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3582B1 -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3582B1
KR100723582B1 KR1020050118224A KR20050118224A KR100723582B1 KR 100723582 B1 KR100723582 B1 KR 100723582B1 KR 1020050118224 A KR1020050118224 A KR 1020050118224A KR 20050118224 A KR20050118224 A KR 20050118224A KR 100723582 B1 KR100723582 B1 KR 100723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weight
frame
heavy equipment
counter weight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50118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3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에 가해지는 강한 진동과 충격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카운터 웨이트를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는 중장비의 프레임에 카운터 웨이트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카운터 웨이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프레임 후방에 설치되어 카운터 웨이트를 프레임 후방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사이드 도어와 같은 부속품과 카운터 웨이트의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카운터 웨이트 장착 작업의 수행 중에 카운터 웨이트와 프레임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염려가 없고, 중장비의 후방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카운터 웨이트, 평형추, 간격, 유격, 프레임

Description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 {Mounting Structure for Counter Weight of Heavy Equipm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중장비 후방의 일부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라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 장착구조에 있어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 장착구조에 의하여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간격유지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 장착구조에서의 간격유지부재의 변형된 설치예를 도시하는 일부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 장착구조에서의 간격유지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일부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 장착구조에서의 간격유지부재의 변형된 설치예를 도시하는 일부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카운터 웨이트 장착구조 11 : 카운터 웨이터
12 : 프레임 22 : 결합부 32,42 : 지지부
13: 사이드 도어 23 : 고정볼트 34,44 : 와셔
20 : 고정수단 24 : 고정너트 35,45 : 체결용 너트
21a,22a : 관통공 30,40 : 간격유지부재 36 : 체결용 관통공
21 : 장착부 31,41 : 체결부 33.43 : 체결용 나사공
본 발명은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장비의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카운터 웨이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카운터 웨이트가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에는 굴착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붐과 암과 버켓 같은 작업장치가 장착되는데, 이와 같은 작업장치 들은 중량물로 이루어지며 작업장치가 미치는 범위는 중장비의 중심으로부터 멀리까지 이른다. 따라서 중장비가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전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작업장치와의 중량 평형을 고려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중장비 프레임 상의 작업장치 반대측에 카운터 웨이트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중장비 후방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1)는 중장비 프레임(2)의 후방에 장착된다. 카운터 웨이트(1)는 중장비에 작용하는 진동과 충격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2)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함과 아울러 중장비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과의 배치를 고려하여 정확한 설치 위치에 장착되어야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2)의 후방에는 카운터 웨이트(1)가 장착되며, 프레임(2)의 상측에는 사이드 도어(3)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사이드 도어(3)는 중장비의 엔진룸이나 냉각장치 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덮는 커버의 기능을 하는 부분인데, 도 1에서처럼 사이드 도어(3)의 후면은 카운터 웨이트(1)와 인접하며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사이드 도어(3)는 여닫이용 힌지(3a)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전이 가능한데, 소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하기 위해서 카운터 웨이트(1)의 전방 끝부분과 사이드 도어(3) 사이에 소정 거리의 간격이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카운터 웨이트(1)가 프레임(2) 상에 장착될 때에는 도 1에서와 같이 간격 'C' 의 여유를 둔 상태로 설치된다.
카운터 웨이트(1)와 프레임(2) 및 사이드 도어(3) 사이의 간격 'C' 가 일정하지 않다면 중장비의 후방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사이드 도어(3)의 후방 테두리와 프레임(2)의 후방 테두리가 일직선을 이루고, 카운터 웨이트(1)의 전방테두리가 사이드 도어(3) 및 프레임(2)의 테두리 들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야만 사이드 도어(3) 및 프레임(2)과 카운터 웨이트(1)의 테두리 선들이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간격 'C' 가 사이드 도어(3)의 회전 운동을 위한 최소한의 유격보다도 작다면 사이드 도어(3)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라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라 카운터 웨이트가 프레임에 장착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2)의 후방에는 카운터 웨이트(1)를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부(4)가 형성되며, 카운터 웨이트(1)에는 장착부(4)에 대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5)가 형성된다. 따라서 장착부(4)와 결합부(5)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체결용 볼트(6)가 카운터 웨이트(1)의 결합부(5)와 프레임(2)의 장착부(4)를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카운터 웨이트(1)가 프레임(2) 상에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카운터 웨이트(1)를 프레임(2) 상에 장착할 때에는 작업자가 카운터 웨이트(1)의 결합부(5)를 프레임(2)의 장착부(4)에 올려 놓고 카운터 웨이트(1)를 프레임(2) 측으로 밀어서 조립 위치를 조정한 후에 체결용 볼 트(6)를 조립하는데, 이를 행하는 과정 중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프레임(2)과 카운터 웨이트(1) 사이에 끼일 수 있다. 