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809B1 - 마루 구조 - Google Patents

마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809B1
KR100720809B1 KR1020060023907A KR20060023907A KR100720809B1 KR 100720809 B1 KR100720809 B1 KR 100720809B1 KR 1020060023907 A KR1020060023907 A KR 1020060023907A KR 20060023907 A KR20060023907 A KR 20060023907A KR 100720809 B1 KR100720809 B1 KR 100720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elastic body
buffer
wire
floo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쓰시 마쓰요시
Original Assignee
산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023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E04F15/02476Screw jacks height-adjustable from the upper side of the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Abstract

체육관, 다목적 홀 등의 마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운동사용시의 탄력성능이 뛰어난 동시에 과대한 하중에도 견딜 수 있으며, 시공성에도 뛰어난 마루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슬라브에 세워 설치한 지지각에 지지된 멍에부재(4)와, 상기 멍에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판에 연속된 산부(山部)와 곡부(谷部)가 형성된 데크 플레이트(6)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곡부에 배치된 완충구(9)와, 이 완충구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면부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산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장선재(12)와, 상기 장선재의 상부에 부설되는 마루재를 가지며, 상기 장선재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완충구의 압축 변형이 소정량에 이르렀을 때,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산부에 상기 마루재가 맞닿아 상기 완충구의 변형이 규제되는 구성이다.
스포츠, 마루, 데크 플레이트, 탄성, 시공

Description

마루 구조{Floor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마루 구조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루 구조의 측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루 구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마루 구조에 있어서의 완충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a는 마루 구조에 있어서의 완충구의 또 다른 형태의 사시도를, 도 5b는 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예에 따른 마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지지각 4 : 멍에부재
6 : 데크 플레이트 8 : 받음구
9 : 완충구 10, 11, 13 : 탄성체
12 : 장선재 43, 62 : 받음부
44, 74 : 규제부 48, 69 : 부착부(절개부)
57, 70 : 빠짐막음편
본 발명은, 체육관, 다목적 홀 등에 있어서 운동 경기 외에 각종 이벤트를 실시할 수 있는 마루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체육관 등의 대형 건물은, 운동의 장소로서 충분한 운동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마루 지지장치에는 마루와의 사이에 탄성체를 설치하거나, 혹은 멍에부재를 탄성체로 지지하는 구조를 채택하여, 탄력성능이 좋은 마루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체육관 등이 통상적으로 운동을 실시하는 장소로서 이용되는 것 외에도, 콘서트 등의 각종 이벤트장소로서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체육관을 이벤트 장소로서 사용할 경우, 장소의 설정 등을 위해서 포크리프트 등의 중량 기계가 관내의 마루 위를 주행하거나, 또는 다수의 인원수가 관내에 출입하기 때문에 마루에는 과대한 중량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이벤트 장소로서도 사용되는 체육관에서는, 마루의 지지장치는 미리 과대한 중량에 견딜 수 있도록 견뢰(堅牢)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과대한 중량에 견딜 수 있는 마루 구조의 마루는 매우 딱딱하고 탄력성능이 나쁜 구조가 되어, 운동을 하는 사람의 아킬레스건을 손상시키거나, 또한 넘어졌을 때에 타박상, 부상 등을 일으키기 쉬운 등 안전성에서도 문제를 발생시켜, 통상적으로 운동을 실시하는 장소로서 충분한 운동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
이에 대해서, 특허문헌 1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각(80)의 상부에 탄성체의 변형량을 제한하는 규제부재(82)가 배치되고, 마루판(84)으로부터 탄 성체(86)를 소정량 이상 변형시키는 하중이 작용할 경우, 마루판으로부터의 하중이 규제부재(82)를 통하여 멍에부재(88)에 직접 작용하는 마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지지각의 높이 방향 중간부에 흡진재가 설치되어, 이 흡진재의 세로압축이 소정량에 이르렀을 때에 서로 맞닿을 수 있는 상부 및 하부의 압축 제한편이 설치되어 있는 마루용 동자기둥 기초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평2-24036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평7-324418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마루 구조는, 탄력성을 확보하는 탄성체층의 변위량을, 스토퍼 금속부품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제한하는 형태이다. 