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289B1 - 양돈용 습식 급이기 - Google Patents

양돈용 습식 급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289B1
KR100720289B1 KR1020050098553A KR20050098553A KR100720289B1 KR 100720289 B1 KR100720289 B1 KR 100720289B1 KR 1020050098553 A KR1020050098553 A KR 1020050098553A KR 20050098553 A KR20050098553 A KR 20050098553A KR 100720289 B1 KR100720289 B1 KR 100720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pipe
storage tank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2683A (ko
Inventor
김기주
Original Assignee
김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주 filed Critical 김기주
Priority to KR1020050098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289B1/ko
Publication of KR20070042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5Water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the float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50Livestock or poultry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의 공급량을 돼지의 섭취량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돼지의 성장 발육을 촉진시킬 수 있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사료 주입구가 형성된 호퍼와, 호퍼의 하단에 결합되는 사료 배출관과, 사료 배출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먹이통 및, 먹이통의 외주에 설치되는 칸막이대로 이루어진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있어서, 먹이통의 하부에는 물저장탱크가 설치되고, 먹이통의 일측에는 배출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물저장탱크와 연통되는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호퍼 내측에는 물저장탱크 및 원수파이프와 연통되어 물저장탱크의 내부 수위를 조절하는 급수조절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급수조절장치는, 원수파이프에 결합된 플렉시블 호스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물저장탱크 상부 커버의 관통공에 관통된 후 그 외주면은 용접 처리되는 물 공급파이프 및, 상기 물저장탱크 내에 위치된 물 공급파이프의 하부 말단에 설치된 플로트 밸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습식 급이기, 급수 조절 장치, 먹이통, 사료통, 물통, 에어호스, 중공형 보호관, 플렉시블 호스, 플로트 밸브, 부구, 급수조절기

Description

양돈용 습식 급이기{Feeder Suppling Feed and Water for Pig Keeping}
도 1은 종래의 습식 급이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에 따른 습식 급이기 중 먹이통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에 따른 습식 급이기 중 물저장탱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를 통해 물통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를 통해 물통에 공급되던 물이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6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물통 내의 물 수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의 급수조절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의 급수조절기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가 호퍼의 외주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의 급수조절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의 급수조절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의 급수조절기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가 호퍼의 외주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의 급수조절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의 급수조절기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를 통해 물통에 공급되던 물이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퍼 12 : 사료 주입구
14 : 사료 배출관 30 : 먹이통
31 : 상부판 32 : 사료통
34a : 배출파이프 안내관 36 : 물통
39 : 바닥판 70 : 물저장탱크
73 : 배출파이프 연결관 80 : 배출파이프
82, 150, 650 : 부구 90 : 중공형 보호관
100 : 물 공급파이프 102 : 나사산
105 : 너트형 스토퍼 107 : 에어호스
109 : 플로트 밸브 110 : 원수파이프
110b : 전자밸브 111 : 플렉시블 호스
210 : 원통형 케이싱 220 : 급수밸브
225, 425 : 급수공 228 : 고무판
232, 311, 420 : 노즐 234 :압력실
238 : 차단판 250 : 신축관
256 : 누름구 310 : 반원형 몸체
320 : 배출호스 330 : 고무막
350 : 밀폐 커버 412, 432 : 유동방지블럭
427 : 개폐봉 435 : 힌지블럭
440 : 구동편 460 : 부구체
462 : 수로 530 : 수위감지센서
610 : 마이크로스위치 630 : 작동봉
본 발명은 돼지에게 자동으로 사료와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구비된 급수관을 통한 물의 공급량을 돼지의 섭취량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급수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돼지의 성장 발육을 촉진시킬 수 있고, 돈사 관리자의 물공급에 따른 작업량을 줄여 전체적으로 관리자의 돈사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돼지의 생장을 위한 효율적인 관리에 있어 돈사의 환경 등 여러가지 중요한 인자들이 있으나, 돈사의 운영 목적은 돼지의 살코기를 생산하는데 있 으므로 관리의 초점은 돼지에게 물과 사료를 충분하고도 원활히 공급하는데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돼지의 생리에 있어서, 사료는 며칠동안 공급되지 않고 물만 충분히 공급된다면 돼지는 죽지 않고 그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물은 2~3일만 공급되지 않으면 돼지는 금방 죽고 만다.
이와 같이 돈사에서의 원활한 물 공급은 그 만큼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만일 조금이라도 물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그 만큼 돼지에게 미치는 스트레스는 크다 할 수 있고, 이 같은 돼지의 스트레스는 결과적으로 질병에 취약해지는 문제점으로 발전되어 돼지의 성장 발육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 돼지는 그 성장에 따른 체중이 커질수록 사료를 많이 먹게 되므로 사료를 공급하는 양돈용 급이기에는 공급되는 사료의 양을 조절하는 수단이 필요하며, 또한 사료는 분말이나 펠렛 또는 크럼블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사료를 섭취하는 중간 중간에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돼지의 식욕을 증진시킴으로써 발육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급수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양돈용 급이기는 사료만을 공급하는 건식 급이기와, 사료와 물을 동시에 공급하는 습식 급이기로 나눌 수 있는데, 본 발명은 후자의 습식 급이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급이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습식 급이기는, 사료가 투입되는 주입구(12)가 상부에 형성된 원추형 호퍼(10)와, 상기 호퍼(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사료 배출관(14)과, 상기 호퍼(10)의 하부 외주에 고정 설치되는 원형 급수관(20)과, 상기 원형 급수관(20)에 설치되는 다수의 급수노즐(22) 및, 상기 사료 배출관(14)의 하부에 설치되는 먹이통(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 급수관(20)에는 외부의 급수라인(40)이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먹이통(30)의 외주에는 다수개의 칸막이대(60)가 절곡되어 급수노즐(22) 사이의 급수관(20)에 고정되어 있어 돼지 한 마리씩 상기 칸막이대(60) 사이에 주둥이를 넣고 물과 사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급수노즐(22)은 실용신안공개 제1999-008033호(출원번호 : 제1998-022227호, 고안의 명칭 : 양돈용 급수기의 노즐)에 공지되어 있음에 따라 그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사료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호퍼(10)의 내주면에는 지지대(51)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51)는 호퍼(10) 외주의 조절핸들(52)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51) 중간의 브라켓(53)에는 상기 지지대(51)와 수직하게 연결되어 지지대(51)의 회전량에 의하여 승하강량이 조절되는 회전축(50)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50)의 하단은 회전 디스크(미도시)의 중앙에 고정되고, 회전 디스크에는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다수개의 회전바(미도시)가 결합되어 돼지가 주둥이로 회전바를 회전시키면 회전축(50)이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조절핸들(52)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회전축(50)의 승하강량이 조절됨에 따라 회전축과 연결된 회전 디스크와 배출관(14) 사이 의 간격이 조절되어 먹이통(30)으로 배출되는 사료의 양이 조절되며, 먹이통(30)의 칸막이대(60) 사이로 주둥이를 넣은 돼지가 회전바를 회전시킴으로써 사료가 배출됨에 따라 돼지가 이를 섭취하게 된다.
그리고, 돼지는 급수노즐(22)을 통하여 물을 공급받아 이를 섭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습식 급이기는 사료와 물이 동시에 공급되므로 관리자의 편의를 도모하여 돈사 관리의 효율성을 한층 높인 측면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습식 급이기에 있어서, 급수노즐(22)이 결합된 원형 급수관(20)이 호퍼(10)의 하부 외주에 고정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돼지의 성장에 따라 급수노즐(22)의 설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통상적으로 돼지는 무게가 대략 30㎏까지를 어린자돈이라 하고, 30~60㎏까지를 육성돈이라 하며, 60~120㎏까지를 비육돈이라 하여 구분하고 있다.
따라서, 축사나 농장(돈사)에서는 각 돼지의 성장을 일정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부분 상기와 같이 구분된 돼지를 그룹으로 분리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어린자돈이 모인 울타리 내에는 어린자돈이 물을 쉽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급수노즐이 낮은 높이에 위치한 습식 급이기가 설치되고, 육성돈인 경우에는 급수노즐이 어린자돈의 위치 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한 습식 급이기가 설치되며, 비육돈인 경우에는 급수노즐이 육성돈의 위치 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한 습식 급이기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습식 급이기는 돼지의 성장에 따라, 급수관을 떼어낸 후 그 높이를 맞춰 다시 고정시키거나 또는 급수관의 설치 위치가 다른 개개의 습식 급이기를 별도로 제작한 후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그로 인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급수노즐 내의 소모성 부품(오링이나 스프링)들이 돼지의 흡입력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이로 인하여 상기 급수노즐을 통해 물이 계속적으로 공급되어 돈사가 물바다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급수노즐을 통한 물이 지하의 배설물 탱크를 가득 채워 배설물이 돈사로 누출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돼지는 땀샘이 없고 그룹(집단)으로 돈사에 갖혀 있기 때문에 여름철에 더위를 느끼는 정도가 다른 가축들에 비해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여름철에 돼지는 상기 급수노즐을 입에 물고 가만히 있거나 또는 물이 있는 급이기의 먹이통에 드러 눕는 등 주변을 떠나지 않아 다른 돼지의 물이나 사료 섭취를 위한 접근을 막게 된다.