카운터 웨이트(1)의 장착 작업은 중장비를 제작할 때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를 위해 정비를 할 때에도 행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카운터 웨이트(1)와 프레임(2)과 같은 중량물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카운터 웨이트 장착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 장착구조에 있어서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측면도이다. 카운터 웨이트(1)가 프레임(2) 상에 정상적으로 장착된 초기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2)과 카운터 웨이트(1) 사이의 간격 'C' 가 일정하게 형성되지만, 경우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간격이 없어져 버리거나 간격의 크기가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중장비에 가해지는 가혹한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하여 카운터 웨이트(1)의 설치 위치가 조금씩 변형되어 간격의 크기가 줄어들기도 하고, 카운터 웨이트(1)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용 볼트의 접촉면이 자리를 잡는 과정에서 카운터 웨이트(1)의 설치 위치가 변형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1)의 설치 위치가 변형되어 도 4에서처럼 간격이 축소되면 사이드 도어(3)의 개폐가 원활하지 못하며 중장비의 후방 외관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운터 웨이트를 중장비의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운터 웨이트가 중장비의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 간 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카운터 웨이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카운터 웨이트를 장착할 때에 카운터 웨이트와 프레임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는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중장비의 후방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는 중장비의 프레임에 카운터 웨이트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카운터 웨이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프레임 후방에 설치되어 카운터 웨이트를 프레임 후방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는 중장비의 프레임에 카운터 웨이트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프레임에 접하도록 카운터 웨이트 전방에 설치되며 프레임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의 조정이 가능하여 카운터 웨이트를 프레임 후방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는 프레임 후방이나 카운터 웨이트 전방에 결합되는 체결부와, 체결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카운터 웨이트나 프레임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체결부는 프레임의 후방이나 카운터 웨이트 전방에 형성되는 체결용 나사공 에 나사 결합될 수 있고, 프레임의 후방이나 카운터 웨이트 전방에 고정되는 체결용 너트에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간격유지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셔를 개재하여 프레임 후방이나 카운터 웨이트 전방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는 중장비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장착부와 장착부에 대응한 형상으로 카운터 웨이트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연결하여 카운터 웨이트를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프레임 후방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와 체결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카운터 웨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카운터 웨이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의 조정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재와, 간격유지부재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 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 장착구조에 의하여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간격유지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10)는 중장비의 프레임(12)에 카운터 웨이트(11)를 고정하는 고정수단(20)과, 간격유지부재(30)를 포함하 여 이루어져 중장비의 프레임(12)에 카운터 웨이트(11)를 안정적으로 장착함과 아울러 카운터 웨이트(11)가 프레임(12) 후방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면부호 13은 사이드 도어를 지시한다.
프레임(12)은 중장비의 여러 가지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후방에는 카운터 웨이트(11)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1)가 형성된다. 장착부(21)는 용접에 의해 프레임(12)의 후방에 설치되며, 카운터 웨이트(11)와의 결합을 위하여 다수의 관통공(21a)이 형성된다.
카운터 웨이트(11)는 프레임(12)의 후방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카운터 웨이트(11)의 전방에는 프레임(12)의 장착부(21)에 결합되는 결합부(22)가 형성된다. 카운터 웨이트(11)의 결합부(22)는 장착부(21)에 대응한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며, 장착부(21)의 관통공(21a)에 대응한 관통공(22a)이 다수 형성된다. 카운터 웨이트(11)는 고정수단(20)에 의하여 프레임(12)에 고정되는데, 고정수단(20)은 장착부(21)와 결합부(22)의 각 관통공(21a,22a)을 관통하는 고정볼트(23)와 고정볼트(23)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24)를 포함한다.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재(30)를 포함한다. 간격유지부재(30)는 카운터 웨이트(11)와 중장비의 프레임(12) 사이에 설치되어 카운터 웨이트(11)를 프레임(1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간격유지부재(30)는 카운터 웨이트(11)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프레임(12) 후방에 설치되어, 그 후단부가 카운터 웨이트(11)에 접한다.
간격유지부재(30)는 프레임(12)의 후방에 결합되는 체결부(31)와, 체결부 (31)에 일체로 연장되며 형성되는 지지부(32)를 포함한다. 체결부(31)는 프레임(12)과 결합되며 지지부(32)는 카운터 웨이트(11)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간격유지부재(30)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체결부(31)의 외면에는 나사면이 형성되고 지지부(32)는 체결부(31)와 일체로 형성되는 볼트머리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2)의 후방에는 체결부(31)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체결용 나사공(33)이 형성된다.
간격유지부재(30)의 체결부(31)가 체결용 나사공(33)에 결합될 때에는 간격유지부재(30)와 프레임(12)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셔(34)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셔(34)는 카운터 웨이트(11) 방향으로 돌출되는 간격유지부재(30)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요소이며, 와셔(34)의 개수와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함으로써 간격유지부재(3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 장착구조에서의 간격유지부재의 변형된 설치예를 도시하는 일부측면도이다.
