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761B1 -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접합장치 - Google Patents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761B1
KR100720761B1 KR1020050134972A KR20050134972A KR100720761B1 KR 100720761 B1 KR100720761 B1 KR 100720761B1 KR 1020050134972 A KR1020050134972 A KR 1020050134972A KR 20050134972 A KR20050134972 A KR 20050134972A KR 100720761 B1 KR100720761 B1 KR 100720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contents outlet
contents
pouch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근
Original Assignee
김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근 filed Critical 김상근
Priority to KR1020050134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3/0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8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 B65D33/20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to flaps 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치 본체 내부에 주입되는 내용물을 손쉽게 꺼내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인출구를 파우치 본체에 접합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인출구를 파우치 본체에 접합할 때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내용물 인출구를 파우치 본체의 삼각 절제부에 끼워맞춘 다음 융착접합기를 통해 접합하였기 때문에 접합 불량이 많게 될 뿐 아니라 접합작업이 매우 힘들게 되고, 그에 따라 작업시간과 작업인력, 작업비용이 많이 들게 되어 결과적으로 레토르트 파우치 및 레토르트식품의 원가를 크게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장방형의 작업테이블(10)과;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단 중앙 일측에 설치되어 내용물 인출구(70)를 파지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가이드(20)와;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단 중앙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가이드(20)의 선단부로 이송된 내용물 인출구(70)를 파지하여 접합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이송체(30)와;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이송체(30)를 통해 접합위치로 이송된 내용물 인출구(70)와 파우치 본체(80)를 가압 융착 접합할 수 있도록 하는 융착접합체(40)와; 상기 융착접합체(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접합된 내용물 인출구(70)와 파우치 본체(80)를 다시 한번 가압하여 접합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는 마무리접합체(50)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파우치 본체(80)에 내용물 인출구(70)를 접합 설치하는 작업을 자동화하여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작업시간과 작업인력,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어 레토르트 파우치 및 레토르트식품의 원가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융착 접합

Description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접합장치{a retort pouch filter inspec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요부 정면도
도 3a는 동 실시예의 가압 융착 접합 상태의 요부 정면도
도 3b는 동 실시예의 마무리 가압 접합상태의 요부 정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파지이송체 설치 부위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동 실시예의 요부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관계하는 레토르트 파우치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작업테이블 20 : 이송가이드
21 : 가이드홈 21a : 삼각정지부
30 : 파지이송체 31 : 전후이송실린더
32 : 전후이송레일 33 : 전후이송판
34 : 정역회전실린더 35 : 상하이송실린더
36 : 진공흡착팁 40 : 융착접합체
41 : 수직지지파이프 42 : 고정판
43, 44 : 상하이송실린더 43a, 44a : 융착팁
43b, 44b : 융착홈 45 : 작업지지막대
45a : 삽입구멍 50 : 마무리접합체
51 : 내용물 인출구 투입감지센서 53 : 상하이송실린더
54 : 받침블록 53a, 54a : 가압팁
53b, 54b : 가압홈 60 : 스톱퍼
70 : 내용물 인출구 71 : 접합본체
72 : 인출관 73 : 밀폐캡
80 : 파우치 본체 81 : 삼각절제부
본 발명은 가열 살균 식품을 밀봉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파우치 본체 내부에 주입되는 내용물을 손쉽게 꺼내 먹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인출구를 파우치 본체에 접합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토르트식품은 조리가공한 여러 가지 식품을 일종의 주머니에 넣어 밀봉한 후 고압가열살균솥(retort)에 넣어 고온에서 가열살균하여 공기와 광선을 차단한 상태에서 장기간 식품을 보존할 수 있도록 만든 가공 저장식품을 말하며, 미국에서는 "레토르트 파우치" 또는 "플렉시블 캔"이라 하고, 유럽에서는 "플 렉시캔" 또는 "플렉스팩"이라고 한다.
상기 레토르트식품을 넣는 주머니의 외부는 폴리에스테르의 얇은 막으로 되어 있고, 중층은 알루미늄박(箔)이고 내부는 또 다시 폴리에스테르막으로 되어 있는데, 이 셋을 붙여서 주머니를 만들며, 이 주머니에 재료를 다듬고 썰고 조미하여 익힌 것을 자동으로 연속충전기로 넣고 가열하여 밀봉하게 된다.
상기 레토르트식품은 캔 식품과 같이 보존성이 있고, 또 다음과 같이 특징이 있다.
