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621B1 -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 - Google Patents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621B1
KR100723621B1 KR1020060118111A KR20060118111A KR100723621B1 KR 100723621 B1 KR100723621 B1 KR 100723621B1 KR 1020060118111 A KR1020060118111 A KR 1020060118111A KR 20060118111 A KR20060118111 A KR 20060118111A KR 100723621 B1 KR100723621 B1 KR 100723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opening
sink
ca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선
Original Assignee
박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선 filed Critical 박일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탈취제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가스가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오버플로우관의 상단이 결합되는 버킷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은, 버킷부(10)의 저면에 설치되고 하단에 배수호스가 연결되는 배수구(21)가 형성되며 측면에 오버플로우관(50)이 연결되는 개방구(22)가 형성된 배수통(20), 배수통(20) 내에 설치되는 걸름망(30), 배수통(20) 내에서 걸름망(30) 하부에 설치되어 배수구(21)를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악취방지캡(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에 있어서, 개방구(22)의 입구 내측이 배수통(20) 내의 물의 수위와 악취방지캡(40)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킷부, 배수통, 오버플로우관, 배수구, 개방구, 걸름망, 악취방지캡

Description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Drain unit for sink with the prevention structure of rust occurre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버킷부 20 : 배수통
21 : 배수구 22 : 개방구
23 : 차단막 30 : 걸름망
40 : 악취방지캡 41 : 캡부
50 : 오버플로우관
본 발명은 싱크대용 배수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취제의 사용으로 인해 배수유닛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오버플로우관을 따라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버킷부에서의 녹발생을 방지하도록 된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엌의 싱크대에는 설거지후 음식물 쓰레기가 배수관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하기 위한 걸름망이 설치된다.
싱크대의 걸름망은 금속이나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되며 물만 통과시키고 음식물 쓰레기는 걸러준다. 이처럼 음식물 쓰레기가 걸름망에 걸러지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걸름망의 소구멍에 막히거나 점액이나 곰팡이 등의 오염물질이 생성되어 물 빠짐이 나쁘게 될 뿐만 아니라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종래부터 싱크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고자 걸름망에 탈취제를 넣어 사용하고 있으며, 이것들은 물과 반응하면서 가스를 발생하게 되고 이 가스는 음식물 찌꺼기에서 발생되는 냄새와 중화되면서 악취를 제거하는 효과로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탈취제는 걸름망 내에 물기가 있는 동안에는 계속해서 발생되어 대부분은 싱크대의 상부로 배출되고 일부만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상승하기 때문에 문제가 심각하지 않지만, 식사후 설거지를 할 때에는 탈취제로 인해 발생되는 가스중 극소량만 싱크대의 상부로 배출되고 95% 이상이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상승하게 된다.
이처럼, 탈취제로 인해 발생되는 가스가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상승하게 되면, 오버플로우관의 상단이 연결된 버킷부의 측면홀 주변이 가스로 인해 부식되어 녹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탈취제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가스가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오버플로우관의 상단이 결합되는 버킷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은, 버킷부의 저면에 설치되고 하단에 배수호스가 연결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며 측면에 오버플로우관이 연결되는 개방구가 형성된 배수통, 배수통 내에 설치되는 걸름망, 배수통 내에서 걸름망 하부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악취방지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에 있어서, 개방구의 입구 내측이 배수통 내의 물의 수위와 악취방지캡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개방구의 입구 내측 상단이 악취방지캡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개방구의 입구 내측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차단막이 연장 형성되어 개방구의 입구 내측 일부가 차단되며, 차단막의 하단이 악취방지캡 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은, 버킷부(10)의 저면에 설치되는 배수통(20), 배수통(20) 내에 설치되는 걸름망(30), 배수통(20) 내에서 걸름망(30) 하부로 설치되어 배수구(21)를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악취방지캡(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배수통(20)의 하단에는 배수관이 연결되는 배수구(21)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오버플로우관(50)이 연결되는 개방구(22)가 형성된다.
이 때, 배수구(21)의 상단은 배수통(20) 내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개방구(22)의 입구측은 배수통(20) 내에 저수되는 물의 수위(A-A선)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전술한 악취방지캡(40)은 배수통(2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20a)에 그 양측이 걸려 안착되며, 그 하부에는 배수구(21)의 상단부 일부를 이격되게 감싸는 원통형의 캡부(41)가 형성된다.
한편, 배수통(20)의 측부에 형성된 개방구(22)의 입구 내측은 배수통(20) 내의 수위와 악취방지캡(40)의 캡부(41)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즉, 개방구(22)의 입구 내측 상단은 캡부(41) 하단과의 높이차(h1) 만큼 캡부(41)의 하단 즉, 악취방지캡(40)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미도시된 배수관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는 캡부(41)와 배수구(21) 사이에 채워진 물에 의해 차단된다.
한편, 걸름망(30) 등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걸름망(30)에 탈취제를 넣을 경우, 탈취제가 물과 반응하여 가스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 가스에 의해 악취가 중화된다.
탈취제가 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가스는, 종래기술에서는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버킷부(10)의 측면으로 배출되면서 버킷부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홀 주변을 부식시켰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오버플로우관(50)의 일단이 연결되는 개방구(22) 입구 내측이 배수통(20) 내에 저수되는 물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뿐만 아 니라 그 내측 상단이 악취방지캡(40)의 캡부(41)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걸름망(30)에서 발생된 가스는 설겆이후 버려지는 물에 의해 배수통(20)과 캡부(41) 외측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강한 후 배수통(20) 내에 저수된 물에 공기방울 형태로 섞이게 되고, 물에 섞인 가스는 물보다 밀도가 작기 때문에 상승하려는 특성을 가진다.
이 때, 물에 섞인 가스는 하강하는 물의 압력때문에 배수통(20)과 캡부(41) 사이로는 상승하지 못하고 배수구(21)와 캡부(41) 사이로 상승한 후 배수구(21)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물에 섞인 가스는 캡부(41)의 하단과 개방구(22)의 입구 내측 상단이 갖는 높이차(h1)로 인해 개방구(22)에 도달하기 전에 배수구(21)와 캡부(41) 사이로 먼저 상승하기 때문에 개방구(22)로는 배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탈취제와 물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가스가 버킷부(10)의 측면홀쪽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버킷부(10)에 녹이 발생될 염려가 없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기능을 갖는 동일부재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은, 배수통(20)의 측면에 형성된 개방구(22)의 입구 내측이 배수통(20) 내에 저수되는 물의 수위(A-A)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개방구(22)의 입구 내측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차단막(23)이 연장 형성되어 개방구(22)의 입 구 내측 일부를 차단하게 된다.
이 때, 차단막(23)의 하단은 악취방지캡(40)의 캡부(41)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즉, 차단막(23)의 하단과 캡부(41) 하단은 높이차(h2)가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에 의하면, 악취방지캡(40)의 캡부(41) 하단이 차단막(23)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걸름망(30) 내에서 탈취제와 물이 반응할 때 발생되는 가스가 배수통(20)의 측면에 형성된 개방구(22)로 배출되지 않고 캡부(41)와 배수구(21) 사이를 통해 배수구(21)로 배출된다.
즉, 물에 섞인 공기방울 형태의 가스는 캡부(41)의 하단과 차단막(23)의 하단이 갖는 높이차(h2)로 인해 개방구(22)에 도달하기 전에 배수구(21)와 캡부(41) 사이로 먼저 상승하기 때문에 개방구(22)로는 배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탈취제와 물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가스가 버킷부(10)의 측면홀쪽으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버킷부(10)에 녹이 발생될 염려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에 따르면, 개방구의 입구 내측이 배수통 내의 물의 수위와 악취방지캡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걸름통에 넣어지는 탈취제와 물이 반응할 때 생성되는 가스가 오버플로우관이 연결되는 개방구로 배출되지 않고 배수관이 연결되는 배수구로 배출됨에 따라 가스로 인한 버킷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버킷부(10)의 저면에 설치되고 하단에 배수호스가 연결되는 배수구(21)가 형성되며 측면에 오버플로우관(50)이 연결되는 개방구(22)가 형성된 배수통(20), 상기 배수통(20) 내에 설치되는 걸름망(30), 상기 배수통(20) 내에서 상기 걸름망(3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21)를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악취방지캡(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싱크대용 배수유닛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22)의 입구 내측이 상기 배수통(20) 내의 물의 수위와 상기 악취방지캡(40)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22)의 입구 내측 상단이 상기 악취방지캡(40)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22)의 입구 내측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차단막(23)이 연장 형성되어 개방구(22)의 입구 내측 일부가 차단되며, 상기 차단막(23)의 하단이 상기 악취방지캡(40)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
KR1020060118111A 2006-11-15 2006-11-28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 KR100723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12851 2006-11-15
KR1020060112851 2006-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3621B1 true KR100723621B1 (ko) 2007-06-04