간격유지부재(30)의 체결부(31)를 프레임(12)에 결합시키는 구성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체결부(31)가 프레임(12)의 후방에 나사 결합되는 것은 동일하지만, 체결부(31)는 프레임(12)에 고정된 체결용 너트(35)에 나사 결합된다. 체결용 너트(35)는 프레임(12)에 형성되는 체결용 관통공(36)에 내측 나사공을 일치시킨 상태로 하여 프레임(12) 상에 고정된다. 체결용 너트(35)의 설치 위치는 카운터 웨이트(11)에 접하는 프레임(12)의 후면이나 그 반대 측면에 자유로이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용접 기타 여러 가지 방식에 의하여 프레임(12)에 고정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30)를 프레임(12) 상에 설치할 때에 용접에 의해 고정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카운터 웨이트(11) 방향으로 돌출되는 간격유지부재(30)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다른 크기의 간격유지부재(30)를 준비하였다가 카운터 웨이트(11)와 프레임(12) 사이에 요구되는 간격에 맞추어 적절한 크기의 간격유지부재(30)를 선택하는 다소 번거로운 방식을 이용하여야 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 장착구조에서의 간격유지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일부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10A)는 중장비의 프레임(12)에 카운터 웨이트(11)를 고정하는 고정수단(미도시)과, 카운터 웨이트(11)에 설치되는 간격유지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2)에 카운터 웨이트(11)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미도시)와 결합부(미도시)와 고정수단(미도시) 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웨이트 장착구조(1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재(40)를 포함하며, 간격유지부재(40)는 카운터 웨이트(11)와 중장비의 프레임(12) 사이에 설치되어 카운터 웨이트(11)를 프레임(1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상술한 일 실시예와는 달리 카운터 웨이트(11) 상에 설치된다. 간격유지부재(40)는 프레임(12)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카운터 웨이트(11) 전방에 설치된다.
간격유지부재(40)는 카운터 웨이트(11) 전방에 결합되는 체결부(41)와, 체결 부(41)에 일체로 형성되며 프레임(12)의 후방을 지지하는 지지부(42)를 포함한다. 간격유지부재(40)로는 도시된 것과 같이 체결부(41)의 외면에는 나사면이 형성되고 지지부(42)는 볼트머리로 이루어지는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운터 웨이트(11)의 전방에는 체결부(41)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체결용 나사공(43)이 형성된다.
또한 간격유지부재(40)의 체결부(41)가 체결용 나사공(43)에 결합될 때에는 간격유지부재(40)와 카운터 웨이트(11)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셔(44)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셔(44)는 상술한 일 실시예서처럼 프레임(12) 방향으로 돌출되는 간격유지부재(40)의 높이를 조정하며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 장착구조에서의 간격유지부재의 변형된 설치예를 도시하는 일부측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간격유지부재(40)의 체결부(41)를 프레임(12)에 결합시키는 구성을 너트를 이용한 구성으로 변형할 수 있다. 체결부(41)는 용접 기타 여러 가지 방식에 의하여 카운터 웨이트(11)에 설치된 체결용 너트(45)에 나사 결합된다.
간격유지부재(30,40)가 카운터 웨이트(11)를 지지하여 카운터 웨이트(11)가 프레임(12)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간격유지부재(30,4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2)이나 카운터 웨이트(11)의 중량과 크기 및 상호 결합되는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2개, 3개, 4개 등 여러 가지 개수의 간격유지부재(30,40)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간격유지부재(30,40)의 지지부(32,42)는 카운터 웨이트(11) 또는 프레임(12)에 접촉할 수도 있지만, 미소 간격 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도 좋다. 간격유지부재(30,40)를 설치하는 것은 중장비에 가해지는 진동과 충격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카운터 웨이트(11)의 설치 위치가 변형되어 프레임(12)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므로, 간격유지부재(30,40)가 반드시 카운터 웨이트(11) 또는 프레임(12)에 접촉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 장착구조에 의한 결합 상태와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11)를 중장비의 프레임(12) 후방에 장착할 때에는 프레임(12)의 장착부(21)에 카운터 웨이트(11)의 결합부(22)를 결합시킨 후에 장착부(21)와 결합부(22)의 관통공(21a,22a)이 서로 일치할 때까지 카운터 웨이트(11)를 프레임(12)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고정볼트(23)를 장착부(21)와 결합부(22)의 각 관통공(21a,22a)을 차례로 관통시킨 후에 고정너트(24)에 나사 결합시키면 카운터 웨이트(11)는 프레임(12)에 안정적으로 장착된다.