① 캔 식품에 비해 부드럽고 가벼워 운반하기 편하다.
② 카레나 스튜 같은 음식은 약 3분간 가열하면 주머니째 데울 수 있고, 간단하게 주머니를 열 수 있다.
③ 가열살균할 때 주머니가 두껍지 않고 납작하기 때문에 열의 전달 속도가 빨라 시간을 단축시켜서 색과 향미가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다.
미국을 비롯한 유럽 각국에서는 이런 종류의 식품이 오래전부터 개발되었으며, 한국에서도 카레ㆍ햄버거ㆍ죽ㆍ스파게티ㆍ미트볼 등 레토르트 식품의 제조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상기 레토르트 파우치에 포장된 내용물을 인출할 때는 파우치 본체의 상부 일측 모서리 부위를 절취하여 개봉하게 되는 것이 보통인 바, 가위나 칼 등의 절취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절취하는 경우 절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절취형태도 일정하지 않게 되고, 절취과정에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될 우려도 많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상기 파우치 본체의 상부 일측 모서리 부위에 삼각 절제부를 형성하고, 그에 마름모꼴의 접합몸체의 상단에 밀폐캡이 나사결합되는 인출관이 형성된 형태의 내용물 인출구를 접합 설치한 레토르트 파우치가 제안되었던 바, 이러한 내용물 인출구가 접합 설치된 레토르트 파우치는 내용물 인출구의 밀폐캡을 열게 되면 인출관을 통해 간편하게 파우치 본체 내부에 포장된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게 되며, 밀폐캡을 닫게 되면 내용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인출구를 파우치 본체에 접합할 때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내용물 인출구를 파우치 본체의 삼각 절제부에 끼워맞춘 다음 융착접합기를 통해 접합하였기 때문에 접합 불량이 많이 발생하게 될 뿐 아니라 접합작업이 매우 힘들게 되고, 그에 따라 작업시간과 작업인력, 작업비용이 많이 들게 되어 결과적으로 레토르트 파우치 및 레토르트식품의 원가를 크게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접합몸체의 상단에 밀폐캡이 나사결합되는 인출관을 구비하는 내용물 인출구를 파우치 본체의 상부 일측 모서리 부위에 마련되는 삼각 절제부에 보다 간편하게 접합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접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작업테이블의 상단 중앙 일측에 내용물 인출구를 파지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가이드를 설치하고, 이송가이드의 선단에 내용물 인출구를 파지하여 접합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이송체를 설치하며, 작업테이블의 상부 중앙에 접합위치로 이송된 내용물 인출구와 파우치 본체를 가압 융착 접합할 수 있도록 하는 융착접합체를 설치하고, 융착접합체의 일측에 접합된 내용물 인출구와 파우치 본체를 다시 한번 가압하여 접합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는 마무리접합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요부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에는 동 실시예의 가압 융착 접합 상태의 요부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동 실시예의 마무리 가압 접합상태의 요부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동 실시예의 파지이송체 설치 부위의 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동 실시예의 요부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이 관계하는 레토르트 파우치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의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접합장치는
장방형의 작업테이블(10)과;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단 중앙 일측에 설치되어 접합몸체(71)의 상단에 밀폐캡(73)이 나사결합되는 인출관(72)을 구비하는 내용물 인출구(70)를 파지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가이드(20)와;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단 중앙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가이드(20)의 선단부로 이송된 내용물 인출구(70)를 파지하여 접합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이송체(30)와;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이송체(30)를 통해 접합위치로 이송된 내용물 인출구(70)와 상부 일측 모서리 부위에 삼각 절제부(81)가 마련된 파우치 본체(80)를 가압 융착 접합할 수 있도록 하는 융착접합체(40)와;
상기 융착접합체(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접합된 내용물 인출구(70)와 파우치 본체(80)를 다시 한번 가압하여 접합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는 마무리접합체(50)와;를 구비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가이드(20)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상단 중앙에 가이드홈(21)이 마련되고, 가이드홈(21)의 선단에 삼각정지부(21a)가 마련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파지이송체(3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전후이송실린더(31)의 상부에 전후이송레일(32)이 마련되고, 전후이송레일(32)에 전후방향으로 이송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전후이송판(33)의 상단에 정역회전실린더(34)가 설치되며, 정역회전실린더(34)의 선단에 상하이송실린더(35)가 설치되고, 상하이송실린더(35)의 선단에 진공흡착팁(36)이 설치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작업테이블(10) 상단의 이송가이드(20) 선단부 후방에는 이송가이드(20)의 최선단으로 이송된 내용물 인출구(70)를 파지이송체(20)가 파지하는 과정에서 그 다음 내용물 인출구(7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60)가 설치된다.
