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772B1 -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772B1
KR100721772B1 KR1020060119544A KR20060119544A KR100721772B1 KR 100721772 B1 KR100721772 B1 KR 100721772B1 KR 1020060119544 A KR1020060119544 A KR 1020060119544A KR 20060119544 A KR20060119544 A KR 20060119544A KR 100721772 B1 KR100721772 B1 KR 100721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r
sensor
road
retaining wall
warn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국토안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19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66Rock or ground anchors having deformation measur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된 펜스의 노후 정도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후 시설물 그 교체시기에 유지/보수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노후 시설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된 옹벽블록과 상기 옹벽블록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수직바 및 비탈면의 낙석이 도로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바와 수직바 사이에 연결된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의 인접한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공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공의 인접한 일측에 다수개의 설치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옹벽블록에 앵커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공을 갖는 설치플레이트가 돌출/형성되며, 후방에 차양막을 갖는 연결홀이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바의 기울기 각도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개구공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수직바의 기울기 각도에 따라 그 기울기 정도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점등 및 점멸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프링, 이동자, 센서, 차양막

Description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A safe diagnosis device of way travel expense falling rock prevention pence}
도 1은 종래 펜스시설을 타나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중 커버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측면도,
도 5a, 5b, 5c,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펜스시설 30 : 도로
110 : 커버 120 : 센서부
121 : 가이드구 126 : 가이드
130 : 발광부 131 : 본체박스
135 : 체결구 S : 탄성스프링
B : 옹벽블록
본 발명은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 설치된 펜스의 노후 정도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후 시설물을 그 교체시기에 유지/보수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노후 시설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이 근접한 부위에 택지를 조성하거나 도로공사 등의 구간에는 비탈면의 토사 및 낙석 등이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펜스시설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펜스시설을 타나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펜스시설(10)은 도로(30)의 인접한 일측에 옹벽블록(B)을 연속 반복되게 설치하고, 상기 옹벽블록(B)에는 "H"빔(20)을 등간격으로 연속 반복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H"빔(20)은 상기 옹벽블록(B)의 상방으로 소정높이 돌출되게 설치한 후, 상기 "H"빔(20)과 "H"빔(20) 사이에는 그물망(40)을 연결/설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그물망(40)을 통해 비탈면을 이루고 있는 낙석 등이 도로(3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펜스시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펜스시설은 시설의 노화를 미리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 없기 때문에 사고 발생시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H"빔은 그물망으로 낙석이 충돌시 그물망을 견고히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설치 후 오랜 기간이 지나면 그 지지력이 약해져 서서히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를 육안으로는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종래 펜스 시설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도로에 설치된 펜스의 노후 정도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후 시설물을 그 교체시기에 유지/보수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노후 시설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따른 목적은 어두운 도로에서 차량의 진행방향 및 시설물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차량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한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된 옹벽블록과 상기 옹벽블록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수직바 및 비탈면의 낙석이 도로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바와 수직바 사이에 연결된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의 인접한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공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공의 인접한 일측에 다수개의 설치공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옹벽블록에 앵커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공을 갖는 설치플레이트가 돌출/형성되며, 후방에 차양막을 갖는 연결홀이 형성된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바의 기울기 각도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개구공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수직바의 기울기 각도에 따라 그 기울기 정도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점등 및 점멸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커버의 내측 옹벽블록에 설치되며, 하부에 복수개의 결합공을 갖는 연결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부에 슬릿홈을 갖는 가이드관이 돌출/형성된 가이드구;
상기 가이드관의 내측에 삽입/설치된 탄성스프링;
상기 수직바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관에 하부가 삽입/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수직바의 측면에 접하며, 중간에 상기 수직바의 기울기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자가 돌출/형성된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관의 일측에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이동자의 이동위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발광부로 인가하기 위한 제1 센서와 제2 센서 및 제3 센서가 등간격으로 설치된 돌출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개구공에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상/하부에 연결공을 갖는 결합편이 돌출/형성되며, 전면에 투시창이 설치된 본체박스;