이를 위해서, 스토퍼 금속부품의 강도 및 이것을 받아내는 부재의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고, 또한 내구성에 대해서도 고려에 넣을 필요가 있으므로, 설계상으로도 곤란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운동 사용시의 탄력성능이 뛰어난 동시에 과대한 하중에도 견딜수 있으며, 또한 시공성에도 뛰어난 마루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마루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브에 세워 설치한 지지각에 지지된 멍에부재(4)와, 상기 멍에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판에 연속된 산부(山部)와 곡부(谷部)가 형성된 데크 플레이트(6)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곡부에 배치된 완충구(9)와, 이 완충구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면부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산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장선재(12)와, 상기 장선재의 상부에 부설되는 마루재를 가지며, 상기 장선재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완충구의 압축 변형이 소정량에 이르렀을 때,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산부에 상기 마루재가 맞닿아 상기 완충구의 변형이 규제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루 구조는 도 2, 4,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완충구(9)는, 상기 장선재를 설치하는 부착부(48, 69)가 설치된 탄성체(10), 이 탄성체가 얹어놓여지는 받음부(43, 62), 및 이 받음부로부터 위쪽으로 굴곡하고 계속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부에 이어진 날개부(46)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는, 상기 받음부의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곡부의 부근까지 연이어 나오는 규제부(44, 74)를 가진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루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선재(12)는, 상면부, 측면부 및 이들 측면부의 하단의 좌우부로부터 각각 안쪽으로 굴곡하는 걸어멈춤부(56)로 이루어지는 단면이 C자 형상의 기다란 부재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완충구(9)에는, 상기 탄성체(10)의 상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장선재의 걸어멈춤부에 걸어멈춤되어, 상기 장선재(12)와 함께 상기 탄성체(10)를 상기 받음부(43, 62)와의 사이에 구속하는 빠짐막음편(57, 70)이 설치된 구성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루 구조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마루 구조는, 체육관, 다목적 홀 등에서 운동 경기 외에 각종 이벤트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2는 상기 마루 구조의 측면도를, 도 3은 상기 마루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마루 구조는, 지지각(2), 멍에부재(4), 데크 플레이트(6), 완충구(9), 장선재(12), 파티클 보드(Particle Board, 14), 구조용 합판(16) 및 마루판(18)을 가진다.
상기 지지각(2)은, 지지대(20), 지지 볼트(22), 너트(24), 워셔(26), 유지구(28) 및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착구(30)를 가진다. 이 지지각(2)은, 지지볼트(22) 및 너트(24)를 조절함으로써, 유지구(28)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멍에부재(4)는 단면이 사각형 형상이고, 상면판부(32), 측면부(34) 및 하면판부(36)로 이루어지는 강제(鋼製)의 사각 파이프이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6)는, 강판을 연속적인 산곡(山谷) 형상(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한 판재로서, 산부의 정수리부를 형성하는 상면부(38), 경사진 형상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판부(40) 및 곡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면부(4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6)의 산부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정수리부의 상면부(38)는 평탄하고, 곡부의 바닥면으로서의 하면부(42)도 평탄한 구성이기 때문에, 높은 강도가 확보됨과 동시에 부재를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완충구(9)는, 탄성체(10)와 받음구(8)로 이루어진다. 이 탄성체(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고무, 합성수지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진다. 탄성체(10)의 좌우 측면부에는, 상기 장선재(12)를 부착하기 위해서, 안쪽을 향해서 약간 절개된 절개부(4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10)에는, 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 가로방향으로 관통한 구멍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받음구(8)는, 중앙에 형성된 평탄한 받음부(43), 이 받음부의 전후 부위를 아래쪽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규제부(44), 및 좌우 부위를 경사진 위쪽으로 굴곡하여 선단부를 바깥방향으로 하여 부착부(45)를 설치한 날개부(46)를 가지고 있다. 상기 탄성체(10)는, 받음구(8)의 받음부(43)에 가류(加硫)접착이나 접착제 등으로 고정된다.
