 발생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미디어에 이동 완료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미디어에 존재하고 있는 그 콘텐츠의 재생을 불능으로 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에러의 발생으로 판단되고, 또한 상기 콘텐츠의 복원을 행하는 경우, 상기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그 제 2 미디어를 특정하는 정보 및 그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처의 상기 제 2 미디어 및 그 콘텐츠의 검증을 행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1 미디어에 있어서의 그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위치를 파악하고, 복원을 개시해야 할 그 콘텐츠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미디어에 기억된 콘텐츠를 판독하여, 그 콘텐츠를 제 1 미디어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하는 콘텐츠를 복원 처리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이동 관리 방법.
  12. 미디어간에 콘텐츠를 이동하는 콘텐츠 이동 관리 방법을 CPU 상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콘텐츠의 이동에 관한 관리를 위한 정보를 기억부에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제 1 미디어에 기억된 콘텐츠를 판독하여 이동하고, 그 콘텐츠를 제 2 미디어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하는, 콘텐츠를 이동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콘텐츠의 이동중에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체크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에러의 발생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미디어에 이동 완료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미디어에 존재하고 있는 그 콘텐츠의 재생을 불능으로 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에러의 발생으로 판단되고, 또한 상기 콘텐츠의 이동을 계속하는 경우, 상기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그 제 2 미디어를 특정하는 정보 및 그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처의 그 제 2 미디어 및 그 콘텐츠의 검증을 행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2 미디어에의 상기 콘텐츠의 이동이 완료된 위치를 파악하고, 계속해서 이동을 개시해야 할 그 콘텐츠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미디어에 기억된 콘텐츠를 판독하여, 그 콘텐츠를 제 2 미디어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하는 콘텐츠를 이동시키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13. 미디어간에 콘텐츠를 이동하는 콘텐츠 이동 관리 방법을 CPU 상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콘텐츠의 이동에 관한 관리를 위한 정보를 기억부에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제 1 미디어에 기억된 콘텐츠를 판독하여 이동하고, 그 콘텐츠를 제 2 미디어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하는, 콘텐츠를 이동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콘텐츠의 이동중에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체크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에러의 발생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미디어에 이동 완료된 콘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미디어에 존재하고 있는 그 콘텐츠의 재생을 불능으로 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에러의 발생으로 판단되고, 또한 상기 콘텐츠의 복원을 행하는 경우, 상기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그 제 2 미디어를 특정하는 정보 및 그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처의 상기 제 2 미디어 및 그 콘텐츠의 검증을 행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1 미디어에 있어서의 그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한 위치를 파악하고, 복원을 개시해야 할 그 콘텐츠의 위치를 파악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미디어에 기억된 콘텐츠를 판독하여, 그 콘텐츠를 제 1 미디어에 기입하는 처리를 행하는 콘텐츠를 복원 처리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050106873A 2004-12-27 2005-11-09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24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75659A JP2006185016A (ja) 2004-12-27 2004-12-27 コンテンツ移動制御装置及び方法
JPJP-P-2004-00375659 2004-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826A KR20060074826A (ko) 2006-07-03
KR100724032B1 true KR100724032B1 (ko) 2007-06-04

Family

ID=35516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873A KR100724032B1 (ko) 2004-12-27 2005-11-09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74621B2 (ko)
JP (1) JP2006185016A (ko)
KR (1) KR100724032B1 (ko)
CN (1) CN100410902C (ko)
GB (1) GB24216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5260A (ja) * 2006-02-27 2007-09-13 Toshiba Corp コンテンツ記録装置、コンテンツ記録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記録プログラム
WO2007105290A1 (ja) * 2006-03-13 2007-09-20 Fujitsu Limited デジタル放送コンテンツのムーブ機能
KR20080067075A (ko) * 2007-01-15 2008-07-18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광디스크의 암호화 데이터 기록 및 재생방법
US8656499B1 (en) * 2008-03-14 2014-02-18 Sprint Spectrum L.P. Client-side bit-stripping system and method
JP4720847B2 (ja) * 2008-04-21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記録システム、伝送装置、記録装置、及び記録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589697B2 (en) * 2008-04-30 2013-11-19 Netapp, Inc. Discarding sensitive data from persistent point-in-time image
JP5149260B2 (ja) * 2009-10-14 2013-02-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受信端末、コンテンツ再生端末、コンテンツ書き出し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1132245A1 (ja) * 2010-04-19 2011-10-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受信端末、エキスポート再生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13037571A (ja) * 2011-08-09 2013-02-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8638935B2 (en) * 2012-01-12 2014-01-2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key space division and sub-key derivation for mixed media digital rights management content
JP5927968B2 (ja) * 2012-02-14 2016-06-01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外付け記憶装置のためのデータ移動プログラム、データ移動方法、ホスト装置、データ移動システム、及び、外付け記憶装置
JP6301579B2 (ja) * 2012-12-03 2018-03-28 フェリカ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通信端末、通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JP6264059B2 (ja) * 2014-01-23 2018-01-24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ータ記録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292A (ko) * 1999-10-29 2001-06-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콘텐츠 데이터 변환 장치와 그 방법 및 콘텐츠 데이터변환 프로그램 저장 기록 매체