융착접합체(40)는 장방형으로 배열된 4개의 수직지지파이프(41)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42)이 설치되고, 고정판(42)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상부 상하이송실린더(43)의 선단과 상부 상하이송실린더(43)와 대향되는 위치의 작업테이블(10)에 설치되는 하부 상하이송실린더(44)의 선단에 각각 융착팁(43a)(44a)이 설치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마무리접합체(50)는 상기 고정판(42)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는 상부 상하이송실린더(53)의 선단과 상부 상하이송실린더(53)와 대향되는 위치의 작업테이블(10) 상단에 설치되는 하부 받침블록(54)의 선단에 각각 가압팁(53a)(54a)이 설치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4개의 수직지지파이프(41) 중의 전방 수직지지파이프(41)의 전방 하부에는 작업지지막대(45)가 설치되고, 작업지지막대(45)의 중앙 양측에는 내용물 인출구(70)의 접합몸체(71)의 형상과 대응되는 삽입구멍(45a)이 마련되며, 상기 융착접합체(40)의 각 융착팁(43a)(44a)과 마무리접합체(50)의 각 가압팁(53a)(54a)의 선단 중앙에는 내용물 인출구(70)의 접합몸체(71)의 상부형상 또는 하부형상과 대응되는 융착홈(43b)(44b)과 가압홈(53b)(54b)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지지막대(45)의 마무리접합체(50) 측의 삽입구멍(45a) 후방에는 삽입구멍(45a)으로 내용물 인출구(70)가 투입되었을 때 마무리접합체(50)의 상하이송실린더(53)를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인출구 투입감지센서(51)가 설치되며,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90은 부품정렬공급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품정렬공급기(90)와 접속되는 이 송가이드(20)를 통해 내용물 인출구(70)를 파지위치로 이송하고 파지이송체(30)를 통해 접합위치로 이송한 후 내용물 인출구(70)에 파우치 본체(80)를 결합하고 융착접합체(40)를 통해 1차 가열 융착 접합한 다음 설치하고, 마무리접합체(50)를 통해 융착 접합부위를 가압하게 되면 파우치 본체(80)에 내용물 인출구(70)를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부품정렬공급기(90)에서 공급되는 내용물 인출구(70)는 밀폐캡(73)이 상부로 향하는 상태로 이송가이드(20)의 가이드홈(21)을 통해 차례로 이송되는 바, 가이드홈(21) 선단의 삼각정지부(21a)에 정지된 내용물 인출구(70)를 파지이송체(30)의 진공흡착팁(36)이 흡착한 후 상하이송실린더(35)를 통해 상승시키고 정역회전실린더(34)를 통해 전방으로 90°회전시킨 다음 전후이송실린더(31)를 통해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내용물 인출구(70)의 접합몸체(71)가 작업지지막대(45)의 일측의 삽입구멍(45a)을 관통하여 작업지지막대(45)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작업지지막대(45)의 전방으로 돌출된 내용물 인출구(70)의 접합몸체(71)에 파우치 본체(80)의 삼각절제부(81)를 씌운 다음 작동스위치(미도시)를 통해 융착접합체(40)의 상부 상하이송실린더(43)와 하부 상하이송실린더(44)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면 도 3a와 같이 하강하는 상부 상하이송실린더(43)의 융착팁(43a)의 융착홈(43b)과 상승하는 하부 상하이송실린더(44)의 융착팁(44a)의 융착홈(43b)의 사이에서 파우치 본체(80)의 삼각절제부(81)가 씌워진 상태의 접합몸체(71)가 가압 융착 접합된다.