상기 장선재(12)는, 상면부(52), 측면부(54) 및 이들 측면부(54) 하단의 좌우부로부터 각각 안쪽으로 굴곡하는 걸어멈춤부(56)로 이루어지는 단면이 C자 형상인 기다란 채널 강(鋼)이다. 상기 완충구(9)는, 탄성체(10)의 절개부(48)에 장선재(12)의 걸어멈춤부(56)를 걸어멈춤시켜 장선재(12)를 고정한다.
도 4는, 다른 형태의 완충구(9)를 나타낸 것이다. 이 완충구(9)는, 빠짐막음편(57)을 이용하여, 받음구(8)의 상부에 탄성체(11)를 통하여 장선재(12)를 고정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 빠짐막음편(57)은, 보강을 위해 사각형상의 기판의 좌우부를 아래쪽에 굴곡 성형한, 단면이 ㄷ자 형상의 판재이며, 중앙부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11)에는 중앙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받음구(8)의 받음부(43)의 중앙에도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빠짐막음편(57)을, 장선재(12)의 걸어멈춤부(56)의 안쪽에 결합시키고, 볼트(58)를 빠짐막음편(57)으로부터 탄성체(11) 및 받음부(43)에 걸쳐서 삽입 통과시켜, 받음부(43)의 하부에서 너트(59)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장선재(12) 를 완충구(9)에 구속 유지한다. 이 빠짐막음편(57)에 의해, 상하 진동 등에도 장선재가 완충구로부터 빠져나가는 경우가 없다.
도 5는, 또 다른 형태의 완충구(9)를 나타낸 것이다. 이 완충구(9)는, 받음부재(60), 탄성체(13), 빠짐막음편(70) 및 규제부재(71)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음부재(60)는, 중앙에 형성된 평탄한 받음부(62), 이 받음부(62)의 전후 부위를 위쪽으로 굴곡한 플랜지부(64), 및 좌우 부위를 경사진 위쪽으로 굴곡하여 선단부를 바깥방향으로 하여 부착부(68)를 형성한 날개부(66)를 가지고 있다.
상기 탄성체(13)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고무, 합성수지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좌우의 측면부에는 상기 장선재(12)를 부착한 절개부(69)가 설치되어 있다. 빠짐막음편(70)은, 사각형상의 기판의 좌우부를 아래쪽으로 굴곡 성형한 단면이 ㄷ자 형상의 판재이다. 규제부재(71)는, 수나사가 새겨 설치된 기둥부의 상부 및 중간부에, 각각 고정붙임부재(75) 및 플랜지부(76)가 형성되는 형태이다.
상기 완충구(9)는, 받음부(62)의 상부에 탄성체(13)를 얹어놓고, 이 탄성체(13) 위에 빠짐막음편(70)을 배치한다. 이들 받음부(62), 탄성체(13) 및 빠짐막음편(70)의 중앙부에는 상하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3부재 사이에 규제부재(71)의 원기둥부를 삽입하여 통과시킨다. 이 규제부재(71)는, 원기둥부의 하부에는 이 원기둥부로부터 팽창된 플랜지부(76)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탄성체(13)를 고정하는 스프링 워셔나 너트로 이루어지는 고정붙임부재(7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체(13)의 절개부(69)에, 장선재(12)의 걸어멈춤부(56)을 결합하여 고정한다. 또한, 상기 규제부재(71)에는, 상기 받음부(62)의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데크 플레이트의 곡부의 하면부(42)까지 연이어 나오는 규제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규제부(74)에 의해, 장선재가 강고하게 데크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충격에도 강하다.
그런데 상기 마루 구조는, 데크 플레이트(6)의 하면부(42)에 상기 완충구(9)를 배치하고, 장선재(12)를 탄성 지지한다. 이 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선재(12)의 상면부(52)의 위치는, 데크 플레이트(6)의 상면부(38)보다 소정간격(h)만큼 높아지도록 구성한다.