그리고 또한, 심각한 문제점으로는, 급수노즐을 입으로 물고 가만히 있다 보면, 먹이통에 물이 가득 차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료 배출관의 하부 말단 내측에 위치한 사료가 젖어 상기 사료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이때 관리자가 상기한 사료배출의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한다면 돼지는 계속 굶고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먹이통 내의 사료는 물속에 가라 앉아 보이지 않기 때문에 다른 돼지들이 사료를 섭취할 수 없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돈사의 관리자들은 상기한 문제점 발생 시 적게는 수십에서 많게는 수백개에 달하는 사료 배출관의 하부 말단 내측을 일일이 긁어 내 주어야 함에 따라 작업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관리자들은 여름철만 되면 바가지를 들고 급이기의 먹이통에 차 있는 물을 퍼내기가 바쁘고, 물을 퍼내더라도 다른 먹이통에 또 물이 차 있기 때문에 여름철 급이기 관리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관리자의 작업량에 의해 돈사의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돼지들은 돼지들 대로 사료 및 물을 제때 제량을 섭취하지 못해 발육 성장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경제적 손실 또한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린자돈에서 육성돈까지 하나의 습식 급이기를 통해 물을 쉽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급수노즐의 설치 위치가 다른 개개의 습식 급이기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그로 인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급수노즐의 구성을 배제하여 소모성 부품(오링이나 스프링)의 잦은 파손으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돼지의 섭취량에 따라 여름철에도 항상 일정한 량의 물을 공급하여 돼지들이 골고루 물을 제때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의 작업량을 줄여 돈사의 관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돼지의 발육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사료 주입구가 형성된 호퍼와, 호퍼의 하단에 결합되는 사료 배출관과, 사료 배출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먹이통 및, 먹이통의 외주에 설치되는 칸막이대로 이루어진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있어서, 먹이통의 하부에는 물저장탱크가 설치되고, 먹이통의 일측에는 배출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물저장탱크와 연통되는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호퍼 내측에는 물저장탱크 및 원수파이프와 연통되어 물저장탱크의 내부 수위를 조절하는 급수조절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먹이통은 상부판과 이에 체결되는 바닥판으로 형성되고, 상부판은 사료통 및 물통으로 형성되며, 사료통은 중앙공이 형성된 중앙 돌출부와 배출공이 물통측으로 형성된 제1 테두리부 및 돌출부와 제1 테두리부 사이에 형성된 제1 홈부로 형성되고, 물통은 사료통의 제1 테두리부 외주연에 연장 형성된 제2 홈부제2 홈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제2 테두리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공에는 배출파이프 보호용 안내관이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통의 제2 홈부는 사료통의 제1 홈부 보다 깊은 깊이를 가지며, 물통의 제2 테두리부는 사료통의 돌출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저장탱크는, 배출파이프 연결관이 형성된 몸체 및, 물 공급파이프가 관통되는 관통공과 공기유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상부에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부 커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는, 원수파이프에 결합된 플렉시블 호스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물저장탱크 상부 커버의 관통공에 관통된 후 그 외주면은 용접 처리되는 물 공급파이프 및, 물저장탱크 내에 위치된 물 공급파이프의 하부 말단에 설치된 플로트 밸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는, 원수파이프와 플렉시블 호스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조절기 및, 플렉시블 호스와 물저장탱크에 연통되는 물 공급파이프로 구성되되, 급수조절기는 연결관체 전방에 노즐이 형성된 캡이 조립되면서 내부에 압력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일측으로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가 구비된 원통형 케이싱과, 미세구멍을 가진 통로 개폐구가 형성된 압력실 밀폐용 고무판과, 통로 개폐구의 후방에 형성되어 원수파이프와 연통되는 통로와, 통로의 외측 둘레 일측에 형성된 급수공과, 노즐의 전방에 설치된 노즐 개폐용 콕크와, 연결관체의 통로 후방에 설치되어 원수파이프 내부의 압력 저하 시 원수파이프를 차단하는 탄성수단에 의해 탄지된 차단판 및, 외측둘레를 따라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전면부의 내측면에 부착된 누름구가 콕크를 눌러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케이싱 전방에 부착되는 신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는, 원수파이프와 플렉시블 호스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조절기 및, 플렉시블 호스와 물저장탱크에 연통되는 물 공급파이프로 구성되되, 급수조절기는 원수파이프 연결구와 노즐 및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가 각각 형성된 반원형 몸체와, 일측은 반원형 몸체의 내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 내에 위치되는 배출호스와, 반원형 몸체에 결합되어 진공압 발생 시 노즐을 막는 고무막 및, 반원형 몸체에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는, 원수파이프에 결합된 플렉시블 호스와 물저장탱크에 연통되는 물 공급파이프 및, 플렉시블 호스와 물 공급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조절기로 구성되되, 급수조절기는 반원형 상부 몸체와, 상부 몸체와 체결되고 하부에는 물 공급파이프가 체결되는 하부 몸체와, 일측의 급수공을 갖고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플렉시블 호스와 연통되는 노즐과, 노즐 일측의 급수공을 개폐시키는 개폐봉과, 개폐봉의 후방에 설치되어 개폐봉을 동작시키는 구동편과, 구동편에 결합되어 물 공급파이프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편 및, 연결편에 결합되어 물 공급파이프의 하부 말단에 위치하는 부구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파이프의 하부에는 물 공급파이프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장부로 형성된 말단부가 더 결합되고, 상기 부구체는 확장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부구체의 수직방향 외측표면에는 물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수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에는 부구체의 신속한 상승을 유도하여 공급되던 물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는 탄성체가 삽입 설치되되, 탄성체의 상단은 연결편의 몸체에 고정된 멈춤링의 하단에 위치되고, 탄성체의 하단은 확장부의 상단 내측에 다수 돌출 고정된 고리에 연결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에는 작동편의 좌우측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블럭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는, 원수파이프에 결합된 플렉시블 호스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은 물저장탱크 상부 커버의 관통공에 관통된 후 그 외주면은 용접 처리되는 물 공급파이프와, 원수파이프에 설치되는 전자밸브와, 물저장탱크의 상부 커버 하단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 및, 전자밸브와 수위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케이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는, 원수파이프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은 물저장탱크 상부 커버의 관통공에 관통된 후 그 외주면은 용접 처리되는 물 공급파이프와, 원수파이프에 설치되는 전자밸브와, 물 공급파이프에 고정되어 전자밸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마이크로스위치와, 상단이 마이크로스위치의 접점 직하방에 설치되고 하단이 물저장탱크 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작동봉 및, 작동봉의 하부 말단에 고정된 부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은 물 공급파이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에 안내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모든 급수조절장치에 있어서, 물 공급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중공형 보호관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모든 급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파이프의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나사산에는 이를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중공형 보호관의 상단에 걸쳐져 물통에 저장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너트형 스토퍼가 결합되어, 돼지의 섭취량에 따른 물통의 균일한 수위조절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모든 급수조절장치에 있어서, 배출파이프 연결관의 상부 일측에는 에어호스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모든 급수조절장치에 있어서, 배출파이프의 말단부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부구 및 상기 부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료 주입구가 형성된 호퍼와, 호퍼의 하단에 결합되는 사료 배출관과, 사료 배출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먹이통 및, 먹이통의 외주에 설치되는 칸막이대로 이루어진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있어서, 먹이통은 상부판과 이에 체결되는 바닥판으로 형성되고, 상부판은 사료통 및 물통으로 형성되며, 호퍼의 외부 일측에는 물통 및 원수파이프와 연통되어 물통의 내부 수위를 조절하는 급수조절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는, 원수파이프와, 물통과 연통되는 물 공급파이프 및, 원수파이프와 물 공급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조절기로 구성되되, 상기 급수조절기는 연결관체 전방에 노즐이 형성된 캡이 조립되면서 내부에 압력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일측으로 물 공급파이프 연결구가 구비된 원통형 케이싱과, 미세구멍을 가진 통로 개폐구가 형성된 압력실 밀폐용 고무판과, 통로 개폐구의 후방에 형성되어 원수파이프와 연통되는 통로와, 통로의 외측 둘레 일측에 형성된 급수공과, 노즐의 전방에 설치된 노즐 개폐용 콕크와, 연결관체의 통로 후방에 설치되어 원수파이프 내부의 압력 저하 시 원수파이프를 차단하는 탄성수단에 의해 탄지된 차단판 및, 외측둘레를 따라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전면부의 내측면에는 누름구가 부착되어 상기 콕크를 눌러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싱 전방에 부착되는 신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는, 원수파이프와, 물통과 연통되는 물 공급파이프 및, 원수파이프와 물 공급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조절기로 구성되되, 상기 급수조절기는 원수파이프 연결구와 노즐 및 물 공급파이프 연결구가 각각 형성된 반원형 몸체와, 일측은 반원형 몸체의 내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물 공급파이프 내에 위치되는 배출호스와, 반원형 몸체에 결합되어 진공압 발생 시 노즐을 막는 고무막 및, 반원형 몸체에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에 있어서, 물통에 위치하는 물 공급파이프의 하부 말단 내측에는, 물 공급파이프의 하부 말단에 물이 차 오를 때 급수조절기의 내부 진공을 신속히 성립시켜 물을 차단시키기 위한 부구가 설치되고, 부구 상부의 물 공급파이프 내측은 감소된 직경을 갖는 부구 시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에 있어서, 부구가 설치된 물 공급파이프의 하부 말단부에는 상기 물 공급파이프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진공성립 방지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에 따른 습식 급이기 중 먹이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에 따른 습식 급이기 중 물저장탱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는, 사료 주입구(12)가 상부에 형성된 호퍼(10)와, 상기 호퍼(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사료 배출관(14)과, 상기 사료 배출관(14)의 하부에 설치되는 먹이통(30)과, 상기 먹이통(30)의 외주에 설치되는 칸막이대(60)로 이루어진 습식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먹이통(30)은 상부판(31)과 체결부재(31a)를 통해 상기 상부판(31)과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바닥판(39)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판(31)은 내측이 중공부로 형성된 사료통(32) 및 물통(36)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료통(32)은 사료통 내에 쌓이는 사료의 균등한 배분을 위하여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 돌출부(33)와,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파이프(80) 안내관(34a)이 절곡 형성된 상기 돌출부(33) 외주연의 제1 테두리부(34) 및, 상기 돌출부(33)와 제1 테두리부(34) 사이에 형성된 제1 홈부(35)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33)의 중앙에는 중앙공(33a)이 형성된다.