상기 본체박스의 후방에 설치/고정되며, 상기 센서부 및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연결관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 및
상기 본체박스에 내설되며, 상기 제1 센서, 제2 센서 및 제3 센서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인가받아 선택적으로 점등 및 점멸하는 제1 경고등, 제2 경고등 및 제3 경고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경고등, 제2 경고등 및 제3 경고등은 야간에 차량의 진행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차량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화살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중 커버의 후방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100)는 커버(110), 센서부(120) 및 발광부(130)를 포함 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110)는 상기 수직바(H)의 인접한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그 내측에 공간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일측면에 개구공(113)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공(113)의 인접한 일측에 다수개의 설치공(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10)는 그 하부에 상기 옹벽블록(B)에 앵커볼트(B)로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공(115)을 갖는 설치플레이트(117)가 돌출/형성되며, 후방에 연결홀(11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홀(118)의 내주면 양단부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차양막(119)이 서로 접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수직바(H)의 기울기 각도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커버(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센서부(120)는 가이드구(121), 탄성스프링(S), 가이드(126) 및 돌출편(12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구(121)는 상기 커버(110)의 내측 옹벽블록(B)에 설치되며, 하부에 연결플레이트(122)가 형성되고, 상부에 가이드관(123)이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플레이트(122)는 그 내측에 복수개의 결합공(12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관(123)의 상부에는 슬릿홈(125)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관(123) 내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탄성스프링(S)이 삽입/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26)는 상기 수직바(H)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그 하부가 상기 가이드관(123)에 삽입/연결되어 상기 탄성스프링(S)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가 상기 수직바(H)의 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126)는 그 중간 에 상기 수직바(H)의 기울기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자(127)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관(123)의 일측에 돌출/형성된 돌출편(128)은 그 상부에 상기 이동자(127)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발광부(130)로 인가하기 위한 제1 센서(129a)와 제2 센서(129b) 및 제3 센서(129c)가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발광부(130)는 상기 센서부(120)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수직바(H)의 기울기 각도에 따라 그 기울기 정도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점등 및 점멸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발광부(130)는 본체박스(131), 체결구(135) 및 제1,2,3 경고등(139a,139b,139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박스(131)는 상기 개구공(113)에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상/하부에 결합편(132)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편(132)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연결공(133)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박스(131)는 그 전면에 외부에서 그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시창(13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구(135)는 상기 본체박스(131)의 후방에 볼트에 의해 설치/고정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135)의 내측에는 상기 센서부(120) 및 발광부(1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연결관(136)이 삽입/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선연결관(136)에 내설된 전선(L)는 상기 센서부(120) 및 발광부(130)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 경고등(139a), 제2 경고등(139b) 및 제3 경고등(139c)은 상 기 본체박스(131)에 내설된다.
이때, 상기 제1 경고등(139a), 제2 경고등(139b) 및 제3 경고등(139c)은 야간에 차량의 진행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차량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화살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의 결합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수직바(H)의 인접한 양측 옹벽블록(B)의 상부에 커버(110)를 설치하되, 그 커버(110) 하부에 하향돌출형성되는 설치플레이트(117)의 체결공(115)에 앵커볼트(B)를 삽입하여 옹벽블록(B)의 측면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커버(110)의 내측 공간부(111)에 위치한 옹벽블록(B) 상면에는 가이드구(121)의 연결플레이트(122)를 접하도록 위치시킨 후, 상기 연결플레이트(122)의 결합공(124)에 볼트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옹벽블록(B)에 가이드구(121)가 견고히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구(121)에 설치된 가이드(126)는 상기 차양막(119) 사이를 통해 그 상부가 상기 수직바(H)와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바(H)의 기울기 정도에 따라 상기 가이드(126)의 이동자가 슬릿홈(125)을 통해 이동하며, 이와 같은 이동자(127)의 움직임을 상기 제1 센서(129a), 제2 센서(129b) 및 제3 센서(129c)가 감지하여 그 신호를 발광부(130)로 전달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도로용 낙석방지펜스의 안전진단장치는 도로에 설치된 펜스의 노후 정도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후 시설물을 적기에 유지/보수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노후 시설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5b, 5c,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5a는 상기 수직바(H)가 수직을 위치하고 있는 상태로, 이때, 상기 센서부(120)에서는 어떠한 신호도 인가되지 않으며, 발광부(130)의 제1 경고등(139a), 제2 경고등(139b) 및 제3 경고등(139c)은 모두 점등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5b는 상기 수직바(H)가 1단계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수직바(H)가 기울어지면, 상기 수직바(H)와 접하고 있는 가이드(126) 및 이동자(127)가 함께 이동한다.