이 장선재(12)의 상부에는 마루재가 부설되어, 큰 하중이 걸렸을 경우, 상기 소정간격 (h)의 치수분만큼 완충구(9)의 탄성체(10)가 압축 변형하고, 이 때문에 장선재(12)의 상면부(52)는 데크 플레이트(6)의 상면부(38)와 동등한 높이가 되고, 이 상태에서 마루재는 데크 플레이트(6)의 상면부(38)에서 지지되어 탄성체(10)의 압축이 제한된다.
여기서, 상기 마루 구조의 시공에 대하여 설명한다. 슬라브면(1)에 세워 설치하여 고정한 상기 지지각(2)의 유지구(28) 사이에 상기 멍에부재(4)를 가설(架設)하고, 지지각(2)의 지지 볼트(22) 및 너트(24)를 조작하여 유지구(28)의 높이를 조정한다. 이 멍에부재(4)는, 유지구(28)의 측면부(33)로부터 고정부착구(30)를 걸치고, 이것을 멍에부재(4)의 측면부(34)에 마련된 구멍을 관통시켜 유지구(28)에 유지 고정한다. 다음에, 멍에부재(4)의 상부에, 이 멍에부재(4)와 홈 방향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데크 플레이트(6)를 배치한다. 이 데크 플레이트(6)는, 인접한 데크 플레이트(6)끼리의 일부를 겹쳐 맞추어 전체적으로는 연속된 산곡(山谷) 형상으 로 배치한다.
다음에, 장선재(12)를 완충구(9)와 함께 데크 플레이트(6)의 하면부(42)에 배치한다. 이 때, 완충구(9)에 설치된 탄성체(10)의 절개부(48)에 장선재(12)의 걸어멈춤부(56)를 결합하여 부착한다. 이렇게 해서 장선재(12)에는 복수의 완충구(9)가 부착된다.
그리고, 데크 플레이트(6)의 하면부(42)에 완충구(9)의 규제부(44)를 얹어 놓는 한편, 날개부(46)의 부착부(45)를 데크 플레이트(6)의 상면부(38)에 나사(39) 등의 고정부착구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탄성체(10)를 데크 플레이트(6)의 하면부(42)와 같은 안정된 위치에 고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탄성체의 경도에 좌우되지 않는 설계가 이루어지고, 이 때문에 탄력성능이 높은 탄성체(10)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탄력성능을 높은 수준으로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종래 기술의 완충규제구는 큰 하중이 걸릴 때, 스토퍼 금속부품은 이 하중에 견딜수 있는 구성을 취하지 않으면 아니 되지만, 상기 마루 구조는 이 스토퍼 금속부품을 이용하지 않는 구성이기 때문에, 무리없이 높은 내(耐) 하중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 상태로, 장선재(12)는 완충구(9)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이 장선재(12)의 상면부(52)는, 데크 플레이트(6)의 상면부(38)보다도 소정간격(h)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간격(h)은, 완충구(9)의 탄성체(10)의 탄성강도(경도)에 따라 다르지만, 5mm∼10mm가 적당하고, 여기에서는 7mm로 하고 있다. 또한, 플로어(Floor)로서 각종 운동 경기 성능에 맞는 탄성력을 얻기 위해서, 탄성체(10)의 탄성강도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장선재(12)의 상부에는 마루재로서, 초배{사판(捨板)}로서 파티클 보드(14) 및 구조용 합판(16)을 배치하고, 이 위에 마루판(18)을 부설한다. 한편, 데크 플레이트(6)의 상면부(38)에는, 받음구(8)의 부착부(45)가 개재하지만, 이 부착부(45)는 작은 부분이므로 데크 플레이트(6)의 하면부에 파고 들어가기 때문에 상기 소정간격(h)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데크 플레이트에서 주력이 되는 마루 밑바탕 구조를 구성하고, 마루판 등에서 마무리하는 2중 구성의 마루 조합으로 함으로써, 그 사이에 탄성압축이 가능한 소정간격의 틈새를 확보하여, 플로어로서 변위의 억제기구를 가진 마루 구조가 구성되고 있다.