상기 융착접합체(40)에 의한 1차 가압 융착 접합을 마친 후 곧바로 파우치 본체(80)가 접합된 내용물 인출구(70)의 접합몸체(71)를 받침블록(54)의 가압팁(54a)의 가압홈(54b)에 지지하면서 밀폐캡(72)을 작업지지막대(45)의 타측 삽입구멍(45a)으로 투입하게 되면 내용물 인출구 투입감지센서(51)에 의해 마무리접합체(50)의 상부 상하이송실린더(53)가 하강 작동하게 되어 상부 상하이송실린더(53)의 가압팁(53a)의 가압홈(53b)과 받침블록(54)의 가압팁(54a)의 가압홈(54b) 사이에서 내용물 인출구(70)의 접합몸체(71) 접합부위가 다시 한번 가압됨으로써 보다 완벽한 접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내용물 인출기(70)가 부품정렬공급기(90)와 접속되는 이송가이드(20)를 통해 파치이송체(30)로 이송될 때, 바이브레이타(vibrator) 및 이송가이드(20)의 경사각도를 이용하여 내용물 인출기(70)를 파치이송체(30)로 이송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내용물 인출구(70)를 파지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가이드(20)와; 파지위치로 이송된 내용물 인출구(70)를 파지하여 접합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이송체(30)와; 접합위치로 이송된 내용물 인출구(70)와 파우치 본체(80)를 가압 융착 접합할 수 있도록 하는 융착접합체(40)와; 1차 접합된 내용물 인출구(70)와 파우치 본체(80)를 다시 한번 가압하여 접합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는 마무리접합체(50)와;를 구비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우치 본체(80)에 내용물 인출구(70)를 접합 설치하는 작업을 자동화하여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므로 접합 불량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게 되고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작업시간과 작업인력, 작업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어 레토르트 파우치 및 레토르트식품의 원가절감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장방형의 작업테이블(10)과;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단 중앙 일측에 설치되어 접합몸체(71)의 상단에 밀폐캡(73)이 나사결합되는 인출관(72)을 구비하는 내용물 인출구(70)를 파지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가이드(20)와;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단 중앙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가이드(20)의 선단부로 이송된 내용물 인출구(70)를 파지하여 접합위치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이송체(30)와;
    상기 작업테이블(1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이송체(30)를 통해 접합위치로 이송된 내용물 인출구(70)와 상부 일측 모서리 부위에 삼각 절제부(81)가 마련된 파우치 본체(80)를 가압 융착 접합할 수 있도록 하는 융착접합체(40)와;
    상기 융착접합체(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접합된 내용물 인출구(70)와 파우치 본체(80)를 다시 한번 가압하여 접합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는 마무리접합체(50)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접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송가이드(20)는 상단 중앙에 가이드홈(21)이 마련되고, 가이드홈(21)의 선단에 삼각정지부(21a)가 마련되는 형태로 구성하고;
    파지이송체(30)는 전후이송실린더(31)의 상부에 전후이송레일(32)이 마련되고, 전후이송레일(32)에 전후방향으로 이송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전후이송판(33)의 상단에 정역회전실린더(34)가 설치되며, 정역회전실린더(34)의 선단에 상하이송실린더(35)가 설치되고, 상하이송실린더(35)의 선단에 진공흡착팁(36)이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하며;
    융착접합체(40)는 장방형으로 배열된 4개의 수직지지파이프(41)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42)이 설치되고, 고정판(42)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는 상부 상하이송실린더(43)의 선단과 상부 상하이송실린더(43)와 대향되는 위치의 작업테이블(10)에 설치되는 하부 상하이송실린더(44)의 선단에 각각 융착팁(43a)(44a)이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하고;
    마무리접합체(50)는 상기 고정판(42)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는 상부 상하이송실린더(53)의 선단과 상부 상하이송실린더(53)와 대향되는 위치의 작업테이블(10) 상단에 설치되는 하부 받침블록(54)의 선단에 각각 가압팁(53a)(54a)이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접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수직지지파이프(41) 중의 전방 수직지지파이프(41)의 전방 하부에 작업지지막대(45)를 설치하고, 작업지지막대(45)의 중앙 양측에 내용물 인출구(70)의 접합몸체(71)의 형상과 대응되는 삽입구멍(45a)을 마련하며, 상기 융착접합체(40)의 각 융착팁(43a)(44a)과 마무리접합체(50)의 각 가압팁(53a)(54a)의 선단 중앙에 내용물 인출구(70)의 접합몸체(71)의 상부형상 또는 하부형상과 대응되는 융착홈(43b)(44b)과 가압홈(53b)(54b)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접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지지막대(45)의 마무리접합체(50) 측의 삽입구멍(45a) 후방에는 삽입구멍(45a)으로 내용물 인출구(70)가 투입되었을 때 마무리접합체(50)의 상하이송실린더(53)를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내용물 인출구 투입감지센서(5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접합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작업테이블(10) 상단의 이송가이드(20) 선단부 후방에 이송가이드(20)의 최선단으로 이송된 내용물 인출구(70)를 파지이송체(20)가 파지하는 과정에서 그 다음 내용물 인출구(7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6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접합장치.