KR20010106325A (ko) * 2001-10-15 2001-11-29 신용태 지동관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가진 무선 pda용 전자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40048161A (ko) * 2002-12-02 2004-06-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망에서의 부가단말기를 위한 drm 적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3702A (en) * 1983-05-27 1986-01-07 M/A-Com Linkabit, Inc. Video signal scrambling and descrambling systems
US5303302A (en) * 1992-06-18 1994-04-12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Network packet receiver with buffer logic for reassembling interleaved data packets
BRPI0005192B1 (pt) * 1999-03-03 2016-04-19 Sony Corp aparelho de processamento de dados, unidade terminal possuindo um meio de gravação não volátil fixável/destacável, e, processos de processamento de dados, e de transmissão de um aparelho de processamento de dados
JP4356178B2 (ja) * 1999-03-09 2009-11-04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EP1049087A3 (en) * 1999-04-27 2004-10-13 Victor Company Of Japan, Ltd. Contents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contents information recording unit, contents information record reproduction method, contents information record reproduction unit and media therefor
US7017176B1 (en) * 1999-06-10 2006-03-21 Cisco Technology, Inc. Data transmission over multiple upstream channels within a cable modem system
EP1313318A1 (en) * 2000-08-25 2003-05-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ata relay method
AU2002232494A1 (en) * 2000-12-07 2002-06-18 Sandisk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back recorded audio, video or other content from non-volatile memory cards, compact disks or other media
JP4512280B2 (ja) * 2001-02-16 2010-07-28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ストリームデータ再生装置
US7050583B2 (en) * 2001-03-29 2006-05-23 Etreppid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data using rotating cryptographic keys
US7298844B2 (en) * 2001-04-11 2007-11-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data moving method, and data deletion method
JP2003101529A (ja) 2001-09-20 2003-04-04 Toshiba Corp コンテンツ管理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削除方法
JP2005505885A (ja) * 2001-10-17 2005-02-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安全な1つのドライブによるコピー方法および装置
CN1628461A (zh) * 2002-02-07 2005-06-1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分发被划分成空间片的视频的方法
JP2003333522A (ja) * 2002-05-17 2003-11-21 Victor Co Of Japan Ltd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US7260738B2 (en) * 2002-06-17 2007-08-2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plitting an image across multiple computer readable media
CN1195274C (zh) * 2003-01-25 2005-03-30 华中科技大学 基于集群视频服务器的节目源分片分布式存储方法
KR100568941B1 (ko) * 2003-10-16 2006-04-07 학교법인 한양학원 동적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방법 및 장치
JP4438527B2 (ja) * 2004-06-18 2010-03-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管理方法、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管理装置
EP1807775A1 (en) * 2004-09-21 2007-07-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Organizing content
JP4448022B2 (ja) * 2004-12-27 2010-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292A (ko) * 1999-10-29 2001-06-25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콘텐츠 데이터 변환 장치와 그 방법 및 콘텐츠 데이터변환 프로그램 저장 기록 매체
KR20010106325A (ko) * 2001-10-15 2001-11-29 신용태 지동관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인증 기능을가진 무선 pda용 전자북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40048161A (ko) * 2002-12-02 2004-06-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망에서의 부가단말기를 위한 drm 적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21601B (en) 2007-04-11
GB2421601A (en) 2006-06-28
US7774621B2 (en) 2010-08-10
GB0522785D0 (en) 2005-12-14
US20060143478A1 (en) 2006-06-29
CN100410902C (zh) 2008-08-13
JP2006185016A (ja) 2006-07-13
CN1804817A (zh) 2006-07-19
KR20060074826A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032B1 (ko) 콘텐츠 이동 제어 장치 및 방법
US7991155B2 (en) Backup management device, backup management method,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integrated circuit, and backup system
US8065498B2 (en) Backup system,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backup device, backup method,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JP4139114B2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管理装置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
JP479287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7814555B2 (en) Information network system and information apparatus
US20080260161A1 (en) Terminal Device and Copyright Protection System
CN1783298B (zh) 数字信息记录再现装置以及数字信息记录方法
US20070283442A1 (en)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And Content Protection System
US20060067529A1 (en)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6185473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4634751B2 (ja) 記憶媒体処理方法、記憶媒体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76082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US7715558B2 (en) Encrypted-content recording medium, playback apparatus, and playback method
US7502294B2 (en) Information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content management program capable of preventing illegal copying of content
JP2000305853A (ja) コンテンツ情報記録方法及びコンテンツ情報処理装置
JP2007164377A5 (ko)
JP2007164377A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2008305463A (ja) 記録再生装置
JP5075250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システム
JP2008262640A (ja) 記録再生装置、及びavデータコピー方法
US8279729B2 (en) Content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0097502A (ja) 暗号化・復号システム、暗号化装置、復号装置、および暗号化・復号方法
JP5175494B2 (ja) 暗号化コンテンツ編集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管理装置
JP2006217218A (ja) 著作権鍵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