상기 마루 구조에 의해, 통상 마루판(18) 등은 장선재(12)에 의해서 지지되고, 이 장선재(12)는 완충구(9)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스포츠 등에서의 가압력에 대해서 적합한 탄력성을 가진 스포츠 플로어가 된다. 한편, 전시회나 콘서트 등의 이벤트 개최시에 포크리프트 등의 중량물이 플로어를 이동할 때에는, 마루판(18) 등으로부터 장선재(12)에 가해지는 가압력 때문에 탄성체(10)는 탄성 압축하고, 소정 압축후에는 마루재는 데크 플레이트(6)의 상면부(38)에서 강고하게 지지되어 탄성체의 압축이 규제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와 관련된 마루 구조에 의하면, 스포츠 시설로서 양호한 완충성을 가진 플로어를 얻을 수 있는 한편, 이벤트 개최시에는 중량물이라 하더라도 데크 플레이트 등의 밑바당 조합 부분으로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기 때문에, 높은 내(耐)하중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완충구가 데크 플레이트의 하면부와 같은 안정된 위치에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탄력성이 높은 탄성체를 선택할 수 있어, 운동시의 탄력성능을 높은 수준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시공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루 구조에 의하면, 멍에부재의 상부에 배치된 데크 플레이트와, 데크 플레이트의 곡부에 배치된 완충구와, 이 완충구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면부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산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장선재와, 장선재의 상부에 부설되는 마루재를 가지며, 장선재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완충구의 압축 변형이 소정량에 이르렀을 때, 데크 플레이트의 산부에 마루재가 맞닿아 완충구의 변형이 규제되는 구성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마루 위에서 운동을 할 때에는 완충구에 의해서 마루의 충격이 완화되고, 또한 마루 위를 중량 기계가 주행하거나 혹은 짐 등에 의해 마루에 과대한 중량이 작용했을 때에는, 마루재는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강고하게 지지되어 높은 하중 성능을 가지는 동시에, 탄성체의 압축이 제한되어 탄성체의 늘어짐이나 혹은 파손이 방지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완충구를 데크 플레이트의 곡부와 같은 안정된 위치에 고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탄성체의 탄력성능, 크기 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어 운동시의 탄력성능을 높은 수준으로 확보할 수 있고, 시공도 용이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완충구가 데크 플레이트의 곡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경기의 내용에 따라, 완충구의 경도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마루재를 벗김으로써 완충구가 드러나고, 이것을 소정의 경도를 가진 완충구로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 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루 구조에 의하면, 완충구는, 탄성체가 얹어 놓여지는 받음부, 및 이 받음부로부터 위쪽으로 굴곡하고 계속해서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부로 이어지는 날개부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완충구가 데크 플레이트에 적합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루 구조에 의하면, 완충구는, 받음부의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데크 플레이트의 곡부의 부근까지 연이어 나오는 규제부를 가진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장선재가 강고하게 데크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충격에도 강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루 구조에 의하면, 완충구는, 장선재의 걸어멈춤부에 걸어멈춤되어, 장선재와 함께 탄성체를 받음부와의 사이에 구속하는 빠짐막음편을 가진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장선재가 완충구에 구속 유지되어 적확하게 탄성체에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상하 충격 등에 의해서도 장선재가 완충구로부터 벗어나는 경우가 없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슬라브에 세워 설치한 지지각에 지지되는 멍에부재와,
    상기 멍에부재의 상부에 배치되며, 판에 연속된 산부와 곡부가 형성된 데크 플레이트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곡부에 배치된 완충구와,
    이 완충구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면부가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산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장선재와,
    상기 장선재의 상부에 부설되는 마루재를 가지며,
    상기 장선재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완충구의 압축 변형이 소정량에 이르렀을 때,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산부에 상기 마루재가 맞닿아 상기 완충구의 변형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는, 상기 장선재를 부착하는 부착부가 설치된 탄성체, 이 탄성체가 얹어 놓여지는 받음부, 및 이 받음부로부터 위쪽으로 굴곡하고 계속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부로 이어지는 날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는, 상기 받음부의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곡부의 부근까지 연이어 나오는 규제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마루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선재는, 상면부, 측면부 및 이들 측면부의 하단의 좌우부로부터 각각 안쪽으로 굴곡하는 걸어멈춤부로 이루어진 단면이 C자 형상의 기다란 부재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완충구에는, 상기 탄성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장선재의 걸어멈춤부에 결합되어, 상기 장선재와 함께 상기 탄성체를 상기 받음부 사이에서 구속하는 빠짐막음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 구조.