간격유지부재(30,40)는 카운터 웨이트(11)를 프레임(12)에 장착하기 전에 미리 프레임(12) 또는 카운터 웨이트(11)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카운터 웨이트(11)를 프레임(12)을 향하여 강하게 가압하더라도 카운터 웨이트(11)와 프레임(12) 사이의 간격은 미리 설정된 소정 간격 보다 작아지지 아니하므로 작업자의 손가락 등이 끼이는 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카운터 웨이트(11)가 프레임(12)의 후방에 장착되면 간격유지부재(30,40)에 의하여 카운터 웨이트(11)와 프레임(12) 사이의 간격이 소정 거리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중장비를 운행하는 과정 중에 강한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하여 카운터 웨이트(11)와 프레임(12)의 결합 부분에까지 전달되더라도 프레임(12)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30)가 카운터 웨이트(11)를 지지하거나 카운터 웨이터(11)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40)가 프레임(12)의 후방을 지지하여 프레임(12)과 카운터 웨이트(11) 사이의 간격이 소정 거리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에 따르면, 중장비에 가해지는 강한 진동과 충격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카운터 웨이트와 중장비의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소정 거리로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사이드 도어와 같은 부속품과 카운터 웨이트의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카운터 웨이트와 프레임 사이에 손가락이 끼일 염려가 없어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고, 중장비의 후방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중장비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대응한 형상으로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연결하여 상기 카운터 웨이트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상기 프레임 후방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카운터 웨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운터 웨이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의 조정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유지부재; 및
    상기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셔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프레임과 카운터웨이트 사이의 간격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형성되는 체결용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고정되는 체결용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50118224A 2005-12-06 2005-12-06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 KR100723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224A KR100723582B1 (ko) 2005-12-06 2005-12-06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8224A KR100723582B1 (ko) 2005-12-06 2005-12-06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3582B1 true KR100723582B1 (ko) 2007-06-04

Family

ID=3835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224A KR100723582B1 (ko) 2005-12-06 2005-12-06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35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8732A (ja) * 2014-03-19 2015-10-08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建設機械
CN114855731A (zh) * 2022-05-09 2022-08-05 安徽省六安恒源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稳定加固功能的液压抓臂式清污机器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182U (ko) * 1994-07-05 1996-02-14 최이교 캔의 본체와 덮개를 말아 결합하는 시밍로울러
KR970009861U (ko) * 1995-08-28 1997-03-29 중장비 카운트웨이트의 전후방향 조정장치
JPH1193218A (ja) * 1997-09-16 1999-04-0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
JP2000265496A (ja) * 1999-03-12 2000-09-26 Kato Works Co Ltd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およびそ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182U (ko) * 1994-07-05 1996-02-14 최이교 캔의 본체와 덮개를 말아 결합하는 시밍로울러
KR970009861U (ko) * 1995-08-28 1997-03-29 중장비 카운트웨이트의 전후방향 조정장치
JPH1193218A (ja) * 1997-09-16 1999-04-0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
JP2000265496A (ja) * 1999-03-12 2000-09-26 Kato Works Co Ltd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およびその形成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8732A (ja) * 2014-03-19 2015-10-08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建設機械
CN114855731A (zh) * 2022-05-09 2022-08-05 安徽省六安恒源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稳定加固功能的液压抓臂式清污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68759A1 (en) Rack mounted component door system and method
KR100723582B1 (ko)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장착구조
US20140366324A1 (en) Device for repairing hinge area of a door
JP3416108B2 (ja) 蝶 番
KR100419526B1 (ko) 간이착탈형 2축경첩구조
KR100770425B1 (ko) 가구 힌지용 댐핑 장치
JP3214641B2 (ja) ドアサッシュの取付構造
JPH07293094A (ja) 扉ヒンジ構造、及び箱体
JP3707867B2 (ja) 小型油圧ショベルの車体構造及びエンジン組付方法
US20080251305A1 (en) Engine hood door including variable door handle
JP2003343145A (ja) ドア用ピボットヒンジ
JP2533346Y2 (ja) 蝶 番
JP2007063850A (ja) 開閉扉固定装置
KR20100091715A (ko) 건설중장비용 후방체결형 카운터웨이트
JP6308405B1 (ja) 自動ドア用倒れ止め金具
JPH06280436A (ja) 自動車用ドアヒンジの取付構造
JPH07247011A (ja) 保管庫
JPH08284517A (ja) ドア用ピボットヒンジ
JP3709090B2 (ja) ショベルローダのサイドカバー
JP2005178641A (ja) 作業機械の運転室保護構造
JP2004100271A (ja) 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
JPH0741187Y2 (ja) 電子機器筐体の開閉構造
JPH09117021A (ja) 屋外形配電盤
JPH08210012A (ja) ピボット受け金具
JP2591212Y2 (ja) ドアヒンジ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