상기 물통(36)은 상기 사료통(32)의 돌출부(33)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제2 테두리부(37) 및, 상기 사료통(32)의 제1 홈부(35) 보다 깊은 깊이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테두리부(34, 37) 사이에 형성된 제2 홈부(38)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33)의 내측 중공부에는 물저장탱크(70)가 설치된다.
상기 물저장탱크(70)는 몸체(72)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부 커버(77)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72)의 하단에는 배출파이프(80)의 연결관(73)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커버(77)의 중앙에는 물 공급파이프(100)가 관통되는 관통공(7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77)에는 에어호스(107)가 관통되는 관통공(77a)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통공(77b)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호퍼(10)의 중앙에는 사료통(32) 돌출부(33)의 중앙공(33a)에 말단이 용접 고정되는 중공형 보호관(90)이 설치되고, 상기 중공형 보호관(90)의 상부는 호퍼(10)의 내측면에 고정된 십자형 고정편(92)에 의하여 고정되어 그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중공형 보호관(90)의 내측에는, 원수파이프(110)에 결합된 플렉시블 호스(111)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물저장탱크(70) 상부 커버(77)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78)에 관통된 후 그 외주면은 용접(101) 처리되는 물 공급파이프(100)가 설치되고,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산(102)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102)에는 이를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중공형 보호관(90)의 상단에 걸쳐지는 너트형 스토퍼(105)가 결합된다.
상기 너트형 스토퍼(105)는 물통(36)에 저장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너트형 스토퍼(105)를 회전시켜 상부로 이동시키면 중공형 보호관(90)의 내측에 위치한 물 공급파이프(100)가 상대적으로 하부로 위치 이동하게 되고,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대략 말단부에서 용접(101) 고정된 물저장탱크(70) 또한 하부로 이동하여 바닥면이 바닥판(39)에 닿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저장탱크(70)의 물 저장량과 수평되는 위치만큼만 물통(36)의 수위가 유지된다. 본 발명에서의 이 같은 경우 상기 물통(36)의 물은 가장 낮은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너트형 스토퍼(105)를 회전시켜 하부로 이동시키면 중공형 보호관(90)의 내측에 위치한 물 공급파이프(100)가 상대적으로 상부로 위치 이동하게 되고, 상기 물저장탱크(70) 또한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 커버(77)면이 돌출부(33)의 면에 닿게 된다. 따라서, 이 같은 경우 상기 물통(36)의 물은 가장 높은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이하의 작용효과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물저장탱크(70)의 관통공(78)을 관통하여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에 위치된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에는 급수조절을 위한 플로트 밸브(109)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플로트 밸브(109)는 물저장탱크(70) 내의 물이 차오르면 부력으로 상승하여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을 폐쇄하게 되고, 물저장탱크(70) 내의 물이 빠지면 함께 하강하여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을 개방하게 되는 것으로서, 저수조 또는 수세식 변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다.
즉, 플로트 밸브(109)는 물저장탱크(70) 내의 수위에 따라 원수파이프(110) 및 물 공급파이프(10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물저장탱크(70)의 몸체(72) 하단에 형성된 연결관(73)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사료통(32)의 제1 테두리부(34) 일측에 절곡 형성된 안내관(34a)에 결합되는 배출파이프(80)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34a) 측에 위치하는 배출파이프(80)의 말단 내측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부구(82)가 설치되며, 말단부에는 물의 원활한 공급 및 상기 부구(8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망(84)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형 보호관(90)의 내측에는, 물저장탱크(70)의 몸체(72) 하단에 형성된 연결관(73)의 상부 일측에 그 말단이 고정된 에어호스(107)가 더 설치되어, 상기 연결관(73) 및 이에 결합된 배출파이프(80)의 막힘 시 에어를 불어 넣어 뚫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에 대한 결합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호퍼(10)의 중앙에는 중공형 보호관(90)이 설치되되, 상기 중공형 보호관(90)의 상부에는 상기 호퍼(10)의 내측면에 고정된 십자형 고정편(92)이 결합되고, 상기 중공형 보호관(90)의 말단부는 사료통(32) 돌출부(33)의 중앙공(33a)에 용접 고정된다.
이때 먹이통(30)의 바닥판(39)은 상부판(31)으로부터 분해되어 개방된 상태에 있다.
상기 중공형 보호관(90)의 내측으로는 물 공급파이프(100)가 설치되고,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단은 상기 먹이통(30)의 개방된 하부에 위치된 물저장탱크(70)의 상부 커버(77) 관통공(78)에 관통되며, 상기 관통공(78)과 물 공급파이프(100)의 외주면은 용접(101) 처리된다. 따라서,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에서 물저장탱크(70)의 상부 커버(77)는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에는 통상의 장치인 플로트 밸브(109)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형 보호관(90)의 내측으로는 에어호스(107)가 더 설치되고, 상기 에어호스(107)의 하부 말단은 상부 커버(77)에 형성된 관통공(77a)에 통과시킨 후 물저장탱크(70)의 몸체(72)에 형성된 배출파이프 연결관(73)의 내측으로 위치시키게 되며, 에어호스(107)의 하부 말단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래킷(미도시) 등을 통해 고정시켜 두게 된다.
이어 상기 물저장탱크(70)의 상부 커버(77)를 몸체(72)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부 커버를 돌려 상기 상부 커버를 몸체에 결합할 수도 있고, 또는 몸체를 돌려 상기 몸체를 상부 커버에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물저장탱크(70)의 몸체(72)에 형성된 연결관(73)에는 배출파이프(80)의 일측을 결합시키게 되고, 상기 배출파이프(80)의 타측은 사료통(32)의 제1 테두리부(34) 일측에 절곡 형성된 안내관(34a) 내측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관(34a)의 내측에 위치하는 배출파이프(80)의 말단부는 하부의 지름이 넓고 상부의 지름이 좁은 형태의 테이퍼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말단부에는 상부의 좁은 지름부를 막아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부구(8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말단부에는 부구(8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망(84)이 결합고정되어 있다.
상기의 배출파이프(80) 및 에어호스(107)는 모두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한 결합이 끝나면, 개방상태에 있던 먹이통(30)의 상부판(31) 하부에 바닥판(39)이 체결부재(31a)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어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02)에는 너트형 스토퍼(105)가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는 원수파이프(110)에 결합된 플렉시블 호스(111)에 결합된다.
상기한 구성 및 결합관계를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에 대한 작용효과에 대해 도 5 및 아래의 도면을 참고로 하 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를 통해 물통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를 통해 물통에 공급되던 물이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물통 내의 물 수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양돈용 습식 급이기는 종래와 동일하게 스크류 수단(미도시) 등에 의하여 호퍼(10) 내의 사료(미도시)가 사료 배출관(14)을 통해 배출되면 상기 사료는, 사료통(32) 중앙의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 돌출부(33)를 통하여 상기 사료통(32) 내에 균등하게 공급된다.
그리고, 원수파이프(110)에 설치된 밸브(110a)가 개방되면 플렉시블 호스(111) 및 물 공급파이프(100)를 통하여 물이 공급되어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다.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 물은 연결관(73) 및 배출파이프(80)를 통하여 물통(36)으로 배출된다.
한편, 물 공급파이프(100)를 통한 물의 공급으로 물저장탱크(70) 내에 물이 충진되어 수위가 계속적으로 오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에 설치된 플로트 밸브(109)의 플로터가 부력에 의하여 상기 수위에 따라 계속적으로 상승(도 6a 참조)하게 된다.