KR1020060023907A 2006-03-15 2006-03-15 마루 구조 KR100720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907A KR100720809B1 (ko) 2006-03-15 2006-03-15 마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907A KR100720809B1 (ko) 2006-03-15 2006-03-15 마루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809B1 true KR100720809B1 (ko) 2007-05-21

Family

ID=3827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907A KR100720809B1 (ko) 2006-03-15 2006-03-15 마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8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48217A (ja) * 2015-02-13 2016-08-18 大成建設株式会社 二重床
CN106088528A (zh) * 2016-08-02 2016-11-09 鑫盛(湖州)塑木科技有限公司 一种抗压式塑木材料板
KR101895791B1 (ko) * 2014-07-03 2018-10-04 안성호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196Y1 (ko) 2004-03-11 2004-06-04 정호진 마루널 고정장치
KR20050091174A (ko) * 2004-03-11 2005-09-15 정호진 마루널 고정장치
KR20190000940U (ko) * 2017-10-12 2019-04-22 김태연 이탈방지구를 갖는 볼체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196Y1 (ko) 2004-03-11 2004-06-04 정호진 마루널 고정장치
KR20050091174A (ko) * 2004-03-11 2005-09-15 정호진 마루널 고정장치
KR20190000940U (ko) * 2017-10-12 2019-04-22 김태연 이탈방지구를 갖는 볼체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791B1 (ko) * 2014-07-03 2018-10-04 안성호 종목별 라인의 선택적인 표시가 가능한 바닥 패널 어셈블리
JP2016148217A (ja) * 2015-02-13 2016-08-18 大成建設株式会社 二重床
CN106088528A (zh) * 2016-08-02 2016-11-09 鑫盛(湖州)塑木科技有限公司 一种抗压式塑木材料板
CN106088528B (zh) * 2016-08-02 2018-06-29 鑫盛(湖州)塑木科技有限公司 一种抗压式塑木材料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5280B2 (en) Shock absorber for sports floor
KR101306114B1 (ko) 안전성 향상 기능을 갖는 인도교
US20020020136A1 (en) Two-piece clinched plate tension/compression bracket
US8622169B2 (en)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rubber pad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floor using same
KR100720809B1 (ko) 마루 구조
KR101955574B1 (ko) 충격흡수 성능을 갖는 인도교
US6742312B2 (en) Shock absorber for sports floor
KR101459559B1 (ko) 스토퍼일체형 장선지지부를 적용한 면탄성 시스템 마루
KR101805802B1 (ko) 마루틀 지지대
KR100720810B1 (ko) 마루 완충구조
JP4430553B2 (ja) 床構造
KR20080083100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마루틀 고정장치
CN102906356A (zh) 基底地板和地板系统
JP5112717B2 (ja) 室内競技場耐震床構造
JP4712484B2 (ja) 床緩衝構造
KR101107753B1 (ko) 진동방지 및 내구성이 우수한 마루를 위한 마루틀 및 그것이 구비된 마루
JP6329803B2 (ja) 床の防振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防振床構造
KR101476327B1 (ko)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H03191171A (ja) 大荷重用運動床
JP7191580B2 (ja) 免震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免震建物
KR101762369B1 (ko) 목재 장선을 이용한 마루 방진시스템
JP2006112164A (ja) 木造建物用免震アンカーボルトおよび当該免震アンカーボルトを利用した免震装置
KR102354670B1 (ko) 마루구조용 멀티 방진시스템
JP6825842B2 (ja) 床構造
JP3180347U (ja) 後付け耐震補強構造体および後付け耐震補強金物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