Family

ID=3835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111A KR100723621B1 (ko) 2006-11-15 2006-11-28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6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677U (ko) 1979-06-30 1981-01-24
JPH0540377U (ja) * 1991-10-31 1993-06-01 株式会社ノーリツ 排水トラツプ機構付きの防水パン
JPH08246531A (ja) * 1995-03-14 1996-09-24 Kubota Corp 排水トラップ
KR200143652Y1 (ko) 1996-11-18 1999-06-15 박우진 싱크대용 탈수기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677U (ko) 1979-06-30 1981-01-24
JPH0540377U (ja) * 1991-10-31 1993-06-01 株式会社ノーリツ 排水トラツプ機構付きの防水パン
JPH08246531A (ja) * 1995-03-14 1996-09-24 Kubota Corp 排水トラップ
KR200143652Y1 (ko) 1996-11-18 1999-06-15 박우진 싱크대용 탈수기의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07358A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JP2010077667A (ja) 排水配管
KR100723621B1 (ko) 녹발생 방지구조를 갖는 싱크대용 배수유닛
JP3934588B2 (ja) 排水トラップ構造
JP3721469B2 (ja) 排水配管
JP2008303555A (ja) シンクの排水装置
JP4872055B2 (ja) 排水トラップ
JP2006316472A (ja) 排水トラップ
JP2012001907A (ja) 排水設備
KR200482345Y1 (ko)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JP2018188857A (ja) 排水トラップ
JP5901594B2 (ja) 排水トラップ
JP6326578B2 (ja) 排水部材
KR101130162B1 (ko) 습식 싱크대 배수전의 건식 배수장치
JP2007120022A (ja) 排水トラップ
JP2010048030A (ja) 排水トラップ
KR101703102B1 (ko) 개폐기능 및 역류방지 배수장치
KR200320468Y1 (ko) 우오수받이의 악취차단장치
KR101726293B1 (ko) 물을 사용하지 않고 악취를 차단하면서 위생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소변기용 카트리지
JP5779759B2 (ja) 排水トラップ
JP2005133314A (ja) 排水トラップ
JP6988038B2 (ja) 排水口部材
CN107165253A (zh) 一种可清理地漏
JP2009167591A (ja) 排水トラップ
US20140352045A1 (en) Directional fluid in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