이어 수위의 계속적인 오름에 따라 상기 플로트 밸브(109)의 플로터가 상승하여 수평 상태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플로트 밸브(109)가 물 공급파이프(100)를 폐쇄하여 물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물통(36) 내의 물 수위는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 물의 수위와 동일(도 6b 참조)해 질 때까지 차오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료 및 물이 공급되면 돼지는 사료통(32) 내의 사료와 물통(36) 내의 물을 섭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돼지의 섭취로 인하여 물통(36) 내의 물이 줄어 들면 물저장탱크(70) 내의 물이 물통(36)으로 배출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의 물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저장탱크(70) 내의 물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상기 플로트 밸브(109)의 플로터가 수위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상기 플로트 밸브(109)가 물 공급파이프(100)를 개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를 통해 물저장탱크(70) 내에 물이 다시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는 상기와 같은 돼지의 물 섭취량에 맞춰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돼지의 사료 및 물의 섭취 시 사료가 사료통(32)에서 물통(36)으로 이동되어 상기 물통(36) 내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물통(36) 내의 물이 배출파이프(80)의 말단을 통해 물저장탱크(70) 내측으로 역류하거나, 또는 물과 섞인 사료가 배출파이프(80)의 말단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배출파이프(80)를 막을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나, 이때 상기 배출파이프(80)의 말단부에 설치된 부구(82)가 부력에 의하여 떠 올라 상기 배출파이프(80)의 말단부를 폐쇄함으로써, 물 및 사료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만일, 이물질에 의하여 상기 배출파이프(80)가 막혀 물통(36)으로의 물 공급이 원활치 않을 때에는, 에어호스(107)를 통하여 상기 배출파이프(80)에 에어를 불어 넣어 상기 배출파이프(80)를 뚫어주게 된다.
한편, 여름철과 같이 기온이 높아 돼지의 물 섭취량이 증가할 때에는, 더욱 많은 량의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통(36) 내의 물 충진량을 늘이게 된다.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 공급파이프(100)의 상부 외주면 나사산(102)에 결합되어 중공형 보호관(90)의 상단에 걸쳐진 너트형 스토퍼(105)를 회전시켜 하부로 이동시키면 중공형 보호관(90)의 내측에 위치한 물 공급파이프(100)가 상대적으로 상부로 위치 이동하게 되고, 상기 물저장탱크(70) 또한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 커버(77)면이 돌출부(33)의 면에 닿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저장탱크(70)의 물 저장량과 수평되는 위치만큼 물통(36)의 수위가 유지됨으로써, 상기 물통(36)의 물은 가장 높은 수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물통(36) 내의 물 수위를 높이게 되면 돼지의 섭취 시 상기 물통 내의 물이 사료통(32)으로 쉽게 유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사료통 내의 사 료가 물과 섞여 액상 사료가 된다.
상기와 같은 액상 사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첫째, 액상 사료는 돼지가 먹기 편하기 때문에 건사료 보다 짧은 시간 내에 많은 량을 섭취할 수 있어 돼지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고, 저단백 저에너지의 값이 싼 사료의 섭취량도 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성장도 촉진시킬 수 있어 사료값을 절약할 수 있다.
둘째, 건사료에서는 먼지가 많이 발생되는데, 상기 액상 사료에서는 먼지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방지됨에 따라 축사 내부가 먼지 발생량이 감소되고, 이로 인한 돼지의 호흡기계통 질병의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셋째, 유럽 등 양돈 선진국에서는 위와 같은 효과를 위하여 많은 설비투자를 해서 액상 사료 설비를 갖추고 있은 바, 상기 액상 사료 설비는 돈사의 외부에 설치된 대형의 교반탱크에 물과 사료를 넣은 후 모터를 통하여 혼합하고, 돈사 내부로 연결된 관이나 튜브를 통하여 돼지에게 전달한다. 이때 관리자는 돼지의 체중을 매일 체크하여 그 체중에 따라 사료 및 물의 량을 조절하는 관리작업을 일일이 수행함에 따라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한편, 상기한 액상 사료 설비는 기존 습식 급이기에 비하여 5~6배의 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됨에 따라 설비비에 부담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가 채용된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비용은 기존 습식 급이기의 비용과 거의 동일한 수준임에 따라 비용부담을 덜어줄 수 있고, 돼지의 섭취량에 따라 자동으로 물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관리자의 작업량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름철과 반대로 겨울철에 돼지의 물 섭취량이 감소할 때에는, 너트형 스토퍼(105)를 회전시켜 상부로 이동시키면 중공형 보호관(90)의 내측에 위치한 물 공급파이프(100)가 상대적으로 하부로 위치 이동하게 되고, 상기 물저장탱크(70) 또한 하부로 이동하여 바닥면이 바닥판(39)에 닿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저장탱크(70)의 물 저장량과 수평되는 위치만큼만 물통(36)의 수위가 유지됨으로써, 상기 물통(36)의 물은 가장 낮은 수위(도 6b 참조)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의 급수조절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의 급수조절기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는,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되, 원수파이프(110)와 물 공급파이프(100) 사이에 급수조절기가 더 설치되고,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의 플로트 밸브 구성이 배제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다른 부분만을 요약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는, 원수파이프(110)와 플렉시블 호스(111)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조절기(200)와, 상기 플렉시블 호스(111)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은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한 물저장탱크(70) 상부 커버(77)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78)에 관통된 후 그 외주면은 용접(101) 처리되는 물 공급파이프(10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급수조절기(200)는 전방이 개방된 원통형 케이싱(210)과, 상기 케이싱(210) 내부 중앙에 장착되는 급수밸브(220)로 구성되되, 상기 급수밸브(220)는 양변기의 수조 등에서 사용되는 밸브구조로서, 연결관체(222) 전방에 노즐(232)이 형성된 캡(230)이 조립되면서 내부에 압력실(234)이 구비되고, 상기 압력실에는 고무판(228)이 장착되면서 상기 압력실(234)을 밀폐시키게 되며, 상기 고무판의 중앙에는 통로 개폐구(226)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 개폐구의 후방으로는 상기 통로 개폐구에 의해 개폐되는 통로(224)가 원수파이프(110)와 연통되고, 상기 통로의 외측 둘레 일측에는 급수공(225)이 형성되며, 상기 통로 개폐구(226)의 중앙에는 미세구멍(227)이 형성된다. 상기 노즐(232)의 전방에는 회동하면서 노즐을 개폐시키는 콕크(236)가 부착되고, 상기 연결관체(222)의 통로(224)의 후방으로는 원수파이프(110) 내부의 압력이 낮아졌을 때 탄성력으로 상기 원수파이프(110)를 차단하는 탄성수단(239)에 의해 탄지된 차단판(238)이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210)의 개방된 전방으로 밴드(240)에 의해서 신축관(250)이 조립된다. 상기 신축관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고무소재로서 외측둘레를 따라 주름부(25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전면부(254)의 내측면에는 누름구(256)가 부착되어 상기 콕크(236)를 눌러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관(250)의 외측으로 상기 신축관을 보호하고 신축관의 작동 및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캡(260)이 끼워져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210)의 일측으로는 연결구(21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구에는 플렉시블 호스(111)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플렉시블 호스(111)에는 제1 실시예 구조와 동일한 물저장탱크(70) 내에 그 하단이 관통 설치되는 물 공급파이프(100)가 결합된다.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되,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에 위치한 하부 말단에는 플로트 밸브가 설치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로트 밸브가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이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성의 급수조절기(200)가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 및 결합관계를 갖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에 대한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수파이프(110)에 설치된 밸브(110a)가 개방되면 상기 원수파이프(110)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하여, 탄성수단(239)이 압축됨과 동시에 차단판(238)이 개방되고, 이어 통로 개폐구(226)가 밀려 급수공(225)이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급수공(225)을 통해 물은 플렉시블 호스(111)와 물 공급파이프(100)를 거쳐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다.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 물은 연결관(73) 및 배출파이프(80)를 통하여 물통(36)으로 배출된다.
한편, 물 공급파이프(100)를 통한 물의 공급으로 물저장탱크(70) 내에 물이 충진되어 수위가 계속적으로 오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까지 물이 차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까지 물저장탱크(70) 내의 물이 차게 되면,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 내부의 수압에 의하여 급수조절기(200)의 케이싱(210) 내부에 음압이 발생되고, 상기 음압에 의하여 신축관(250)은 내부로 축소되며, 이에 따라 누름구(256)가 후퇴되면서 내측으로 유입된 누름구(256)가 노즐(232)을 막게 된다. 이후 압력실(234)이 팽창되면서 통로 개폐구(226)가 통로(224)를 차단시키게 되고, 이에 따른 급수공(225)의 차단에 의하여 물저장탱크(70)로 공급되던 물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 물통(36) 내의 물 수위는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 물의 수위와 동일해 질 때까지 차오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료(사료의 공급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되었음) 및 물이 공급되면 돼지는 사료통(32) 내의 사료와 물통(36) 내의 물을 섭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돼지의 섭취로 인하여 물통(36) 내의 물이 줄어 들면 물저장탱크(70) 내의 물이 물통(36)으로 배출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의 물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저장탱크(70) 내의 물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물 공급파이프(100) 내부의 수압이 해제되어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 내부의 물이 물저장탱크(70) 내부로 다시 공급되고, 동시에 외부의 공기가 물 공급파이프(100)를 통하여 케이싱(210)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케이싱 내부의 진공압이 해제된다.