KR1020050134972A 2005-12-30 2005-12-30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접합장치 KR100720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972A KR100720761B1 (ko) 2005-12-30 2005-12-30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접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972A KR100720761B1 (ko) 2005-12-30 2005-12-30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접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0761B1 true KR100720761B1 (ko) 2007-05-22

Family

ID=3827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972A KR100720761B1 (ko) 2005-12-30 2005-12-30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접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76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985B1 (ko) * 2009-09-30 2012-02-16 정영복 스파우트 백 제조설비가 구비된 포장 백 제조장치
KR101459329B1 (ko) * 2013-02-13 2014-11-12 종 해 김 다층식 필링 및 캡핑 시스템 장치
KR20160024122A (ko) 2014-08-25 2016-03-04 정영환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파우치 밀봉 장치
KR20160075405A (ko) 2016-06-03 2016-06-29 정영환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파우치 밀봉 장치
KR101854537B1 (ko) 2016-11-10 2018-06-08 김상근 비닐백의 주입구측 캡 자동 설치 시스템
KR102417792B1 (ko) * 2021-12-17 2022-07-06 박훈 비닐포장지 손잡이 부착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3327A (ja) * 1989-03-06 1990-09-14 Dainippon Printing Co Ltd 無菌充填装置及び無菌充填方法
US5606844A (en) 1993-12-27 1997-03-04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a self-supporting package having an outlet stopper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said package
KR20030081578A (ko) * 2002-04-12 2003-10-22 김종기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실링장치, 이를이용한 스파우트의 실링방법 및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3327A (ja) * 1989-03-06 1990-09-14 Dainippon Printing Co Ltd 無菌充填装置及び無菌充填方法
US5606844A (en) 1993-12-27 1997-03-04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a self-supporting package having an outlet stopper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said package
KR20030081578A (ko) * 2002-04-12 2003-10-22 김종기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의 실링장치, 이를이용한 스파우트의 실링방법 및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985B1 (ko) * 2009-09-30 2012-02-16 정영복 스파우트 백 제조설비가 구비된 포장 백 제조장치
KR101459329B1 (ko) * 2013-02-13 2014-11-12 종 해 김 다층식 필링 및 캡핑 시스템 장치
KR20160024122A (ko) 2014-08-25 2016-03-04 정영환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파우치 밀봉 장치
KR20160075405A (ko) 2016-06-03 2016-06-29 정영환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파우치 밀봉 장치
KR101664024B1 (ko) 2016-06-03 2016-10-10 정영환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파우치 밀봉 장치
KR101854537B1 (ko) 2016-11-10 2018-06-08 김상근 비닐백의 주입구측 캡 자동 설치 시스템
KR102417792B1 (ko) * 2021-12-17 2022-07-06 박훈 비닐포장지 손잡이 부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761B1 (ko) 레토르트 파우치 내용물 인출구 접합장치
US1105262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a pouch type package
AU2007200748B2 (en) Food article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585398B1 (ko) 포장지 접속장치, 포장지 접속방법 및 포장장치
JPH0724938A (ja) 残留製品除去装置
WO1998009870A1 (en) Cutter cleaning device for charging machine
KR102141676B1 (ko) 가요성 용기의 구획부에 가스를 충전하는 방법
KR101746005B1 (ko) 포장지 실링 커팅기
TW201841816A (zh) 用於運輸容器之運輸模組、處理裝置,及用於運輸容器之方法
WO2023197680A1 (zh) 折合包装容器的底封装置及工艺
US7913477B2 (en) Insert registration in packets
KR100642680B1 (ko) 검체제작장치
JP3021253U (ja) 包装装置
CN102448836A (zh) 用于与环境隔离地将两个至少部分柔性的包装相连接的方法
KR100827205B1 (ko) 렌즈 포장용 봉투의 자동 봉인 장치
EP3959144A1 (en) Flexible container and process for installation of fitment in same
US20190178747A1 (en)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pouches for filling lines
JP5526160B2 (ja) バンド検査装置
KR20200057874A (ko) 한방침 자동 포장장치
CN211893809U (zh) 真空包装机
CN220278672U (zh) 一种单片焊接设备
JPH10250715A (ja) ヒートシール袋詰物用検査整列装置
KR101110985B1 (ko) 스파우트 백 제조설비가 구비된 포장 백 제조장치
JP2750826B2 (ja) フィルム包装体の開梱装置
JPH09110078A (ja) 外部位置決め式吐出口付パウ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