이와 같은 이동자(127)의 동작을 상기 제1 센서(129a)가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1 경고등(139a)에 인가한다.
이에, 상기 제1 센서(129a)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1 경고등(139a)은 점등동작에서 점멸동작으로 바뀌어 상기 수직바(H)가 1단계로 소정각도 기울어져 있음을 예고한다.
또한, 도 5c는 상기 수직바(H)가 2단계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수직바(H)의 기울어짐 정도에 따라 상기 이동자(127)가 상기 1단계보다 더 아래로 함께 이동한다.
이와 같은 이동자(127)의 동작을 상기 제2 센서(129b)가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2 경고등(139b)에 인가한다.
이에, 상기 제2 센서(129b)의 신호를 전달받은 제2 경고등(139b)은 점등동작에서 점멸동작으로 바뀌어 상기 수직바(H)가 2단계로 소정각도 기울어져 있음을 경고한다.
이때, 상기 제1 경고등(139a)과 제2 경고등(139b)은 동시에 점멸동작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d는 상기 수직바(H)가 3단계로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수직바(H)의 기울어짐 정도에 따라 상기 이동자(127)가 상기 제2 단계보다 더 아래로 함께 이동한다.
이와 같은 이동자(127)의 동작을 상기 제3 센서(129c)가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3 경고등(139c)에 인가한다.
이에, 상기 제3 센서(129c)의 신호르 전달받은 제3 경고등(139c)은 점등동작에서 점멸동작으로 바뀌어 상기 수직바(H)가 3단계로 소정각도 기울어져 위험한 상황임을 알린다.
이때, 상기 제1 경고등(139a), 제2 경고등(139b), 제3 경고등(139c)은 모두 점멸동작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경고등(139a), 제2 경고등(139b) 및 제3 경고등(139c)을 통해 차량의 원활한 통행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수직바(H)의 기울기 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유지/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에 설치된 펜스의 노후 정도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후 시설물을 적기에 유지/보수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노후 시설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두운 도로에서 차량의 진행방향 및 시설물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차량주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도로의 인접한 일측에 설치된 옹벽블록과 상기 옹벽블록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수직바 및 비탈면의 낙석이 도로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바와 수직바 사이에 연결된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H)의 인접한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내측에 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개구공(113)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공(113)의 인접한 일측에 다수개의 설치공(114)이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옹벽블록(B)에 앵커볼트(B)로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공(115)을 갖는 설치플레이트(117)가 돌출/형성되며, 후방에 차양막(119)을 갖는 연결홀(118)이 형성된 커버(110)와;
    상기 커버(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바(H)의 기울기 각도에 따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커버(110)의 내측 옹벽블록(B)에 설치되며, 하부에 복수개의 결합공(124)을 갖는 연결플레이트(122)가 형성되고, 상부에 슬릿홈(125)을 갖는 가이드관(123)이 돌출/형성된 가이드구(121)와, 상기 가이드관(123)의 내측에 삽입/설치된 탄성스프링(S)과, 상기 수직바(H)의 기울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관(123)에 하부가 삽입/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수직바(H)의 측면에 접하며, 중간에 상기 수직바(H)의 기울기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자(127)가 돌출/형성된 가이드(126) 및 상기 가이드관(123)의 일측에 돌출/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이동자(127)의 이동위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발광부(130)로 인가하기 위한 제1 센서(129a)와 제2 센서(129b) 및 제3 센서(129c)가 등간격으로 설치된 돌출편(128)으로 이루어지는 센서부(120)와;
    상기 개구공(113)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120)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수직바(H)의 기울기 각도에 따라 그 기울기 정도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점등 및 점멸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발광부(130);로 구성되어지되,