따라서 신축관(250)은 원위치됨과 아울러 노즐(232)이 개방되고, 물이 계속적으로 물저장탱크(70)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돼지의 물 섭취량에 맞춰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에도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배출파이프(80)의 역류방지용 부구(82)가 구성되고, 배출파이프(80)의 막힘방지용 에어호스(107)가 구성되며, 물통(36) 내의 수위 조절을 위한 너트형 스토퍼(105) 및 중공형 보호관(90)이 구성된다. 이들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함에 따라 그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급수조절기(200)에 있어서, 물 공급파이프(100)를 물통(36)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의 구성이 배제되고, 상기 급수조절기(200)에 직접 결합된 물 공급파이프(100)가 호퍼(10) 외주연에 설치된 클램프(15)에 고정되고, 상기 물 공급파이프의 하부는 물통(36)에 위치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 내측에는,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에 물이 차 오를 때 급수조절기(200)의 내부 진공을 신속하고도 확실히 성립시켜 물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부구(150)가 설치되고, 상기 부구(150) 상부의 물 공급파이프(100) 내측은 감소된 직경을 갖는 부구 시트(150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부구(150)가 설치된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부에는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진공성립 방지구(160)가 더 고정된다. 상기 진공성립 방지구(160)는 돼지가 코로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를 막아 진공을 성립시켜 임의로 물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물 공급파이프(100)가 물통(36)에 직접 설치된 급수조절기(200)의 작용효과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즉, 원수파이프(110)에 설치된 밸브(110a)가 개방되고, 급수조절기(200)를 통해 물 공급파이프(100)를 거쳐 물통(36) 내에 물이 충진된다.
이어서 물통(36)의 수위가 오르게 되면 물은 진공성립 방지구(160)를 통해 부구(150)를 상승시켜 부구 시트(150a)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 내부의 수압에 의하여 급수조절기(200)에 압력이 발생되고, 위와 동일한 작용에 의하여 물통(36)으로 공급되던 물이 차단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돼지는 물통(36) 내의 물을 섭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돼지의 섭취로 인하여 물통(36) 내의 물이 줄어 들면 물통(36)의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통(36) 내의 물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물 공급파이프(100) 내부의 수압이 해제되어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 내부의 물이 물통(36)으로 다시 공급되고, 동시에 외부의 공기가 물 공급파이프(100)를 통하여 급수조절기(200)의 케이싱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케이싱 내부의 진공압이 해제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신축관(250)은 원위치됨과 아울러 노즐(232)이 개방 되고, 물이 계속적으로 물통(36)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의 급수조절기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의 급수조절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의 급수조절기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는, 상기한 제2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되, 원수파이프(110)와 물 공급파이프(100)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조절기의 구성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차이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는, 원수파이프(110)와 플렉시블 호스(111)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조절기(300)와, 상기 플렉시블 호스(111)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은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한 물저장탱크(70) 상부 커버(77)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78)에 관통된 후 그 외주면은 용접(101) 처리되는 물 공급파이프(10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급수조절기(300)는 내측에 노즐(311)이 형성된 반원형 몸체(310)와, 상기 반원형 몸체(310)에 결합되어 진공압 발생 시 상기 노즐(311)을 막는 고무막(330) 및, 상기 반원형 몸체(310)에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커버(350)로 구성된다.
상기 반원형 몸체(310)의 노즐(311) 반대측 외면에는 원수파이프(110)가 결합되는 연결구(3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즐(311)의 직하방으로는 플렉시블 호스(111)가 결합되는 연결구(3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원형 몸체(310)의 내측에는 배출호스(320)가 설치되되, 상기 배출호스(320)는 일단은 상기 반원형 몸체(310)의 내측에 위치되고, 타단은 플렉시블 호스(111)가 결합되는 연결구(315)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연결구(313)에는 원수파이프(110)가 연결되고, 연결구(315)에는 플렉시블 호스(111)가 연결되며, 상기 플렉시블 호스(111)에는 제1 및 제 2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한 물저장탱크(70) 내에 그 하단이 관통 설치되는 물 공급파이프(100)가 연결된다.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구성은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 및 결합관계를 갖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에 대한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수파이프(110)에 설치된 밸브(110a)가 개방되면 상기 원수파이프(110)의 물이 반원형 몸체(310)의 노즐(311)을 통해 분사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반원형 몸체(310)의 내부에는 물이 차게 되며, 이어 상기 물은 배출호스(320)를 통하여 플렉시블 호스(111)와 물 공급파이프(100)를 거쳐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다.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 물은 연결관(73) 및 배출파이프(80)를 통하여 물통(36)으로 배출된다.
한편, 물 공급파이프(100)를 통한 물의 공급으로 물저장탱크(70) 내에 물이 충진되어 수위가 계속적으로 오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까지 물이 차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까지 물저장탱크(70) 내의 물이 차게 되면,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 내부의 수압에 의하여 급수조절기(300)의 반원형 몸체(310) 내부에 음압이 발생되고, 상기 음압에 의하여 고무막(330)이 압축되어 노즐(311)을 막아 물저장탱크(70)로 공급되던 물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물통(36) 내의 물 수위는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 물의 수위와 동일해 질 때까지 차오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료(사료의 공급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되었음) 및 물이 공급되면 돼지는 사료통(32) 내의 사료와 물통(36) 내의 물을 섭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돼지의 섭취로 인하여 물통(36) 내의 물이 줄어 들면 물저장탱크(70) 내의 물이 물통(36)으로 배출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의 물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저장탱크(70) 내의 물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물 공급파이프(100) 내부의 수압이 해제되어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 내부의 물이 물저장탱크(70) 내부로 다시 공급되고, 동시에 외부의 공기가 물 공급파이프(100)를 통하여 반원형 몸체(310)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반원형 몸체(310) 내부의 진공압이 해제된다.
따라서 고무막(330)은 원위치됨과 아울러 노즐(311)이 개방되고, 물이 계속적으로 물저장탱크(70)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 또한 제1 및 제2 실시예 와 마찬가지로 돼지의 물 섭취량에 맞춰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에도 제1 및 제2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배출파이프(80)의 역류방지용 부구(82)가 구성되고, 배출파이프(80)의 막힘방지용 에어호스(107)가 구성되며, 물통(36) 내의 수위 조절을 위한 너트형 스토퍼(105)가 구성된다. 이들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함에 따라 그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급수조절기(300)에 있어서, 물 공급파이프(100)를 물통(36)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의 구성이 배제되고, 상기 급수조절기(300)에 직접 결합된 물 공급파이프(100)가 호퍼(10) 외주연에 설치된 클램프(15)에 고정되고, 상기 물 공급파이프의 하부는 물통(36)에 위치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 내측에는,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에 물이 차 오를 때 급수조절기(300)의 내부 진공을 신속하고도 확실히 성립시켜 물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부구(150)가 설치되고, 상기 부구(150) 상부의 물 공급파이프(100) 내측은 감소된 직경을 갖는 부구 시트(150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부구(150)가 설치된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부에는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진공성립 방지구(160)가 더 고정된다. 상기 진공성립 방지구(160)는 돼지가 코로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를 막아 진공을 성립시켜 임의로 물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물 공급파이프(100)가 물통(36)에 직접 설치된 급수조절기(300)의 작용효과는 도 10을 통한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의 급수조절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의 급수조절기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는, 상기한 제2 및 제3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되, 원수파이프(110)와 물 공급파이프(100)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조절기의 구성이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는 차이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는, 원수파이프(110)에 결합된 플렉시블 호스(111)와 그 하단이 도 4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한 물저장탱크(70) 상부 커버(77)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78)에 관통된 후 그 외주면은 용접(101) 처리되는 물 공급파이프(100)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조절기(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급수조절기(400)는 반원형 상부 몸체(410)와, 상기 상부 몸체(410)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체결되는 하부 몸체(430)와, 상기 하부 몸체(43)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 공급파이프(100)와, 일측의 급수공(425)을 갖고 조립 시 상기 상부 몸체(410)와 하부 몸체(430) 사이에 설치되는 노즐(420)과, 상기 노즐(420) 내에서 상기 노즐(420) 일측의 급수공(425)을 개폐시키도록 전후진 가능한 개폐봉(427)과, 상기 개폐봉(427)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봉(427)을 전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노즐(420) 일측의 급수공(425)을 폐쇄시키는 구동편(440)과, 상기 구동편(440)에 결합되어 물 공급파이프(100)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편(450)및, 상기 연결편(450)에 결합되어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에 위치하는 부구체(46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부구체(460)의 표면적을 넓게 하기 위하여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에는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종 형상의 확장부(100a)로 형성된 말단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부구체(460)는 상기 확장부(100a)의 형상과 동일하게 종 형상(도 17 참조)으로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100a) 내에서 상하부 유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부구체(460)의 수직방향 외측표면에는 물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수로(46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편(450)에는 스프링 등의 탄성체(455)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이유는 아래의 결합관계 및 작용효과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부 몸체(410)의 내측에는 작동편(440)의 좌우측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유동방지블럭(412)과 개폐봉(427)을 고정 지지하는 제1 개폐봉 지지블럭(415)이 고정되어 있고, 그 테두리면에는 다수의 체결편(417)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방에는 반원형 노즐 안착홈(41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몸체(430)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 몸체(410)의 제1 유동방지블럭(412)과 일치하는 제2 유동방지블럭(432) 및 제1 개폐봉 지지블럭(415)과 일치하는 제2 개폐봉 지지블럭(437)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 유동방지블럭(432)과 제2 개폐봉 지지블럭(437) 사이에는 구동편(400) 결합용 힌지블럭(435)이 고정되어 있으며, 그 테두리면에는 상기 체결편(417)과 일치하는 체결편(43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몸체(430)의 상기 반원형 노즐 안착홈(418)과 일치하는 반원형 노즐 안착홈(43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개폐봉 지지블럭(437)의 하부에는 노즐(420)을 통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관통공(437a)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에 대한 결합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 몸체(430)의 반원형 노즐 안착홈(439)에는 노즐(420)이 안착되고, 상기 노즐(420)의 후방에서 제2 개폐봉 지지블럭(437)의 상단에는 개폐봉(427)이 안착되며, 상기 개폐봉(427)의 후방에는 구동편(44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편(440)의 전방은 상향 절곡부(443)로 형성되어 있고, 후방은 하향 절곡부(445)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향 절곡부(443)는 힌지공(443a)을 관통하는 힌지핀(435a)을 통하여 힌지블럭(435)에 힌지 결합되고, 하향 절곡부(445)는 힌지공(445a)을 관통하는 힌지핀(445b)을 통하여 연결편(450)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한 결합의 완료 후 서로의 체결편(417, 438)을 관통하는 체결부재(470a, 470b)에 의하여 하부 몸체(430)에는 상부 몸체(41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몸체의 제1 유동방지블럭(412)과 제2 유동방지블럭(432) 사이에는 구동 편(440)의 몸체가 위치하여 그 몸체의 좌우 유동이 방지되고, 제1 개폐봉 지지블럭(415)과 제2 개폐봉 지지블럭(437) 사이에는 개폐봉(427)이 위치하여 그 유동이 방지되며, 반원형 노즐 안착홈(418, 439) 사이에는 노즐(420)이 위치하여 그 유동이 방지된다.
이어서, 상기 연결편(450)을 물 공급파이프(100)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상부면을 하부 몸체(430)의 결합구(도면번호 미부여)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는 물저장탱크(70)의 상부 커버(77)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외주면은 상기 상부 커버에 용접 고정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물저장탱크(70) 내에 위치된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에는 확장부(100a)로 형성된 말단부가 더 결합되고,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확장부(100a)까지 연장된 연결편(450)의 하부 말단에는 부구체(460)가 결합되어 상기 확장부(100a) 내에 위치된다.
상기 구성에서, 연결편(450)의 몸체에는 탄성체(455)가 삽입 설치되되, 상기 탄성체의 상단은 연결편(450)의 몸체에 고정된 멈춤링(452)의 하단에 위치되고, 탄성체의 하단은 확장부(100a)의 상단 내측에 다수 돌출 고정된 고리(100b)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부 몸체(410)와 하부 몸체(4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돌출된 노즐(420)에는 원수파이프(110)에 연결된 플렉시블 호스(111)가 결합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 및 결합관계를 갖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에 대한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수파이프(110)(도 16에 도시)에 설치된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원수파이프의 물이 플렉시블 호스(111)(도 16에 도시)를 통해 노즐(420)로 분사되면서 개폐봉(427)을 후방으로 밀어 내게 되고, 상기 개폐봉(427)의 후방 밀림에 의하여 구동편(440)이 접촉되어 상기 구동편(440)의 몸체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연결편(450)에 결합되어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 확장부(100a)에 위치한 부구체(460)는 상기 확장부(100a) 내에서 말단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노즐(420)로 부터 분사되는 물은 상기 노즐 일측의 급수공(425)을 통해 상부 및 하부 몸체 그리고 물 공급파이프(100)를 통하여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다. 이때 상기 물은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에서는 확장부(100a)에 위치한 부구체(460)의 수로(462)를 통해 낙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 물은 도 16에 도시된 연결관(73) 및 배출파이프(80)를 통하여 물통(36)으로 배출된다.
한편, 물 공급파이프(100)를 통한 물의 공급으로 물저장탱크(70) 내에 물이 충진되어 수위가 계속적으로 오르게 되고, 이에 따라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까지 물이 차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 공급파이프(100)의 하부 말단 즉, 확장부(100a)까지 물저장탱크(70) 내에 물이 차게 되면, 상기 확장부(100a) 내에 설치된 부구체(460)가 부력에 의하여 상승하게 된다.
상기한 부구체(460)의 상승에 의하여 연결편(450)이 함께 상승되고, 상기 연결편(450)의 상승에 의하여 구동편(440)의 후방부는 함께 상승되며, 반대로 상기 구동편(440)의 전방부는 하강하여 개폐봉(427)을 전방으로 밀어 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봉(427)은 전진하여 노즐(420) 일측의 급수공(425)을 폐쇄시켜 물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도 16에 도시된 물통(36) 내의 물 수위는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 물의 수위와 동일해 질 때까지 차오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료(사료의 공급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되었음) 및 물이 공급되면 돼지는 사료통(32)(도 16에 도시) 내의 사료와 물통(36) 내의 물을 섭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돼지의 섭취로 인하여 물통(36) 내의 물이 줄어 들면 물저장탱크(70) 내의 물이 물통(36)으로 배출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의 물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저장탱크(70) 내의 물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부구체의 부력이 해제됨에 따라 다시 물이 공급된다.
한편, 탄성체(455)는 물 공급 시 압축된 상태로 있다가, 부력에 의한 부구체의 상승 시 신장되어 상기 부구체의 신속한 상승을 유도함으로써, 물의 차단을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 또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돼지의 물 섭취량에 맞춰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에도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배출파이프(80)의 역류방지용 부구(82)가 구성되고, 배출파이프(80)의 막힘방지용 에어호스(107)가 구성되며, 물통(36) 내의 수위 조절을 위한 너트형 스토퍼(105) 및 중공형 보호관(90)이 구성된다. 이들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함에 따라 그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는,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되, 급수조절기가 전자밸브(110b) 및 수위감지센서(530)로 이루어지는데 차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는, 원수파이프(110)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식 전자밸브(110b)와, 물저장탱크(70)의 상부 커버(77) 하단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530) 및, 상기 전자밸브(110b)와 수위감지센서(5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케이블(540)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전자밸브(110b)는 수위감지센서(530)의 신호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장치임을 밝혀 둔다.
원수파이프(110)에 설치된 전자밸브(110b)가 개방되면 상기 원수파이프(110)의 물이 플렉시블 호스(111)와 물 공급파이프(100)를 거쳐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다.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 물은 연결관(73) 및 배출파이프(80)를 통하여 물통(36)으로 배출된다.
한편, 물 공급파이프(100)를 통한 물의 공급으로 물저장탱크(70) 내에 물이 충진되어 수위가 계속적으로 오르게 되고, 수위감지센서(530)까지 물저장탱크(70) 내의 물이 차게 되면, 상기 수위감지센서(530)의 신호가 접속케이블(540)을 통하여 전자밸브(11b0)로 전달되며, 상기 신호에 의하여 전자밸브(110b)는 폐쇄되어 물저장탱크(70)로 공급되던 물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물통(36) 내의 물 수위는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 물의 수위와 동일해 질 때까지 차오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료(사료의 공급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되었음) 및 물이 공급되면 돼지는 사료통(32) 내의 사료와 물통(36) 내의 물을 섭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돼지의 섭취로 인하여 물통(36) 내의 물이 줄어 들면 물저장탱크(70) 내의 물이 물통(36)으로 배출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의 물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저장탱크(70) 내의 물 수위가 낮아 지게 되면 수위감지센서(530)의 신호가 접속케이블(540)을 통하여 전자밸브(110b)로 전달되며, 상기 신호에 의하여 전자밸브(110b)는 개방되어 물저장탱크(70)로 다시 물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 또한 제1 내지 제4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돼지의 물 섭취량에 맞춰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에도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배출파이프(80)의 역류방지용 부구(82)가 구성되고, 배출파이프(80)의 막힘방지용 에어호스(107)가 구성되며, 물통(36) 내의 수위 조절을 위한 너트형 스토퍼(105) 및 중공형 보호관(90)이 구성된다. 이들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함에 따라 그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를 통해 물통에 공급되던 물이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는, 제6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되, 급수조절기가 전자밸브(110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마이크로스위치(610) 및 상기 마이크로스위치(6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부구(650)로 이루어지는데 차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는, 원수파이프(110)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식 전자밸브(110b)와, 물 공급파이프(100)에 고정되는 마이크로스위치(610)와, 상단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610)의 접점(612) 직하방에 설치되고 하단이 물저장탱크(70)의 상부 커버(77)를 관통하여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에 설치되는 작동봉(630) 및, 상기 작동봉(630)의 하부 말단에 고정된 부구(650)로 구성되며, 상기 전자밸브(110b)는 마이크로스위치(610)와 접속케이블(5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상기 구성에 있어서, 작동봉(630)은 물 공급파이프(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620)에 안내되도록 설치된다.