    그 발광부(130)는 상기 커버(110)의 개구공(113)에 삽입/연결될 수 있도록 상/하부에 연결공(133)을 갖는 결합편(132)이 돌출/형성되며, 전면에 투시창(134)이 설치된 본체박스(131)와, 상기 본체박스(131)의 후방에 설치/고정되며, 상기 센서부(120) 및 발광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연결관(136)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135) 및 상기 본체박스(131)에 내설되며, 상기 제1 센서(129a), 제2 센서(129b) 및 제3 센서(129c)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인가받아 선택적으로 점등 및 점멸하는 제1 경고등(139a), 제2 경고등(139b) 및 제3 경고등(139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고등(139a), 제2 경고등(139b) 및 제3 경고등(139c)은 야간에 차량의 진행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차량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화살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
KR1020060119544A 2006-11-30 2006-11-30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 KR100721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544A KR100721772B1 (ko) 2006-11-30 2006-11-30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544A KR100721772B1 (ko) 2006-11-30 2006-11-30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772B1 true KR100721772B1 (ko) 2007-05-25

Family

ID=38278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544A KR100721772B1 (ko) 2006-11-30 2006-11-30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7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817B1 (ko) 2007-08-21 2007-12-21 한국씨엠이엔지(주) 도로 비탈면의 낙석 경고장치를 이용한 안전진단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2660A (ko) * 1997-05-08 1998-12-05 이창남 구조물 부재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자동 변각계
JP2000275071A (ja) 1999-03-29 2000-10-06 Sho Bond Constr Co Ltd 岩盤崩落・落石監視装置
JP2003315215A (ja) 2002-04-18 2003-11-06 Shimizu Corp 構造物の損傷検知センサ
KR100615906B1 (ko) 2006-06-08 2006-08-28 (주)단건축사사무소 가로등 기능과 배수 기능을 가진 주택단지내 옹벽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2660A (ko) * 1997-05-08 1998-12-05 이창남 구조물 부재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자동 변각계
JP2000275071A (ja) 1999-03-29 2000-10-06 Sho Bond Constr Co Ltd 岩盤崩落・落石監視装置
JP2003315215A (ja) 2002-04-18 2003-11-06 Shimizu Corp 構造物の損傷検知センサ
KR100615906B1 (ko) 2006-06-08 2006-08-28 (주)단건축사사무소 가로등 기능과 배수 기능을 가진 주택단지내 옹벽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817B1 (ko) 2007-08-21 2007-12-21 한국씨엠이엔지(주) 도로 비탈면의 낙석 경고장치를 이용한 안전진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8077B1 (ko) 도로 높이 제한틀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KR100722868B1 (ko) 보행자 안전장치
KR101001043B1 (ko) 횡단보도
KR101131851B1 (ko) 횡단보도의 야간 조명 및 보조 신호등 기능을 구비한 볼라드
KR20160029044A (ko) 횡단보도 발광시스템
KR20110043115A (ko)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
KR100981889B1 (ko) 횡단보도 안내장치
KR100721772B1 (ko) 도로용 낙석방지 펜스의 안전진단장치
KR102259940B1 (ko)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도로 반사경장치
KR100977609B1 (ko) 중앙분리대의 엘이디 제어방법
KR101337335B1 (ko) 볼라드
KR100995337B1 (ko) 차량 유도장치를 갖는 중앙분리대
KR102151974B1 (ko) 무신호등 횡단보도 보행자 알림장치
KR20230077157A (ko) 어린이보호구역 도로 난간용 led지주
KR200215163Y1 (ko) 교량난간용 포스트
KR20120002003U (ko) 보행 신호의 가시각을 확장시킨 신호등 장치
KR100705392B1 (ko) 황색차선이 표시된 차선침범 방지턱
KR20170115887A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0389220Y1 (ko) 황색차선이 표시된 차선침범 방지턱
KR100944448B1 (ko) 보행자용 통합 신호등 장치
KR102722575B1 (ko) 측구 전용 스틸그레이팅
KR101098479B1 (ko) 교통 신호 표시기
KR102718434B1 (ko) 경계석용 스마트 조명장치
KR100596535B1 (ko) 안개 상습 출몰구간의 도로 안전진단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