원수파이프(110)에 설치된 전자밸브(110b)가 개방되면 상기 원수파이프(110)의 물이 물 공급파이프(100)를 거쳐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다.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 물은 연결관(73) 및 배출파이프(80)를 통하여 물통(36)으로 배출된다.
한편, 물 공급파이프(100)를 통한 물의 공급으로 물저장탱크(70) 내에 물이 충진되어 수위가 계속적으로 오르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봉(630)의 하부 말단에 고정된 부구(650)가 부력에 의하여 상기 수위에 따라 계속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봉(630) 또한 상승하여 마이크로스위치(610)의 접점(612)을 누르게 되고, 상기 마이크로스위치(610)의 신호가 접속케이블(540)을 통하여 전자밸브(110b)로 전달되며, 상기 신호에 의하여 전자밸브(110b)는 폐쇄되어 물저장탱크(70)로 공급되던 물을 차단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물통(36) 내의 물 수위는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에 충진된 물의 수위와 동일해 질 때까지 차오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이 공급되면 돼지는 물통(36) 내의 물을 섭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돼지의 섭취로 인하여 물통(36) 내의 물이 줄어 들면 물저장탱크 (70) 내의 물이 물통(36)으로 배출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물저장탱크(70) 내의 물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저장탱크(70) 내의 물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상기 부구(650)가 수위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동봉(630) 또한 하강하여 마이크로스위치(610)의 접점(612)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며, 상기 마이크로스위치(610)의 신호가 접속케이블(540)을 통하여 전자밸브(110b)로 전달되어 전자밸브(110b)는 개방된다. 따라서, 물 공급파이프(100)를 통해 물저장탱크(70) 내에 물이 다시 공급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 또한 제1 내지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돼지의 물 섭취량에 맞춰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장치에도 제1 내지 제5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배출파이프(80)의 역류방지용 부구(82)가 구성되고, 배출파이프(80)의 막힘방지용 에어호스(107)가 구성되며, 물통(36) 내의 수위 조절을 위한 너트형 스토퍼(105) 및 중공형 보호관(90)이 구성된다.
상기 너트형 스토퍼(105)의 구성은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작동봉(630)을 중공형 보호관(90)의 외측에 설치하여 상기 너트형 스토퍼(105)의 회전 시 상기 작동봉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하면 된다.
이들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제1 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함에 따라 그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1 내지 제6 실시예의 구성에서 급수조절장치가 모두 호퍼 내에 설치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호퍼의 외측에서 물통과 직접 접촉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겐 자명한 사항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돈용 습식 급이기의 급수조절장치의 제공에 의하여 어린자돈에서 육성돈까지 하나의 습식 급이기를 통해 물을 쉽게 공급받을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급수노즐의 설치 위치가 다른 개개의 습식 급이기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그로 인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의 제공에 의하여 종래 급수노즐의 구성이 배제됨으로써, 급수노즐의 소모성 부품(오링이나 스프링)의 잦은 파손으로 인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의 제공에 의하여 여름철에도 항상 일정한 량의 물이 공급되어 돼지들이 골고루 물을 제때 섭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관리자의 작업량이 줄어 돈사의 관리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돼지의 발육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급수조절장치의 제공에 의하여 수위 조절로 인한 액상 사료 의 제공이 가능해짐에 따라 사료의 섭취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24)

  1. 삭제
  2. 사료 주입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에 결합되는 사료 배출관과, 상기 사료 배출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먹이통 및, 상기 먹이통의 외주에 설치되는 칸막이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먹이통의 하부에는 물저장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먹이통의 일측에는 배출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물저장탱크와 연통되는 배출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호퍼 내측에는 상기 물저장탱크 및 원수파이프와 연통되어 상기 물저장탱크의 내부 수위를 조절하는 급수조절장치가 설치된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먹이통은 상부판과 이에 체결되는 바닥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은 사료통 및 물통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료통은 중앙공이 형성된 중앙 돌출부와 상기 배출공이 물통측으로 형성된 제1 테두리부 및 상기 돌출부와 제1 테두리부 사이에 형성된 제1 홈부로 형성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사료통의 제1 테두리부 외주연에 연장 형성된 제2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의 외주연에 형성된 제2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에는 배출파이프 보호용 안내관이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제2 홈부는 상기 사료통의 제1 홈부 보다 깊은 깊이를 가지며, 상기 물통의 제2 테두리부는 상기 사료통의 돌출부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탱크는, 배출파이프 연결관이 형성된 몸체 및, 물 공급파이프가 관통되는 관통공과 공기유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상부에 분해 조립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부 커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장치는, 상기 원수파이프에 결합된 플렉시블 호스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물저장탱크에 관통되어 상기 물저장탱크 내에 위치하는 물 공급파이프 및, 상기 물저장탱크 내에 위치된 물 공급파이프의 하부 말단에 설치된 플로트 밸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장치는, 상기 원수파이프와 플렉시블 호스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조절기 및, 상기 플렉시블 호스와 물저장탱크에 연통되는 물 공급파이프로 구성되되, 상기 급수조절기는 연결관체 전방에 노즐이 형성된 캡이 조립되면서 내부에 압력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일측으로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가 구비된 원통형 케이싱과, 미세구멍을 가진 통로 개폐구가 형성된 압력실 밀폐용 고무판과, 상기 통로 개폐구의 후방에 형성되어 원수파이프와 연통되는 통로와, 상기 통로의 외측 둘레 일측에 형성된 급수공과, 상기 노즐의 전방에 설치된 노즐 개폐용 콕크와, 상기 연결관체의 통로 후방에 설치되어 원수파이프 내부의 압력 저하 시 상기 원수파이프를 차단하는 탄성수단에 의해 탄지된 차단판 및, 외측둘레를 따라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전면부의 내측면에 부착된 누름구가 상기 콕크를 눌러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싱 전방에 부착되는 신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장치는, 상기 원수파이프와 플렉시블 호스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조절기 및, 상기 플렉시블 호스와 물저장탱크에 연통되는 물 공급파이프로 구성되되, 상기 급수조절기는 원수파이프 연결구와 노즐 및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가 각각 형성된 반원형 몸체와, 일측은 상기 반원형 몸체의 내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 내에 위치되는 배출호스와, 상기 반원형 몸체에 결합되어 진공압 발생 시 상기 노즐을 막는 고무막 및, 상기 반원형 몸체에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장치는, 상기 원수파이프에 결합된 플렉시블 호스와 물저장탱크에 연통되는 물 공급파이프 및, 상기 플렉시블 호스와 물 공급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조절기로 구성되되, 상기 급수조절기는 반원형 상부 몸체와, 상기 상부 몸체와 체결되고 하부에는 물 공급파이프가 체결되는 하부 몸체와, 일측의 급수공을 갖고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플렉시블 호스와 연통되는 노즐과, 상기 노즐 일측의 급수공을 개폐시키는 개폐봉과, 상기 개폐봉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봉을 동작시키는 구동편과, 상기 구동편에 결합되어 물 공급파이프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에 결합되어 상기 물 공급파이프의 하부 말단에 위치하는 부구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장치는, 상기 원수파이프에 결합된 플렉시블 호스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물저장탱크에 관통되어 상기 물저장탱크 내에 위치하는 물 공급파이프와, 상기 원수파이프에 설치되는 전자밸브와, 상기 물저장탱크 내에 설치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전자밸브와 수위감지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케이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장치는, 상기 원수파이프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물저장탱크에 관통되어 상기 물저장탱크 내에 위치하는 물 공급파이프와, 상기 원수파이프에 설치되는 전자밸브와, 상기 물 공급파이프에 고정되어 상기 전자밸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마이크로스위치와, 상단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의 접점 직하방에 설치되고 하단이 물저장탱크 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작동봉 및, 상기 작동봉의 하부 말단에 고정된 부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12. 제6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파이프의 외주면에는 중공형 보호관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파이프 연결관의 상부 일측에는 에어호스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파이프의 말단부에는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부구 및 상기 부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파이프의 하부에는 상기 물 공급파이프 보다 큰 직경을 갖는 확장부로 형성된 말단부가 더 결합되고, 상기 부구체는 상기 확장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부구체의 수직방향 외측표면에는 물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수로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에는 작동편의 좌우측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블럭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은 물 공급파이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에 안내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파이프의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는 이를 따라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중공형 보호관의 상단에 걸쳐져 물통에 저장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너트형 스토퍼가 결합되어, 돼지의 섭취량에 따른 물통의 균일한 수위조절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에는 부구체의 신속한 상승을 유도하여 공급되던 물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는 탄성체가 삽입 설치되되, 상기 탄성체의 상단은 연결편의 몸체에 고정된 멈춤링의 하단에 위치되고, 탄성체의 하단은 확장부의 상단 내측에 다수 돌출 고정된 고리에 연결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20. 사료 주입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에 결합되는 사료 배출관과, 상기 사료 배출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먹이통 및, 상기 먹이통의 외주에 설치되는 칸막이대로 이루어진 양돈용 습식 급이기에 있어서,
    상기 먹이통은 상부판과 이에 체결되는 바닥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은 사료통 및 물통으로 형성되며, 상기 호퍼의 외부 일측에는 상기 물통 및 원수파이프와 연통되어 상기 물통의 내부 수위를 조절하는 급수조절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장치는, 상기 원수파이프와 물통에 연통되는 물 공급파이프 및, 상기 원수파이프와 물 공급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조절기로 구성되되, 상기 급수조절기는 연결관체 전방에 노즐이 형성된 캡이 조립되면서 내부에 압력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일측으로 물 공급파이프 연결구가 구비된 원통형 케이싱과, 미세구멍을 가진 통로 개폐구가 형성된 압력실 밀폐용 고무판과, 상기 통로 개폐구의 후방에 형성되어 원수파이프와 연통되는 통로와, 상기 통로의 외측 둘레 일측에 형성된 급수공과, 상기 노즐의 전방에 설치된 노즐 개폐용 콕크와, 상기 연결관체의 통로 후방에 설치되어 원수파이프 내부의 압력 저하 시 상기 원수파이프를 차단하는 탄성수단에 의해 탄지된 차단판 및, 외측둘레를 따라 주름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전면부의 내측면에는 누름구가 부착되어 상기 콕크를 눌러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싱 전방에 부착되는 신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장치는, 상기 원수파이프와 물통에 연통되는 물 공급파이프 및, 상기 원수파이프와 물 공급파이프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조절기로 구성되되, 상기 급수조절기는 원수파이프 연결구와 노즐 및 물 공급파이프 연결구가 각각 형성된 반원형 몸체와, 일측은 상기 반원형 몸체의 내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물 공급파이프 내에 위치되는 배출호스와, 상기 반원형 몸체에 결합되어 진공압 발생 시 상기 노즐을 막는 고무막 및, 상기 반원형 몸체에 결합되어 밀폐시키는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에 위치하는 물 공급파이프의 하부 말단 내측에는, 상기 물 공급파이프의 하부 말단에 물이 차 오를 때 급수조절기의 내부 진공을 신속히 성립시켜 물을 차단시키기 위한 부구가 설치되고, 상기 부구 상부의 물 공급파이프 내측은 감소된 직경을 갖는 부구 시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가 설치된 물 공급파이프의 하부 말단부에는 상기 물 공급파이프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진공성립 방지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1020050098553A 2005-10-19 2005-10-19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100720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553A KR100720289B1 (ko) 2005-10-19 2005-10-19 양돈용 습식 급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8553A KR100720289B1 (ko) 2005-10-19 2005-10-19 양돈용 습식 급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683A KR20070042683A (ko) 2007-04-24
KR100720289B1 true KR100720289B1 (ko) 2007-05-22

Family

ID=3817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553A KR100720289B1 (ko) 2005-10-19 2005-10-19 양돈용 습식 급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2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981B1 (ko) * 2009-08-12 2011-08-23 김기주 사료허실방지기능을 가지는 양돈용 급이기
KR101133797B1 (ko) 2009-09-04 2012-04-05 이창현 축산용 급수조절장치
KR20190121949A (ko) 2018-04-19 2019-10-29 (주)팜스코 양돈용 액상 사료 제조 장치
KR20230032408A (ko) * 2021-08-31 2023-03-07 구영남 가축 급수기의 급수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646B1 (ko) * 2007-08-02 2009-08-24 이창현 양돈용 수위조절 급수장치
KR100913645B1 (ko) * 2007-08-02 2009-08-24 이창현 양돈용 급여기의 사료 및 식수 받침대
KR101352393B1 (ko) * 2012-03-29 2014-01-17 대한민국 모돈의 액상먹이급이시스템
KR101353781B1 (ko) * 2012-04-04 2014-01-27 이창현 식수 및 사료 자동 급이기
KR101302755B1 (ko) * 2012-05-16 2013-09-02 김양복 가금류용 습식 급이기
KR101621665B1 (ko) * 2015-10-15 2016-05-16 김기주 전위차를 이용한 사료 급이기의 물 자동 공급장치
KR101651389B1 (ko) * 2016-02-02 2016-08-25 김기주 전위차를 이용한 액상급이기의 물 자동 공급장치
KR101891402B1 (ko) * 2016-04-28 2018-08-23 부흥세이프 주식회사 펠릿 연소용 로스터
KR101951151B1 (ko) * 2018-07-24 2019-02-21 김기주 상부 센서가 설치되는 물과 사료의 혼합급이기
KR102263515B1 (ko) * 2019-05-03 2021-06-15 주식회사 연합축산 액상사료 급여기의 식수 자동 공급장치
CN117546787A (zh) * 2023-10-20 2024-02-13 安徽斯高德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传感器控制的干湿料喂料器及其控料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969A (en) 1979-07-11 1981-02-07 Matsushita Refrigeration Ice making machine
JPH0974934A (ja) * 1995-09-11 1997-03-25 Masao Chikamori 飼槽内餌水分離給餌器
JP2000166414A (ja) 1998-12-08 2000-06-20 Sekine:Kk 給餌装置
KR200188614Y1 (ko) 2000-02-14 2000-07-15 이필호 가축사료 자동 급이기
KR200299912Y1 (ko) 2002-10-14 2003-01-06 김기주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200331634Y1 (ko) 2003-07-31 2003-11-01 이창현 결로 방지용 사료 급여장치
KR200365211Y1 (ko) 2004-07-19 2004-10-15 이창현 돼지사료 급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969A (en) 1979-07-11 1981-02-07 Matsushita Refrigeration Ice making machine
JPH0974934A (ja) * 1995-09-11 1997-03-25 Masao Chikamori 飼槽内餌水分離給餌器
JP2000166414A (ja) 1998-12-08 2000-06-20 Sekine:Kk 給餌装置
KR200188614Y1 (ko) 2000-02-14 2000-07-15 이필호 가축사료 자동 급이기
KR200299912Y1 (ko) 2002-10-14 2003-01-06 김기주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200331634Y1 (ko) 2003-07-31 2003-11-01 이창현 결로 방지용 사료 급여장치
KR200365211Y1 (ko) 2004-07-19 2004-10-15 이창현 돼지사료 급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981B1 (ko) * 2009-08-12 2011-08-23 김기주 사료허실방지기능을 가지는 양돈용 급이기
KR101133797B1 (ko) 2009-09-04 2012-04-05 이창현 축산용 급수조절장치
KR20190121949A (ko) 2018-04-19 2019-10-29 (주)팜스코 양돈용 액상 사료 제조 장치
KR20230032408A (ko) * 2021-08-31 2023-03-07 구영남 가축 급수기의 급수밸브
KR102598282B1 (ko) 2021-08-31 2023-11-02 구영남 가축 급수기의 급수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683A (ko) 200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289B1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CN210202881U (zh) 一种用于羊养殖的具有供药功能的自动定量饮水槽
CN207383197U (zh) 一种全自动智能通气换液水培装置
CN110583502A (zh) 一种实验鼠饲养装置及饲养方法
KR20060084427A (ko) 양돈용 습식 급이기
KR20080011625A (ko) 가축용 먹이공급기
KR101002153B1 (ko) 축산용 급수니플
CN205865643U (zh) 水产动物流水养殖实验装置
WO1996039801A3 (en) Multi-purpose automatic filling and leveling liquid basin with liquid transfer
CN209861929U (zh) 畜牧养殖的水料一体系统
CN110074040B (zh) 一种利用气压无电供氧的鱼缸
CN214015549U (zh) 一种鮡科鱼类养殖装置
CN204837575U (zh) 一种龙虾养殖池
CN213663164U (zh) 一种水产养殖装置
CN211064669U (zh) 一种水产养殖用增氧投饲设备
CN210869329U (zh) 一种水位可调节的喂水槽
CN211832386U (zh) 一种新型散养鸡喂养用食槽
CN106106202A (zh) 仔猪cu系统
CN206043120U (zh) 小丑鱼受精卵人工孵化专用模拟胸鳍扇动设备
CN215123362U (zh) 一种无管线生态水族箱
CN215223857U (zh) 一种用于奶牛养殖的喂料食槽结构
CN217308768U (zh) 一种畜牧养殖用鸡食槽
CN214801579U (zh) 一种猪养殖饮水系统
CN203860221U (zh) 家禽规模化养殖专用清洁饮水槽
KR101582028B1 (ko) 양식장 사육수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